KR101461178B1 -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178B1
KR101461178B1 KR20130099625A KR20130099625A KR101461178B1 KR 101461178 B1 KR101461178 B1 KR 101461178B1 KR 20130099625 A KR20130099625 A KR 20130099625A KR 20130099625 A KR20130099625 A KR 20130099625A KR 101461178 B1 KR101461178 B1 KR 10146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ayer forming
pressure
fixation plat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2013009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점착제가 수용되고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히팅온도제어부와 연결되어 온도제어가 되는 히팅수단;과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점착제가 하향 토출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노즐을 가진 분사장치;와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하향 관통되어 고정되는 상고정판;과 상기 상고정판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노즐삽입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향 함몰된 내면에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공과 일치되는 사출주입공이 구비되도록 점착층 성형부가 형성된 상형;과 상기 상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고정판과 가이드봉으로 연결되는 하고정판;과 상기 하고정판 하부의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부터 승강되는 승강로드의 단부가 상기 하고정판과 연결된 승강장치;와 상기 하고정판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하향 함몰된 안착부가 구비된 하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물에 점착층을 균일하면서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성형물의 형상에 따라 상형과 하형을 교체하면서 다양한 성형물에 점착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Adhesive layer forming devic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다양한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층을 성형하기 위한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접착제의 일부로 볼 수 있지만 접착제는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변하면서 강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반면에, 점착제는 쉽게 부착하고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끈적끈적한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점착제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어깨끈을 사용하지 않는 브래지어의 컵 안쪽에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어깨끈 없이 브래지어를 가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부착형 브래지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브래지어 컵의 안쪽면에 졸(sol) 상태의 점착제를 붓으로 도포한 후 오븐에 넣어 가열시켜 겔(gel) 상태로 만들면서 점착제가 브래지어 컵에 붙거나 스며들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브래지어 컵의 내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브래지어 컵의 중앙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점착층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고 점착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10-0716656호에 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시트의 일면에 점착제층이 코팅되어 제작되고, 상기 점착제층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도록 브래지어컵의 내측면 상하 둘레부에 구비되는 점착패드를 이용한 점착식 브래지어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점착패드를 별도로 제작한 후 브래지어의 내면에 다시 부착함에 따라 제작이 간단하지 못하고, 점착패드와 브래지어의 결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층을 균일하면서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점착층이 구비되는 성형물의 제작성 및 점착성능의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는, 내부에 점착제가 수용되고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탱크;와 상기 점착제가 일정한 점도를 가지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히팅온도제어부와 연결되어 온도제어가 되는 히팅수단;과 외주면에 히터부재가 구비된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점착제가 하향 토출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을 통과하는 점착제의 소성 온도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온히터가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장치;와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하향 관통되어 고정되는 상고정판;과 상기 상고정판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노즐삽입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공과 일치되는 사출주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물의 상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점착층 성형부가 형성된 상형;과 상기 상고정판의 하부에 대향된 상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상고정판과 가이드봉으로 연결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승강되는 하고정판;과 상기 하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부터 승강되는 승강로드의 단부가 상기 하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따라 하고정판을 승강시켜주는 승강장치;와 상기 하고정판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상형의 점착층 성형부와 형합되며, 상기 성형물의 저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가 구비된 하형;을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성형부와 안착부가 접면되어 이루는 형합 공간은 평면형태 또는 곡면형태 또는 요철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과 관련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과 상형이 형합될 때 상기 성형물 표면과 상기 점착층 성형부 저면 사이에 점착층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과 상형이 형합될 때 상기 점착층 성형부가 성형물 표면을 밀착 가압하도록 하고, 상기 점착성형부의 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공과 연결되는 점착층 성형홈이 형성되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상,하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형으로 통해 주입되는 점착제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성형물에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층을 균일하면서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a, 2b,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물에 점착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경질인 성형물에 점착층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물과 상형의 저면 사이에 점착층 성형공간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 4b, 4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질인 성형물에 점착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의 구성을 보면 점착제가 수용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수용된 점착제의 온도조절을 위한 히팅수단과, 점착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와, 분사장치가 고정되는 상고정판과, 분사장치를 통해 점착제가 분사되는 상형과, 분사장치에 구비되어 점착제의 온도를 조절해주는 가온히터와, 상고정판과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하고정판과, 하고정판을 승강시켜주는 승강장치와, 하고정판에 설치되어 승강장치의 승강에 따라 상형과 형합되는 하형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1 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장탱크(100)는,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가지면서 그러한 공간에 점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저장탱크(100)의 어느 한쪽에는 저장탱크(100) 내부의 점착제를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고압펌프(12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100)의 내부에 점착제의 일정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한 교반장치(도면중 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히팅수단(110)은,
전술한 저장탱크(100)에 수용된 점착제의 소성 온도를 유지시켜 점착제가 일정한 점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히팅수단(110)은 저장탱크(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히팅온도제어부(111)와 연결시켜 저장탱크(100)의 점착제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저장탱크(100)의 수용된 점착제의 온도는 대략 200℃를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분사장치(200)는,
저장탱크(100)의 점착제를 하향 분사시키는 장치로서, 분사장치(200)의 상부 일측은 전술한 저장탱크(100)와 연결되어 있는 고압펌프(120)에 연결호스(130)로서 연결되고, 분사장치(200)의 하부는 수직 하방을 향해 복수의 분사노즐(210)이 형성되며, 이때 분사노즐(210)의 내부에는 분사공(211)이 형성되고, 이러한 분사공(211)은 분사장치(200)의 상측까지 연결되어 연결호스(130)와 관통 연결된다.
따라서 저장탱크(100)의 점착제는 고압펌프(120)에 의해 연결호스(130)를 거쳐 분사장치(200)로 공급된 후 분사노즐(210)의 분사공(211)을 통해 하향 분사되는 것이며, 이때 분사장치(200)에는 점착제의 분사 유무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수단(도면중 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고정판(300)은,
전술한 분사노즐(210)이 하향 관통되어 설치되며, 후술되는 상형(400)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상형(400)은,
성형물(800)의 상면에 점착층(90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틀로써, 상면 양측은 전술한 상고정판(300)의 저면에 체결수단을 통해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면 중앙부위에는 분사장치(200)의 분사노즐(210)이 인입될 있도록 일정한 깊이의 노즐삽입공(410)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점착층 성형부(430)가 형성되고, 그러한 점착층 성형부(430) 저면에는 노즐삽입공(410)에 인입된 분사노즐(210)의 분사공(211)과 일치되어 연통될 수 있도록 사출주입공(420)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점착층 성형부(430)의 형상은 예시된 도면을 통해 평면의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점착층 성형부(430)의 형상은 이러한 평면으로 한정될 필요없이 성형물(800) 상면의 형상에 따라 곡면, 비곡면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형물(800)의 상면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점착층 성형부(430)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상형(400)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점착층(900)을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물(800)에 따라 어느 하나의 상형(400)을 선택한 다음 상고정판(300)에 교체 설치하면서 다양한 성형물(800)에 점착층(90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점착제의 소성온도는 상형(400)의 사출주입공(420)을 통해 성형물(800) 표면에 점착제가 사출될 때까지 균일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고압펌프(120)와 분사장치(20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호스(130)에 코일형 히터와 같은 히터부재(131)를 설치하여 점착제가 연결호스(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가 발생되어 점성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분사장치(200)의 분사노즐(210)에도 분사공(211)을 통과하는 점착제의 소성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분사노즐(210)의 외주면 또는 분사노즐(210)의 내부에 가온히터(220)를 설치함으로써 분사공(211)을 통해 사출주입공(420)으로 분사되는 점착제의 소성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고정판(500)은,
전술한 상고정판(300)과 대향된 하부에 승강공간부를 가질 수 있도록 상고정판(300)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며, 하고정판(500)과 상고정판(300)은 가이드봉(510)으로 서로 연결되는데, 이때 하고정판(500)은 가이드봉(5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승강장치(600)는,
전술한 하고정판(500)을 승강시켜주는 것으로서, 승강장치(600)는 공압 또는 유압 등으로 작동되는 실린더(620)와 그러한 실린더(620)로부터 승강되는 승강로드(62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장치(600)는 베이스부(610) 내부에 위치하고, 베이스부(610)의 상부에는 상고정판(300)과 하고정판(500)을 연결하고 있는 가이드봉(510)이 설치되며, 승강장치(600)의 승강로드(621) 상단은 베이스부(61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고정판(500)의 저면 중앙에 고정됨에 따라 승강장치(600)의 실린더(620)로부터 승강로드(621)가 상하 승강되면 하고정판(500)은 승강로드(621)와 함께 가이드봉(51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하형(700)은,
성형물(800)이 안착되는 금형틀로서, 저면 양측은 전술한 하고정판(500)의 상면에 체결수단을 통해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성형물(800)이 안착되는 안착부(710)가 구비되며, 이때 안착부(710)의 함몰된 형상은 예시된 도면에서는 평면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안착부(710)의 형상은 평면으로 한정될 필요없이 성형물(800) 저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형물(800)의 저면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안착부(710)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하형(700)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성형물(800)에 따라 어느 하나의 하형(700)을 선택한 다음 하고정판(500)에 교체 설치하면서 다양한 성형물(800)에 점착층(90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가 포함되는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물에 점착층이 점착되는 과정을 예시된 도 2a 내지 도 2c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저장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점착제는 히팅온도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히팅수단(110)을 통해 대략 200℃의 온도가 유지되면서 일정한 점도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2a 와 같이 하형(700)의 안착부(710)에는 상면에 점착층(900)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물(800)이 정합되도록 안착되며, 이때 승강장치(600)의 승강로드(621)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2b 와 같이 실린더(620)로부터 승강로드(621)가 상승하게 되면서 하형(700)과 상형(400)이 형합되고, 성형물(800)의 상면은 상형(400)의 점착층 성형부(430)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형(400)과 하형(700)이 형합된 다음에는 성형물(800)의 상면에 점착층(900)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압펌프(120)가 작동되면서 저장탱크(100)의 점착제가 연결호스(130)를 통하여 분사장치(200)로 유입된다.
이때 연결호스(130)에는 히터부재(131)가 설치되고 분사장치(200)의 분사노즐(210) 또한 가온히터(220)가 구비됨에 따라 점착제가 연결호스(130)를 거쳐 분사노즐(2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착제의 소성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호스(130)를 거쳐 분사장치(200)로 유입된 점착제는 분사장치(200)의 분사노즐(210)에 구비된 분사공(211)을 통과하여 상형(400)의 점착층 성형부(430)와 연결되는 사출주입공(420)으로 이동됨에 따라 성형물(800)의 상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점착층(900)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성형물(800)이 경질인 경우에는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성형물(800)을 사이에 두고 상형(400)과 하형(700)이 형합시킨 후 성형물(800)의 표면에 점착층(900)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함에 있어서 하형(700)의 안착부(710)에 놓여져 상형(400)에 형합되는 경질의 성형물(800) 표면과 점착층 성형부(430)의 저면 사이에 점착층 성형공간(440)이 형성되도록 상형(400)의 점착층 성형부(430)를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착층 성형공간(440)은 경질의 성형물(800)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점착층(900)의 두께를 감안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질인 성형물(800')인 경우에는 도 4a 내지 도 4c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질인 성형물(800')을 사이에 두고 상형(400')과 하형(700')이 형합시킨 후 성형물(800')의 표면에 점착층(900)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형(400')의 저면과 하형(700')의 상면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형(400')과 하형(700')이 형합될 때 하형(700')의 상면에 놓여지는 연질인 성형물(800')의 표면을 상형(400')이 밀착 가압하도록 하며, 이때 상형(400')의 저면에는 점착층(900)이 형성되기 위한 점착층 성형홈(450)이 형성되고, 이러한 점착층 성형홈(450)은 분사노즐(210)의 분사공(211)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질인 성형물(800')의 표면에 점착층 성형홈(450)과 상응하는 점착층(90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질인 성형물(800')은 경우 상형(400')의 저면이 연질인 성형물(800')의 표면을 밀착 가압한 상태에서 점착층 성형홈(450)에 점착층(900)이 형성됨에 따라 연질인 성형물(8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점착층(900)에 버(burr)가 생기지 않고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어 성형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형(400)(400')과 하형(700)(700')이 형합된 후 점착제가 분사장치(200)로 이송되어 성형물(800)(800')의 상면으로 일정시간 분사되면 성형물(800)(800')에 일정한 두께의 점착층(900)이 형성되며,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승강로드(621)를 하강시켜 하형(700)(700')을 상형(400)(4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형(400)(400')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는 성형물(800)(800')을 상형(400)(400')으로부터 분리시켜주면 점착층(900)이 구비된 성형물(800)(800')의 성형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물(800)(800')에 점착층(900)을 균일하면서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성형물(800)(800')의 형상에 따라 상형(400)(400')과 하형(700)(700')을 교체하면서 다양한 성형물(800)(800')에 점착층(900)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저장탱크 110 : 히팅수단
111 : 히팅온도제어부 120 : 고압펌프
130 : 연결호스 131 : 히터부재
200 : 분사장치 210 : 분사노즐
211 : 분사공 220 : 가온히터
300 : 상고정판 400,400' : 상형
410 : 노즐삽입공 420 : 사출주입공
430 : 점착층 성형부 440 : 점착층 성형공간
450 : 점착층 성형홈 500 : 하고정판
510 : 가이드봉 600 : 승강장치
610 : 베이스부 620 : 실린더
621 : 승강로드 700,700' : 하형
710 : 안착부 800,800' : 성형물
900 : 점착층

Claims (4)

  1.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점착제가 수용되고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탱크;
    상기 점착제가 일정한 점도를 가지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히팅온도제어부와 연결되어 온도제어가 되는 히팅수단;
    외주면에 히터부재가 구비된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점착제가 하향 토출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을 통과하는 점착제의 소성 온도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가온히터가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장치;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이 하향 관통되어 고정되는 상고정판;
    상기 상고정판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노즐삽입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공과 일치되는 사출주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물의 상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점착층 성형부가 형성된 상형;
    상기 상고정판의 하부에 대향된 상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상고정판과 가이드봉으로 연결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승강되는 하고정판;

    상기 하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부터 승강되는 승강로드의 단부가 상기 하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따라 하고정판을 승강시켜주는 승강장치; 및
    상기 하고정판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상형의 점착층 성형부와 형합되며, 상기 성형물의 저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가 구비된 하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성형부와 안착부가 접면되어 이루는 형합 공간은 성형물의 형상에 따라 곡면 또는 비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과 상형이 형합될 때 상기 성형물 표면과 상기 점착층 성형부 저면 사이에 점착층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형과 상형이 형합될 때 상기 점착층 성형부가 성형물 표면을 밀착 가압하도록 하고, 상기 점착층 성형부의 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공과 연결되는 점착층 성형홈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KR20130099625A 2013-08-22 2013-08-22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KR10146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625A KR101461178B1 (ko) 2013-08-22 2013-08-22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625A KR101461178B1 (ko) 2013-08-22 2013-08-22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78B1 true KR101461178B1 (ko) 2014-12-04

Family

ID=5267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625A KR101461178B1 (ko) 2013-08-22 2013-08-22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1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964B1 (ko) * 2000-10-13 2003-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조네이터 사출 성형장치 및 그 방법
US6843852B2 (en) * 2002-01-16 2005-01-1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less spray deposition
KR20110079031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라이팅 리버스 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964B1 (ko) * 2000-10-13 2003-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조네이터 사출 성형장치 및 그 방법
US6843852B2 (en) * 2002-01-16 2005-01-1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less spray deposition
KR20110079031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라이팅 리버스 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9396B (zh) 成形模具、成形裝置及成形品的製造方法
JP2013028087A (ja) モールド金型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モールド装置
JPH08504063A (ja) ダイとチップキャリヤとの間にインターフェースを形成する方法
JP6687048B2 (ja) 加硫ゴムの離型性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101747198B1 (ko) 화장료 충진장치
CN108698266A (zh) 树脂成形方法、膜输送装置以及树脂成形装置
KR101461178B1 (ko) 점착층 자동 성형장치
JP6130461B2 (ja) 接着要素をマトリックス上に配置する方法及び装置
TWI456640B (zh) 半導體晶片之壓縮成形方法及壓縮成形模具
CN106671362A (zh) 一种双唇宽皮碗衬套组件的成型模具及其成型方法
US8157559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02038916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방법
CN113164726A (zh) 用于生产微针的方法和装置
CN110315663A (zh) 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US11155022B2 (en) Device, mould assembly and method for thermoforming of a product from a plastic film
KR20130110613A (ko) 냉각에어노즐을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TW201420317A (zh) 氣體輔助壓印系統及製程
KR101647212B1 (ko) 가압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90064824A (ko) 고무 접합용 프레스 장치
CN112440429B (zh) 具有刺激电极的柔性薄膜的注塑成型方法
US20170252954A1 (en) Semiconductor encapsulation system comprising a vacuum pump and a reservoir pump
CN212736635U (zh) 一种气动滴珠机的防堵滴胶孔
KR101302745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실리콘패드와 실리콘용기의 제조방법
JP2013022890A (ja) 注型成形品エジェクト装置
JP2017030434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