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891B1 -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891B1
KR101460891B1 KR20130055929A KR20130055929A KR101460891B1 KR 101460891 B1 KR101460891 B1 KR 101460891B1 KR 20130055929 A KR20130055929 A KR 20130055929A KR 20130055929 A KR20130055929 A KR 20130055929A KR 101460891 B1 KR101460891 B1 KR 10146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solenoid control
control signa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2013005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의 전기신호를 기계 계통의 움직임으로 변환시키는 일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비교 및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부의 출력에 따라 과전류 상태를 판단하여 과전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 및 과전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전류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DEVICE FOR PROTECTING ACTUATOR}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의 전기신호를 기계 계통의 움직임으로 변환시키는 일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현금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시간에 제약 없이 현금 또는 수표 등의 입출금 거래, 계좌이체 및 조회업무 등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금융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해주어 금융업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인단말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를 비롯한 전자제품은 제품을 구성하는 내부 장치들이 일정 온도 범위 내에서 정상 동작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 장치들은 외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그에 따라 기기 주변의 온도가 상기 동작 보증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그 동작 상태에 영향을 받게 되어 기기의 오작동 및 이에 따른 기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금융자동화기기의 경우, 권종 구분 및 위폐 감별 등을 위해 내부에 다수개의 LED 발광 소자를 취급하는데, 일반적으로 LED 발광 소자는 그 특성상, 주위 온도가 하강하면 발광량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어,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의 저온일 경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발광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광부를 통해 얻어지는 스캔 이미지 값이 다르게 나타나게 되어, 지폐의 정확한 권종 및 위폐 감별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내부에 온풍기 등의 형태의 히터를 장착하여 기기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히터는 열선 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재의 발열체, 환풍기(Fan) 및 온도조절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의 일정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금융자동화기기는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든 모듈에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의 전기신호를 기계 계통의 움직임으로 변환시키는 일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액츄에이터 보호 회로는 과전류(Over current)로부터 액츄에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폴리 스위치(Poly switch)를 사용한다. 하지만, 폴리 스위치는 주변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온도에 따라 그 특성이 쉽게 변화된다.
즉, 폴리 스위치의 특성상 주변 온도가 올라갈수록 폴리 스위치가 임의로 동작할 확률이 커지게 된다. 폴리 스위치는 회로에 과전류가 유입되면 과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폴리 스위치가 일반적으론 아주 낮은 저 저항 상태에서 고 저항으로 변화한다. 그러면, 회로를 오픈시키는 퓨즈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폴리 스위치는 고 저항 상태에서는 폴리 스위치 자체가 매우 뜨거워지며, 주위 온도가 올라갈수록 폴리 스위치도 함께 뜨거워져 고 저항 상태가 갈 확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폴리 스위치가 임의로 오동작하게 되는 경우 과전류가 발생한 상황으로 인식하여 액츄에이터가 불필요하게 동작을 중지하게 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도와 무관하게 과전류로부터 액츄에이터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는,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비교 및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부의 출력에 따라 과전류 상태를 판단하여 과전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 및 과전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와 무관하게 과전류로부터 액츄에이터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에 관한 상세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부(100), 과전류 제어부(300), 증폭부(400) 및 과전류 판단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100)는 구동신호(HSOL)를 입력받아 액츄에이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를 액츄에이터(200)에 출력한다.
과전류 제어부(300)는 과전류 감지신호(OC)에 따라 구동부(1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증폭부(400)는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를 비교 및 증폭하여 출력신호(SOL_ADC)를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600)로 출력한다.
여기서, CPU(600)는 아날로그 값으로 인가된 출력신호(SOL_ADC)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범위로 에러 코드를 생성한다.
과전류 판단부(500)는 증폭부(400)의 출력에 따라 과전류의 레벨을 감지하여 과전류 감지신호(OC)를 과전류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구동부(100)는 복수의 저항(R1~R3), 트랜지스터(T1) 및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R1)은 구동신호(HSOL)의 입력단과 그라운드 전압단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저항(R2)는 구동신호(HSOL)의 입력단과 노드(ND1) 사이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T1)의 일단과 전압(V1) 인가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D1)와 그라운드 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노드(ND1)의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1)는 베이스 단자가 노드(ND1)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가 다이오드(D1)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가 그라운드 전압단에 연결된 NPN 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항(R3)은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의 출력단과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저항(R3) 양단의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는 저항 (R3)의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전압 차를 가지게 된다.
과전류 제어부(300)는 과전류 감지신호(OC)에 따라 노드(ND1)의 전류 레벨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전류 제어부(300)는 저항(R4)과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저항(R4)는 과전류 감지신호(OC)의 인가단과 트랜지스터(T2)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2)는 노드(ND1)와 그라운드 전압단 사이에 연결되어 저항 (R4)의 출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2)는 베이스 단자가 저항(R4)의 일단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가 노드(ND1)에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가 그라운드 전압단에 연결된 NPN 형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증폭부(400)는 복수의 저항(R5~R8)과, 비교기(A1, A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R5)은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 인가단과 비교기(A1)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저항(R6)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 인가단과 비교기 (A2)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저항(R7)은 저항(R5)의 일단과 노드(ND2) 사이에 연결된다. 저항(R8)은 저항(R6)의 일단과 그라운드 전압단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비교기(A1)는 저항(R5, R6)의 출력을 비교 및 증폭하여 노드(ND2)에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A1)는 네가티브 단자를 통해 저항(R5)을 거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가 입력되고, 포지티브 단자를 통해 저항(R6)을 거친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교기(A1)는 차동 증폭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비교기(A2)는 노드(ND2)의 출력과 피드백 입력된 비교기(A2)의 출력을 비교 및 증폭하여 출력신호(SOL_ADC)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A2)는 네가티브 단자를 통해 출력신호(SOL_ADC)가 피드백 입력되고, 포지티브 단자를 통해 노드 (ND2)의 출력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교기(A2)는 차동 증폭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과전류 판단부(500)는 저항 분배부(510)와 비교기(A3)를 포함하여 과전류의 레벨을 판단한다. 여기서, 저항 분배부(510)는 저항(R9, R10)을 포함한다. 저항 (R9)는 전원전압 VDD 인가단과 노드(ND3)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저항(R10)은 노드(ND3)와 그라운드 전압단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비교기(A3)는 노드(ND3)의 출력과 노드(ND2)의 출력을 비교 및 증폭하여 과전류 감지신호(OC)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A3)는 네가티브 단자를 통해 노드(ND3)의 출력이 인가되고, 포지티브 단자를 통해 노드(ND2)의 출력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교기(A3)는 차동 증폭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보호 회로에 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신호(HSOL)는 저항(R2)를 거처 노드(ND1)에 출력된다. 여기서, 구동신호(HSOL)는 액츄에이터(200)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 신호이다. 구동신호(HSOL)가 하이 레벨이 되는 경우 액츄에이터(200)가 동작 상태가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1)는 베이스 단자와 연결된 노드(ND1)의 출력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 상태가 제어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상태에 따라 액츄에이터(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가 출력된다.
즉,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인 트랜지스터(T1)는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는 노드(ND1)의 출력신호 및 구동신호(HSOL)의 전류 값에 따라 콜렉터 단자와 이미터 단자에 흐르는 전류 값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1)가 턴 온 되는지 또는 턴 오프 되는지에 따라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의 전류 값이 변화되어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 값으로 출력되어 액츄에이터(20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는 저항(R3)의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전압 차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저항(R3)은 기존의 폴리 스위치를 포함하지 않으며 해당 전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갖는다. 구동신호(HSOL)가 하이 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T1)가 턴 온 되어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에 따라 액츄에이터(200)가 동작한다.
구동부(100)에서 출력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는 증폭부(400)에 인가된다. 증폭부(400)는 특정 저항 차를 갖는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를 비교기(A1, A2)에 의해 비교하여 양단의 전압 차를 갖는 출력신호(SOL_ADC)를 CPU(Central Processing Unit; 600)로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A1)의 출력인 노드(ND2)의 전압은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0)의 전압에서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SOL_OUT1)의 전압을 뺀 값이다. 그리고, 비교기(A2)의 전압은 출력신호(SOL_ADC)의 전압에서 노드(ND2)의 전압을 뺀 값이다.
그리고, CPU(600)는 출력신호(SOL_ADC)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범위로 에러 코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증폭부(400)의 출력신호(SOL_ADC)가 제 1전압인 경우 액츄에이터(200)가 정상 동작하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증폭부(400)의 출력신호(SOL_ADC)가 제 1전압보다 낮은 제 2전압 이하인 경우 액츄에이터(200)에 커넥터가 미삽입된 상태로 판단한다. 또한, 증폭부(400)의 출력신호(SOL_ADC)가 제 1전압보다 높은 제 3전압 이상인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여 에러 코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전압은 약 1V 정도로 설정될 수 있고, 제 2전압은 약 0.2V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3전압은 약 3V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기(A1)의 출력은 비교기(A3)의 일단으로 입력된다. 비교기(A3)의 다른 일단에는 저항(R9, R10)에 의해 저항 분배된 값이 인가된다. 비교기(A3)는 비교기(A1)의 출력과 저항(R9, R10)의 저항 분배 값을 비교하여 과전류 값을 판단한 후 과전류 감지신호(OC)를 과전류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A3)의 출력인 과전류 감지신호(OC)의 전압은 저항(R9, R10)의 저항 분배된 전압 값에서 노드(ND2)의 전압을 뺀 값이다. 즉, 과전류 판단부(500)는 저항(R9, R10)의 저항 분배 값에 따라 과전류의 판단 기준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 기준 값과 노드(ND2)의 값을 비교하여 과전류 감지신호(OC)를 출력한다. 만약, 노드(ND2)의 전압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과전류 감지신호(OC)가 하이 레벨로 출력된다. 반면에, 과전류 판단부(500)는 노드(ND2)의 전압 값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정상 구동으로 판단하여 과전류 감지신호(OC)를 로우 레벨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항(R9, R10)의 저항 분배 값이 약 2.5V정도의 전압 레벨을 갖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저항(R9, R10)의 저항 분배 값에 대응하는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노드(ND2)의 출력이 약 2.5V 이상이 되는 경우 과전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00)의 정상 구동시 노드 (ND2)의 출력이 약 1V 정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2)는 과전류 감지신호(OC)를 베이스 단자로 입력받으며, 과전류 감지신호(OC)의 전류 레벨에 따라 노드(ND1)의 전류 레벨을 제어한다. 과전류 감지신호(OC)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경우 트랜지스터(T2)가 턴 온 되어 노드(ND1)에 그라운드 전압(GND)을 인가한다. 노드(ND1)가 그라운드 전압(GND) 레벨이 되는 경우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 되어 액츄에이터(20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반면에, 과전류 감지신호(OC)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는 경우 트랜지스터(T2)가 턴 오프 되어, 구동신호(HSOL)가 하이 레벨인 상태에서 트랜지스터(T1)가 턴 온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상기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상기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비교 및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출력에 따라 과전류 상태를 판단하여 과전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 1트랜지스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출력에 따라 일정 전압 차를 갖는 상기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상기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저항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제 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2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고 상기 제 1트랜지스터가 턴 오프 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중지시키고,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2트랜지스터가 턴 오프 되고 상기 제 1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트랜지스터는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가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고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베이트 단자와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그라운드 전압단과 이미터 단자가 연결된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의 인가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된 제 2저항을 더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상기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 및 증폭하는 제 1비교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저항 분배된 기준 값을 생성하는 저항 분배부; 및
    상기 저항 분배부의 출력과 상기 제 1비교기의 출력을 비교 및 증폭하여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 2비교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상기 제 1비교기의 출력이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과전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를 하이 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제 1비교기의 출력이 상기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정상 구동으로 판단하여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를 로우 레벨로 출력하는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경우 상기 제 1솔레노이드 제어신호와 상기 제 2솔레노이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가 동작하되,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가 하이 레벨로 출력되면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과전류 감지신호가 로우 레벨로 출력되면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을 유지하는 엑츄에이터 보호 장치.

KR20130055929A 2013-05-16 2013-05-16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KR10146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929A KR101460891B1 (ko) 2013-05-16 2013-05-16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929A KR101460891B1 (ko) 2013-05-16 2013-05-16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891B1 true KR101460891B1 (ko) 2014-11-13

Family

ID=5229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5929A KR101460891B1 (ko) 2013-05-16 2013-05-16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595A (ja) * 1995-07-26 1998-07-21 ユイナ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パルス幅変調法を用いたソレノイド用駆動コントローラ
JP2003284238A (ja) 2002-03-19 2003-10-03 Toyota Industries Corp ソレノイド駆動用のスイッチング素子の保護方法及び保護回路
JP2009019957A (ja) 2007-07-11 2009-01-29 Advics:Kk リニアソレノイドの過電流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595A (ja) * 1995-07-26 1998-07-21 ユイナ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パルス幅変調法を用いたソレノイド用駆動コントローラ
JP2003284238A (ja) 2002-03-19 2003-10-03 Toyota Industries Corp ソレノイド駆動用のスイッチング素子の保護方法及び保護回路
JP2009019957A (ja) 2007-07-11 2009-01-29 Advics:Kk リニアソレノイドの過電流異常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43357B (zh) 稳压器
US7742688B2 (en) Circuit for controlling rotation speed of computer fan
JP5420763B2 (ja) 出力トランジスタのための短絡保護を有するスイッチ型出力段およびそれを含むデバイス
US20110174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urcing a heater
CN110612453B (zh) 数字输入接收器中的电线断裂检测
CN101762335B (zh) 温度检测电路
US20150048886A1 (en) Temperature detecting apparatus, switch capacitor apparatus and voltage integrating circuit thereof
US9319146B2 (en) Optical transmitter
CN106054999B (zh) 低功耗输入电路
JP3211007U (ja) 人体検知装置
KR101460891B1 (ko) 액츄에이터 보호 장치
EP2367288B1 (en) Sensor output IC and sensor device
EP198116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an input voltage into a galvanically separated output signal
US20150085416A1 (en) Integrated circuit with protection function
US8334665B2 (en) Fan control system
CN101165985A (zh) 保护装置和方法
US20110148395A1 (en) Over-voltage and over-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CN109390910B (zh) 与电流相关的热关断
JP2009011112A (ja) 過電流保護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426255B2 (ja) 光源制御回路、光源制御方法、光源装置
CN111948584B (zh) 有源传感器电路
US20100289551A1 (en) Increased reliability in the processing of digital signals
US10191508B2 (en) Peripheral module and circuit arrangement for a digital input of the peripheral module
JP2002237745A (ja) 負荷駆動回路
CN107124095A (zh) 本质安全电路的驱动器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