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882B1 -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882B1
KR101460882B1 KR1020130036880A KR20130036880A KR101460882B1 KR 101460882 B1 KR101460882 B1 KR 101460882B1 KR 1020130036880 A KR1020130036880 A KR 1020130036880A KR 20130036880 A KR20130036880 A KR 20130036880A KR 101460882 B1 KR101460882 B1 KR 10146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temperature side
low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137A (ko
Inventor
준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복수의 난방단말과, 가열장치와 각 난방단말의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갖는 난방회로를 구비한 난방 시스템을, 난방단말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도 난방회로에 대형의 순환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해결수단) 가열장치는 열매체를 소정의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저온측 가열장치(1)와 상기 제 1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제 2 온도로 열매체를 가열하는 고온측 가열장치(2)로 구성된다. 각 난방단말 중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저온측 단말(31),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고온측 단말(32)로 하여, 저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4)의 저온측 공급관로(43)를 분류하여 각 저온측 단말에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고, 고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의 고온측 공급관로(44)를 분류하여 각 고온측 단말에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도록 한다. 각 고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가 합류하는 난방회로의 고온측 복귀관로(46)는 고온측 가열장치에 접속되고, 각 저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가 합류하는 난방회로의 저온측 복귀관로(45)는 저온측 가열장치를 경유하여 열매체가 가열된 후에 고온측 복귀관로에 접속된다.

Description

난방 시스템{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복수의 난방단말과, 가열장치와 각 난방단말의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갖는 난방회로를 구비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난방 시스템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다. 이것에서는 가열장치가 열매체를 소정의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액-액 열교환기(저온측 가열장치)와, 제 1 온도의 열매체를 상기 제 1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제 2 온도로 보조적으로 가열하는, 즉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열원기(고온측 가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각 난방단말 중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저온측 단말,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고온측 단말로 하여, 각 저온측 단말에는 액-액 열교환기로부터의 난방회로의 저온측 공급관로를 분류(分流)하여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고, 각 고온측 단말에는 고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의 고온측 공급관로를 분류하여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각 저온측 단말과 각 고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는 난방회로의 복귀관로에서 합류된 후, 즉 각 저온측 단말을 통과한 열매체와 각 고온측 단말을 통과한 열매체를 혼합하여 저온측 가열장치로 되돌려진다.
그런데, 근래에는 바닥 난방이나 욕실 난방기 등의 보급에 따라 난방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난방단말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이에 수반하여 난방단말을 포함한 난방회로의 압력 손실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욕실 난방기 등의 고온측 단말은 바닥 난방 등의 저온측 단말에 비해서 그 압력 손실이 크기 때문에, 모든 난방단말이 동시에 사용되었을 때에도 고온측 단말에 충분한 유량의 열매체가 공급되도록 고온측 단말에 대한 열매체의 공급 압력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예와 같이 저온측 및 고온측의 각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를 혼합하여 저온측 가열장치로 되돌리는 구성에서는, 난방단말의 개수가 많아지면, 송액(送液) 능력이 큰 대형의 순환펌프를 이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순환펌프의 설치공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도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11-112320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난방단말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도 난방회로에 대형의 순환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복수의 난방단말과, 가열장치와 각 난방단말의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갖는 난방회로를 구비한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은, 가열장치가 열매체를 소정의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저온측 가열장치와 이 제 1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제 2 온도로 열매체를 가열하는 고온측 가열장치로 구성되되, 각 난방단말 중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저온측 단말,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고온측 단말로 하여, 저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의 저온측 공급관로를 분류하여 각 저온측 단말에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고, 고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의 고온측 공급관로를 분류하여 각 고온측 단말에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각 고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가 합류하는 난방회로의 고온측 복귀관로는 고온측 가열장치에 접속되고, 각 저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가 합류하는 난방회로의 저온측 복귀관로는 저온측 가열장치를 경유하여 열매체가 가열된 후에 고온측 복귀관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회로의 고온측 복귀관로를 고온측 가열장치에 접속하여, 비교적 압력 손실이 큰 고온측 단말을 통과한 열매체를 저온측 가열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짧은 경로를 통해서 고온측 가열장치로 되돌리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난방단말을 포함한 난방회로의 압력 손실은, 같은 개수의 난방단말이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종래예의 것에 비해서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난방회로에 설치하는 순환펌프를 송액 능력이 큰 대형의 것으로 하지 않더라도 압력 손실이 큰 고온측 단말에 충분한 유량으로 열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열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온수나 부동액을 들 수 있고, 또한 난방에는 난방단말에 열매체를 순환시켰을 때의 방열로 의류 건조를 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저온측 가열장치가 히트펌프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온측 가열장치가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열원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히트펌프유닛에 저온측 단말을 통과한 저온의 열매체만을 되돌려서 이 열매체를 제 1 온도로 재가열하여 저온측 단말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히트펌프유닛을 부하가 적은 환경에서 가동시킬 수 있고, 또한 고온측 단말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원기가 제 1 온도의 열매체와 고온측 단말을 통과한 열매체를 합류시킨 것을 제 2 온도로 가열하면 되기 때문에, 그 가열량이 적어도 되므로, 결과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좋은 난방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고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를 합류시키는 복귀용 고온측 분기헤더와, 각 저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를 합류시키는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를 구비하되, 고온측 분기헤더와 저온측 분기헤더는 일단이 폐색된 주관(main pipe)이며,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속부가 둘레방향으로 엇갈려서 돌출형성된 것을 양 주관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고온측 분기헤더와 저온측 분기헤더를 콤팩크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2는 도 1의 난방 시스템에 이용되는 분기헤더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열매체를 온수로 하고, 이 열매체를 제 1 온도(예를 들면 40℃)로 가열하는 저온측 가열장치를 히트펌프유닛으로 하고, 열매체를 제 1 온도보다 높은 제 2 온도(예를 들면 80℃)로 가열하는 고온측 가열장치를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열원기로 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WS는 급탕기능을 가진 본 실시형태의 난방 시스템이고, 이 난방 시스템(WS)은 히트펌프유닛(1)과, 열원기(熱源機)(2)와, 복수의 난방단말(3)과, 히트펌프유닛(1) 및 열원기(2)와 각 난방단말(3)의 사이에서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1)를 갖는 난방회로(4)와, 온수를 저장하는 탱크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난방단말(3)은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바닥 난방 등의 복수의 저온측 단말(31)과,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욕실 난방기 등의 복수의 고온측 단말(32)로 구성된다. 또한, 저온측 단말(31)과 고온측 단말(32)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저온측 단말(31)과 고온측 단말(32)은 공지의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히트펌프유닛(1)은 냉매를 증발기(11)에서 컴프레서(12)와 방열기(13)와 팽창밸브(14)를 통하여 증발기(11)로 되돌리는 폐쇄회로로 구성되는 것이다. 증발기(11)에는 팬(15)이 부설되어 있고, 냉매가 팬(15)에 의해서 송풍되는 대기의 열을 흡열하여 증발되고, 이 증발된 냉매가 컴프레서(12)에 의해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이 되고, 방열기(13)에 의해서 방열된 후, 팽창밸브(14)에 의해서 감압되어 증발기(11)로 되돌려진다. 히트펌프유닛(1)은 탱크물 가열회로(51)를 통하여 탱크유닛(5)의 저탕탱크(50)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물 가열회로(51)에는 히트펌프유닛(1) 내에 위치하는 순환펌프(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펌프(52)의 작동에 의해서, 저탕탱크(50)의 바닥부에서 저온의 탱크물이 방열기(13)로 공급되고, 방열기(13)에 있어서의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가열된 탱크물이 저탕탱크(50)의 상부로 되돌려짐으로써, 저탕탱크(50)의 온수를 일정한 온도(예를 들면 45℃)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저탕탱크(50)의 바닥부에는 급수로(53)가 접속되어 있고, 상부에는 출탕로(54)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로(53)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용 외부 배관으로부터 냉수가 감압밸브(53a)를 통하여 공급된다. 또한, 급수로(53)에는 감압밸브(53a)의 하류측 급수로(53)의 부분에서 분기되는 분기 급수로(53b)가 접속되어 있고, 분기 급수로(53b)와 출탕로(54)가 급탕전 등의 급탕단말(도시생략)에 연결되는 급탕로(55)의 상류단에 설치된 탕수 혼합밸브(5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저탕탱크(50)에서 출탕로(54)를 통하여 출탕되는 온수와 분기 급수로(53b)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수의 혼합비를 탕수 혼합밸브(56)에 의해서 조절하여 설정온도의 탕수가 급탕 단말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급탕로(55)에는 바이패스밸브(55a)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바이패스밸브(55a)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열원기(2)의 급탕용 열원부(21)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급수로(22a)와, 이 급탕용 열원부(21)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출탕로(22b)가 접속되어 있다. 급탕용 열원부(21)는 버너(21a)와 상기 버너(21a)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21b)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출탕로(54)에서 출탕되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 되었을 때, 바이패스밸브(55a)를 폐쇄함과 동시에 급탕용 열원부(21)를 작동시켜서, 급탕용 열원부(21)에 의해 저탕탱크(50)에서 출탕되는 온수를 설정온도로 가열한다. 또한, 열원기(2)에는 버너(23a)와 상기 버너(23a)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23b)를 구비한 난방용 열원부(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난방용 열원부(23)가 본 발명의 고온측 가열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급탕용 열원부(21)와 난방용 열원부(23)로서는 급탕 및 난방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가스 복합 열원기의 급탕용 열원부와 난방용 열원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난방회로(4)는 열원기(2) 내에 위치하여 각각 설치되는 공급용 저온측 분기헤더(411) 및 고온측 분기헤더(412)와,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421) 및 고온측 분기헤더(4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난방회로(4)는 저온측 분기헤더(411)에 제 1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측 공급관로(43)와, 고온측 분기헤더(412)에 제 2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고온측 공급관로(44)와,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421)에서 합류된 온수를 히트펌프유닛(1)로 되돌리는 저온측 복귀관로(45)와, 복귀용 고온측 분기헤더(422)에서 합류된 온수를 열원기(2)로 되돌리는 고온측 복귀관로(46)를 구비하고, 저온측 복귀관로(45)가 히트펌프유닛(1)을 경유한 후, 고온측 복귀관로(46)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공급용 저온측 분기헤더(411)와 고온측 분기헤더(412)로서는 동일 형태의 것이 이용되는데, 일단이 폐색된 주관(41a)을 구비하며, 그 외주면에 저온측 단말(31)과 고온측 단말(32)에 각각 통하는 저온측 순환 공급관로(471)와 고온측 순환 공급관로(472)가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41b)를 돌출형성한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421) 및 고온측 분기헤더(422)도 공급용 저온측 분기헤더(411)와 고온측 분기헤더(412)와 동일한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난방 시스템(WS)에 접속해야 할 난방단말(3)의 개수가 많을 때에는, 저온측 분기헤더(421) 및 고온측 분기헤더(422)용의 설치공간을 열원기(2) 내에서 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온측 분기헤더(421)와 고온측 분기헤더(422)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온측 분기헤더(421)(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것)는 일단이 폐색된 주관(이하, 이것을 '제 1 주관'이라 한다)(42a)을 구비하며, 그 외주면에는 각 저온측 단말(31)로부터 저온측 순환 복귀관로(481)가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42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접속부(42b)는 연직방향(도 2에서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서로 인접하는 것이 상이한 방향을 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각 접속부(42b) 상호간의 간격을 작게 설정하더라도 저온측 순환 복귀관로(481)를 쉽게 배관할 수 있다. 또, 제 1 주관(42a)의 타단에는 이 주관(42a)의 내부통로(421)와 연통하는 내부통로(422)를 가지며, 제 1 주관(42a)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인트부(42c)가 접속되어 있다. 이 조인트부(42c)에는 개폐밸브(V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류단에 저온측 복귀관로(45)가 접속된다. 그리고, 복수의 저온측 단말(31)을 거친 온수가 저온측 분기헤더(421)에서 합류되어 저온측 복귀관로(45)을 통하여 히트펌프유닛(1)로 되돌려지고, 방열기(13)에 있어서의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저온측 단말(31)을 거친 온수가 재가열된다.
또, 조인트부(42c)에는 고온측 분기헤더(422)의 주관(이하, 이것을 '제 2 주관'이라 한다)(42d)이 제 1 주관(42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그 일단이 연결되며, 제 2 주관(42d)의 일단이 조인트부(42c)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제 2 주관(42d)의 외주면에도 상기 저온측 분기헤더(421)와 마찬가지로 고온측 단말(32)로부터 고온측 순환 복귀관로(482)가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부(42e)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 2 주관(42d)의 타단에는 고온측 복귀관로(46)의 상류단을 이루는 T자관(46a)이 설치되어 있으며, 히트펌프유닛(1)을 경유한 저온측 복귀관로(45)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T자관(46a)에는 제 2 주관(42d)의 타단을 폐색하는 개폐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온측 복귀관로(46)에는 상류측(난방단말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시스턴(42)과 순환펌프(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순환펌프(41)와 난방용 열원부(23)의 사이의 고온측 복귀관로(46)의 하류측 부분(46b)에서 상기 저온측 분기헤더(411)로 제 1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측 공급관로(43)가 분기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방회로(4)의 고온측 복귀관로(46)를 고온측 가열장치인 난방용 열원부(23)에 접속하여, 비교적 압력 손실이 큰 고온측 단말(32)을 통과한 온수를 히트펌프유닛(1)을 경유하지 않고 짧은 경로를 통해서 난방용 열원부(23)로 되돌리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난방단말(3)을 포함한 난방회로의 압력 손실은, 같은 개수의 난방단말이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종래예의 것에 비해서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난방회로(4)에 설치하는 순환펌프(41)를 송액 능력이 큰 대형의 것으로 하지 않더라도 압력 손실이 큰 고온측 단말(32)에 충분한 유량으로 열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 저온측 가열장치를 히트펌프유닛(1)으로 구성하고, 고온측 가열장치를 버너(23a)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23b)를 구비한 난방용 열원부(열원기)(23)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히트펌프유닛(1)에 저온측 단말(31)을 통과한 저온의 온수만을 되돌려서 이 저온의 온수(열매체)를 제 1 온도로 재가열하여 저온측 단말(31)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펌프유닛(1)을 부하가 적은 환경에서 가동시킬 수 있고, 또한 고온측 단말(32)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방용 열원부(23)가 제 1 온도의 온수와 고온측 단말(32)을 통과한 온수를 합류시킨 것을 제 2 온도로 가열하면 되기 때문에, 그 가열량이 적어도 되므로, 결과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좋은 난방 시스템(WS)이 된다. 또한,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421)와 고온측 분기헤더(422)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원기(2)의 좁은 설치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저온측 분기헤더(421)와 고온측 분기헤더(422)에 각각 개폐밸브(V1,V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시공시에 저온측과 고온측으로 나누어 누수검사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저온측 가열장치를 히트펌프유닛(1)으로 구성하고, 고온측 가열장치를 버너(23a)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23b)를 구비한 열원기(23)로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열교환에 의해서 열매체가 제 1 온도 또는 제 2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저온측 가열장치로서 태양열을 이용한 가열장치나 저장탱크유닛에 저장한 온수와의 액-액 열교환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탱크유닛은 생략할 수도 있다.
WS - 난방 시스템 1 - 히트펌프유닛(저온측 가열장치)
2 - 열원기(고온측 가열장치) 3 - 난방단말
31 - 저온측 단말 32 - 고온측 단말
4 - 난방회로 41 - 순환펌프
43 - 저온측 공급관로 44 - 고온측 공급관로
45 - 저온측 복귀관로 46 - 고온측 복귀관로
421 -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 422 - 복귀용 고온측 분기헤더
42a,42d - 주관 42b,42e - 접속부

Claims (3)

  1. 열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복수의 난방단말과, 가열장치와 각 난방단말의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갖는 난방회로를 구비한 난방 시스템으로서,
    가열장치가 열매체를 소정의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저온측 가열장치와 상기 제 1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제 2 온도로 열매체를 가열하는 고온측 가열장치로 구성되고, 각 난방단말 중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저온측 단말,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순환되는 것을 고온측 단말로 하여, 저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의 저온측 공급관로를 분류하여 각 저온측 단말에 제 1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고, 고온측 가열장치로부터의 난방회로의 고온측 공급관로를 분류하여 각 고온측 단말에 제 2 온도의 열매체가 각각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각 고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가 합류하는 난방회로의 고온측 복귀관로는 고온측 가열장치에 접속되고, 각 저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가 합류하는 난방회로의 저온측 복귀관로는 저온측 가열장치를 경유하여 열매체가 가열된 후에 고온측 복귀관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온측 가열장치가 히트펌프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온측 가열장치가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열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고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를 합류시키는 복귀용 고온측 분기헤더와, 각 저온측 단말을 각각 통과한 열매체를 합류시키는 복귀용 저온측 분기헤더를 구비하되, 고온측 분기헤더와 저온측 분기헤더는 일단이 폐색된 주관이며,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속부가 둘레방향으로 엇갈리게 돌출형성된 것을 양 주관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KR1020130036880A 2012-04-10 2013-04-04 난방 시스템 KR101460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9628 2012-04-10
JP2012089628A JP6009797B2 (ja) 2012-04-10 2012-04-10 暖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137A KR20130115137A (ko) 2013-10-21
KR101460882B1 true KR101460882B1 (ko) 2014-11-13

Family

ID=4958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880A KR101460882B1 (ko) 2012-04-10 2013-04-04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09797B2 (ko)
KR (1) KR101460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1052B2 (ja) * 2015-06-22 2019-02-13 リンナイ株式会社 暖房装置
JP2018084393A (ja) * 2016-11-25 2018-05-31 株式会社ノーリツ 熱交換器及び貯湯給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131A (ja) * 2002-12-26 2004-07-22 Gastar Corp 分岐ヘッダー
JP2006284141A (ja) * 2005-04-04 2006-10-19 Tokyo Gas Co Ltd 暖房装置及び冷房装置
JP2008122037A (ja) 2006-11-15 2008-05-29 Denso Corp 給湯装置
JP2011112320A (ja) 2009-11-30 2011-06-09 Rinnai Corp ヒートポンプ式暖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2427B2 (ja) * 1999-06-28 2008-08-13 大阪瓦斯株式会社 切替弁付き継手
JP3984126B2 (ja) * 2002-08-30 2007-10-03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3928549B2 (ja) * 2002-11-28 2007-06-13 株式会社ノーリツ 複合熱源機
JP5171410B2 (ja) * 2008-06-11 2013-03-27 リンナイ株式会社 温水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131A (ja) * 2002-12-26 2004-07-22 Gastar Corp 分岐ヘッダー
JP2006284141A (ja) * 2005-04-04 2006-10-19 Tokyo Gas Co Ltd 暖房装置及び冷房装置
JP2008122037A (ja) 2006-11-15 2008-05-29 Denso Corp 給湯装置
JP2011112320A (ja) 2009-11-30 2011-06-09 Rinnai Corp ヒートポンプ式暖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137A (ko) 2013-10-21
JP6009797B2 (ja) 2016-10-19
JP2013217599A (ja)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4552B (zh) 供暖供给热水系统
CN105283718B (zh) 空调装置
KR200409887Y1 (ko) 고효율 히트펌프를 이용한 온수 발생장치
US8844517B2 (en) Solar hot water and recovery system
RU2018143500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плопереносом между локальной охлаждающей системой и локальной нагрев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AU2016253585B2 (en) Solar hot water and recovery system
KR20120056180A (ko) 지열 냉난방 장치
CN105605772A (zh) 一种热泵热水器
KR101460882B1 (ko) 난방 시스템
KR20190017559A (ko) 냉온수 제공 시스템
JP6016603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加熱ユニット
JP6111861B2 (ja) 貯湯給湯装置
US20140283540A1 (en) Heat pump water module with condensing coil in water storage tank
GB2533981A (en) Hybrid heat pump boiler system
JP5081787B2 (ja) 暖房装置
KR20140128695A (ko) 이원 냉동사이클 히트펌프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147973B1 (ko) 히트 펌프를 이용한 염색공정의 온수 공급시스템
KR102042218B1 (ko) 히트 펌프
CN205156337U (zh) 一种热泵热水器
KR101627659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JP6663740B2 (ja) 熱利用システム
KR101103272B1 (ko) 액체의 히팅시스템
JP2009109061A (ja) 暖房パネル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TWI765805B (zh) 可致冷、致熱的流體循環行動裝置
JP2015068577A (ja) 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給湯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