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620B1 -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620B1
KR101460620B1 KR20140083715A KR20140083715A KR101460620B1 KR 101460620 B1 KR101460620 B1 KR 101460620B1 KR 20140083715 A KR20140083715 A KR 20140083715A KR 20140083715 A KR20140083715 A KR 20140083715A KR 101460620 B1 KR101460620 B1 KR 10146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precast concrete
slab panel
rail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효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비엔
주식회사 팬트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비엔, 주식회사 팬트랙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60L5/39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from thir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제3궤조를 결합하기 위한 인서트 결합부를 미리 설치하여 시공효율성, 시공시간 단축, 구조적 안정성 및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근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너트형태로 이루어진 인서트 결합부를 용접을 통해 결합한 후 이를 몰드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인서트 결합부, 체결구가 결합하는 험프 및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재 주입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인서트 결합부에 제3궤조를 결합하는 제3궤조 결합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설계반영된 정확한 위치에 인서트 결합부를 형성하여 위치 선정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이고, 균열, 파손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제3궤조를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하는 작업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최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인서트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력, 허용인장응력 및 인발하중을 높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A third rail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construct 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제3궤조를 결합하기 위한 인서트 결합부를 미리 설치하여 시공효율성, 시공시간 단축, 구조적 안정성 및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 전철은 단거리 노선이면서 수송 수요가 집중되는 지역에 건설되어 운영되고, 10,000~20,000명/방향/시간의 최대 수송능력을 갖는 최첨단 궤도 교통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경량 전철은 기존의 도시 철도에 비해 차량과 인프라시스템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건설비의 절감효과가 크고, 무인운전 방식을 적용하여 운영비의 절감효과를 가지며, 또한 운전 간격의 단축을 통한 승객 서비스 향상, 급구배 및 급곡선 통과능력으로 인한 노선선정의 유연성 향상 및 환경친화성 향상 그리고 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정성 향상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차세대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상기 경량 전철은 건설 유형별로 분류하면 기존 중량 전철의 지선형 노선, 대도시와 인접도시의 연계형 노선, 공항 및 항만 등의 대규모시설 접근형 노선 또는 순환형 노선으로 분류된다. 또한, 차량 시스템 형식별로 분류하면 고무차륜형식 AGT시스템, 철제차륜형식 AGT 시스템, 선형유도모터(LIM) AGT 시스템, 중저속형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Monorail) 시스템, 재래식 전차를 개량한 저상형 노면전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량 전철은 주행 노선에 설치되는 주행 궤도 즉, 주행 레일과 그 주행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승객을 수송하는 차량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의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는 가선(일명; 급전레일)과 그 가선과 접촉된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어 가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에너지를 차량으로 공급하는 집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경량 전철에 주로 적용되는 집전수단은 제3 궤조 집전방식이다.
상기 제3 궤조 집전방식은 주행용 궤도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독립적인 급전선으로부터 제3 궤조 집전장치를 통해 수전하는 집전 방식으로, 고가궤도형 노선의 중·저속차량에 많이 적용되며 노선의 전체적인 외형이 단순하여 도심지의 미관에 적합한 방식이다. 또한, 급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집전에 있어서 환경적영향(눈, 비 등)이 거의 없으며 급전선이 반영구적이어서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제3궤조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930호(2013.03.18),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전동차량의 대차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연결 암을 구비하는 패들, 상기 패들의 일단에 결합면이 구비되고, 이러한 결합면상에 대응되어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의하여 상기 패들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집전 슈를 포함하는 형성된 것으로, 집전 슈의 마모시 패들로부터 집전 슈만 교체하여 경제적 잇점을 갖으며, 집전 슈의 유격변화가 발생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아크 및 손상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의 경우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층에 고정 설치시 기초층에 홀을 타공한 후 앵커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해 결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합부재의 형성작업은 기초층의 균열 및 파손의 주된 요인으로서, 특히, 이러한 균열 및 파손 부위를 통해 기초층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의 열화를 발생하는 인자들의 침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등록특허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위치 선정작업 이후 홀 타공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하여야할 양이 많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초 홀의 타공시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 재차 정확한 위치에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설계반영된 정확한 위치에 인서트 결합부를 형성하여 위치 선정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이고, 균열, 파손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제3궤조를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하는 작업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인서트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력, 허용인장응력 및 인발하중을 높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3궤조 형성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인서트 결합부 형성을 위한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후가공에 따른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시 제3궤조를 결합할 수 있는 인서트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 결합부의 허용인장응력 및 인발하중이 증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형성된 인서트 결합부에 제3궤조를 단순히 결합하는 작업만 실시하기 때문에 공기단축 및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인서트 결합부가 포함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3궤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직선 구간 또는 곡선 구간의 반경이 200m를 초과할 때에 제3궤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곡선 구간의 반경이 200m 이하일 때에 제3궤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프레임(11)과 험프(12) 및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재 주입구(13)를 포함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을 제작하는 단계와 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에 포함되어 있는 인서트 결합부(14)에 제3궤조(20)를 결합하는 단계를 통해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다수의 철근을 이용해 제작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프레임(11)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1)은 다수의 철근을 종방향, 횡방향,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하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철근의 결합은 통상의 용접을 통한 접합 또는 스틸 재질의 연결사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에는 인서트 결합부(14)를 용접을 통해 결합하도록 하며, 이러한, 인서트 결합부(14)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철근과의 결합을 위해 판형상의 브라켓(14a)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14a)에 하나 이상의 너트홈(14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결합부(14)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구성요소인 험프(12)와 험프(12) 사이에 형성하도록 하며, 설치를 해야할 예상구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 제작시 설계반영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 형성한다.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는 주지하다시피 철도 레일에 설치하여 레일(R)을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직선 구간뿐만 아니라 곡선 구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특히, 철도 차량은 2개소가 한조로 형성되어 있는 레일(R)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으로서, 곡선 구간 이동시 원심력에 의해 이탈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곡선 구간의 시공시에는 철도 차량이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외륜 방향, 다시 말해 바깥쪽 레일(R)의 높이를 안쪽 레일(R)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곡선 구간에 제3궤조(20)를 설치할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 제작시 곡선 구간의 반경에 따라 인서트 결합부(14)의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즉,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의 반경이 200m를 초과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안쪽 레일(R)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곡선 구간의 반경이 200m이하 이면 도 4에서와 같이 바깥쪽 레일(R) 방향에 형성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철도 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 결합부(14)가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11)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몰드에 배치하고, 이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를 철도 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작업위치에 배치하되, 작업위치의 기초층(도면에 미도시)과 일정 이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형성한 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에 형성된 충전재 주입구(13)에 충전재를 주입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런 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에 형성된 인서트 결합부(14)에 제3궤조(20)를 결합하며, 이때에, 결합은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궤조(20)는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험프(12)와 험프(12)에 형성된 너트홈을 포함한 인서트 결합부(14)에 결합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형성되어 있는 슈(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제작시 인서트 결합부(14)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3궤조(20)의 설치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에 이를 설치하기 위한 후가공, 즉, 앵커볼트를 형성하기 위한 홀을 타공하는 작업 및 제3궤조(20)를 배치하기 위해 현장에서의 측량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후가공 생략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하면서 열화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차단하게 된다.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 형성시 설계반영된 값에 따라 인서트 결합부(14) 위치를 미리 선정하기 때문에 매우 정확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인서트 결합부(14)는 프레임(11)을 구성하는 철근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력이 우수하고, 따라서, 허용인장응력 및 인발 하중이 높게 형성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11 : 프레임
12 : 험프
13 : 충전재 주입구
14 : 인서트 결합부
14a : 브라켓 14b : 너트홈
15 : 체결구
20 : 제3궤조
21 : 지지대 22 : 슈

Claims (3)

  1. 철근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너트형태로 이루어진 인서트 결합부를 용접을 통해 결합한 후 이를 몰드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인서트 결합부, 체결구가 결합하는 험프 및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재 주입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인서트 결합부에 제3궤조를 결합하는 제3궤조 결합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작단계에서 인서트 결합부의 위치는 다수의 험프 사이에 형성하되, 레일이 형성되는 위치 전에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궤조 결합단계에서의 제3궤조는 인서트 결합부에 결합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는 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KR20140083715A 2014-07-04 2014-07-04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KR10146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715A KR101460620B1 (ko) 2014-07-04 2014-07-04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715A KR101460620B1 (ko) 2014-07-04 2014-07-04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620B1 true KR101460620B1 (ko) 2014-11-14

Family

ID=5229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3715A KR101460620B1 (ko) 2014-07-04 2014-07-04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6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2Y1 (ko) 2005-06-21 2005-09-13 (주)핸스건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200434622Y1 (ko) 2006-09-29 2006-12-22 주식회사삼환까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KR200454997Y1 (ko) 2011-02-17 2011-08-09 오병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유닛과 중간 슬래브 유닛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
KR20130002422U (ko) * 2013-03-12 2013-04-23 김성우 파워레일 지지 브라켓 인서트 설치용 매립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2Y1 (ko) 2005-06-21 2005-09-13 (주)핸스건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200434622Y1 (ko) 2006-09-29 2006-12-22 주식회사삼환까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KR200454997Y1 (ko) 2011-02-17 2011-08-09 오병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유닛과 중간 슬래브 유닛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
KR20130002422U (ko) * 2013-03-12 2013-04-23 김성우 파워레일 지지 브라켓 인서트 설치용 매립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898B2 (ja) プレハブスラブ式防振軌道構造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4816732B (zh) 一种快速区间单洞双层车道地铁
US10017077B2 (en) Track support of an electric power system at ground level for land vehicles, rail comprising such a track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9914163B (zh) 一种预制板式的磁浮复合轨道结构及其施工方法
CN101372231B (zh) 地轨式索道设备牵引运输吊装方法
CN105626088A (zh) 丁字形暗挖隧道盾构机下井平移方法
JP2021535309A (ja) 磁気浮上式鉄道システム
JP2019502844A (ja) 斜角先端レール鉄道
CN102174790B (zh) 盾构施工用装配式轨枕及其施工方法
US20100307369A1 (en) Travelway structure for maglev transporta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60620B1 (ko)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제3궤조 시공방법
CN113322725A (zh) 常导短定子磁浮系统无缝线路轨道结构
CN203684060U (zh) 钢架便桥
KR101669437B1 (ko) 침목매립형 거더 및 그 시공방법
CN210481915U (zh) 一种预制板式的磁浮复合轨道结构
KR20160004710A (ko) Pc 박스용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이음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US20240301631A1 (en) Track support for a magnetic levitation railway
KR100881598B1 (ko) 선형유도전동기(lim) 차량을 위한 궤도 부설 방법
CN202989696U (zh) 一种磁悬浮列车用轨排的连结结构
CN104653222A (zh) 一种盾构区间隧道预制疏散平台
CN102304882A (zh) 城市轨道交通工程中线路轨道4.5号对称道岔
CN102561117A (zh) 双线隧道内无碴轨道施工的物流传送方法
KR102202616B1 (ko) 고무차륜 경전철용 주행로 색판 및 그 유지보수 방법
CN110965406B (zh) 一种中低速磁浮钢梁拼装轨道
CN110029539B (zh) 一种高速磁浮交通纵横梁式钢-混凝土组合结构轨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