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575B1 -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575B1
KR101459575B1 KR1020140101687A KR20140101687A KR101459575B1 KR 101459575 B1 KR101459575 B1 KR 101459575B1 KR 1020140101687 A KR1020140101687 A KR 1020140101687A KR 20140101687 A KR20140101687 A KR 20140101687A KR 101459575 B1 KR101459575 B1 KR 101459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joint
assembled
layer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이광옥
이태호
유수철
문춘수
김보은
박문수
김정엽
신현호
고승학
이형교
손창호
표경창
현성국
박주동
박종우
박선홍
박대진
정영균
김재근
이신형
장복덕
이상무
김경진
강형식
류기승
김익배
박현석
이승환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주)
에스케이건설(주)
삼표이앤씨(주)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주), 에스케이건설(주), 삼표이앤씨(주),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주)
Priority to KR102014010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주기둥을 선 시공한 상태에서 저층 구간과 고층 구간의 층간별 병행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복층 또는 다층 1절식 구조를 갖는 상,하부층 주기둥들은 각 층간마다 취사 선택된 철골합성보(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와의 접합 시공시 모듈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연결부의 조립성과 작업성(접합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철골브라켓과 강접보가 노출된 접합부에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이음 접합부의 미진동 방진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설치에 따른 선후 작업과 사후 처리(거푸집 가설재의 탈장착 생략)가 용이하고 기둥 구조체와의 일체화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clean room with concurrent execution structure using joint basket}
본 발명은 주기둥을 선 시공한 상태에서 저층 구간과 고층 구간의 층간별 병행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복층 또는 다층 1절식 구조를 갖는 상,하부층 주기둥들은 각 층간마다 취사 선택된 철골합성보(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와의 접합 시공시 모듈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연결부의 조립성과 작업성(접합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철골브라켓과 강접보가 노출된 접합부에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이음 접합부의 미진동 방진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설치에 따른 선후 작업과 사후 처리(거푸집 가설재의 탈장착 생략)가 용이하고 기둥 구조체와의 일체화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 복합화 공법이란 특허 제10-1036177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기둥, 보, 슬래브 등 주요 구조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를 공장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고, 부재 간의 접합부와 슬래브 상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체를 일체화하는 공법으로서, 각종 공공시설 및 클린룸과 같은 특수 시설(또는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공장에서 제작되는 콘크리트 중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콘크리트를 PS콘크리트 또는 PSC라 하고, 보통 콘크리트로 하는 것을 PC콘크리트 또는 PCC라 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통칭하여 PC(Precast Concrete)라 한다.
이러한 공법은 공장 제작 방식과 현장 시공 방식을 조합한 복합 시공법이고, 습식접합방식(Wet Joint System)에 의한 접합구조이며, 공장 제작, 현장 조립 시공에 의한 공업화 건축이란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므로 구조물의 품질이 좋고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를 조기에 완료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특히 인력 및 가설재 투입이 적어 재해 발생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축방법은 주기둥, 샛기둥 및 보를 설치 시공한 후에야 비로소 슬래브를 시공하기 때문에 복수층을 공사하는 경우에는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순차적인 적층시공을 이루게 되는 바, 공사기간은 층수가 증가할수록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시공방법 중 합성보가 적용되는 철골구조는 철골부재를 리벳, 볼트, 용접 등의 접합방식으로 조립한 구조방식으로, 시공 효율성이 좋고, 고층 건물 및 장스팬 건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설계 및 내부 평면구성이 자유롭고 증개축이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장점 때문에 철골구조는 중층 이상의 건물에 많이 적용된다.
이에, 도 18은 철골구조에서 철골보(Beam)에 의한 합성보와 그 합성보에 대한 모멘트를 도시한다.
이때, 도 18(a)에서와 같이 합성보는 철골보와 콘크리트슬래브를 일체화하여 완성한다. 이러한 합성보는 도 18(b)에서와 같이 중앙부에서 가장 큰 휨(모멘트)이 발생하므로, 이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휨을 기준으로 콘크리트슬래브가 압축력에 저항하고 철골보가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도 18(a)의 합성보는 압축에 강한 콘크리트와 인장에 유리한 철골보가 스터드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철골보의 휨에 의한 압축저항을 콘크리트슬래브가 분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18(a)의 합성보는 경제적인 철골부재의 설계가 가능한 구조시스템이 된다.
또한, 도 19는 연속한 철골거더와 기둥의 접합부와 그 접합부에 대한 모멘트도를 도시한다.
이때, 기둥에 접합되는 철골거더에는 단부 모멘트(휨)가 발생하는데, 이에 따라 철골거더의 단부에서는 철골거더의 상부가 인장되면서 하부가 압축을 받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철골거더의 단부를 통상 부모멘트 구간이라고 한다.
이러한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도 18(a)에서와 같은 철골보의 거동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에 인장력이 작용하는데, 콘크리트가 인장력에 취약하기 때문에 부모멘트 구간에서 콘크리트슬래브는 부재의 내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철골보와 철골거더를 구조 설계함에 있어, 철골보(단순보)는 콘크리트슬래브의 합성력을 감안하여 설계했지만 철골거더는 콘크리트슬래브와의 합성력을 배제하고 철골거더 자체로 설계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골거더의 설계방식은 비효율적인 설계방식으로서, 정모멘트보다 부모멘트가 큰 경우라면 철골거더는 부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부재를 기준으로 설계해야 하는데, 이러한 설계는 정모멘트 구간에서는 과다설계된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
따라서, 위와 같이 철골거더의 비효율적인 설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0와 같은 방식이 제안되었다.
즉, 정모멘트보다 부모멘트의 절대값이 큰 경우에는 전체 철골거더를 정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 설계하는 한편, 철골거더의 단부를 하부에 역T형강을 덧붙여 보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부에서 철골거더의 춤이 지나치게 커져 시각적인 문제점이 크며, 또한 플랜지 접합작업이 복잡한 문제 등이 발생된다.
이에, 종래에는 철골거더와 기둥의 연결부에 접합용 거푸집을 시설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모멘트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접합 시공시에는 필연적으로 거푸집이 가설재 형태로서 시공 전후에 탈장착되도록 하는 바, 이는 결국 작업성이 저하되고 인건비와 부자재 사용에 따른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며, 공기가 지연되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상,하부 층간별 병행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 복층 또는 다층 1절식 구조를 갖는 상,하부층 주기둥들은 각 층간마다 취사 선택된 철골합성보(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와의 접합 시공시 모듈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연결부의 조립성과 작업성(접합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철골브라켓과 강접보가 노출된 접합부에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이음 접합부의 미진동 방진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설치에 따른 선후 작업과 사후 처리(거푸집 가설재의 탈장착 생략)가 용이하고 기둥 구조체와의 일체화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 매트(10)로부터 조립된 복층 1절식 하부층 주기둥(100)들의 상단부에 기준층 중간 플로워(20)가 형성되면서 하층 FAB(Z-1)의 외곽 골조가 이루어지면, 상기 플로워(20)의 상면을 기준으로 복층 1절식 상부층 주기둥(200)들이 조립 시공되면서 상층 FAB(Z-2)의 외곽 골조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후 분할 구획된 하층 FAB(Z-1)과 상층 FAB(Z-2)에는 기초 매트(10) 및 플로워(20)로부터 업-업(UP-UP) 공법으로 조립되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데크 슬래브(500)가 취사 선택되면서 상,하부층 주기둥의 각층 간 접합부(J)를 기준 삼아 지정된 층고를 이루며 설정된 해당 층을 병행 시공하도록 하는 클린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및 상부층 주기둥(100,200)은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으로서, 내입된 형강체(120,220)와 보 안장쇠(130,230)를 기준으로 교차 배열된 강접보(110,210)가 상기 형강체(120,220)와 간섭없이 비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뒤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면 강접보(110,210)의 단부가 철골합성보(400)와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스팬(경간)을 연결하는 피씨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접합용 철골브라켓(420)이 형성되어 상기 강접보(110,210)의 단부와 맞닿으면 별도의 플레이트판(430)을 이음부 면상에 덧댄 후 볼팅 결합한 뒤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확보하도록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하되, 상기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철골브라켓(420)과 강접보(140,240)가 노출된 접합부(J)에는 일측이 철골합성보의 피씨체(4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하부층 주기둥(200,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700)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J)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로 합성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 바스켓(700)은 일 실시예로서, 상부와 길이방향 전후부가 개구된 함체로서, 내부에 공간부(710)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측판(720)과 하판(730)이 '∪'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측판(720)과 하판(73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관통 결합되어 피씨체(41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통공(74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740)과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된 붙임판(750)이 형성되어 상,하부층 기둥의 외주면과 접합되면 결합공(760)에 조립볼트가 볼팅되면서 접합부(J)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바스켓(700)은 다른 실시예로서, 측판(720)의 내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더(7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더(721)는 기 성형된 피씨체(410)의 요홈식 레일(411)에 수납되어 양중 또는 강접보와 조립 시에는 붙임판(750)이 피씨체(10)의 단부와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뒤로 밀려 있다가 철골브라켓(420)과 강접보(140,2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하부층 주기둥(200,100)의 외주면을 향해 붙임판(750)이 맞닿도록 이동된 후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적인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서, 하층 FAB(Z-1)과 상층 FAB(Z-2) 내에서 설정된 해당 층에 따라 취사선택된 보가 시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층 FAB(Z-1)은 하부층 주기둥(100)이 3개층 1절식 기둥을 이루도록 하되, 기초 매트로부터 기립된 최상단 접합부(J-1)에 대하여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어 기준층 중간 플로워(20)를 겸한 5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이후, 기초 매트로부터 상향인 최초 1개층의 접합부(J-2)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HRC복합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2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되며, 이후, 2개층 높이의 접합부(J-3)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HRC복합보가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HRC복합보는 CPS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공조용 환기를 위한 그리드(grid)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3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층 FAB(Z-2)은 상부층 주기둥(200)이 2개층 1절식 기둥을 이루도록 하되, 플로워(20)로부터 기립된 최초 접합부(J-4)에 대하여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어 기준층 중간 플로워(20)를 겸한 7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이후, 상부층 주기둥(200)의 최상단측 접합부(J-5)에는 철골합성보(400) 중 TSC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8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CPS보와 MPS보가 선택되어 3층 바닥 및 7층 바닥에 시공됨에 있어서, 상기 MPS보는 피씨몸체(8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스틸판(821)을 갖는 골조빔(820)이 형성되고, 스틸판(821)의 면상에는 텐던(822:Tendon)가 형성되어 상,하부층 주기둥의 4면을 연결하는 CPS보 내에서 스팬(경간) 가로지르며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텐던(822:Tendon)은 CPS보의 상면에 형성된 철골빔(900)의 브라켓 패널(910)과 서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는 일측면에 관통 결합형 인서트가 내부에 매입되어 철골빔의 접합면(920)과 접합 결합시 접합면(920)으로부터 관통 결합된 고정볼트가 나사 체결되면서 일체로 조립되는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층 FAB(Z-2)은 8층 바닥 상면에 상부층 주기둥(200)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2층 1절식 피씨 기둥(30)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피씨 기둥의 중간 접합부(J-6)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HRC복합보가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HRC복합보는 CPS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공조용 환기를 위한 그리드(grid)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9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층 FAB(Z-2)은 피씨 기둥(30)의 최상측 접합부(J-7)에 루프 트러스(Roof Truss)가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기둥을 선 시공한 상태에서 저층 구간과 고층 구간의 층간별 병행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복층 또는 다층 1절식 구조를 갖는 상,하부층 주기둥들은 각 층간마다 취사 선택된 철골합성보(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와의 접합 시공시 모듈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연결부의 조립성과 작업성(접합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골브라켓과 강접보가 노출된 접합부에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함으로써, 이음 접합부의 미진동 방진성이 크게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전 대비 접합부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하여 선후 작업과 사후 처리(거푸집 가설재의 탈장착 생략)가 용이하고 기둥 구조체와의 일체화가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클린룸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층 주기둥과 철골합성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바스켓의 일 예시도,
도 5는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합성보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 FAB의 외곽 골조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 FAB과 상부 FAB의 병행시공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종래의 철골구조에서 철골보(Beam)에 의한 합성보와 그 합성보에 대한 모멘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종래의 연속한 철골거더와 기둥의 접합부와 그 접합부에 대한 모멘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20은 종래의 철골거더의 비효율적인 설계방식으로서, 철골거더의 하부에 역T형강을 덧붙여 보강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은 클린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팹(FAB)은 Fabrication facility의 준말로 실리콘웨이퍼 제조 공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팹(FAB)은 대체로 개별시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반도체 생산을 위한 팹(FAB)은 먼지와 소음, 자장 등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매트(10)로부터 조립된 복층 1절식 하부층 주기둥(100)들의 상단부에 기준층 중간 플로워(20)가 형성되면서 하층 FAB(Z-1)의 외곽 골조가 이루어지면, 상기 플로워(20)의 상면을 기준으로 복층 1절식 상부층 주기둥(200)들이 조립 시공되면서 상층 FAB(Z-2)의 외곽 골조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후 분할 구획된 하층 FAB(Z-1)과 상층 FAB(Z-2)에는 기초 매트(10) 및 플로워(20)로부터 업-업(UP-UP) 공법으로 조립되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데크 슬래브(500)가 취사 선택되면서 상,하부층 주기둥의 각층 간 접합부(J)를 기준 삼아 지정된 층고를 이루며 설정된 해당 층을 병행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층 및 상부층 주기둥(100,2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으로서, 내입된 형강체(120,220)와 보 안장쇠(130,230)를 기준으로 교차 배열된 강접보(110,210)가 상기 형강체(120,220)와 간섭없이 비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뒤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면 강접보(110,210)의 단부가 철골합성보(400)와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스팬(경간)을 연결하는 피씨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접합용 철골브라켓(420)이 형성되어 상기 강접보(110,210)의 단부와 맞닿으면 별도의 플레이트판(430)을 이음부 면상에 덧댄 후 볼팅 결합한 뒤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확보하도록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철골브라켓(420)과 강접보(140,240)가 노출된 접합부(J)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철골합성보의 피씨체(4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하부층 주기둥(200,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700)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J)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로 합성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 바스켓(700)은 일 실시예로서, 상부와 길이방향 전후부가 개구된 함체로서, 내부에 공간부(710)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측판(720)과 하판(730)이 '∪'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측판(720)과 하판(73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관통 결합되어 피씨체(41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통공(74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740)과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된 붙임판(750)이 형성되어 상,하부층 기둥의 외주면과 접합되면 결합공(760)에 조립볼트가 볼팅되면서 접합부(J)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바스켓(700)은 다른 실시예로서, 측판(720)의 내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더(7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더(721)는 기 성형된 피씨체(410)의 요홈식 레일(411)에 수납되어 양중 또는 강접보와 조립 시에는 붙임판(750)이 피씨체(10)의 단부와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뒤로 밀려 있다가 철골브라켓(420)과 강접보(140,2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하부층 주기둥(200,100)의 외주면을 향해 붙임판(750)이 맞닿도록 이동된 후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부에 대한 골조 비노출식 콘크리트 합성은 미진동을 억제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는 철(凸)부 형태로 돌출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측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운반시에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피씨체의 단부 뒤로 밀려 있다가 조립시에는 앞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붙임판이 상,하부층 주기둥 외주면과 접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 바스켓은 접합부에 채워진 콘크리트가 양생 완료되면 탈거(분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인트 바스켓은 철골합성보와 주기둥의 접합부 사이에서 조립,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으나, 미관개선 등을 위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를 탈거(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적인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서, 하층 FAB(Z-1)과 상층 FAB(Z-2) 내에서 설정된 해당 층에 따라 취사선택된 보가 시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MPS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양단부에 기둥과의 연결을 위한 매립형 철물을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MPS보는 프리스트레싱 적용으로 장스팬에 적합하고, 기둥과의 연결성이 좋으며, 진동 및 처짐 제어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공장제작으로 표준화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RC에 비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CPS보는 길이방향으로 H 형강과 같은 철골을 배치하고 상기 철골의 양단부에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CPS보는 기둥과의 연결성이 좋고, 중앙부가 철골구조로 되기 때문에 자중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TSC보는 높이 제한이 있어도 충분한 천장고와 층수를 확보할 수 있고, 긴 스판의 넓은 대공간을 실현할 수 있으며, 무 내화 피복에 의한 작업 환경의 향상과 프리캐스트화에 의한 짧은 공사 기간 등 시공면에서도 장점을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HRC복합보는 철골 콘크리트보의 대명사로서, 공기를 단축하면서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하층 FAB(Z-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 주기둥(100)이 3개층 1절식 기둥을 이루도록 하되, 기초 매트로부터 기립된 최상단 접합부(J-1)에 대하여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어 기준층 중간 플로워(20)를 겸한 5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후, 기초 매트로부터 상향인 최초 1개층의 접합부(J-2)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HRC복합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2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후, 2개층 높이의 접합부(J-3)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HRC복합보가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HRC복합보는 CPS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공조용 환기를 위한 그리드(grid)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3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층 FAB(Z-2)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 주기둥(200)이 2개층 1절식 기둥을 이루도록 하되, 플로워(20)로부터 기립된 최초 접합부(J-4)에 대하여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어 기준층 중간 플로워(20)를 겸한 7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후, 상부층 주기둥(200)의 최상단측 접합부(J-5)에는 철골합성보(400) 중 TSC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8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S보와 MPS보가 선택되어 3층 바닥 및 7층 바닥에 시공됨에 있어서, 상기 MPS보는 피씨몸체(8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스틸판(821)을 갖는 골조빔(820)이 형성되고, 스틸판(821)의 면상에는 텐던(822:Tendon)가 형성되어 상,하부층 주기둥의 4면을 연결하는 CPS보 내에서 스팬(경간) 가로지르며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텐던(822:Tendon)은 CPS보의 상면에 형성된 철골빔(900)의 브라켓 패널(910)과 서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는 일측면에 관통 결합형 인서트가 내부에 매입되어 철골빔의 접합면(920)과 접합 결합시 접합면(920)으로부터 관통 결합된 고정볼트가 나사 체결되면서 일체로 조립되는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층 FAB(Z-2)은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층 바닥 상면에 상부층 주기둥(200)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2층 1절식 피씨 기둥(30)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피씨 기둥의 중간 접합부(J-6)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HRC복합보가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HRC복합보는 CPS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공조용 환기를 위한 그리드(grid)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9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층 FAB(Z-2)은 피씨 기둥(30)의 최상측 접합부(J-7)에 루프 트러스(Roof Truss)가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기초 매트 20 ... 플로워
30 ... 피씨 기둥
100,200 ... 주기둥 110,210 ... 강접보
300 ... 포스트 기둥 400 ... 철골합성보
500 ... 데크 슬래브 700 ... 조인트 바스켓
Z-1 ... 하층 FAB Z-2 ... 상층 FAB
J ... 접합부

Claims (10)

  1. 기초 매트(10)로부터 조립된 복층 1절식 하부층 주기둥(100)들의 상단부에 기준층 중간 플로워(20)가 형성되면서 하층 FAB(Z-1)의 외곽 골조가 이루어지면, 상기 플로워(20)의 상면을 기준으로 복층 1절식 상부층 주기둥(200)들이 조립 시공되면서 상층 FAB(Z-2)의 외곽 골조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후 분할 구획된 하층 FAB(Z-1)과 상층 FAB(Z-2)에는 기초 매트(10) 및 플로워(20)로부터 업-업(UP-UP) 공법으로 조립되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데크 슬래브(500)가 취사 선택되면서 상,하부층 주기둥의 각층 간 접합부(J)를 기준 삼아 지정된 층고를 이루며 설정된 해당 층을 병행 시공하도록 하는 클린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 및 상부층 주기둥(100,200)은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으로서, 내입된 형강체(120,220)와 보 안장쇠(130,230)를 기준으로 교차 배열된 강접보(110,210)가 상기 형강체(120,220)와 간섭없이 비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뒤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면 강접보(110,210)의 단부가 철골합성보(400)와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스팬(경간)을 연결하는 피씨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접합용 철골브라켓(420)이 형성되어 상기 강접보(110,210)의 단부와 맞닿으면 별도의 플레이트판(430)을 이음부 면상에 덧댄 후 볼팅 결합한 뒤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확보하도록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하되,
    상기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철골브라켓(420)과 강접보(140,240)가 노출된 접합부(J)에는 일측이 철골합성보의 피씨체(410)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하부층 주기둥(200,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바스켓(700)이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통해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면 접합부(J) 내의 골조들이 내입된 상태로 합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스켓(700)은
    상부와 길이방향 전후부가 개구된 함체로서, 내부에 공간부(710)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측판(720)과 하판(730)이 '∪'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측판(720)과 하판(73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볼트가 관통 결합되어 피씨체(41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통공(74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740)과 대향되는 타측 단부에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된 붙임판(750)이 형성되어 상,하부층 기둥의 외주면과 접합되면 결합공(760)에 조립볼트가 볼팅되면서 접합부(J)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바스켓(700)은
    측판(720)의 내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더(721)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더(721)는 기 성형된 피씨체(410)의 요홈식 레일(411)에 수납되어 양중 또는 강접보와 조립 시에는 붙임판(750)이 피씨체(10)의 단부와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뒤로 밀려 있다가 철골브라켓(420)과 강접보(140,2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하부층 주기둥(200,100)의 외주면을 향해 붙임판(750)이 맞닿도록 이동된 후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CPS보, MPS보, TSC보, HRC복합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적인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서, 하층 FAB(Z-1)과 상층 FAB(Z-2) 내에서 설정된 해당 층에 따라 취사선택된 보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FAB(Z-1)은
    하부층 주기둥(100)이 3개층 1절식 기둥을 이루도록 하되, 기초 매트로부터 기립된 최상단 접합부(J-1)에 대하여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어 기준층 중간 플로워(20)를 겸한 5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이후, 기초 매트로부터 상향인 최초 1개층의 접합부(J-2)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HRC복합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2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되며,
    이후, 2개층 높이의 접합부(J-3)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HRC복합보가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HRC복합보는 CPS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공조용 환기를 위한 그리드(grid)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3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FAB(Z-2)은
    상부층 주기둥(200)이 2개층 1절식 기둥을 이루도록 하되,
    플로워(20)로부터 기립된 최초 접합부(J-4)에 대하여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MPS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어 기준층 중간 플로워(20)를 겸한 7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형성되고,
    이후, 상부층 주기둥(200)의 최상단측 접합부(J-5)에는 철골합성보(400) 중 TSC보가 조립되면 데크 슬래브(500)가 안착된 뒤 현장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8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합성보(400)는
    CPS보와 MPS보가 선택되어 3층 바닥 및 7층 바닥에 시공됨에 있어서,
    상기 MPS보는 피씨몸체(8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스틸판(821)을 갖는 골조빔(820)이 형성되고, 스틸판(821)의 면상에는 텐던(822:Tendon)가 형성되어 상,하부층 주기둥의 4면을 연결하는 CPS보 내에서 스팬(경간) 가로지르며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텐던(822:Tendon)은 CPS보의 상면에 형성된 철골빔(900)의 브라켓 패널(910)과 서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는
    일측면에 관통 결합형 인서트가 내부에 매입되어 철골빔의 접합면(920)과 접합 결합시 접합면(920)으로부터 관통 결합된 고정볼트가 나사 체결되면서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FAB(Z-2)은
    8층 바닥 상면에 상부층 주기둥(200)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2층 1절식 피씨 기둥(30)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피씨 기둥의 중간 접합부(J-6)에는 포스트 기둥(300)과 철골합성보(400) 중 CPS보와 HRC복합보가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HRC복합보는 CPS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공조용 환기를 위한 그리드(grid)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9층 바닥을 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FAB(Z-2)은
    피씨 기둥(30)의 최상측 접합부(J-7)에 루프 트러스(Roof Truss)가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140101687A 2014-08-07 2014-08-07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145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87A KR101459575B1 (ko) 2014-08-07 2014-08-07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87A KR101459575B1 (ko) 2014-08-07 2014-08-07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575B1 true KR101459575B1 (ko) 2014-11-07

Family

ID=5228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87A KR101459575B1 (ko) 2014-08-07 2014-08-07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5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48B1 (ko) * 2015-04-21 2016-09-22 (주)센벡스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KR102077751B1 (ko) 2019-06-14 2020-02-14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철골 조립기둥과 장스팬 철골 거더의 접합구조
CN113216379A (zh) * 2021-05-25 2021-08-06 宜宾学院 一种玄武岩纤维混凝土型钢结构
CN114348198A (zh) * 2022-01-13 2022-04-15 东北石油大学 装配式frp混凝土组合牵索塔式小位移平台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05Y1 (ko) * 2003-04-11 2003-07-22 삼성물산 주식회사 층 공간부에서 연결되는 기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둥의 연결구조
KR20060098218A (ko) * 2005-03-11 2006-09-18 삼성물산 주식회사 복층건축물에서 상하층 골조의 병행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복층구조의 클린룸 건축물 골조의 시공방법
KR101357280B1 (ko) * 2012-12-28 2014-01-28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여러 층의 동시 시공이 가능한 다층1절 피씨 기둥과 이를 이용한 피씨 복합화 공법
KR20140061031A (ko) * 2012-11-13 2014-05-21 이석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05Y1 (ko) * 2003-04-11 2003-07-22 삼성물산 주식회사 층 공간부에서 연결되는 기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둥의 연결구조
KR20060098218A (ko) * 2005-03-11 2006-09-18 삼성물산 주식회사 복층건축물에서 상하층 골조의 병행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복층구조의 클린룸 건축물 골조의 시공방법
KR20140061031A (ko) * 2012-11-13 2014-05-21 이석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357280B1 (ko) * 2012-12-28 2014-01-28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여러 층의 동시 시공이 가능한 다층1절 피씨 기둥과 이를 이용한 피씨 복합화 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48B1 (ko) * 2015-04-21 2016-09-22 (주)센벡스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WO2016171374A1 (ko) * 2015-04-21 2016-10-27 (주)센벡스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KR102077751B1 (ko) 2019-06-14 2020-02-14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철골 조립기둥과 장스팬 철골 거더의 접합구조
CN113216379A (zh) * 2021-05-25 2021-08-06 宜宾学院 一种玄武岩纤维混凝土型钢结构
CN114348198A (zh) * 2022-01-13 2022-04-15 东北石油大学 装配式frp混凝土组合牵索塔式小位移平台及其施工方法
CN114348198B (zh) * 2022-01-13 2024-04-05 东北石油大学 装配式frp混凝土组合牵索塔式小位移平台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8056A1 (en) Sequence for constru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components
US10920414B2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KR10119417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80115738A (ko) 적층 구조용 강 벽 트러스를 사용한 다층 건물의 건설 방법
KR101459575B1 (ko)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JP4247496B2 (ja) 耐震補強構造
KR101565356B1 (ko) 건식 적층 공법이 가능한 내화 브라켓 접합부를 갖는 pc보 시스템
KR100855547B1 (ko)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 연결 구조
JP6245890B2 (ja) 建物
JP2011122391A (ja) 多層建物
JP2005240358A (ja) ユニット式建物
JP4423640B2 (ja) 建物の構造
JP4949116B2 (ja) 壁ユニットおよび耐震壁
RU2441965C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каркасно-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тивной системы из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а
KR101571847B1 (ko)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KR100633471B1 (ko) 복층건축물에서 상하층 골조의 병행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복층구조의 클린룸 건축물 골조의 시공방법
JP3849447B2 (ja) 高層建物の軸組構造
KR101171061B1 (ko) 기둥의 수직결합이 용이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JP4520242B2 (ja) 集合住宅の架構構造
KR2016001784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KR20220096819A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을 위한 모듈러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247482B2 (ja) 床の構造
WO2022244290A1 (ja) 部屋ユニット、建物及び建物の構築方法
KR101387232B1 (ko) 건축용 모멘트 골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