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42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42A
KR20160017842A KR1020140101116A KR20140101116A KR20160017842A KR 20160017842 A KR20160017842 A KR 20160017842A KR 1020140101116 A KR1020140101116 A KR 1020140101116A KR 20140101116 A KR20140101116 A KR 20140101116A KR 20160017842 A KR20160017842 A KR 20160017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in
cabin unit
fram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갑
김용남
이민형
전진수
최우일
김태훈
이상영
정현출
김성철
박민구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타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타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842A/ko
Publication of KR2016001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04B5/043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having elongated hollow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로 2층 이상의 골조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골조 내부에 상기 캐빈유닛을 삽입(Infill)하는 제2단계; 상기 캐빈유닛을 배치한 후, 상기 골조에 접속하는 제3단계; 및,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1층 슬래브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1층 슬래브 위에 상기 캐빈유닛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Stack) 및 설치하는 제2´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1층 골조를 완성하는 동시에 2층 바닥슬래브를 완성하는 제3´단계; 상기 2층 바닥슬래브 위에 캐빈유닛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 및 설치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계획 층까지 반복한 후,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골조공사와 상기 캐빈유닛의 적치 및 설치공사가 한 개 층씩 동시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The complex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frame and room type cavin uni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형강 및 판넬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제작된 캐빈유닛을 현장에 반입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형성된 골조 내부에 설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은 시공현장에서 벽체, 슬래브 등의 골조를 시공한 후 창호 등을 설치하고 내외장을 마감하는 방법으로 완성된다. 현장작업량이 많아질수록 품질확보과 공사기간에서 불리해지므로, 최근에는 공장 제작된 각종 부재를 이용하여 현장작업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공업화 건축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공업화 건축방식 중의 하나로 플러그인 건축방식이 있다.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골조를 시공한 후 골조 내부에 3차원으로 조립된 내장구성재를 삽입하여 완성하는 건축방식이다. 이와 같은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공장생산된 3차원의 내장구성재를 현장에서 접속하는 과정만으로 신속하게 건물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숙사, 원룸형 아파트, 소형 오피스텔, 병원 등과 같이 직사각 소형 평면이 반복 배치되도록 계획된 공동주택 시공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골조는 그대로 두면서 3차원의 내장구성재를 교체하기만 하면 건물의 용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리모델링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플러그인 건축방식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니트 모델이 제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특허로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등록특허 제10-1151384호("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선행특허는 플러그인 건축방식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니트 모델을 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골조 내부에 설치되는 단위공간채에 관한 기술과 이러한 단위공간채를 이용하여 단순히 공동주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재만 되었을 뿐, 최적화된 골조와 함께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 및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품질 및 내구성이 확보되고 고층 구현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캐빈유닛이 모두 공장에서 생산되고 현장에서는 이를 이용해 단순 조립만 하면 되기에 시공성이 향상되고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상 특징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로 2층 이상의 골조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골조 내부에 상기 캐빈유닛을 삽입(Infill)하는 제2단계; 상기 캐빈유닛을 배치한 후, 상기 골조에 접속하는 제3단계; 및,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1층 슬래브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1층 슬래브 위에 상기 캐빈유닛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Stack) 및 설치하는 제2´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1층 골조를 완성하는 동시에 2층 바닥슬래브를 완성하는 제3´단계; 상기 2층 바닥슬래브 위에 캐빈유닛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 및 설치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계획 층까지 반복한 후,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골조공사와 상기 캐빈유닛의 적치 및 설치공사가 한 개 층씩 동시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골조와 마감공사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을 이용하여 실시하기에 현장에서는 단순 조립만 하면 건축물이 완성되며, 이로 인하여 품질이 확보되고 인건비 및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공정을 간소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중 슬래브가 부분PC화(Half-PC)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로 구성됨으로써 서포트(Support)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사기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재의 규격화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시설물이 노후된 경우에 즉시 해체하여 자원재활용이 가능하며, 조립식으로 시공되어 콘크리트판, 거푸집 및 각종 장비 등이 난립하는 공사현장과 달리 소음, 매연 등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벽식구조는 물론 라멘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라멘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벽면, 천장은 물론 현장 여건에 따라 바닥까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비내력벽과 마감을 캐빈유닛으로 대체할 수 있기에 현장에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단축, 소음 및 비산먼지 방지, 안전사고예방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과정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부분PC화 중공슬래브가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과정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부분PC화 중공슬래브가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5(a)와 (b)는 본 발명의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의 현장사진이다.
본 발명은 골조(200)를 형성하는 구조체 공사는 건식공법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를 이용하고, 내부 마감공사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Cavin Unit, 100)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골조(200)를 선 시공하고 완성된 골조(200)의 층간 슬래브 사이에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캐빈유닛(100)을 양중하여 삽입하는 시공방법과 각 층의 골조(200)공사를 수행하는 동시에 캐빈유닛(100)을 적층하는 시공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캐빈유닛(100)은 형강, 판넬 등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한 단위객실으로서, 간막이 벽, 천장 및 실내주거 필수 기능을 갖춘 공간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과정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가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로 2층 이상의 골조(200)를 완성하는 제1단계; 제1단계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골조(200) 내부에 캐빈유닛(100)을 삽입(Infill)하는 제2단계; 캐빈유닛(100)을 배치한 후, 골조(200)에 접속하는 제3단계; 및,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기둥, 보(220), 슬래브를 조립하여 골조(200)를 완성하는 제1단계를 보여준다. 즉 제1단계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여 라멘 또는 벽식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골격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여 골조(200)를 완성하면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양생기간과는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기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단계의 골조(200) 중 슬래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슬래브로 구성될 수 있는데, 내부의 중공으로 인하여 경량화되며 장스팬의 구조물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슬래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현장에서 토핑콘크리트(Topping Concrete, 280) 타설이 필요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현장에서 토핑콘크리트(280)를 타설하여 완성됨으로써 구조적일체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아울러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내부에 PC강연선이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prestress)가 도입될 수 있는데, 이는 장경간에 보다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받치는 서포트(support, 일명 동바리)가 이용되지 않고 양단이 보(220)에 얹혀지는 것만으로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포트의 설치 및 해체로 인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층간 슬래브 사이에 서포트가 존재하지 않기에 골조(200)를 다층의 높이로 완성해가는 과정과 완성된 층의 골조(200) 내부에 캐빈유닛(100)을 삽입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는 캐빈유닛(100)을 완성된 골조(200)로 형성된 층간 슬래브 사이에 삽입하는 제2단계를 보여준다. 이때 캐빈유닛(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300)에 캐빈유닛(100)을 적치한 후,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해당 층의 완성된 골조(200)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c)는 슬래브 위로 삽입된 캐빈유닛(100)을 계획된 위치에 배치한 후, 완성된 골조(200)에 위치 고정하는 제3단계를 보여준다. 이때 캐빈유닛(100)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300)에 적치된 상태로 슬래브 위에 삽입되는데, 케이지(300) 하부에 결합된 롤러와 같은 구름수단(320)을 이용하면 원하는 위치에 쉽게 배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획된 위치에 캐빈유닛(100)이 배치된 후에, 설비를 위한 배관 및 외장 등을 시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4단계가 진행됨으로써 건축물이 완성된다.
도 3(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과정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가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1층 슬래브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1층 슬래브 위에 상기 캐빈유닛(100)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Stack) 및 설치하는 제2´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1층 골조(200)를 완성하는 동시에 2층 바닥슬래브를 완성하는 제3´단계; 상기 2층 바닥슬래브 위에 캐빈유닛(100)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 및 설치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계획 층까지 반복한 후,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골조(200)공사와 상기 캐빈유닛(100)의 적치 및 설치공사가 한 개 층씩 동시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3(a)는 완성된 1층 바닥슬래브 위로 공장에서 제작된 캐빈유닛(100)을 크레인(400)으로 양중한 후 해당 위치에 적치 및 설치하는 제1´,2´단계의 과정을 나타낸다.
제1´단계에서 1층 바닥슬래브는 지하층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층의 바닥슬래브와 동일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시공될 수 있고, 지하층이 없는 경우에는 건축물에 작용하는 전체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기초판으로도 기능해야 함으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는 1층 슬래브 위로 일정 간격마다 측면벽체(240)를 더 설치하고,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설치된 측면벽체(240) 사이 사이에 캐빈유닛(100)을 적치 및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벽체(240)는 외벽을 이루거나, 캐빈유닛(100)이 삽입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단계는 완성된 1층 바닥슬래브 위로 현장에 반입된 캐빈유닛(100)을 올려놓고 설치하는 단계로, 1층 바닥슬래브 위에 내측 측면벽체(240)가 설치되어 있다면 캐빈유닛(100)을 그 사이 사이에 배치하면 된다.
이어 도 3(b)는 2층 바닥슬래브를 시공한 후, 그 위로 캐빈유닛(100)을 설치하는 제3´,4´단계의 과정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제3´단계는 1층에 캐빈유닛(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그 위로 벽체를 이용하여 2층 바닥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이고, 제4´단계는 상술한 제2´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캐빈유닛(100)을 2층 바닥슬래브 위에 적치 및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2층 이상의 바닥슬래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현장에서 토핑콘크리트(Topping Concrete, 280) 타설이 필요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하부를 받치는 서포트가 이용되지 않고 양단이 마주보는 측면벽체(240)에 얹혀지는 것만으로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서포트의 설치 및 해체로 인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내부에 PC강연선이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장스팬의 구조물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는 2층 바닥슬래브 위로 캐빈유닛(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3층 바닥슬래브(2층 천장슬래브)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을 계획된 층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여 제5´단계가 완료된다.
도 5(a)와 (b)는 본 발명의 단위객실의 캐빈유닛(100)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캐빈유닛(100)은 두 개 이상의 단위객실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어 현장에 반입된 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선 시공된 골조(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a)에서는 생활실과 화장실이 일체형으로 결합한 캐빈유닛(100)을 나타내고, 도 5(b)는 생활실과 생활실이 결합한 캐빈유닛(100)을 나타낸다. 물론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캐빈유닛(100)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室)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 구조도 탄력적으로 변화를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캐빈유닛(100)이 아닌 두 개 이상이 결합된 캐빈유닛(100)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마감공사를 보다 조기에 마칠 수 있으며, 거주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의 현장사진이다.
본 발명은 라멘구조는 물론 벽식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캐빈유닛(100)의 삽입(Infill)방식과 적치(Stack)방식을 선택하면 된다. 물론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골조(200)를 선 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로 골조(200)를 완성해가는 동시에 공장에서 제작되어 운반된 다수 개의 캐빈유닛(100)을 하부에 완성된 골조(200)의 층간 슬래브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는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모듈화된 골조(200)공사와 캐빈유닛(100)을 이용한 마감공사가 한 개 층씩 동시에 시공되므로 고품질의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캐빈유닛
200: 골조
220: 보
240: 측면벽체
260: 부분PC화 중공슬래브
280: 토핑콘크리트
300: 케이지
320: 구름수단
400: 크레인

Claims (11)

  1.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로 2층 이상의 골조(200)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골조(200) 내부에 상기 캐빈유닛(100)을 삽입(Infill)하는 제2단계;
    상기 캐빈유닛(100)을 배치한 후, 상기 골조(200)에 접속하는 제3단계; 및,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2.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단위객실 형태의 캐빈유닛(100)을 이용하여 다층(多層)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1층 슬래브를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1층 슬래브 위에 상기 캐빈유닛(100)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Stack) 및 설치하는 제2´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1층 골조(200)를 완성하는 동시에 2층 바닥슬래브를 완성하는 제3´단계;
    상기 2층 바닥슬래브 위에 캐빈유닛(100)을 계획된 장소에 적치 및 설치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계획 층까지 반복한 후, 각 층의 외장 및 설비시설을 포함한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골조(200)공사와 상기 캐빈유닛(100)의 적치 및 설치공사가 한 개 층씩 동시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골조(200) 중 슬래브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현장에서 토핑콘크리트(Topping Concrete, 280) 타설이 필요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제3´단계의 2층 바닥슬래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현장에서 토핑콘크리트(Topping Concrete, 280) 타설이 필요한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하부를 받치는 서포트가 이용되지 않고 양단이 보(220)에 얹어지는 것만으로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6. 제2항 또는 제4항에서,
    제1´단계는 1층 슬래브 위로 일정 간격마다 측면벽체(240)를 더 설치하고,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설치된 측면벽체(240) 사이 사이에 캐빈유닛(100)을 적치 및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7. 제6항에서,
    제3´단계는 2층 바닥슬래브가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로 구성되되,
    상기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하부를 받치는 서포트가 이용되지 않고 양단이 마주보는 측면벽체(240)에 얹어지는 것만으로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캐빈유닛(100)은 두 개 이상의 단위객실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내부에 PC강연선이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부분PC화 중공슬래브(260)는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내부에 PC강연선이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11.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서,
    제2단계는 케이지(300)에 캐빈유닛(100)을 적치한 후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해당 층의 완성된 골조(200)에 상기 캐빈유닛(100)을 삽입하고,
    제3단계는 상기 케이지(300) 하부에 구름수단(320)을 결합하여 상기 캐빈유닛(100)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200)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KR1020140101116A 2014-08-06 2014-08-0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KR20160017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16A KR20160017842A (ko) 2014-08-06 2014-08-0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16A KR20160017842A (ko) 2014-08-06 2014-08-0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42A true KR20160017842A (ko) 2016-02-17

Family

ID=5545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16A KR20160017842A (ko) 2014-08-06 2014-08-0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8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33B1 (ko) * 2019-09-27 2020-04-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24796B1 (ko) * 2019-09-27 2021-03-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WO2021058781A1 (de) * 2019-09-27 2021-04-01 Werk Eins Gmbh Bauwerk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bauwer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33B1 (ko) * 2019-09-27 2020-04-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24796B1 (ko) * 2019-09-27 2021-03-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WO2021058781A1 (de) * 2019-09-27 2021-04-01 Werk Eins Gmbh Bauwerk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bauwe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428B2 (en) Sequence for constru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components
DK2617911T3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US10724228B2 (en) Build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pre-assembled floor-ceiling panels and walls
DK2617913T3 (en) Prefabricated PANEL TO A BUILDING
RU2628352C2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здания
JP6186085B2 (ja) プレハブ式の間仕切り壁および端部壁
US20130152485A1 (en) Non-Bearing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10487493B2 (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using prefabricated components
US20190234063A1 (en) Horizontal self-supporting formwork building system
ES2333636B1 (es) Modulo semirresistente prefabricado para construccion y procedimientode montaje en obra del mismo.
JP6456973B2 (ja) 韓屋及び木造住宅を現代建築に導入した建築構造
KR2016001784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단위객실의 캐빈유닛을 이용한 건축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KR101459575B1 (ko)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US11098475B2 (en) Building system with a diaphragm provided by pre-fabricated floor panels
US20060150550A1 (en) Fully integrated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including provisions for insulation and all services-HVAC, plumbing, lighting etc.
JP2019138053A (ja) スケルトン耐震建物、スケルトン耐震建物の建設方法および更新方法
US20200123761A1 (en) High-rise self-supporting formwork building system
JP677082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壁パネルの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KR100829954B1 (ko) 모듈러 주택용 유틸리티 시스템
US20210071409A1 (en) High-rise self-supporting formwork building system
RU280699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троительных блоков
JP2014015741A (ja) ユニット建物
JP4700368B2 (ja) 集合住宅及びその改修方法
US20200123760A1 (en) Vertical self-supporting formwork building system
JP6697763B2 (ja)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