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042B1 -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 Google Patents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042B1
KR101459042B1 KR20130154400A KR20130154400A KR101459042B1 KR 101459042 B1 KR101459042 B1 KR 101459042B1 KR 20130154400 A KR20130154400 A KR 20130154400A KR 20130154400 A KR20130154400 A KR 20130154400A KR 101459042 B1 KR101459042 B1 KR 10145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ase
lower body
presen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환
김상영
Original Assignee
유성환
김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환, 김상영 filed Critical 유성환
Priority to KR2013015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바벨 또는 아령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하체를 보호하면서 이와 동시에 하체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에 관한 것이다.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10)는 판 형상의 엔 보드(11); 엔 보드(11)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베이스(12); 엔 보드(11)에 형성된 한 쌍의 발 고정 홀(112a, 112b); 및 엔 보드(11)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엔 보드(11)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Board for Improving Base Surface By Securing Lower Body Tightly with Foots Holding in Holes}
본 발명은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바벨 또는 아령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하체를 보호하면서 이와 동시에 하체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에 관한 것이다.
바벨(barbell) 또는 아령과 같이 근력 향상을 위한 기구의 경우 선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에서 상체로부터 하체로 압력이 가해지면 예를 들어 허리 또는 무릎과 같은 부위가 압력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와 같은 자세에서 아령과 같은 기구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하는 경우 하체 또는 신체의 다른 부위에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체 운동 또는 근력 운동의 경우 신체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압력을 분산시키거나 또는 상체에 대한 하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헬스 보조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0109120호 ‘의료용, 헬스 보조기구 겸용 무릎의자’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둔부 및 등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시트; 상기 시트의 양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양팔을 받쳐주는 한편 착석 자세를 바르게 교정해주기 위한 팔걸이 부재; 상기 시트 하부에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사용자가 않아 체중을 실으면 일정 높이만큼 내려앉고, 실었던 체중을 해제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 장치; 상기 시트 하부에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 장치와 대략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 및 고정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발목 받침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시트 지지 및 발목 받침용 지지 바; 상기 시트 하부의 바닥 면에 의자 구조 전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편, 상기 시트 지지 및 각도/높이 조절 장치와 시트 지지 및 발목 받침용 지지 바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몸체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는 자세로 앉을 시 사용자의 무릎을 각각 받쳐주기 위한 무릎 받침대가 마련되어 있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측 무릎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운동의 강약 조절을 위한 타이머 및 카운터 기능, 라디오 및 MP3 기능, 음이온 발생 및 온열 기능 등을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헬스 보조기구 무릎의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바벨 또는 역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12162호 ‘역기운동기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파이프 등의 프레임 부재를 절곡 또는 용융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물 상에 매트가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지지 축을 가지는 벤치; 상기 지지 축에 끼워져지지 축의 외주면상에서 상하 이동이 유도되는 역기운동기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안전사고의 방지 또는 간단한 운동 기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하중의 분산으로 인한 하체의 보호 및 근력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균형에 대하여 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 운동 또는 근력 운동의 과정에서 하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거나 정해진 부위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체 운동으로 인한 하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고정을 위한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는 판 형상의 엔 보드; 엔 보드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베이스; 엔 보드에 형성된 한 쌍의 발 고정 홀; 및 엔 보드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엔 보드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엔 보드의 위쪽 평면에 배치되는 쿠션 조절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 조절 유닛은 엔 보드의 뒷면에 고정된 다단 고정 부재 및 고정 베이스에 형성된 경사 받침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앉은 자세에서 바벨 또는 아령을 이용하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운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하중 또는 압력이 고정된 하체의 정해진 부위로 전달이 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운동이 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상체의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운동이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는 웨이트 트레이닝 활동 과정에서 기저면의 안정성 향상을 통해 운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입식 운동에서 중량 부하로 인한 무릎 또는 발목 부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효율성이 높은 세트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사용자가 무릎을 꿇고 상체 또는 하체 운동 과정에서 무릎에 대한 부상을 방지하면서 몸통의 근육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운동 기구에서 위에서 훈련되는 모든 운동 동작 과정에서 자세 교정과 재활에 유용하면서 몸통 중심 근육(core)이 강화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고정을 위한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10)는 판 형상의 엔 보드(11); 엔 보드(11)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베이스(12); 엔 보드(11)에 형성된 한 쌍의 발 고정 홀(111a, 111b); 및 엔 보드(11)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엔 보드(11)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10)는 헬스장, 학교 운동 교구, 가정용 또는 사무실용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고 바벨, 역기, 아령 또는 상체 단련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 기구를 가지고 운동하는 과정에서 하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운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지라도 하체 고정이 요구된다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운동 기구의 사용 여부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무게를 가진 운동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 하체에 많은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아령과 같이 운동 기구를 손으로 파지하고 아래 또는 위로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하는 경우 하체에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하체가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이 된다면 운동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체로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이 될 수 있거나 또는 하체가 균형이 잡힌 상태로 고정이 될 수 있다면 운동 효과가 상승되면서 이와 동시에 하체의 특정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10)는 이와 같이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심화 고립이란 양발의 일부가 기저면 향상 보드(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하체가 상체와 별도로 균형을 위하여 고립이 되는 상태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10)는 무릎의 지지를 위한 보드라는 점에서 엔(Knee) 보드가 될 수 있다.
엔 보드(11)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무릎의 아래 부분의 지지를 위하여 충분한 면적을 가진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엔 보드(11)는 나무, 합성수지, 스테인리스 강철, 알루미늄 또는 합금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엔 보드(11)의 면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엔 보드(11)는 테두리를 따라 적절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엔 보드(11) 전체 또는 전면에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코팅이 될 수 있고 테두리를 따라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한 보호 테두리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엔 보드(11)는 고정 베이스(12)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다. 고정 베이스(12)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테두리 벽 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프레임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베이스(12)는 엔 보드(11)를 지면으로부터 요구되는 높이로 이격시킬 수 있는 임의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엔 보드(11)의 뒤쪽에 한 쌍의 발 고정 홀(111a, 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발 고정 홀(111a, 111b)은 발가락 및 발등 부분이 삽입이 되어 고정이 되는 부분에 해당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발 고정 홀(111a, 111b)은 발가락 및 발등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이 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엔 보드(11)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발 고정 홀(111a, 111b)의 둘레 면에 보호 커버 또는 보호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발 고정 홀(111a, 111b)의 뒤쪽에 받침 부재(112a, 112b)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 부재(112a, 112b)는 발 고정 홀(111a, 111b)에 고정된 발의 뒤쪽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의 (나)를 참조하면, 엔 보드(11)의 뒤쪽 면에 경사 조절 유닛(131, 13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10)는 사용 과정에서 발가락 및 발등의 일부가 발 고정 홀(111a, 111b)에 삽입이 되고 그리고 정강이 부분이 엔 보드(11)의 위쪽 표면에 접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체는 세워져서 정강이 부분 및 발바닥에 의하여 지탱이 될 수 있다. 운동 상태에 따라 정강이 부분이 지탱되는 부위 또는 엔 보드(11)의 경사가 조절이 되는 것에 유리할 수 있다. 경사 조절 유닛(131, 132)은 엔 보드(11)의 경사 조절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엔 보드(11)의 앞쪽 또는 뒤쪽에 고정 부재(131a, 131b)가 배치되고 그리고 제1 경사 조절 유닛(131) 또는 제2 경사 조절 유닛(132)이 경첩 또는 힌지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고정 부재(131a, 131b)에 연결되어 접히고 그리고 펴질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제1 경사 조절 유닛(131)과 제2 경사 조절 유닛(132)은 서로 다른 높이가 가진 지지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고정 부재(131a, 131b)에 대하여 접힐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독립적으로 접힘 및 열림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 또는 양쪽 경사 조절 유닛(131)이 접히거나 또는 펴지는 것에 의하여 엔 보드(11)의 지면에 대한 경사가 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테두리 벽 구조를 가지는 고정 베이스(12)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경사 조절 유닛(131, 132) 또는 보강 부재(121)가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10)에 적용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기저면 향상 보드(10)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엔 보드(21)와 고정 베이스(22)는 일체로 형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 보드(21)와 고정 베이스(22)는 아래쪽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그리고 한 쌍의 발 고정 홀(211a, 211b)의 뒤쪽에 배치되는 받침 부재(2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 보드(21)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이 되고 그리고 고정 베이스(22)는 엔 보드(21)의 둘레 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발 고정 홀(211a, 211b)은 사각 형상의 단면이 되고 그리고 받침 부재(212)는 뒤쪽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엔 보드(21)의 뒤쪽 또는 고정 베이스(22)의 내부에 경사 조절 유닛(23)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조절 유닛(23)은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그리고 고정 베이스(22)의 둘레 벽의 내부에 힌지 또는 경첩과 같은 접힘 수단(231a, 231b)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엔 보드(21)의 경사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경우 경사 조절 유닛(23)이 펴질 수 있고 그리고 경사 조절 유닛(23)에 의하여 엔 보드(21)의 앞쪽이 지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경사 조절 유닛(23) 자체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엔 보드(21)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와 달리 경사 조절 유닛(23)은 엔 보드(21)의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경사 조절을 위하여 엔 보드(21)의 앞쪽 및 뒤쪽 양쪽에 경사 조절 유닛(23)이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고정 베이스(22)에 보강 부재(221)가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을 아니다.
아래에서 엔 보드(21)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엔 보드(31)가 외부 박스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고정 베이스(32)가 엔 보드(31)에 결합되는 내부 박스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발 고정 홀(311a, 311b)은 도 1 또는 도 2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형성이 될 수 있지만 받침 부재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엔 보드(31)은 윗면과 위쪽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테두리 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a의 (나)를 참조하면, 제3 경사 조절 유닛(315a, 315b, 316)이 분산된 구조로 엔 보드(31) 및 고정 베이스(32)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베이스(32)는 전체적으로 윗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한쪽 변이 엔 보드(31)의 양쪽 측면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이 될 수 있다. 제3 경사 조절 유닛(315a, 315b, 316)은 엔 보드(31)의 뒷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다단 고정 부재(315a, 315b) 및 고정 베이스(32)의 양쪽 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다단 고정 부재(315a, 316b)의 서로 다른 위치를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 받침 부재(3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단 고정 부재(315a, 315b)는 엔 보드(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홈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경사 받침 부재(316)의 임의의 홈에 결합되어 엔 보드(31)를 지지하면서 결합 위치에 따라 엔 보드(31)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 베이스(32)의 바닥 면에 안정 받침(314a, 314b)이 형성되어 고정 베이스(32)가 지면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엔 보드(31)는 고정 베이스(32)에 대하여 한 변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다단 고정 부재(315a 315b)는 둘레 벽(31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경사 받침 부재(316)는 고정 베이스(32)의 뒤쪽 벽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이와 동시에 다단 고정 부재(315a, 315b)의 홈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엔 보드(31)를 회전시켜 다단 고정 부재(315a, 315b)의 특정 홈에 경사 받침 부재(316)를 결합시키면 정해진 경사에서 엔 보드(31)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32)는 안정 받침(324a, 324b)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엔 보드(31)의 경사가 결정되어 고정되면 사용자는 발 고정 홀(311a, 311b)에 발을 삽입하면서 정강이를 엔 보드(31)의 윗면에 위치시켜 필요한 운동을 하게 된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심화 고립 기저면 향상 보드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엔 보드(11)의 위쪽 평면에 쿠션 조절판(41)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 조절판(41)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또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위쪽 면에 형성된 주름(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쿠션 조절판(41)은 엔 보드(11)의 위쪽 면을 모두 덮을 수 있는 또는 엔 보드(11)의 위쪽 면에 대응되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쿠션 조절판(41)에 엔 보드(11)의 발 고정 홀(111a, 111b)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날개(4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의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M)는 양 발을 엔 보드(11)에 형성된 발 고정 홀(111a, 111b)에 삽입시키고 그리고 정강이(L1, L2)를 엔 보드(11)에 위쪽 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발의 뒤꿈치에 해당되는 부분이 받침 부재(112a, 112b)에 의하여 받쳐질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M)의 상체는 지면 또는 엔 보드(11)와 수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M)는 바벨, 역기 또는 아령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고 기저면 향상 보드의 사용에 의하여 운동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앉은 자세에서 바벨 또는 아령을 이용하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운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하중 또는 압력이 고정된 하체의 정해진 부위로 전달이 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운동이 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발명에 따른 기저면 향상 보드는 상체의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운동의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기저면 향상 보드 11, 21, 31: 엔 보드
12, 22, 32: 고정 베이스 23: 경사 조절 유닛
41: 쿠션 조절판
111a,111b: 발 고정 홀 112a, 112b: 받침 부재
121: 보강 부재
131, 132: 경사 조절 유닛 131a, 131b: 고정 부재
313: 둘레 벽 315a, 315b: 다단 고정 부재
316: 받침 부재

Claims (3)

  1. 운동 과정에서 하체의 고정을 위한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에 있어서,
    판 형상의 엔 보드(11);
    엔 보드(1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엔 보드(11)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베이스(12);
    발가락 및 발등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엔 보드(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발 고정 홀(111a, 111b);
    발 고정 홀(111a, 111b)의 뒤쪽에 형성된 받침 부재(112a, 112b); 및
    엔 보드(11)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엔 보드(11)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 고정 홀(111a, 111b)은 엔 보드(11)의 뒤쪽 면으로 한쪽 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 되고, 엔 보드(11)의 위쪽 평면에 배치되는 쿠션 조절판(41)을 더 포함하는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 보드(11)는 외부 박스 형상으로 그리고 상기 고정 베이스(12)는 엔 보드(31)에 결합되는 내부 박스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경사 조절 유닛은 엔 보드(11)의 뒷면에 고정된 다단 고정 부재(315a, 315b) 및 고정 베이스(12)에 형성된 경사 받침 부재(3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KR20130154400A 2013-12-12 2013-12-12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KR10145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400A KR101459042B1 (ko) 2013-12-12 2013-12-12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400A KR101459042B1 (ko) 2013-12-12 2013-12-12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042B1 true KR101459042B1 (ko) 2014-11-07

Family

ID=5228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4400A KR101459042B1 (ko) 2013-12-12 2013-12-12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712U (ja) * 1992-12-18 1994-07-05 昌弘 後藤 ふくらはぎ強化器
KR20040088329A (ko) * 2003-04-10 2004-10-16 오창렬 다리 스트레칭기구
KR20100131891A (ko) * 2009-06-08 2010-12-16 이천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120101872A (ko) * 2011-03-07 2012-09-17 박정민 다기능 힙 업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712U (ja) * 1992-12-18 1994-07-05 昌弘 後藤 ふくらはぎ強化器
KR20040088329A (ko) * 2003-04-10 2004-10-16 오창렬 다리 스트레칭기구
KR20100131891A (ko) * 2009-06-08 2010-12-16 이천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120101872A (ko) * 2011-03-07 2012-09-17 박정민 다기능 힙 업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840B2 (en)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KR101086029B1 (ko) 스트레칭기구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KR101300822B1 (ko) 복근운동 보조기구
US20120149540A1 (en) Exercise apparatus adapted to facilitate stand-up crunches
JP6999953B2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US2014001164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ort when performing plank training exerci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US8016731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11696864B2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US9017231B2 (en) Lower body muscle exercise device
US20070275833A1 (en) Tibialis Anterior Strength Training Machine
US11224780B2 (en) Machine for assisted physical activity exercise
KR101459042B1 (ko) 고립 심화 기저면 향상 보드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US20190308059A1 (en) Resistive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KR200449845Y1 (ko) 거꾸리발걸이운동기구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200477862Y1 (ko) 조절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JP2014161718A (ja) 座椅子型運動具
KR100958267B1 (ko) 의자 부착형 자세 교정기
RU64918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веса (варианты)
WO2015061902A1 (en)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JP2008183419A (ja) 2ヶの調節台それを用いたベントオーバーローイングのトレ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