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738B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738B1
KR101458738B1 KR20140017816A KR20140017816A KR101458738B1 KR 101458738 B1 KR101458738 B1 KR 101458738B1 KR 20140017816 A KR20140017816 A KR 20140017816A KR 20140017816 A KR20140017816 A KR 20140017816A KR 101458738 B1 KR101458738 B1 KR 10145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pair
cover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재석
Priority to KR2014001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8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presenting double or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65D65/403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용 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겹의 이중골판지를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주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이중골판지를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제4 고지 또는 제5 고지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이중골판지를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이 향상되고 환경오염이 최소화 될 수 있고, 이중골판지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밀폐지로 커버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물품을 수용한 경우에도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PACKAG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로 이중골판지를 이용하여 단열효과 및 강도가 향상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물류가 발전됨에 따라 각종 물품이 활발하게 운반되고 있으며, 물품이 운반되는 도중 파손 또는 변질되지 않도록 그 성질을 보전하기 위하여 운반될 물품의 특성에 적합한 포장기술 또한 함께 발전되고 있다.
운반될 물품이 보온 또는 보냉을 요하는 경우, 예를 들어 어패류와 같은 수산물 및 상온에서 변질될 가능성이 높은 항생제와 같은 약품 등은 운반 중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냉 기능이 있는 포장을 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에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포스티렌수지(EPS)로 제조된 포장 박스가 현재까지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발포스티렌수지는 운반 중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의 벽체를 두껍게 제조할 경우 포장된 물품의 체적이 증가되어 물류비가 상승하거나 취급이 불편해지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발포스티렌수지는 재활용이 원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매립 등에 의한 방법으로 폐기되었을 때에는 분해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6850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 1은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자의 측면에 형성된 벽간 공간에 의해 내구성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즉, 내부에 수용된 물품이 운반 중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자의 내부 측면에 충돌할 경우 이 부분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단열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 1은 상자의 저면 및 뚜껑의 강도 및 단열효과가 측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냉장 또는 냉동 상태의 물품을 수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결로현상에 의해 상자 내부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수분이 골판지에 의해 흡수되어 골판지가 쉽게 손상되는 경우에 대한 대책이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약품은 다습한 환경에서 쉽게 변질될 수 있으므로 포장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 박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는 포장 박스 내부에 물품과 함께 흡습제를 추가로 수용시켜 포장 박스 내부의 습기가 흡습제에 흡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외부로부터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6850호(발명의 명칭: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등록일: 2011년 03월 28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은 단열효과와 강도를 갖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원의 재활용이 용이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 또는 냉동 물품을 수용한 경우에도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수용부와,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는 외측커버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 내측에 배치된 하측단열재와, 상기 하측단열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두 측면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다른 두 측면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와, 상기 하측단열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측면을 제외한 두 측면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양단부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단열커버본체와, 상기 단열커버본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의 상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의 상단부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상측단열재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 상자는,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상기 제2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두 측면 및 제2 측방단열재 사이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방단열재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양단부 상단을 커버하는 제2 상측커버부와, 상기 제2 상측커버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방단열재의 상기 수용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을 커버하는 제2 측벽커버부와, 상기 제2 측벽커버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일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한 쌍의 측방날개와, 상기 제2 측벽커버부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하측단열재의 일부를 커버하는 하방날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 밀폐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용 상자는, 상기 하측단열재의 상면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 및 상기 제2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는 사각형의 저면커버부와, 상기 저면커버부의 네 변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와 접하는 두 변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상기 수용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각각 커버하는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상측커버부의 양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제1 상측커버부와, 상기 제1 상측커버부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두 측면 및 제1 측방단열재 사이로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 제1 밀폐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 상자는, 상기 상측단열재의 저면과 측면 및 상기 단열커버본체의 저면 중 상기 상측단열재와 접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결합된 제3 밀폐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밀폐지, 제2 밀폐지 및 제3 밀폐지는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지거나,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소재가 코팅된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측단열재, 상기 하측단열재, 상기 제1 측방단열재 및 상기 제2 측방단열재는 복수 겹의 이중골판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골판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평판 형상을 갖는 세 장의 면지와, 상기 세 장의 면지가 형성하는 두 간격 중 어느 하나에 개재되고 물결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제1 파형지와, 상기 두 간격 중 다른 하나에 개재되고 물결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제2 파형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파형지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과 상기 제2 파형지에 형성된 주름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면지, 상기 제1 파형지 및 상기 제2 파형지에는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1:1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제1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단열재, 상기 하측단열재, 상기 제1 측방단열재 및 상기 제2 측방단열재는 특히 3겹의 이중골판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3겹의 이중골판지 중 가운데 배치된 것은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1:1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제1 첨가제가 포함된 제4 고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3겹의 이중골판지 중 양측에 배치된 것은, 평균입경이 2 내지 3㎛이고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g인 제2 미분말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비표면적이 280 내지 400㎡/g이며 왁스가 코팅된 제3 미분말실리카가 1:10 내지 1:1 중량비로 혼합된 제2 첨가제가 포함된 제5 고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커버본체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고, 한 장의 상기 이중골판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형지의 주름의 방향 및 상기 제2 파형지의 주름의 방향은 서로 나란하거나, 수직하거나,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커버의 저면에 결합된 지지패널과,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장식물과, 상기 지지패널 및 상기 외측커버의 저면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장식물을 커버하거나 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도어본체와,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고정자석과, 상기 한 쌍의 도어본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본체가 상기 장식물을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고정자석과 인력이 각각 작용되는 한 쌍의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커버의 저면에 결합된 지지패널과,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패널의 상면에 결합된 장식물과, 상기 개구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절첩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도어본체와,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고정자석과, 상기 한 쌍의 도어본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본체가 상기 장식물을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고정자석과 인력이 각각 작용되는 한 쌍의 자성체와, 상기 도어본체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겹의 이중골판지를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단열효과를 갖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의 간격이 서로 다른 이중골판지를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강도를 갖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재로써 제4 고지 또는 제5 고지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이중골판지를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률이 향상되고 환경오염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골판지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밀폐지로 커버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물품을 수용한 경우에도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메틸 실리콘 오일이 흡유된 미분말실리카가 포함된 이중골판지를 사용하여 이중골판지의 발수성, 단열성, 신축성 및 내구성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밀폐성이 향상되고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흡습성이 향상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열재 및 수용부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표시된 Ⅳ-Ⅳ 선분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이중골판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이중골판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외측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Ⅷ-Ⅷ 선분에 의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외측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외측커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에는 수용부(110), 단열커버(120) 및 외측커버(130)가 포함된다.
수용부(11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물품(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3)이 형성된다.
외측커버(13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수용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며 수용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단열커버(120)는 수용부(110) 및 외측커버(130)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으로 수용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한다. 단열커버(120)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단열재 및 수용부본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포장용 상자(도 1의 100)에는 수용부본체(111), 하측단열재(140),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 및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가 더 포함된다.
수용부본체(111)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하측단열재(140)는 수용부본체(111)의 저면 내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는 하측단열재(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의 하단부는 하측단열재(14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는 수용부본체(111)의 네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제1 측방단열재(150)의 양단부는, 제1 측방단열재(150)가 배치되지 않은 수용부본체(111)의 다른 두 측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즉, 제1 측방단열재(150)는 수용부본체(111)의 네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는 하측단열재(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의 하단부는 하측단열재(14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는 수용부본체(111)의 네 측면 중 제1 측방단열재(150)가 배치되지 않은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제2 측방단열재(160)의 양단부는,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의 양단부에 각각 접한다. 즉, 제2 측방단열재(150)는 수용부본체(111)의 네 측면 중 제1 측방단열재(150)가 배치된 측면을 제외한 두 측면의 길이에 비하여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의 두께만큼을 제외한 길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장용 상자(도 1의 100)에는 제1 밀폐지(170) 및 한 쌍의 제2 밀폐지(180)가 더 포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본체(111) 내에는 하측단열재(140),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 및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가 배치되어 있는데, 여기에 한 쌍의 제2 밀폐지(180)가 먼저 결합되고, 이후 제1 밀폐지(170)가 결합된다.
제2 밀폐지(180)에는 제2 삽입부(181), 제2 상측커버부(182), 제2 측벽커버부(183), 하방날개(184) 및 한 쌍의 측방날개(185)가 포함된다.
제2 삽입부(181)는 수용부본체(도 3의 111)의 측면 중 제2 측방단열재(160)가 배치된 것 및 제2 측방단열재(160) 사이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2 상측커버부(182)는 제2 삽입부(181)에 연결 형성되고, 제2 측방단열재(160)의 상단부 전체와 제1 측방단열재(150)의 양단부 상단을 커버한다. 제2 상측커버부(1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부(181)에 대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2 측벽커버부(183)는 제2 상측커버부(182)에 연결 형성되고, 제2 측방단열재(160)의 수용부(110) 내측을 향하는 면, 즉 노출된 면을 커버한다. 제2 측벽커버부(1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측커버부(182)에 대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측방날개(185)는 제2 측벽커버부(183)의 양측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제2 측벽커버부(183)가 제2 측방단열재(160)의 노출된 면을 커버할 때 그 양측에 배치된 제1 측방단열재(150)의 일단부를 각각 커버한다. 한 쌍의 측방날개(1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방단열재(160)에 대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각각 배치된다.
하방날개(184)는 제2 측벽커버부(183)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하측단열재(140)의 상면 일부분을 커버한다. 하방날개(1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커버부(183)에 대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제2 밀폐지(180)는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각각 결합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삽입부(181)가 수용부본체(도 3의 111)의 측벽 및 제2 측방단열재(16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부(181) 및 제2 상측커버부(182)의 연결부위는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의 일단부들에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측방단열재(160)에 제2 밀폐지(180)가 결합될 경우, 제2 측방단열재(160)가 수용부(110)의 내측을 향하여 쓰러지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되며,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의 양단부는 제2 측방단열재(160)의 양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밀폐지(180)가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에 결합된 후에는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 및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가 모두 수용부(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밀폐지(180)가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에 결합된 후에는 제1 밀폐지(170)가 수용부(110)에 결합된다.
제1 밀폐지(170)에는 한 쌍의 제1 삽입부(171), 한 쌍의 제1 상측커버부(172),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173) 및 저면커버부(174)가 포함된다.
저면커버부(174)는 하측단열재(140)의 상면 중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 및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160)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한다. 즉, 저면커버부(174)의 면적은 하측단열재(140)의 전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저면커버부(174)의 네 변 중 제1 측방단열재(150)와 접하는 두 변에는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173)가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연결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173)는 저면커버부(174)가 하측단열재(140)의 상면을 커버할 때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의 수용부(110) 내측을 향하는 면, 즉 노출된 면을 커버한다.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173)에는 한 쌍의 제1 상측커버부(172)가 절곡된 형상으로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측벽커버부(173)가 제1 측방단열재(150)의 노출된 면을 커버할 때 제1 상측커버부(172)는 제1 측방단열재(150)의 상단부를 커버한다.
한 쌍의 제1 삽입부(171)는 수용부(110)의 네 측면 중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가 배치된 두 측면 및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150) 사이로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1 상측커버부(174)의 양단부는 제2 상측커버부(182)의 양단부를 중첩하는 형상으로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저면커버부(174)의 네 변 중 제1 측벽커버부(173)가 연결 형성되지 않은 두 변은 하방날개(184)와 중첩되며,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173)의 양단부는 한 쌍의 측방날개(185)와 중첩된다.
그러므로, 제1 측방단열재(150) 및 제2 측방단열재(160)는 제1 밀폐지(170) 및 한 쌍의 제2 밀폐지(18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된다.
제1 밀폐지(170) 및 제2 밀폐지(180)는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시트,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연신필름(OPP필름),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밀폐지(170) 및 제2 밀폐지(180)는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도록 폴리프로필렌연신필름(OPP필름) 등의 소재가 코팅된 종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밀폐지(170) 및 제2 밀폐지(180)가 갖는 기밀성 또는 수밀성에 의해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및 제2 측방단열재(160)를 통하여 공기가 통과되거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1에 표시된 Ⅳ-Ⅳ 선분에 의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장용 상자(도 1의 100)에는 단열커버(120)가 포함되는데, 단열커버(120)에는 단열커버본체(121), 상측단열재(123) 및 제3 밀폐지(12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커버본체(121)는 수용부(110) 및 외측커버(130)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으로 수용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단열재(123)는 단열커버본체(121)의 저면에 배치된다. 이때, 상측단열재(123)는 단열커버본체(121)에 접착제나 점착제 등으로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제3 밀폐지(124)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제3 밀폐지(124)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밀폐지(도 2의 170) 및 제2 밀폐지(도 2의 180)와 같이,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접착제나 점착제 등에 의해 상측 단열재(123)의 저면 및 단열커버본체(121)의 저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단열커버본체(121)는 수용부본체(111)의 개방된 상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측단열재(123)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측방단열재(150) 및 제2 측방단열재(160)가 배치되었을 때 제1 측방단열재(150)의 상단부 및 제2 측방단열재(160)의 상단부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측단열재(123)의 면적은 단열커버본체(12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밀폐지(124)는 상측단열재(123)의 저면과 측면 및 단열커버본체(121)의 저면 중 상측단열재(123)보다 돌출된 부분, 즉 상측단열재(123)와 접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커버(120)가 수용부(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면, 상측단열재(123)는 제1 측방단열재(150)의 상단부 및 제2 측방단열재(도 2의 160)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사각형 공간 내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수용부(110) 내에 형성된 수용공간(113)은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도 2의 160) 및 상측단열재(123)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며,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도 2의 160) 및 상측단열재(123)는 제1 밀폐지(170), 제2 밀폐지(180) 및 제3 밀폐지(124)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므로, 외부와의 열이동, 공기의 유동 및 수분의 침입이나 유출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본체(111)의 저면, 외측면 및 내측면 일부에 결합된 장식지(112)와, 단열커버본체(121)의 상면에 결합된 장식지(122)와, 외측커버본체(131)의 상면, 외측면 및 내측면 일부에 결합된 장식지(132)는 포장용 상자(도 1의 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거나, 포장용 상자(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는 이중골판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중골판지에(190)에는 세 장의 평판 형상을 갖는 면지(191, 192, 193), 복수의 물결 형상 주름 형성된 제1 파형지(194) 및 복수의 물결 형상 주름이 형성된 제2 파형지(195)가 포함된다.
세 장의 면지(191, 192, 19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두 개의 간격이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간격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파형지(194)가 개재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면지(191, 192)와 각각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간격에는 제2 파형지(195)가 개재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면지(192, 193)와 각각 결합된다.
참고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 장의 면지(191, 192, 193)와 제1 파형지(194) 및 제2 파형지(195)는 접착제나 점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형지(194)에 형성된 물결 형상의 주름 사이의 간격(P1)은 제2 파형지(195)에 형성된 물결 형상의 주름 사이의 간격(P2)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이중골판지(190)의 강도 및 단열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형지(194)에 형성된 주름 사이의 간격(P1)이 제2 파형지(195)에 형성된 주름 사이의 간격(P2)보다 클 경우, 제1 파형지(194)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면지(191, 192)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 포함된 공기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한 쌍의 면지(191, 192) 및 제1 파형지(194)가 형성하는 구조체의 단열효과가 증가된다.
반면, 제2 파형지(19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면지(192, 193)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나, 한 쌍의 면지(192, 193)와 제2 파형지(195)의 단위길이당 결합부분이 증가되어 강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중골판지(190)는 단열효과가 높은 부분 및 강도가 높은 부분을 모두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골판지(190)를 복수 겹 겹쳐서 구성된 것으로, 높은 단열효과와 강도를 모두 얻을 수 있다.
다만, 이중골판지(190)의 단면이 노출된 경우에는 면지(191, 192, 19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어 단열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 또는 냉동 물품(도시되지 않음)이 수용공간(도 4의 113)에 수용된 경우에는 결로현상에 의해 형성된 수분이 이중골판지(190)에 흡수되어 이중골판지(19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런데,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밀폐지(도 2의 170), 제2 밀폐지(도 2의 180) 및 제3 밀폐지(124)에 의해 커버되어 공기의 유동 및 수분의 흡수 등을 방지하므로,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의 단열효과 및 강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 겹의 이중골판지(19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중골판지(190)의 겹수가 증가될수록 단열재(140, 150, 160, 123)의 단열효과 및 강도는 증가되는 반면 중량이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이중골판지(190)의 겹수가 감소될수록 단열재(140, 150, 160, 123)의 중량은 감소되나 단열효과 및 강도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를 구성하는 이중골판지(190)의 겹수는 수용공간(도 4의 113)에 수용될 물품(도시되지 않음)의 중량이나 필요한 단열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다만, 3겹의 이중골판지(190)로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를 형성하여 단열효과 및 강도를 실험한 결과, 일반적인 발포스티렌수지를 이용한 포장용 상자(도시되지 않음)보다 높은 단열효과 및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포장용 상자(도 1의 100)를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를 3겹의 이중골판지(190)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중골판지(190)를 구성하는 면지(191, 192, 193), 제1 파형지(194) 및 제2 파형지(195)는 수 차례 재활용된 후 폐기된 종이, 즉 제2 고지(古紙) 내지 제5 고지를 원료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지는 나무 등으로부터 얻어진 새로운 펄프로 만든 종이가 한 번 활용된 후 폐기되었다가 한 차례 재생되어 사용된 것을 말하며, 제2 내지 제5는 재활용된 회수를 지칭한다.
참고로, 재활용된 후 폐기된 종이는 잘게 분쇄된 후 새로운 펄프 및 풀이나 접착제와 같은 바인더(binder)와 혼합되어 종이로 제조되는 방법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지를 사용함으로써 자원재활용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포장용 상자(도 1의 100)를 폐기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으므로 환경보호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면지(191, 192, 193), 제1 파형지(194) 및 제2 파형지(195)는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Dimethylpolysiloxane)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1:1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제1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첨가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고지의 발수성을 높이고, 상기 퍼라이트의 기공에 의해 단열성을 높일 수가 있으며, 상기 제1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고지는 제지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미분말실리카에 포함된 디메틸실리콘오일이 제2 고지에 포함된 섬유질 사이로 새어나오면서 발수성과 단열성을 높이고, 완성된 이중골판지(190)의 신축성을 높이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첨가제는 상기 평균입경이 4 내지 7m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ml/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상기 퍼라이트가 3:1 내지 5: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이중골판지(190)의 섬유질 부분으로 일정하게 흘러나오면서 과량이 유출되는 경우 상기 퍼라이트에 재흡수되어 골판지의 내구성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단열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제3 고지의 경우에는 평균입경이 2 내지 3m이고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m2/g인 제2 미분말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4 내지 7m이고 비표면적이 280 내지 400m2/g이며 왁스가 코팅된 제3 미분말실리카가 1:10 내지 1:1중량비로 혼합된 제2 첨가제가 포함된 것이다.
상기 제2 첨가제에 의하는 경우 이중골판지(190)의 내구성을 높이면서도 투과성을 줄일 수 있다. 즉, 이중골판지(190)의 내구성은 높아지면서도 수밀성 및 기밀성은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미분말실리카가 공기층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 이중골판지(190)에 형성된 기공을 막아 매우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성을 높이고, 상기 제3 미분말실리카는 왁스성분에 의하여 이중골판지(190)의 발수성을 높여 상기 제2 미분말실리카에 수분이 흡수되어도 이중골판지(190) 자체의 내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첨가제는 상기 평균입경이 2 내지 3m이고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m2/g인 제2 미분말실리카 및 상기 평균입경이 4 내지 7m이고 비표면적이 280 내지 400m2/g이며 왁스가 코팅된 제3 미분말실리카가 1:5 내지 1:2 중량비로 혼합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이중골판지(190)의 발수성을 높이고, 이중골판지(190)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막아 보다 높은 단열성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단열재(140), 제1 측방단열재(150), 제2 측방단열재(160) 및 상측단열재(123)를 3겹의 이중골판지(190)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3겹의 이중골판지 중 가운데 배치된 것은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1:1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제1 첨가제가 포함된 제2 고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고, 상기 3겹의 이중골판지 중 양측에 배치된 것은 평균입경이 2 내지 3㎛이고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g인 제2 미분말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비표면적이 280 내지 400㎡/g이며 왁스가 코팅된 제3 미분말실리카가 1:10 내지 1:1 중량비로 혼합된 제2 첨가제가 포함된 제3 고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 상자(100)의 단열성, 발수성 및 차폐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원재활용 효과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제조예: 포장용 상자의 제조]
본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에 따른 비교예 및 실험예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비교예 및 실험예는 하기의 표 1에 따라 골판지 용지를 사용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로서, 포장용 상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한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1에서 2종류의 제지가 표시된 것은 선택된 2종류의 제지를 함께 사용한 것이다. 한편 골판지의 형상과 두께는 모두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일반골판지 O - - - -
제2 고지 - O - - -
제3 고지 - O - - -
제1 첨가제가 포함된 제2고지 - - O O
제2 첨가제가 포함된 제3 고지 - - O O
- 일반골판지: 일반골판지는 제4 고지를 사용하는 것일 일반적이고, 상기 제4 고지에 신규 펄프를 추가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이 있다. 상기 일반 골판지는 제4 고지와 신규 펄프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 제 2 고지 및 제 3 고지: 신규 펄프로 제조된 종이를 파쇄하여 새로 종이를 제조하는 재활용 과정에 따라 제조된 용지를 제1 고지라 하고, 상기 제1 고지를 재활용한 재활용 용지를 제2 고지, 상기 제2 고지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재활용 용지를 제 3 고지라 한다.
- 제1 첨가제가 포함된 제2 고지: 상기 제1 첨가제는 평균입경이 4 내지 7m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ml/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3: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제1 첨가제가 포함된 제2 고지는 제2 고지 제조과정에서 상기 제1 첨가제가 포함된 것이다.
- 제2 첨가제가 포함된 제3 고지: 상기 제2 첨가제는 평균입경이 2 내지 3m이고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m2/g인 제2 미분말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4 내지 7m이고 비표면적이 280 내지 400m2/g이며 왁스가 코팅된 제3 미분말실리카가 1:3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제2 첨가제가 포함된 제3 고지는 제3 고지 제조과정에서 상기 제2 첨가제가 포함된 것이다.
[시험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대한 보냉성 및 발수성 시험]
- 보냉성 실험: 냉각 후 동일한 온도 보관한 얼음 100g을 상기 비교예 및 실험예에 따라 제조된 포장용 상자 안에 넣고, 상기 포장용 상자의 뚜껑을 닫을 뒤 상기 포장용 상자를 35℃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남아 있는 얼음을 꺼내 그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 발수성 시험: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단열층에 같은 양의 물을 뿌린 뒤 이를 털어내어 흡수된 수분의 함량과 종이가 젖은 모양에 따라 발수성을 평가하여 비교예를 1로 하고 이를 기초로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를 숫자가 높을 수록 발수성이 우수한 것이다.
비교예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보냉성 평가
(얼음 잔량(g)
0 5.4 27.8 17.6 41.7
발수성 1 2 7 5 7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단열커버본체(도 4의 121) 또한 한 장 이상의 이중골판지(190)로 제조하여 포장용 상자(도 1의 100)의 상측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단열효과도 증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에도 상기 제1 첨가제 및 제2 첨가제가 포함되도록 하여 그 성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이중골판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중골판지(190a)에는 세 장의 평판 형상을 갖는 면지(191a, 192a, 193a), 복수의 물결 형상 주름 형성된 제1 파형지(194a) 및 복수의 물결 형상 주름이 형성된 제2 파형지(195a)가 포함된다.
여기서, 면지(191a, 192a, 193a), 제1 파형지(194a) 및 제2 파형지(195a) 자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면지(191, 192, 193), 제1 파형지(194) 및 제2 파형지(195)와 각각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중골판지(190a)는 제1 파형지(194a)에 형성된 주름의 방향에 대하여 제2 파형지(195a)에 형성된 주름의 방향이 소정의 각도(θ)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도(θ)가 0도인 경우, 즉 제1 파형지(194a)에 형성된 주름의 방향 및 제2 파형지(195a)에 형성된 주름의 방향이 나란한 경우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중골판지(19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각도(θ)가 0도를 초과하고 90도(수직) 이하인 경우에는 각도(θ)가 증가될수록 중간에 배치된 면지(192a)에 제1 파형지(194a)결합된 부분 및 제2 파형지(195a)가 결합된 부분이 단위면적당 교차되는 지점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골판지(190a)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다만, 각도(θ)가 0도인 경우를 제외하면, 이중골판지(190a)의 생산공정에서 제1 파형지(194a) 및 제2 파형지(195a)를 별도로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야 할 수 있으므로, 이중골판지(190a)에 요구되는 강도 및 생산비용 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절한 각도(θ)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나란함' 및 '수직'은 수학적인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 등 각종 오차를 감안한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함을 밝힌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외측커버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표시된 Ⅷ-Ⅷ 선분에 의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도시되지 않음)의 외측커버(230)에는 지지패널(235), 장식물(234), 한 쌍의 도어본체(2331), 한 쌍의 자성체(2333) 및 고정자석(2353)이 포함될 수 있으며, 외측커버본체(231)에는 개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패널(235)은 외측커버본체(231)의 저면에 결합되는데, 지지패널(235)의 양측에는 한 쌍의 안내접부(235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식물(234)은 개구(233)를 통하여 일면이 노출되도록 지지패널(235)의 상면에 결합되며, 한 쌍의 도어본체(2331)는 지지패널(235)의 상면 및 외측커버본체(231)의 저면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도어본체(2331)는 한 쌍의 안내접부(2351)에 의해 형성된 외측커버본체(231)의 저면 및 지지패널(235)의 상면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개구(233)에 대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안내접부(2351)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걸림돌기(2352)가 각각 돌출되고, 한 쌍의 도어본체(2331)에는 걸림돌기(2352)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홈(2332)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도어본체(2331)는 걸림돌기(2352) 및 걸림홈(2332)의 간섭에 의해 각각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자석(2353)은 지지패널(235)의 중심부에 배치되는데, 한 쌍의 도어본체(2331)에는 고정자석(2353)에 근접했을 때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자성체(2333)가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자성체(2333)는 한 쌍의 도어본체(2331)에 의해 장식물(234)의 일면이 개구(233)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되었을 때 상기 고정자설(2353)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외측커버(230)는 한 쌍의 도어본체(2331)가 양측으로 미닫이문과 같이 개방되면 장식물(234)이 개구(233)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도시되지 않음)를 선물 포장의 용도로 사용했을 때 수신인에게 적합한 메시지 또는 사진 등을 장식물(234)로 사용함으로써 편의성 및 심미적인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외측커버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외측커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도시되지 않음)의 외측커버(330)에는 외측커버본체(331), 자석고정편(3354), 지지패널(335), 고정자석(3353), 장식물(334), 한 쌍의 도어본체(3331), 한 쌍의 고정자석(3333) 및 한 쌍의 손잡이(3334)가 포함되며, 외측커버본체(331)에는 개구(333)가 형성된다.
지지패널(335)의 상면은 외측커버본체(331)의 저면에 결합되며, 지지패널(335)의 중심부에는 자석결합공(3351)이 형성된다. 지지패널(335)의 상면에는 장식물(334)이 결합되는데, 장식물(334)의 일면이 개구(333)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자석결합공(3351)에는 고정자석(3353)이 삽입되고, 지지패널(335)의 저면에는 자석고정편(3354)이 결합되어 고정자석(3353)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한 쌍의 도어본체(3331)에는 결합부(3335) 및 절첩부(3332)가 형성되는데, 결합부(33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33)의 양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도어본체(3331)의 나머지 부분은 절첩부(3332)에 의해 결합부(333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 쌍의 도어본체(3331)에는 한 쌍의 자성체(3333)가 각각 결합되는데, 한 쌍의 자성체(3333)는 한 쌍의 도어본체(3331)가 개구(333)를 커버하여 장식물(334)의 일면이 한 쌍의 도어본체(3331)에 의해 커버될 때 고정자석(3353)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손잡이(3334)는 한 쌍의 도어본체(3331)에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손잡이(3334)를 견인함으로써 고정자석(3353) 및 자성체(3333)에 의해 장식물(334)의 일면을 커버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도어본체(3331)를 여닫이문 형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포장용 상자 110: 수용부
111: 수용부본체 112: 장식지
113: 수용공간 120: 단열커버
121: 단열커버본체 122: 장식지
123: 상측단열재 124: 제3 밀폐지
130: 외측커버 131: 외측커버본체
132: 장식지 140: 하측단열재
150: 제1 측방단열재 160: 제2 측방단열재
170: 제1 밀폐지 171: 제1 삽입부
172: 제1 상측커버부 173: 제1 측벽커버부
174: 저면부 180: 제2 밀폐지
181: 제2 삽입부 182: 제2 상측커버부
183: 제2 측벽커버부 184: 하방날개
185: 측방날개 190, 190a: 이중골판지
191, 191a, 192, 192a, 193, 193a: 면지
194, 194a, 195, 195a: 파형지

Claims (4)

  1.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수용부;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는 외측커버;
    상기 수용부의 저면 내측에 배치된 하측단열재;
    상기 하측단열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두 측면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다른 두 측면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
    상기 하측단열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측면을 제외한 두 측면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양단부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단열커버본체;
    상기 단열커버본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단열재의 상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방단열재의 상단부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상측단열재;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상기 제2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두 측면 및 제2 측방단열재 사이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방단열재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양단부 상단을 커버하는 제2 상측커버부와, 상기 제2 상측커버부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방단열재의 상기 수용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을 커버하는 제2 측벽커버부와, 상기 제2 측벽커버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일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한 쌍의 측방날개와, 상기 제2 측벽커버부의 하측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하측단열재의 일부를 커버하는 하방날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 밀폐지;
    상기 하측단열재의 상면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 및 상기 제2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는 사각형의 저면커버부와, 상기 저면커버부의 네 변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와 접하는 두 변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상기 수용부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각각 커버하는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커버부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방단열재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상측커버부의 양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제1 상측커버부와, 상기 제1 상측커버부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네 측면 중 상기 제1 측방단열재가 배치된 두 측면 및 제1 측방단열재 사이로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 제1 밀폐지;
    상기 상측단열재의 저면과 측면 및 상기 단열커버본체의 저면 중 상기 상측단열재와 접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결합된 제3 밀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폐지, 제2 밀폐지 및 제3 밀폐지는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지거나, 기밀성 또는 수밀성을 갖는 소재가 코팅된 종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단열재, 상기 하측단열재, 상기 제1 측방단열재 및 상기 제2 측방단열재는 복수 겹의 이중골판지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이중골판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평판 형상을 갖는 세 장의 면지;
    상기 세 장의 면지가 형성하는 두 간격 중 어느 하나에 개재되고, 물결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제1 파형지; 및
    상기 두 간격 중 다른 하나에 개재되고, 물결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 제2 파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면지, 상기 제1 파형지 및 상기 제2 파형지에는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1:1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제1 첨가제가 포함된 것인
    포장용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단열재, 상기 하측단열재, 상기 제1 측방단열재 및 상기 제2 측방단열재는 3겹의 이중골판지로 구성된
    포장용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겹의 이중골판지 중 가운데 배치된 것은,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흡유량이 300 내지 350㎖/g이며 디메틸실리콘오일이 흡유된 제1 미분말실리카 및 퍼라이트가 1:1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된 제1 첨가제가 포함된 제2 고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3겹의 이중골판지 중 양측에 배치된 것은, 평균입경이 2 내지 3㎛이고 비표면적이 200 내지 300㎡/g인 제2 미분말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4 내지 7㎛이고 비표면적이 280 내지 400㎡/g이며 왁스가 코팅된 제3 미분말실리카가 1:10 내지 1:1 중량비로 혼합된 제2 첨가제가 포함된 제3 고지로 이루어진 것인
    포장용 상자.
KR20140017816A 2014-02-17 2014-02-17 포장용 상자 KR10145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7816A KR101458738B1 (ko) 2014-02-17 2014-02-17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7816A KR101458738B1 (ko) 2014-02-17 2014-02-17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738B1 true KR101458738B1 (ko) 2014-11-05

Family

ID=5228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7816A KR101458738B1 (ko) 2014-02-17 2014-02-17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7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502B1 (ko) * 2018-11-26 2020-03-16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밀폐구조를 통한 보냉 및 보온성이 향상된 배송박스
KR20200054701A (ko) * 2018-11-12 2020-05-20 이재석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KR102130557B1 (ko) 2019-02-28 2020-07-06 이재석 친환경 보냉 보온 상자
KR102130555B1 (ko) 2019-02-22 2020-07-06 이재석 친환경 보냉 보온 상자
KR20200001734U (ko)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호텔신라 식품용 보냉상자
KR102201363B1 (ko) * 2020-06-22 2021-01-08 이재석 보냉 성능이 향상된 포장용 상자
KR200495805Y1 (ko) * 2022-05-19 2022-08-22 정태영 선물용 친환경 포장상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081A (ja) * 1995-10-19 1997-04-28 Oji Paper Co Ltd 鮮度保持保冷段ボール容器
KR20100008261A (ko) * 2008-07-15 2010-01-25 (주)조은포장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081A (ja) * 1995-10-19 1997-04-28 Oji Paper Co Ltd 鮮度保持保冷段ボール容器
KR20100008261A (ko) * 2008-07-15 2010-01-25 (주)조은포장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701A (ko) * 2018-11-12 2020-05-20 이재석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KR102162819B1 (ko) * 2018-11-12 2020-10-07 이재석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89502B1 (ko) * 2018-11-26 2020-03-16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밀폐구조를 통한 보냉 및 보온성이 향상된 배송박스
KR20200001734U (ko)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호텔신라 식품용 보냉상자
KR102130555B1 (ko) 2019-02-22 2020-07-06 이재석 친환경 보냉 보온 상자
KR102130557B1 (ko) 2019-02-28 2020-07-06 이재석 친환경 보냉 보온 상자
KR102201363B1 (ko) * 2020-06-22 2021-01-08 이재석 보냉 성능이 향상된 포장용 상자
KR200495805Y1 (ko) * 2022-05-19 2022-08-22 정태영 선물용 친환경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738B1 (ko) 포장용 상자
US11542092B2 (en) Insulated block packaging assembly
WO2013002325A1 (ja) 断熱容器
CN201907714U (zh) 具有防潮保温性的纸箱
KR101560125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단열 박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단열 박스
JPWO2020093009A5 (ko)
KR950012782B1 (ko) 단열포장상자
WO2017085836A1 (ja) 紙製保冷容器
KR200451372Y1 (ko) 단열 상자용 원단
US20220250827A1 (en) Insulation Box Liner and System with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WO2021145590A1 (ko) 다층구조에 의한 보온 기능을 높인 포장박스
KR102328598B1 (ko) 포장상자용 보냉상자
JP5410084B2 (ja) 梱包箱及び箱状芯材
US20200361695A1 (e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made of paper
JP6742076B2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KR102208143B1 (ko)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3366B1 (ko) 보냉 골판지 박스
CN108455011B (zh) 可折叠箱及可折叠保温箱
KR102469430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KR102097481B1 (ko) 포장용 박스
KR20200054701A (ko)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CN216806425U (zh) 一种防水抗震型瓦楞纸盒
KR20200003965A (ko) 밀폐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TWM316877U (en) Glass substrate package
KR200495815Y1 (ko) 속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