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66B1 - 보냉 골판지 박스 - Google Patents

보냉 골판지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66B1
KR102303366B1 KR1020200040828A KR20200040828A KR102303366B1 KR 102303366 B1 KR102303366 B1 KR 102303366B1 KR 1020200040828 A KR1020200040828 A KR 1020200040828A KR 20200040828 A KR20200040828 A KR 20200040828A KR 102303366 B1 KR102303366 B1 KR 10230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corrugated cardboard
folded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학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러스 filed Critical (주)네오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4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7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applying a web on the edge of the body, and subsequent inward folding of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구조의 접이식 골판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냉과 더불어 밀폐성을 향상시켜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수분 흡수로 의한 박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면체 구조의 골판지 박스로서, 제1가로부, 제1세로부, 제2가로부, 제2세로부가 직각으로 접혀 형성되는 사각틀과,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가로접이선을 경계로 바깥쪽에 각각 형성된 가로접이부와, 제1세로부와 제2세로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세로접이선을 경계로 바깥쪽에 각각 형성된 세로접이부를 포함하며, 인접한 가로접이부와 세로접이부에 있어 가로접이선이 골판지 두께(T)이하 만큼 세로접이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가로접이부와 세로접이부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냉 골판지 박스{Corrugated cardboard box for keeping cool}
본 발명은 육면체 구조의 접이식 골판지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냉과 더불어 밀폐성을 향상시켜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수분 흡수로 의한 박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원판지(liner)에 파형의 골심지(corrugating medium)를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이며, 비교적 적은 무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 높은 압축강도를 제공하는 특성과 완충성을 갖도록 제조된 것으로서, 주로 각종 물품의 포장용 박스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골판지의 종류로는 편면골판지(single faced corrugated fiberboard), 양면골판지(double faced, single wall), 이중양면골판지(double wall), 삼중양면골판지(triple wall) 등으로 나누어지며, 사용 목적에 따라 이외에도 다양한 골판지의 종류가 있다.
통상의 골판지는 수분에 약하기 때문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류를 골판지 박스에 포장하면 수분에 의해 박스가 쉽게 손상된다. 또한, 박스가 비에 맞거나 습도가 높은 곳에 보관되는 경우에도 박스가 쉽게 손상되고, 결국 포장된 내용물까지 손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인해 골판지 포장박스의 사용이 제약을 받는다.
한편, 골판지 박스는 평판의 골판지를 설계대로 재단하고, 재단된 골판지를 접고 단부를 상호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둘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다.
그리고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 개방된 부위를 접어 내용물이 안전 또는 신선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관한다.
통상적으로 골판지 박스는 접는 방식에 따라 크게 슬롯형, 덮개형, 폴더형으로 구분된다. 슬롯형은 1장의 골판지를 접어 만드는 형태이고, 덮개형은 본체박스에 덮개박스를 끼워 만드는 형태이며, 폴더형은 슬롯형과 마찬가지로 1장의 골판지를 접어 만들되 제품 주위 부분을 추가로 접어 만드는 형태이다.
이 중에서 골판지를 접어 만드는 슬롯형과 폴더형에서 보냉 및 밀폐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발생하게 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골판지 박스의 꼭지점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종래의 골판지 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덮개면(13, 14) 사이를 구획하는 절개홈의 심부(3)가 단순 라운드 형태로 절개되고, 두 측면(11, 12) 사이를 구획하는 접이선(E)이 심부의 가운데를 지나도록 설정된다.
이로 인해, 두 측면(11, 12)을 접은 다음, 두 덮개면(13, 14)을 순서대로 접으면, 박스의 꼭지점부에 틈(g)이 크게 발생되면서 박스의 보냉 및 밀폐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7827호 (2014.04.01.: 공고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966호 (2010.08.02.: 공개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1057호 (2019.08.30.:공개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보냉 효과가 우수하여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밀폐력이 뛰어나 박스 내부에 생성된 물방울로 인한 박스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보냉 골판지 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면체 구조의 골판지 박스로서, 제1가로부, 제1세로부, 제2가로부, 제2세로부가 직각으로 접혀 형성되는 사각틀과, 제1가로부와 제2가로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가로접이선을 경계로 바깥쪽에 각각 형성된 가로접이부와, 제1세로부와 제2세로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세로접이선을 경계로 바깥쪽에 각각 형성된 세로접이부를 포함하며, 인접한 가로접이부와 세로접이부에 있어 가로접이선이 골판지 두께(T)이하 만큼 세로접이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가로접이부와 세로접이부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접이부와 세로접이부의 사이에는 절개선이 가로접이선의 끝단까지 형성되며, 절개선에서 연장된 절개사선이 세로접이선의 끝단까지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이부의 높이(L2)는 가로부의 길이(L1)의 절반 이상으로서, 마주하는 세로접이부를 수평하게 접었을 경우 마주하는 세로접이부의 끝단이 접하거나 겹쳐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접이부의 높이(V2)는 세로부의 길이(V1)의 절반 이상으로서, 마주하는 가로접이부를 수평하게 접었을 경우 마주하는 가로접이부의 끝단이 접하거나 겹쳐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골판지 박스의 내측면은 필름에 의해 라미네이팅 처리 또는 마이카 코팅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틀의 안쪽으로 세로접이부를 접고, 세로접이부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로접이부를 접을 경우 가로접이부의 단부가 세로부의 바깥면 외측으로 상기 높이차만큼 돌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는 골판지를 3중화하여 각 공기층을 두껍게 함은 물론 3층 구조를 이루므로 골간 공기유동을 3단계로 차단함으로써,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공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내외부간 열교환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보냉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내면지에 PE필름으로 라미네이팅 또는 마이카 코팅 처리하여 내외부간의 공기투과를 더욱 치밀하게 차단함으로써 보냉효과를 높이며, 충진제품이 갖고 있는 수분 혹은 유통 중 발생할 수 있는 결로로 인한 물방울 등이 박스강도의 약화나 박스로의 수분침투를 차단함으로써 박스의 훼손을 방지한다. 아울러 내면의 코팅제가 종이컵 등의 내면 코팅제와 동일한 식품용으로 무해하므로 식품 등의 위생관리에 유용하다.
박스의 속날개 크기를 일반 박스와 달리 크게 하여 속날개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박스의 상하면이 이중으로 차단되므로 상하면의 보냉 효과를 2배로 증대시킬뿐만 아니라 내부에 발생되는 수분 혹은 물방울이 쉽게 박스의 주재료인 종이로의 침투하므로 발생하는 박스의 강도 약화와 훼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냉원리에 있어서 주요 요소 중 하나인 내외부간의 공기흐름 차단을 위하여 박스의 메커니즘에 따라 박스의 상하면 모서리 양끝단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서리부분 절개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박스 내외부간의 틈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는 골판지로 제작됨에 따라 종래의 스티로폴 박스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종래의 은박지가 부착된 골판지에 비해 단가가 많이 낮고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는 가로접이선과 세로접이선의 높이차를 골판지 박스의 두께의 1/2로 구성함으로써, 두께차에 의해 가로접이선을 테이핑할 경우 가압상태가 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골판지 박스의 꼭지점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상세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상세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보냉 골판지 박스(100)의 전개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로부(110a, 110b)와 2개의 세로부(120a, 120b)를 구비하며, 각 가로부(110a, 110b)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의 가로접이부(114)가 형성되고, 각 세로부(120a, 120b)의 상부와 하부 또한 각각의 세로접이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로부(110a, 110b)의 일측에는 반대쪽의 세로부(120a, 120b)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개된 보냉 골판지 박스(100)를 직육면체의 박스(100)로 접기 위해서는 가로부(110a, 110b)와 세로부(120a, 120b) 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접고, 가로부(110a, 110b)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130)를 세로부(120a, 120b)의 타측에 접하여 접착제 또는 스탬플러 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러면 2개의 가로부(110a, 110b)와 2개의 세로부(120a, 120b)에 의해 사각틀(도 4 및 도 5의 150)이 형성되며, 이 상태에서 세로접이부(124)를 사각틀(150)의 안쪽으로 먼저 접고, 이후 가로접이부(114)를 접어 접혀진 세로접이부(124)의 상면에 가로접이부(114)가 겹쳐지도록 하여 직육면체의 보냉 골판지 박스(100)를 완성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며 접혀지는 보냉 3중 골판지 박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개의 가로부(110a, 110b)는 도 1에 보이듯이, 고정부(130)가 형성된 제1가로부(110a) 그리고 2개의 세로부(120a, 12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가로부(110b)로 구분되며, 2개의 세로부(120a, 120b)는 제1가로부(110a)와 제2가로부(11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세로부(120a)와 고정부(130)가 고정되는 제2세로부(120b)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1가로부(110a)와 제2가로부(110b)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로접이부(114)가 형성되며, 가로접이부(1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이된 사각틀(150) 안쪽으로 접힐 수 있게 가로접이선(113)이 가로부(110a, 110b)와 가로접이부(114)의 경계에 형성된다.
또한 제1세로부(120a)와 제2세로부(120b)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세로접이부(124)가 형성되며, 세로접이부(1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이된 사각틀(150) 안쪽으로 접힐 수 있게 세로접이선(123)이 세로부(120a, 120b)와 세로접이부(124)의 경계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골판지 박스(100)는 가로부(110a, 110b)와 세로부(120a, 120b)를 접어 사각틀(150)을 형성한 후에 세로접이부(124)를 우선 접고 가로접이부(114)를 접어 직육면체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직육면체의 8개 꼭지점부(140)에 종래와 같이 틈(도 1의 g)이 형성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접이선(123)과 가로접이선(113)의 높이차가 3중 골판지의 두께(T)의 1/2로 발생하되, 가로접이선(113)이 세로접이선(123)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쪽에 형성된 가로접이선(113)의 위치는 세로접이선(123)의 위치보다 골판지의 두께(T)의 1/2만큼 바깥쪽으로 높게 위치하는 반면에, 하부 쪽에 형성된 가로접이선(113)의 위치는 세로접이선(123)의 위치보다 3중 골판지의 두께(T)의 1/2만큼 바깥쪽으로 낮게 위치한다. 즉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두 가로접이선(113)의 수직 간격은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두 세로접이선(123)의 수직 간격보다 3중 골판지 두께(T)만큼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보이듯이, 가로접이부(114)와 세로접이부(124)의 사이에 형성된 절개선(160)은 가로접이선(113)의 위치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선(160)의 끝단에서는 절개사선(161)이 연장되는데, 가로접이선(113)의 끝단에서 세로접이선(123)의 끝단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가로접이선(113)과 세로접이선(123)의 높이차는 골판지 두께의 1/2이므로 절개사선(161)의 높이 또한 골판지 두께의 1/2이 된다.
이와 같이 절개선(160)이 가로접이선(113)까지 형성되고, 절개선(160)에서 연장된 절개사선(161)이 골판지 두께(T)의 1/2만큼 세로접이선(123)까지 연장됨에 따라 가로접이부(114)를 접은 후 세로접이부(124)를 접을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접이부(114)의 양측이 세로부(120a, 120b)의 외측면 바깥쪽으로 골판지 두께(T)의 1/2만큼 돌출되어 넓게 덮음으로써, 종래와 같이 꼭지점부에 틈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직육면체 구조의 박스(100)의 8꼭지점부(140)가 틈 형성 없이 접히게 됨에 따라 박스(100) 내부와 외부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박스(100)의 내측면은 PE필름(101)으로 라미네이팅 처리 또는 마이카 코팅 처리된다. 따라서 박스(1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수분이 포함되거나 또는 가열되어 수증기가 발생하는 내용물이더라도 수분이 골판지에 침투하여 골판지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여기에서 라미네이팅 처리 또는 마이카 코팅 처리는 골판지의 내측면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처리될 수 있겠으나, 내용물의 보냉을 위해서는 내측면의 코팅처리가 우선시 되며,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으로부터 골판지 박스(100)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외측면에도 라미네이팅 처리 또는 마이카 코팅 처리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보냉을 위해서는 가로접이부(114)와 세로접이부(124)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반지 박스(100)는 아래와 같이 가로부(110a, 110b)와 세로부(120a, 120b) 및 접이부(114, 124)의 사이에 유기적 결합관계가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가로부(110a, 110b)와 2개의 세로부(120a, 120b)의 경계를 접고 고정부(130)를 세로부(120a, 120b)에 고정함에 따라 형성된 사각틀(150)에 있어서, 상호 마주하는 세로부(120a, 120b)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세로접이부(124)를 세로접이선(123)을 따라 사각틀(150)의 안쪽으로 수평하게 접는다. 이때 마주하는 세로접이부(124)의 끝단이 상호 접하거나 겹쳐짐으로써, 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세로접이부(124)의 높이(L2)는 가로부의 길이(L1)의 절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접이부(124)가 접힌 상태에서 가로접이부(114)를 접음에 있어 이 또한 마주하는 가로접이부(114)의 끝단이 상호 접하거나 겹쳐져 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로접이부의 높이(V2)가 세로부의 길이(V1)의 절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보냉 골판지 박스의 접이 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전개된 골판지 박스(100)에 있어서, 가로부(110a, 110b)와 세로부(120a, 120b)가 상호 직각이 되도록 접고, 고정부(130)를 세로부(120a, 120b)의 타측에 접하도록 접는다. 그리고 고정부(130)를 세로부(120a, 120b)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거나 또는 스탬플러를 이용하여 스탬플러 침으로 고정한다. 그러면 2개의 가로부(110a, 110b)와 2개의 세로부(120a, 120b)에 의해 사각틀(150)이 형성된다.
사각틀(150)에 있어서, 2개의 가로부(110a, 110b)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의 가로접이부(114)(총 4개의 가로접이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2개의 세로부(120a, 120b)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의 세로접이부(124)(총 4개의 세로접이부)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하단에 위치한 세로접이부(124)를 사각틀(150)의 안쪽방향으로 수평하게 접는다. 그러면 세로접이부(124)의 끝단이 접하거나 약간 포개지면서 사각틀(150)의 하단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가로접이부(114)를 사각틀(150)의 안쪽 방향으로 접으면 접혀진 세로접이부(124)의 아래에 가로접이부(114)가 겹치면서 사각틀(150)의 하부를 2중으로 폐쇄하게 된다.
접혀진 가로접이부(114) 또한 그 끝단이 상호 접하거나 약간 포개진 상태가 되면서 사각틀(150)의 하부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면 끝단이 상호 접하거나 겹친 가로접이부(114)의 단부를 따라 테이핑 한다.
이와 같이 사각틀(150)의 하부가 폐쇄되면 상부로 개방된 사각틀(150) 안쪽에 내용물을 위치하고 상부 세로접이부(124)와 가로접이부(114)를 앞서 하부 세로접이부(124)와 가로접이부(114)를 접는 방식과 동일하게 접는다.
그리고 끝단이 상호 접하거나 겹친 가로접이부(114)의 단부를 따라 테이핑 하여 가로접이부(114)가 펼쳐지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접혀진 골판지 박스(100)의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 상태이며, 도 6에 보이듯이 박스의 8꼭지점부에는 가로접이부(114)가 세로부(120a, 120b)의 외측방향으로 골판지 두께의 1/2만큼 돌출되게 됨에 따라 가로접이부(114)의 면적이 넓어 틈이 형성되지 않아 밀폐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로접이선과 세로접이선의 높이차는 골판지 두께의 1/2로서, 세로접이부의 상면은 골판지의 두께에 의해 가로접이선보다 골판지 두께의 1/2만큼 높게 위치하게 된다. 즉, 가로접이부를 접을 경우 세로접이부의 상면에 접하면서 떠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양측 가로접이부를 테이핑하게 되면 가로접이부가 세로접이부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세로접이부(124)에 의해 1차 폐쇄되고, 가로접이부(114)에 의해 2차 폐쇄됨에 따라 단열성이 우수하여 보냉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100 : 박스
101 : 필름
110a, 110b : 가로부
113 : 가로접이선
114 : 가로접이부
120a, 120b : 세로부
123 : 세로접이선
124 : 세로접이부
130 : 고정부
140 : 꼭지점부
150 : 사각틀
160 : 절개선
161 : 절개사선

Claims (6)

  1. 육면체 구조의 골판지 박스로서,
    제1가로부(110a), 제1세로부(120a), 제2가로부(110b), 제2세로부(120b)가 직각으로 접혀 형성되는 사각틀(150)과,
    제1가로부(110a)와 제2가로부(110b)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가로접이선(113)을 경계로 바깥쪽에 각각 형성된 가로접이부(114)와,
    제1세로부(120a)와 제2세로부(120b)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세로접이선(123)을 경계로 바깥쪽에 각각 형성된 세로접이부(124)를 포함하며,
    인접한 가로접이부(114)와 세로접이부(124)에 있어 가로접이선(113)이 골판지 두께(T)이하 만큼 세로접이선(123)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가로접이부(114)와 세로접이부(124)의 높이차를 형성하고,
    가로접이부(114)와 세로접이부(124)의 사이에는 절개선(160)이 가로접이선(113)의 끝단까지 형성되며, 절개선(160)에서 연장된 절개사선(161)이 세로접이선(123)의 끝단까지 연장되며,
    사각틀(150)의 안쪽으로 세로접이부(124)를 접고, 세로접이부(124)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로접이부(114)를 접을 경우 가로접이부(114)의 단부가 세로부(120a, 120b)의 바깥면 외측으로 상기 높이차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골판지 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세로접이부(124)의 높이(L2)는 가로부(110a, 110b)의 길이(L1)의 절반 이상으로서, 마주하는 세로접이부(124)를 수평하게 접었을 경우 마주하는 세로접이부(124)의 끝단이 접하거나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골판지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가로접이부(114)의 높이(V2)는 세로부(120a, 120b)의 길이(V1)의 절반 이상으로서, 마주하는 가로접이부(114)를 수평하게 접었을 경우 마주하는 가로접이부(114)의 끝단이 접하거나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골판지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골판지 박스(100)의 내측면은 필름에 의해 라미네이팅 처리 또는 마이카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골판지 박스.
  6. 삭제
KR1020200040828A 2020-04-03 2020-04-03 보냉 골판지 박스 KR10230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28A KR102303366B1 (ko) 2020-04-03 2020-04-03 보냉 골판지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28A KR102303366B1 (ko) 2020-04-03 2020-04-03 보냉 골판지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366B1 true KR102303366B1 (ko) 2021-09-17

Family

ID=7792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28A KR102303366B1 (ko) 2020-04-03 2020-04-03 보냉 골판지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3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966A (ko) 2010-05-28 2010-08-02 허남기 골판지 포장박스
KR101377827B1 (ko) 2012-11-07 2014-04-01 선세근 신선도 유지기능 및 강도를 강화시킨 골판지 박스용 대체 접착제 조성물
JP3221990U (ja) * 2019-03-28 2019-07-04 大王パッケージ株式会社 箱用シート
KR20190101057A (ko) 2018-02-22 2019-08-30 김성훈 기능성 골판지
KR20200003965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밀폐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966A (ko) 2010-05-28 2010-08-02 허남기 골판지 포장박스
KR101377827B1 (ko) 2012-11-07 2014-04-01 선세근 신선도 유지기능 및 강도를 강화시킨 골판지 박스용 대체 접착제 조성물
KR20190101057A (ko) 2018-02-22 2019-08-30 김성훈 기능성 골판지
KR20200003965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밀폐성이 향상된 포장용 박스
JP3221990U (ja) * 2019-03-28 2019-07-04 大王パッケージ株式会社 箱用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58656A1 (en) Thermal container, thermal liner for same and dies for making the thermal liner
US7913896B2 (en) Board blank for producing a packaging corner, and packaging corner
KR101458738B1 (ko) 포장용 상자
US20130277418A1 (en) Packaging
KR102303366B1 (ko) 보냉 골판지 박스
KR102089502B1 (ko) 밀폐구조를 통한 보냉 및 보온성이 향상된 배송박스
CN211033362U (zh) 一种一体化预折叠物流防护包装箱
KR20210091590A (ko) 다층구조에 의한 보온 기능을 높인 포장박스
AU2009100102A4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Assembly
KR102469430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KR20210153818A (ko) 보냉종이포장상자
GB2283008A (en) Insulating box
CN215623330U (zh) 一种新能源环保生鲜冷链保温纸箱
JP7254847B2 (ja) 断熱容器及び保温ボックス
KR101152148B1 (ko) 식품 포장 박스
CN215623327U (zh) 一种环保冷链包装保温纸箱
JP3130190U (ja) 防湿ケース
KR200476650Y1 (ko) 포장상자용 베이스
KR102279662B1 (ko) 포장상자
CN214296993U (zh) 一种支架用包装箱
KR102208143B1 (ko)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K167059B1 (da) Vandfast kasse- eller laagemne
JPH09240755A (ja) 紙製断熱箱
JP2526408Y2 (ja) 保冷防水包装体
KR100638453B1 (ko) 포장용 박스 및 포장용 박스 접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