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701A -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701A
KR20200054701A KR1020180138311A KR20180138311A KR20200054701A KR 20200054701 A KR20200054701 A KR 20200054701A KR 1020180138311 A KR1020180138311 A KR 1020180138311A KR 20180138311 A KR20180138311 A KR 20180138311A KR 20200054701 A KR20200054701 A KR 2020005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ard
cover portion
packaging box
col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819B1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재석
Priority to KR102018013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발명으로, 판넬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 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보냉부 및 지지부의 하부의 일부와 맞닿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제1 보냉부는,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1보드부 및 제1 보드부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1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packing box with paper insulation}
본 발명은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로 만들어진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1 보드부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1 커버부로 구비되는 제1 보냉부와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2 보드부 및 제3 보드부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2 커버부 및 제3 커버부로 구비되는 제2 보냉부가 맞닿는 형상으로, 제2 보냉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모바일, TV홈쇼핑을 통한 거래가 활발해 지면서 다양한 물품에 대해 운반하거나 운송하는 운송산업이 발달되고 있다.
특히, 배송하기 까다로운 식품종류 또한 유통망이 확대되고, 물류 베이스가 구축됨에 따라 신선도 유지가 상품의 품질과 직결되는 육류, 수산물 또는 야채나 과일 및 냉동제품까지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냉 및 보온 상자 또는 아이스 팩을 사용하여 유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신선식품 시장과 온라인 시장이 커짐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신선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신선식품 배송에 단열재로서 사용되는 스티로폼 박스에 대한 환경오염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티로폼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고, 땅에 매립되면 썩는 데까지 500년이 걸리고, 스티로폼이 오염되어 있으면 재활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스티로폼은 시중에 나와 있는 포장 재료 중 보냉 및 보온성이 뛰어난 편으로, 온도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줄 수 있는 상변화물질을 활용한 포장 등 스티로폼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있지만, 스티로폼보다 단가가 높아 업계에서는 도입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스티로폼은 일반적인 종이와 달리 재활용이 어려워 매년 스티로폼을 방치할 수 없어 처리하는 문제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스티로폼이 제거된 보온, 보냉 포장상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6-0006132호
본 발명은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1 보드부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1 커버부로 구비되는 제1 보냉부와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2 보드부 및 제3 보드부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2 커버부 및 제3 커버부로 구비되는 제2 보냉부가 맞닿는 형상으로, 제2 보냉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는 커버부, 덮개구조 및 본체구조 각각이 모두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재료의 부위별로 분리하여 배출할 필요 없이 바로 종이 재활용품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 처리에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는 판넬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보냉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의 일부와 맞닿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냉부는,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1보드부; 및 상기 제1 보드부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1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상기 제1 커버부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1 커버부 천장부; 상기 제1 커버부 천장부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의 외측면을 따라 각각 결합되는 제1 연장 덮개부 내지 제4 연장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 보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가 상기 제2 보냉부의 내측면의 일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보냉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2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맞닿아 결합되는 제3 커버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보드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쌍의 제3 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커버부가 상기 제2 보드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3 커버부가 상기 제3 보드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상기 한 쌍의 제2 보드부는, 허니콤 구조로 일측면에서 하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제2 보드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보드부는, 허니콤 구조로 일측면에서 상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제3 보드부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보드부 돌출부와 상기 제3 보드부 돌출부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상기 제2 보냉부는, 상기 제2 커버부 연결부 및 상기 상측면부의 수직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수직방향으로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 보냉부는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드부(220)는 허니콤 보드부(20)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보드부 또는 제3 보도부 역시 허니콤 보드부(20)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2 보드부 또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3 보드부인 것일 수 있다.
한편, 하기의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에 관하여 기재한 사항은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2 보드부 또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3 보드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드부(220)는 제1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은 실리콘 레진; 폴리 우레탄 및 제올라이트가 포함된 제1 코팅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이 형성된 경우 제1 보드부(220)의 허니콤 구조 내부에 공기를 보다 치밀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의 흐름을 막아 보온 및 보냉성능이 우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자의 내구성을 높이고 일정 범위의 방수성을 가짐으로서, 상자에 표현된 디자인이 습기에 의하여 망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보드부(220)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일 수 있다. 상기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는 상기 제1 보드부(220)의 어느 일면 이상에 종이판지재가 결합된 것을 말한다.
상기 허니콤 보드부(20)는 종이 판지재를 말한다.
상기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보드부(20)는 제2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층은 에폭시 실록산; 디옥탈탈레이트 및 에틸렌 클리콜이 포함된 제1 코팅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코팅조성물은 실리콘 레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우레탄 30 내지 80 중량부;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종이재의 내구성을 높이면서 방수성 및 보온, 보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코팅조성물은 실리콘 레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우레탄 40 내지 60 중량부; 제올라이트 1.5 내지 3.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종이재의 방수성 및 보온, 보냉성이 높게 유지되어 상자 내부의 상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종이를 사용하여 재활용성을 높이면서도 스티로폼 재료를 대체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코팅조성물은 에폭시 실록산을 포함하고 에폭시 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탈탈레이트 1 내지 30 중량부; 에틸렌 클리콜 1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코팅조성물은 에폭시 실록산을 포함하고 에폭시 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옥탈탈레이트 5 내지 20 중량부; 에틸렌 클리콜 5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드부, 제2 보드부 또는 제3 보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그 일면에 제2 코팅층이 형성되고, 다른 일면은 라미네이팅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드부(220) 또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220a)는 제 2 고지 또는 제 3 고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고지는 재생지를 40w% 이상 포함시켜 다시 재생한 재활용 종이를 말한다. 또한 제3 고지는 제2 고지를 40w% 이상 재생지로 제조한 종이를 말한다. 상기 고지는 그 분류별로 물성이 다른데, 상기 제 2 고지 또는 제3 고지에 의하는 경우 그 사이에 기공이 많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특성을 가지면 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온, 보냉 포장상자 제작용 종이에 있어서 제2 또는 제3 고지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적인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고 보온, 보냉성 및 내구성을 높이고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코팅제는 하기의 [화학식 1]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R1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인기,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인기이며, n은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이루어진 첨가제는 실리콘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첨가제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코팅제는 하기의 [화학식 2]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화학식 2에서 n은 정수이다.)
상기 첨가제가 포함되는 경우 코팅층의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보냉성 및 내수성이 보다 우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코팅제는 하기의 [화학식 3]으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3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수소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코팅제는 하기의 [화학식 3]으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첨가제가 포함되는 경우 코팅층의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보냉성 및 내수성이 보다 우수하게 된다.
상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이루어진 첨가제는 에폭시 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첨가제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 또는 제2 코팅층에 의하는 경우 종이의 단열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여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포장상자의 보온 및 보냉성이 충분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는 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및 제3 커버부는 친환경 재질의 종이 재질로써, 원가가 저렴하고, 종이 재질 특성 상 제1 보드부, 제2 보드부 및 제3 보드부를 감쌀 때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보드부, 제2 보드부 및 제3 보드부는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능력이 뛰어나며, 휨이나 압축에 강한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단열성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 덮개구조 및 본체구조 각각이 모두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재료의 부위별로 분리하여 배출할 필요 없이 바로 종이 재활용품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 처리에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는 제2 보냉부의 내측면을 따라 일부에 맞닿고, 지지부의 하면은 제2 보냉부의 상면에 맞닿는 형상으로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 겹침부, 좌 날개 겹침부 및 우 날개 겹침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2 커버부와 겹침 구조로 맞닿아 결합될 때, 적은 힘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1 커버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1 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1 보냉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커버부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3 커버부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보드부 및 제3 보드부의 사용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보냉부의 사용 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9는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에 관한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8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8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8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지지부와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본체부의 하부와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1 커버부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1 보드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1 보냉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커버부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3 커버부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보드부 및 제3 보드부의 사용 실시 예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제2 보냉부의 사용 실시 예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는 지지부(100), 제1 보냉부(200), 본체부(300) 및 제2 보냉부(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지지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판넬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지지부(100)의 하부에서 중심부에는 후술할 제1 보냉부(200)와 결합되고, 도 8과 같이, 지지부(100)의 외측면은 후술할 본체부(300)의 내측면의 일부와 맞닿아 결합하는 구조가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보냉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보냉부(200)는 지지부(100)의 하면에 맞닿아 결합되고, 제1 커버부(210) 및 제1 보드부(220)로 구비된다.
제1 커버부(210)는 도 1과 같이, 제1 커버부 천장부(211), 제1 덮개부(212) 및 제1 연장 덮개부(213)로 구비된다.
제1 커버부 천장부(2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다. 또한,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재질은 종이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하며, 후술할 제1 보드부(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될 때,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커버부 덮개부(212)는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로 구비된다.
제1 덮개부(2121)는 도 1을 기준으로,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좌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덮개부(2122)는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상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3 덮개부(2123)는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우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4 덮개부(2124)의 하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좌,상,우,하측면은 도 1에서, 제1 커버부(210)의 전개도를 위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외측면을 따라 좌,상,우,하측면을 의미한다.
즉,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는 시계방향으로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좌측면에서 외측면을 따라 결합된다.
제1 커버부 연장 덮개부(213)는 제1 연장 덮개부(2131) 내지 제4 연장 덮개부(2134)로 구비된다.
제1 연장 덮개부(2131)는 제1 덮개부(2121)에서 제1 커버부 천장부(211)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지점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 덮개부(2132)는 제2 덮개부(2122)에서 제1 커버부 천장부(211)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지점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연장 덮개부(2133)는 제3 덮개부(2123)에서 제1 커버부 천장부(211)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지점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4 연장 덮개부(2134)는 제4 덮개부(2124)에서 제1 커버부 천장부(211)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지점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연장 덮개부(2131) 내지 제4 연장 덮개부(2134)는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가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좌측면에서 시계방향 순으로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를 따라 제1 덮개부(2121)의 외측면에서 시계방향 순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제1 보드부(220)는 도 2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보드부(220)는 공지의 허니콤 구조(honeycomb structure)로, 양측면이 모두 개방되고 중공부를 포함한 육각형 기둥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100) 및 후술할 제1 보냉부(200)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따로 분해한 뒤 분리 배출할 필요없이 바로 재활용으로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허니콤 구조는, 자연의 구조를 따른 벌집 형상으로 육각형 조합을 이루어 다양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능력이 뛰어나며, 휨이나 압축에 강한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단열성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즉, 도 2와 같이, 제1 보드부(220)는 허니콤 구조인 육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 허니콤 보드(221), 제2 허니콤 보드(222) 및 제3 허니콤 보드(223) 등이 복수 개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인접되어 형성되는 보드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제1 보드부(220)는 허니콤 구조에 따라 재활용과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인 종이 재질로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어떠한 길이, 폭 및 두께로 변형하여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게다가, 제1 보드부(220)는 방음 및 방한 구조인 판의 형상으로써, 스티로폼 대용품으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환경 공해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 보냉부(200)의 사용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커버부(210)는 제1 보드부(220)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커버부 천장부(211)의 하면이 제1 보드부(220)의 하면과 맞닿고, 제1 덮개부(2121)의 하면이 제1 보드부(220)의 일측면과 맞닿고, 제2 덮개부(2122)의 하면이 제1 보드부(220)의 상측면과 맞닿고, 제3 덮개부(2123)의 하면이 제1 보드부(220)의 타측면과 맞닿고, 제4 덮개부(2124)의 하면이 제1 보드부(220)의 하측면과 맞닿는다.
이때,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가 맞닿아 결합되는 제1 보드부(220)의 일측면, 타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은 어느 지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측면을 일측면으로 지정하였을 때, 지정한 일측면에서 타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연장 덮개부(2131)의 하부는 제1 보드부(220)의 일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하면의 일부에 맞닿고, 제2 연장 덮개부(2132)의 하부는 제1 보드부(220)의 상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하면의 일부에 맞닿고, 제3 연장 덮개부(2133)의 하부는 제1 보드부(220)의 타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하면의 일부에 맞닿고, 제4 연장 덮개부(2134)의 하부는 제1 보드부(220)의 하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하면의 일부에 맞닿는다.
이때, 제1 연장 덮개부(2131) 내지 제4 연장 덮개부(2134)가 맞닿아 결합되는 제1 보드부(220)의 하부에서 일측면, 타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은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가 결합되는 제1 보드부(220)의 일측면, 타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의 지정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1 보냉부(200)의 사용 실시 예에서의 형상은, 각각의 제1 커버부 덮개부(212)와 각각의 제1 커버부 연장 덮개부(213)로 감싸진 제1 보드부(220)의 형상이 된다.
또한, 각각의 제1 커버부 덮개부(212)와 각각의 제1 커버부 연장 덮개부(213)로 감싸진 제1 보드부(220)의 상면은 지지부(100)의 하면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보냉부(200)의 상면은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 및 제1 연장 덮개부(2131) 내지 제4 연장 덮개부(2134)의 하면으로 감싸진 지지부(100)의 상면과 동일한 면이 된다.
또한, 제1 보냉부(200)에서 제1 덮개부(2121)와 지지부(100)의 일측면이 평행하고, 제2 덮개부(2122)와 지지부(100)의 상측면이 평행하고, 제3 덮개부(2123)와 지지부(100)의 타측면이 평행하고, 제4 덮개부(2124)와 지지부(100)의 하측면이 평행하여 후술할 본체부(300) 내측면을 따라 일부와 맞닿을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00)와 결합된 제1 보냉부(200)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에서 속 덮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허니콤 구조로 구성된 제1 보드부(220)는 허니콤 구조로 구성되어 냉매 및 보온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신선식품 포장용 상자에서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환경문제, 공간 및 보관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보냉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보냉부(400)는 제2 커버부(410), 제3 커버부(420), 제2 보드부(430) 및 제3 보드부(440)로 구비된다.
제2 커버부(410)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 제2 커버부 연결부(412), 제2 커버부 날개부(413) 및 제2 커버부 연장 날개부(414)로 구비된다.
제2 커버부 바닥부(4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커버부(210)의 두께와 재질을 동일하게 제작하여 서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제2 커버부 연결부(412)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에서 폭방향으로 향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좌 연결부(4121) 및 우 연결부(4122)를 구비한다.
좌 연결부(4121)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일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우 연결부(4122)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타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좌 연결부(4121) 및 우 연결부(4122)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또한,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어느 지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측면을 일측면으로 지정하였을 때, 지정한 일측면에서 타측면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커버부 바닥부(411)를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제2 커버부 연결부(412)는 도 5와 같이, 점선으로 접힘이 가능하여 제2 커버부 바닥부(411)와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버부 날개부(413)는 좌날개(4131) 및 우날개(4132)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2 커버부 연결부(412)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날개(4131)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가 결합되는 좌 연결부(4121)의 반대 방향에서 일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좌 연결부(4121)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날개(4132)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가 결합되는 우 연결부(4122)의 반대 방향에서 일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우 연결부(4122)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제2 커버부 날개부(413)는 도 4와 같이, 점선으로 접힘이 가능하여 각각의 제3 커버부 연결부(412)와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버부 연장 날개부(414)는 좌 연장날개(4141) 및 우 연장날개(4142)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2 커버부 날개부(413)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 연장날개(4141)는 좌 연결부(4121)가 결합되는 좌날개(4131)의 반대 방향에서 일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우 연장날개(4142)는 우 연결부(4122)가 결합되는 우날개(4132)의 반대 방향에서 일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제2 커버부 연장 날개부(414)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형성되고, 좌날개(4131)가 결합되는 좌 연장날개(4141)의 지점을 일측면이라 하면, 좌 연장날개(4141)의 타측면으로 갈수록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아져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제2 커버부 연장 날개부(414)는 도 4와 같이, 점선으로 접힘이 가능하여 각각의 제3 커버부 날개부(413)와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3 커버부(420)는 바닥 겹침부(421), 좌날개 겹침부(422), 우날개 겹침부(423), 상 측면부(424), 상 날개부(425) 및 상 연장 날개부(426)로 구비된다.
상측면부(42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커버부(410)의 두께와 재질을 동일하게 제작하여 서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좌 날개 겹침부(422)는 상측면부(424)의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면부(424)에서 폭방향으로 생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우 날개 겹침부(423)가 좌 날개 겹침부(423)와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때, 좌 날개 겹침부(422) 및 우 날개 겹침부(423)의 모양은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제2 커버부(410)와 겹침 구조로 맞닿아 결합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비교적 적은 힘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 날개 겹침부(422) 및 우 날개 겹침부(423)는 도 5와 같이, 점선으로 형성되어 상측면부(424)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접힘 구조가 형성되어 상측면부(424)와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 겹침부(421)는 상측면부(424)의 하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다리꼴 모양의 형상으로 좌 날개 겹침부(422) 및 우 날개 겹침부(423)의 효과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대한 효과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바닥 겹침부(421)는 도 5와 같이, 점선으로 형성되어 상측면부(424)의 하측면을 따라 접힘 구조가 형성되어 상측면부(424)와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날개부(425)는 상측면부(424)의 상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점선으로 형성되어 상측면부(424)의 상측면을 따라 접힘 구조가 형성되어 상측면부(424)와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 연장 날개부(426)는 상측면부(424)가 결합되는 상날개부(426)의 반대 지점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다리꼴 모양의 형상으로 바닥 겹침부(421)의 효과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대한 효과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2 보드부(430) 및 제3 보드부(44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보드부(430)는 허니콤 구조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보드부(220)와 동일한 제작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보드부(43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커버부(410)의 제2 커버부 날개부(413)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여 결합 시에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보드부(43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제2 커버부 날개부(413)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후에도 보는 사람으로부터 심미감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보드부(430)는 일측면에서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홈을 구비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보드부 돌출부(434)를 구비하여 제3 보드부(440)와 맞물리는 구조를 가진다.
제3 보드부(440)는 허니콤 구조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보드부(220) 및 제2 보드부(430)와 동일한 제작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 보드부(44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는 제3 커버부(420)의 상 날개부(425)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여 결합 시에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효과는 제2 보드부(43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가 제2 커버부 날개부(413)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여 나타나는 효과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3 보드부(440)는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홈을 구비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제3 보드부 돌출부(444)를 구비하여 제2 보드부(430)와 맞물리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보드부 돌출부(434)의 하부와 제3 보드부 돌출부(444)의 상부가 수직방향으로 맞물리며 결합되어 제2 보드부(430)와 제3 보드부(440)는 수직되어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제2 보드부(430)와 한 쌍의 제3 보드부(440)가 결합될 때, 각각의 제2 보드부 돌출부(434)와 각각의 제3 보드부 돌출부(444)가 수직방향으로 인접되어 결합되므로 직사각형 모양으로의 폐쇄적 형상을 가진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2 보냉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제2 보드부(430) 중 어느 하나의 제2 보드부(430)는 제2 커버부(410)의 우 연결부(4122), 우날개(4132) 및 우 연장날개(4142)와 맞닿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 제2 보드부(430)의 제2 보드부 외측면(431)은 우 연장날개(4142)와 맞닿아 결합되고, 제2 보드부(430)의 제2 보드부 상면(432)은 우날개(4132)와 맞닿아 결합되고, 제2 보드부(430)의 제2 보드부 내측면(433)은 우 연결부(4122)와 맞닿아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 커버부(410)의 우 연결부(4122), 우날개(4132) 및 우 연장날개(4142)와 대칭되는 좌 연결부(4121), 좌날개(4131) 및 좌 연장날개(4141)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보드부(430) 중 다른 하나의 제2 보드부(430)와 동일하게 맞닿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커버부(410)와 한 쌍의 제2 보드부(430)가 결합된 형상의 단면은 누운 ㄷ자 형상 'Ц'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제3 보드부(440) 중 어느 하나의 제3 보드부(440)는 제3 커버부(420)의 상측면부(424), 상 날개부(425) 및 상 연장 날개부(426)와 맞닿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 제3 보드부(440)의 제3 보드부 외측면(441)은 상 연장 날개부(426)와 맞닿아 결합되고, 제3 보드부(440)의 제3 보드부 상면(442)은 상 날개부(425)와 맞닿아 결합되고, 제3 보드부(440)의 제3 보드부 내측면(443)은 상측면부(424)와 맞닿아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3 커버부(420) 중 다른 하나의 제3 커버부(420)는 동일한 방법으로 한 쌍의 제3 보드부(440) 중 다른 하나의 제3 보드부(440)와 동일하게 맞닿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커버부(410)가 결합된 제2 보드부(430)와 제3 커버부(420)가 결합된 제3 보드부(440)는 제2 보드부 돌출부(434)와 제3 보드부 돌출부(444)의 결합으로 인해 중공부를 포함하는 일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2 커버부(410)가 결합된 제2 보드부(430)와 제3 커버부(420)가 결합된 제3 보드부(440)가 결합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바닥 겹침부(421)는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일측면에서 하면 일부에 맞닿아 결합하고, 우 날개 겹침부(423)는 우 연결부(4122)과 결합된 제2 보드부 내측면(433)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일측면은 네 개의 측면에서 각각의 제2 커버부 연결부(412)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두개의 측면 중 하나를 일컬으며, 임의로 먼저 결합하는 측면을 일측면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우 날개 겹침부(423)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우 연결부(4122)와 제2 보드부 내측면(433)의 사이에 삽입될 때, 직사각형의 형상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제2 커버부 바닥부(411)의 타측면도 동일하게 제3 커버부(420)가 결합되어 제2 보냉부(400)의 형상으로써, 본체부(3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상자에서 물건을 포장 및 배송 가능한 박스로 활용된다.
다시 말해, 도 8과 같이, 본체부(300)의 내측면에 제2 보냉부(400)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단열성이 우수한 허니콤 구조의 제2 보드부(430) 및 제3 보드부(440)의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포장되는 신선식품의 각각의 사측면에서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지지부(100)와 결합된 제1 보냉부(200)의 각각의 외측면인 제1 덮개부(2121) 내지 제4 덮개부(2124)가 제2 보냉부(400)의 내측면을 따라 일부에 맞닿아 신선식품의 각각의 측면 및 상면에서 보호 "G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허니콤 구조를 가진 제2 보냉부(400)의 각각의 내측면에서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니콤 구조를 가진 제1 보냉부(200)의 외측면이 제2 보냉부(400)의 내측면을 따라 맞닿아 덮어지는 구조로써, 신선식품의 상단까지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면이 형성되어 단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제1 보냉부(200) 및 제2 보냉부(400)는 단열성 뿐만 아니라, 육각형은 삼각형 조합으로 이루어진 트러스 구조와 유사하여 같은 재료로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효과적인 도형의 허니콤 구조로 인하여 구조적 성능이 뛰어나 외부 충격력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지지부(100) 및 제1 보냉부(200)의 하부가 제2 보냉부(400) 상면에 덮어지는 결합으로 신선식품을 이송할 때에 외부로 인한 충격에서 하중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도록 대응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지지부(100)의 외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면의 일부는 제2 보냉부(400)의 상면인 각각의 제2 커버부 날개부(413) 및 각각의 상 날개부(425)와 맞닿아 지지되므로 손쉽게 지지부(100)를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신선식품의 신선도 유지 및 단열성 효과를 위해 종래의 스티로폼을 사용할 경우에, 끼임 현상이 발생하여 해체하는데 어려움이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조예: 코팅층이 형성된 허니콤 구조의 포장상자용 골판지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보온, 보냉 포장상자 제작용 종이의 효과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9와 같이 종이판과 종이로 이루어진 허니컴 구조물로 이루어진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보드부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보드부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의 제1 코팅조성물 및 하기의 [표 2]과 같은 조성의 제2코팅조성물을 사용하여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A1 내지 A9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1]의 첨가제는 [화학식 2]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2]의 첨가제는 [화학식 4]로 이루어진 화학물을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A1 A2 A3 A4 A5 A6 A7 A8 A9
실리콘레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우레탄 20 40 50 60 80 50 50 50 50
제올라이트 0.5 1.5 2.5 3.5 5.5 2.5 2.5 2.5 2.5
첨가제 - - - - - 0.05 0.1 0.5 1
(단위: 중량부)
A1 A2 A3 A4 A5 A6 A7 A8 A9
에폭시 실록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디옥탈탈레이트 0.5 5 10 20 35 10 10 10 10
에틸렌글리콜 0.5 5 10 20 35 10 10 10 10
첨가제 - - - - - 0.05 0.1 0.5 1
(단위: 중량부)
[실험예: 포장용 상자에 대한 물성평가]
1. 보냉성 실험
상기 A1 내지 A9으로 제조한 종이를 사용하여 육각형 상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육각형 상자 내부에 얼음 팩을 넣고, 34 내지 38℃를 유지하면서, 상기 얼음팩이 녹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한편, 비교예로서 내부에 스티로폼이 사용된 종래의 육각형 상자를 사용하여 이를 기준(Con)으로 상기 A1 내지 A9의 결과를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Con A1 A2 A3 A4 A5 A6 A7 A8 A9
보냉성 10 1 3 3 3 1 3 6 7 3
(단위: 지수)상기 [표 3]을 참조하면, A2 내지 A4에 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보냉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A7 및 A8의 경우 첨가제의 사용에 따라 견고한 코팅층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냉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보냉성을 나타낼 수 있어 재활용성이 높은 보온, 보낸용 포장상자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방수성 실험
선물포장용 상자에 사용되는 종이는 그 내용물에 따라 상자 표면에 습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방수성이 중요하며 이는 보온, 보냉 상자의 내구성도 직결되는 것이므로 상기 물성은 상자의 내구성과도 같은 의미를 가지는 지표가 된다. 따라서 상기 A1 및 A9에 대하여 동일한 양의 물을 분무기로 뿌리면서 종이 내부가 젖는 정도와 힘을 가하여 휘어지는 정도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A1 A2 A3 A4 A5 A6 A7 A8 A9
방수성 3 4 4 4 3 4 8 8 5
(단위: 지수)상기 [표 4]를 참조하면, A7 및 A8에 의하는 경우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높은 방수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냉을 요하는 물품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습기에 의하여 상자의 표면이 훼손되거나 상자 자체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재활용성이 높은 보온, 보냉 상자를 제조할 수 있다.
3. 인쇄성 평가
종이에 조팅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종이의 우굴쭈굴하게 표면에 변형되거나 코팅층 자체가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보온, 보냉 포장용 상자는 선물포장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표면에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무늬나 색상을 인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코팅층에 의하여 종이 표면이 변형되거나 코팅층 자체가 그 위에 무늬 등을 인쇄를 할 수 없는 형태가 되는 경우에는 선물포장용 상자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라미네이팅용 유기 필름이 부착된 종이(Con)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A1 내지 A9에 대하여 동일한 무늬 및 색상을 인쇄하고 그 품질을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로 나타내었다. 각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Con A1 A2 A3 A4 A5 A6 A7 A8 A9
인쇄성 10 5 6 7 6 4 5 9 9 6
(단위: 지수)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A7 및 A8에 의하는 경우 코팅층이 매우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종이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품질의 인쇄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 가능한 종이만을 사용하면서도 상당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보온, 보냉용 포장상자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20: 허니콤 보드부 220a: 허니콤 보드부가 결합된 제1 보드부
100 : 지지부, 200 : 제1 보냉부,
210 : 커버부, 211 : 제1 커버부 천장부,
212 : 제1 커버부 덮개부, 2121 : 제1 덮개부,
2122 : 제2 덮개부, 2123 : 제3 덮개부,
2124 : 제4 덮개부, 213 : 제1 커버부 연장 덮개부,
2131 : 제1 연장 덮개부, 2132 : 제2 연장 덮개부,
2133 : 제3 연장 덮개부, 2134 : 제4 연장 덮개부,
220 : 제1 보드부, 300 : 본체부,
400 : 제2 보냉부, 410 : 제2 커버부,
411 : 제2 커버부 바닥부, 412 : 제2 커버부 연결부,
4121 : 좌 연결부, 4122 : 우 연결부,
413 : 제2 커버부 날개부, 4131 : 좌 날개,
4132 : 우 날개, 414 : 제2 커버부 연장 날개부,
4141 : 좌 연장날개, 4142 : 우 연장날개,
420 : 제3 커버부, 421 : 바닥 겹침부,
422 : 좌 날개 겹침부, 423 : 우 날개 겹침부,
424 : 상측면부, 425 : 상 날개부,
426 : 상 연장 날개부, 430 : 제2 보드부,
431 : 제2 보드부 외측면, 432 : 제2 보드부 상면,
433 : 제2 보드부 내측면, 434 : 제2 보드부 돌출부,
440 : 제3 보드부, 441 : 제3 보드부 외측면,
442 : 제3 보드부 상면, 443 : 제3 보드부 내측면,
444 : 제3 보드부 돌출부.

Claims (7)

  1. 판넬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보냉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의 일부와 맞닿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냉부는,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는 제1보드부; 및
    상기 제1 보드부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제1 커버부;를 구비하는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1 커버부 천장부;
    상기 제1 커버부 천장부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의 외측면을 따라 각각 결합되는 제1 연장 덮개부 내지 제4 연장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인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 보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부 내지 제4 덮개부가 상기 제2 보냉부의 내측면의 일부와 맞닿는 것인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제2 보냉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2 커버부;
    상기 제2 커버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맞닿아 결합되는 제3 커버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보드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쌍의 제3 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커버부가 상기 제2 보드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3 커버부가 상기 제3 보드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것인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보드부는,
    허니콤 구조로 일측면에서 하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제2 보드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보드부는,
    허니콤 구조로 일측면에서 상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제3 보드부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보드부 돌출부와 상기 제3 보드부 돌출부와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냉부는,
    상기 제2 커버부 연결부 및 상기 상측면부의 수직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수직방향으로의 높이보다 짧은 것인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 보냉부는 탈착이 가능한 것인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180138311A 2018-11-12 2018-11-12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KR10216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11A KR102162819B1 (ko) 2018-11-12 2018-11-12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11A KR102162819B1 (ko) 2018-11-12 2018-11-12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01A true KR20200054701A (ko) 2020-05-20
KR102162819B1 KR102162819B1 (ko) 2020-10-07

Family

ID=7091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11A KR102162819B1 (ko) 2018-11-12 2018-11-12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363B1 (ko) 2020-06-22 2021-01-08 이재석 보냉 성능이 향상된 포장용 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835A (ko) 2022-11-07 2024-05-14 씨제이대한통운 (주) 내부 보냉상자와 내부 보냉상자를 갖는 친환경 보냉 상자 및 친환경 보냉 상자의 포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920U (ja) * 1993-10-01 1995-04-25 株式会社三幸 生鮮食料品用のダンボール容器
JP3045263U (ja) * 1997-07-04 1998-01-27 聰 杉浦 保冷容器
KR101458738B1 (ko) * 2014-02-17 2014-11-05 이재석 포장용 상자
KR20180002430U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조립식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263B2 (ja) * 1992-08-06 2000-05-29 ローム株式会社 ステレオマルチプレクサ回路及びその発振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920U (ja) * 1993-10-01 1995-04-25 株式会社三幸 生鮮食料品用のダンボール容器
JP3045263U (ja) * 1997-07-04 1998-01-27 聰 杉浦 保冷容器
KR101458738B1 (ko) * 2014-02-17 2014-11-05 이재석 포장용 상자
KR20180002430U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조립식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363B1 (ko) 2020-06-22 2021-01-08 이재석 보냉 성능이 향상된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19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3731B2 (en) Anti-abrasive protective packag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11254485B2 (en) Insulating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US3344973A (en) Lined container
US8763886B2 (en) Insulating shipping system
US20240025623A1 (en) Temperature insulated packag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764406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3354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US20150158656A1 (en) Thermal container, thermal liner for same and dies for making the thermal liner
US20070090172A1 (en) Vegetable and fruit packaging box
KR101458738B1 (ko) 포장용 상자
KR20200054701A (ko) 종이 단열재와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US20160347531A1 (en) Insulated package system, insert panels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y
WO2013063374A1 (en) Super insulating corrugated cardboard packaging system for food, beverages and perishables
KR20100052013A (ko) 냉동식품 포장용 종이상자
US2050791A (en) Shipping crate
KR102130568B1 (ko) 보온, 보냉 포장상자 제작용 종이
KR200451372Y1 (ko) 단열 상자용 원단
US8870009B2 (en) Containers particularly for agricultural products
US20200361695A1 (e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made of paper
KR0119599Y1 (ko) 밀폐된 공기층을 갖는 골판지 구조
CN208086346U (zh) 一种用于长方桌的内包装纸箱
KR20210091590A (ko) 다층구조에 의한 보온 기능을 높인 포장박스
US20120211396A1 (en) Packing Container
KR102449184B1 (ko) 보온 및 보냉기능을 구비한 뚜껑이 있는 종이박스
JP2000344227A (ja) 紙製保温保冷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