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370B1 -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370B1
KR101458370B1 KR20140052055A KR20140052055A KR101458370B1 KR 101458370 B1 KR101458370 B1 KR 101458370B1 KR 20140052055 A KR20140052055 A KR 20140052055A KR 20140052055 A KR20140052055 A KR 20140052055A KR 101458370 B1 KR101458370 B1 KR 10145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nut
main plate
plate
lo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락
Priority to KR2014005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또는 기체의 유로가 되는 배관을 너트 체결에 의해 밸브의 조인트 부분에 연결하면 너트의 둘레를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너트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밸브만 설치된 기존 라인에 간편하게 적용되게 하면서 효율적인 시공성 및 견고한 고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밸브(10)와 배관(21)의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밸브너트(20)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있어서, 밸브(10)의 몸체(11) 및 밸브너트(20)를 함께 받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비롯한 밸브너트(20)를 동시에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상기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부(210)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너트(20)를 압박 고정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로크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를 상호 체결하는 고정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의 몸체(11) 일측이 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10)를 고정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밸브너트(20)의 일측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너트(20)를 받치면서, 상기 로크플레이트(200)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상기 밸브너트(20)의 외경에 대응되게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밸브너트(20)가 수용된 상태에서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지게 하는 수용부(210)와; 상기 수용부(2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상에 고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메인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후크부(220)와; 상기 후크부(220)의 타단에서 상기 수용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300)에 의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볼트(300)에 대한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볼트홈(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가 받쳐지는 부분의 반대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지정된 설치장소에 고정결합되게 하는 고정가이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지지부(11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10)의 몸체(11)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지지되게 하는 영구자석(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3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에 제1힌지(31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의 볼트홈(230) 측으로 고정볼트(300)가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에 제2힌지(32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상기 제2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Valve Nut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또는 기체의 유로가 되는 배관을 너트 체결에 의해 밸브의 조인트 부분에 연결하면 너트의 둘레를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너트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밸브만 설치된 기존 라인에 간편하게 적용되게 하면서 효율적인 시공성 및 견고한 고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로를 개폐하는 작용으로 유체/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밸브의 양단에는 유체/기체의 유로가 되는 배관이 너트체결에 의해 밸브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밸브는 배관을 연결하는 너트가 외부 충격 및 작업자의 실수로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경우 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기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를 자유롭게 풀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3479호(2013.09.24)"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나사 형성 조인트 부재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 캡 너트의 외주면에 하측에서 결합되는 커버부 및 파이프 부재에 하측에서 결합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제1구성 부재와, 캡 너트의 외주면에 상측에서 결합되는 커버부 및 파이프 부재에 상측에서 결합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제2구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구성 부재의 연결부와 제2구성 부재의 연결부가 캡 너트로부터 돌출된 파이프 부재의 부분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밸브의 관 연결을 위해 조인트 부재에 파이프 부재가 캡 너트에 의해 체결되면, 상기 캡 너트의 외주 둘레로 제1 구성 부재와 제2 구성 부재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가 캡 너트를 포함한 파이프 조인트 부분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밸브의 조인트 부분에 연결된 너트에 로킹 장치를 개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 장치가 부착부를 이용해 배관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관의 종류 및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 로킹 장치를 이에 대응하여 교체해야 하는 등 범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로킹 장치의 전체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 및 설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밸브와 로킹 장치 간에 고정 지지하는 연관구조가 없음에 따라 상기 밸브 또는 로킹 장치에 개별적으로 유동 및 충격이 발생하면 너트가 풀리게 되는 등 너트에 대한 고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밸브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와 배관의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너트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로크장치에 대하여, 너트에 대한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 로크플레이트를 별도 지지대 구조를 갖는 메인플레이트에 의해 단순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기존 밸브 라인에 간편하게 적용되게 하여 로크장치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면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 및 설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의 몸체(11) 및 너트를 메인플레이트를 통해 함께 받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를 비롯한 너트를 동시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를 로크플레이트를 이용해 압박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밸브 또는 로킹 장치에 개별적으로 유동 및 충격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움직임을 메인플레이트에 의해 억제함에 따라 너트에 대한 견고한 고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밸브와 배관의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밸브너트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있어서, 밸브의 몸체 및 밸브너트를 함께 받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를 비롯한 밸브너트를 동시에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상기 밸브너트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부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너트를 압박 고정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로크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로크플레이트를 상호 체결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밸브의 몸체 일측이 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를 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밸브너트의 일측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너트를 받치면서,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플레이트는, 상기 밸브너트의 외경에 대응되게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밸브너트가 수용된 상태에서 밸브너트의 둘레를 감싸지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가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타단에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로크플레이트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볼트에 대한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볼트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밸브가 받쳐지는 부분의 반대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를 지정된 설치장소에 고정결합되게 하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지지부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의 몸체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지지되게 하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지지부 일측에 제1힌지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볼트홈 측으로 고정볼트가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로크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지지부 일측에 제2힌지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가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밸브 라인에 간편하게 적용되게 하여 로크장치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하면서, 로크장치에 대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 및 설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 또는 로킹장치에 개별적으로 유동 및 충격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움직임을 메인플레이트에 의해 억제함에 따라 너트에 대한 견고한 고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의 정면 및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1)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밸브(10)와 배관(21)의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밸브너트(20)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있어서, 밸브(10)의 몸체(11) 및 밸브너트(20)의 일측을 함께 받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비롯한 밸브너트(20)를 동시에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부(210)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너트(20)를 압박 고정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로크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를 상호 체결하는 고정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의 몸체(11) 및 밸브너트(20)의 일측을 함께 받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비롯한 밸브너트(20)를 동시에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금속 판재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밸브(10)의 몸체(11) 및 밸브너트(20)의 일측에 면 접촉되어 받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상기 밸브(10)의 몸체(11) 일측이 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10)를 고정하는 지지부(1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는 밸브(10)의 몸체(11)에 면 접촉에 의해 받치는 부분이며, 상기 지지부(110)는 밸브(10)의 몸체(11) 길이에 대응하는 금속 판재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너트(20)의 일측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너트(20)를 받치면서, 후술하는 로크플레이트(200)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12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120)는 밸브너트(20)의 둘레 일측을 받쳐서 지지함으로, 후술하는 로크플레이트(200)가 밸브너트(20)를 압박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받침부(120)가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에서 일체로 판재 형태로 제작됨과 더불어, 내측 면에는 후술하는 로크플레이트(20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로크플레이트(200)의 후크부(220) 및 고정볼트(30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가 받쳐지는 부분의 반대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지정된 설치장소에 고정결합되게 하는 고정가이드(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가이드(150)는 지지부(110)의 양 측단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2차에 절곡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고정가이드(150)의 끝 부분으로 별도 볼트 체결하기 위한 홀이 마련됨에 따라, 로크장치(1)가 적용된 밸브(10)를 지정된 설치장소에 간편하게 고정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상기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부(210)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너트(20)를 압박 고정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내측으로 상기 밸브너트(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양단을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받침부(120)에 결합하게 되는데, 후술하는 고정볼트(300)의 체결작용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밸브너트(20)의 외측을 압박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밸브너트(20)에 대한 풀림 방지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상기 밸브너트(20)의 외경에 대응되게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밸브너트(20)가 수용된 상태에서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지게 하는 수용부(2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210)는 로크플레이트(200)의 중앙부분이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밸브너트(20)가 수용부(210)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용부(2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상에 고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메인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후크부(22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후크부(220)는 수용부(21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절곡한 부분이며, 상기 후크부(220)는 메인플레이트(100)의 받침부(120)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됨을 기본으로 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받침부(120)에 힌지 결합하기 위해 라운드 형태로 절곡할 수 있으며(도 5 참조), 상기 후크부(220)의 고정 작용에 의해 로크플레이트(200)의 일측에 대한 임시 고정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상기 후크부(220)의 타단에서 상기 수용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300)에 의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고정볼트(300)에 대한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볼트홈(23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볼트홈(230)은 상기 고정볼트(300)의 직경에 대응된 절개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300)가 볼트홈(23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 너트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300)가 고정됨으로 로크플레이트(200)를 메인플레이트(100) 상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볼트(3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를 상호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300)는 볼트 형태로 일부분에 별도 너트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가 적용하고자 하는 밸브(10)의 몸체(11)에 지지되면, 로크플레이트(200)를 밸브(10)의 조인트를 연결하는 밸브너트(20) 측에 감싸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받침부(120)에 후크부(220)를 이용해 임시로 체결함과 더불어, 상기 고정볼트(300)를 로크플레이트(200)의 볼트홈(230)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에 체결하여 별도 너트로 고정함에 따라 본 발명의 로크장치(1)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크장치(1) 중 메인플레이트(100) 및 로크플레이트(200) 및 이들의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해 기존 밸브(10) 라인에 간편하게 적용되게 하여 로크장치(1)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면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 및 설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밸브(10) 또는 로크장치(1)에 개별적으로 유동 및 충격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움직임을 메인플레이트(100)에 의해 억제함에 따라 밸브너트(20)에 대한 견고한 고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5의 경우 전술한 구조의 로크장치(1) 중 메인플레이트(100)의 다른 실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의 몸체(11) 및 밸브너트(20)의 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를 밸브(10) 및 밸브너트(20)의 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미리 설치된 밸브(10)의 설치 위치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로크장치(1)가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의 경우 전술한 구조의 로크장치(1)의 다른 실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상기 로크장치(1) 중 메인플레이트(100)는 지지부(110)의 상면에 밸브(10)의 몸체(11)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지지되게 하는 영구자석(34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340)은 판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상면에 접착 또는 볼트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영구자석(340)의 자력에 의해 메인플레이트(100)가 밸브(10)의 몸체(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로크장치(1) 중 고정볼트(3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에 제1힌지(31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의 볼트홈(230) 측으로 고정볼트(300)가 회전하면서 삽입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300)가 제1힌지(310)에 의해 메인플레이트(10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으로 상기 고정볼트(300)의 크기에 대응하는 볼트홀(140)을 관통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볼트홀(140)에 고정볼트(300)의 일측을 삽입한 후 제1힌지(310)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장치(1) 중 로크플레이트(200)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에 제2힌지(32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상기 제2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2힌지(320)가 결합되는 로크플레이트(200)의 일단은 후크부(220)가 라운드 형태로 절곡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힌지(320)가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100) 측에는 일반적인 축 결합을 위한 구조(미도시)가 마련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로크장치(1) 중 고정볼트(300) 및 로크플레이트(200)가 제1힌지(310)와 제2힌지(320)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갖음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장치(1) 중 로크플레이트(200)는 수용부(210)의 내주면으로 밸브너트(20)의 모서리에 걸리는 다수의 요철(33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요철(330)이 수용부(210)의 내주면으로 '∧' 형상의 요철(330)이 다수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밸브너트(20)의 모서리가 요철(330)에 걸림으로 상기 밸브너트(2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메인플레이트;100, 지지부;110, 받침부;120
로크플레이트;200, 수용부;210, 후크부;220, 볼트홈;230
고정볼트;300

Claims (4)

  1. 밸브(10)와 배관(21)의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밸브너트(20)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에 있어서,
    밸브(10)의 몸체(11) 및 밸브너트(20)를 함께 받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비롯한 밸브너트(20)를 동시에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상기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부(210)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너트(20)를 압박 고정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로크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를 상호 체결하는 고정볼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의 몸체(11) 일측이 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10)를 고정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밸브너트(20)의 일측이 접촉되는 구조로 상기 밸브너트(20)를 받치면서, 상기 로크플레이트(200)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상기 밸브너트(20)의 외경에 대응되게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밸브너트(20)가 수용된 상태에서 밸브너트(20)의 둘레를 감싸지게 하는 수용부(210)와;
    상기 수용부(2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 상에 고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메인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후크부(220)와;
    상기 후크부(220)의 타단에서 상기 수용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300)에 의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로크플레이트(200)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볼트(300)에 대한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볼트홈(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밸브(10)가 받쳐지는 부분의 반대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밸브(10)를 지정된 설치장소에 고정결합되게 하는 고정가이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지지부(11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10)의 몸체(11)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지지되게 하는 영구자석(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30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에 제1힌지(31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의 볼트홈(230) 측으로 고정볼트(300)가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로크플레이트(200)는, 일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 일측에 제2힌지(32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로크플레이트(200)가 상기 제2힌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40052055A 2014-04-30 2014-04-30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KR10145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2055A KR101458370B1 (ko) 2014-04-30 2014-04-30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2055A KR101458370B1 (ko) 2014-04-30 2014-04-30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370B1 true KR101458370B1 (ko) 2014-11-06

Family

ID=5228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2055A KR101458370B1 (ko) 2014-04-30 2014-04-30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3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68A (ja) * 1993-09-13 1995-03-28 Ben:Kk 配管装置
US5490693A (en) * 1994-09-28 1996-02-13 Cajon Company Tube coupling locking device
JPH09324885A (ja) * 1996-01-24 1997-12-16 Cajon Co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1314494B1 (ko) 2013-04-08 2013-10-07 최봉순 밸브너트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68A (ja) * 1993-09-13 1995-03-28 Ben:Kk 配管装置
US5490693A (en) * 1994-09-28 1996-02-13 Cajon Company Tube coupling locking device
JPH09324885A (ja) * 1996-01-24 1997-12-16 Cajon Co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1314494B1 (ko) 2013-04-08 2013-10-07 최봉순 밸브너트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161U (ja) 事前配置手段を有するプロフィール・クランプ
JP5584323B2 (ja) 自動車での充電ソケット用の収容器を受けるためのデバイス
JP2009507190A (ja) ホースクランプ固定装置
RU201213688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елки кабел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цовки и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абеля
JP2009038899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用サポート体及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US20200408339A1 (en) Clamp connector and a connecting component including the clamp connector
KR101458370B1 (ko) 다이어프램 밸브용 너트 로크장치
CN104832510B (zh) 一种管连接装置
US7150438B2 (en) Holder for a body and a fastening assembly associated with said holder
JP2012145030A5 (ko)
CN102720750A (zh) 一种自锁搭扣和灯具
KR101204817B1 (ko) 호스 연결 및 분리용 커플링 장치
JP7381203B2 (ja) 管クリップ
TWI590975B (zh) 具有緊固軛的自行車托架
KR101940130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US9845904B2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KR101406133B1 (ko) 인사이드 퍼지 지그
KR20180126659A (ko) 내진행거
KR101526980B1 (ko) 피팅부재 고정용 클램프
JP2011205890A (ja) 電線設備具
KR101731469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762916B1 (ko) 수납 선반용 결속장치
JP6054131B2 (ja) 燃料タンク用管継手
CN106481888A (zh) 一种管路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