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47B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647B1
KR101457647B1 KR1020120157927A KR20120157927A KR101457647B1 KR 101457647 B1 KR101457647 B1 KR 101457647B1 KR 1020120157927 A KR1020120157927 A KR 1020120157927A KR 20120157927 A KR20120157927 A KR 20120157927A KR 101457647 B1 KR101457647 B1 KR 10145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container
compressed air
dispens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528A (ko
Inventor
이장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씨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씨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씨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5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8Linings or internal coatings spaced appreciably from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 유연한 재질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어 팽창시 상하방향을 따라서 횡단면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도록 형성된 내부용기 및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시키도록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된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용기 내의 내용물을 별도의 가스를 이용하기 않고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액상 또는 점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디스펜서라 하며,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헤어무스나 쉐이빙 폼, 스프레이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스펜서들은 액체와 에어를 혼합시켜서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예전에는 인체에 유해하며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프레온 가스가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LPG가스가 많이 사용되어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가연성 가스인 LGP의 경우 누출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과 인체에 유해하고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공해를 유발하였으며, 이와 같은 형태의 제품들은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개발된 디스펜서의 구성에 대해서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개발된 디스펜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종래에 개발된 디스펜서는 크게 내부용기(20), 외부용기(10) 및 펌핑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 상부는 상기 펌핑부(30)와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불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 내부에 삽입되고, 액상이나 젤 형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로, 상부가 상기 펌핑부(3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짐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그 형태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부(30)는 상기 내부용기(20) 상부에 연통되어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열림 상태가 조절되어 상기 내부용기(20) 내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시킨다.
여기서, 상기 외부용기(10) 내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며, 상기 압축공기는 내부용기(2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펌핑부(30)가 열림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내부용기(20) 내의 내용물을 가압하여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와 상기 외부용기(10) 사이에 상기 압축공기를 충진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압축력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20)를 가압하며 이를 통해 상기 별도의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 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20)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내부용기(20)가 팽창을 하며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20)가 팽창함에 따라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외부용기(10)의 내측면과 접촉을 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가 구획되고, 상기 내부용기(20)의 지속적인 팽창에 따라 구획된 상기 압축공기가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압력으로 압축됨으로써, 외부용기(10)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특정영역의 압력이 주변보다 월등히 높게 형성되는 경우 외부용기(1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내용물이 수용된 내부용기의 팽창에 의해서 외부용기와의 공간이 구획되어 발생하는 압력편차를 최소화 시킴으로써 외부용기의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 유연한 재질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어 팽창시 상하방향을 따라서 횡단면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도록 형성된 내부용기 및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시키도록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된 펌핑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횡단면의 중심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외면의 표면적이 상기 외부용기 내면의 표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는 둘레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팽창시 상기 수용공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홈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을 따라서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용기 사이에 압축공기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가압을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용기의 팽창시 상하방향에 따른 횡단면적이 불 균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의 팽창시 외측면이 상기 외부용기 내측면에 접촉할 때 상기 압축공기가 구획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의 편차를 최소화 시켜 상기 외부용기의 파손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내부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 시킴으로써, 별도의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만을 사용하여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의 상하방향에 따른 일부에 배치되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복원력을 가지는 압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의 압축력을 보강하여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 되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의 팽창시 상하부분뿐만 아니라 측면부분에도 압축된 공기가 위치하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면서 내부용기가 측방향 압력에 의해 수축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내부용기가 형성되어 무게중심이 이동하지 않아 비사용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개발된 디스펜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압력편차를 감소시킨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팽창에 의해서 압축공기가 구획되어 서로 압력이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팽창에 따라 압축공기가 수용공간 내부에서 구획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변형된 형태상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외면에 별도의 연통홈이 더 구비된 상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외면에 나사산 형태의 연통홈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외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의 외면에 별도의 압축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압력편차를 감소시킨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압력편차를 감소시킨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크게 외부용기(100), 내부용기(200) 및 펌핑수단(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용기(100)는 일반적인 케이스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용기(100)는 금속이나 고형을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에서 상기 외부용기(100)는 원통 형상의 금속제로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펌핑수단(300)와 체결을 통해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용기(200)는 유연한 재질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액상이나 젤 상태의 내용물(미도시)이 저장된다. 상기 내부용기(200)는 블로우(BLOW)사출을 통해서 팽창시 상하방향을 따라서 횡단면적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용기(200)는 무공해성 필름(PPT or PET등)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펌핑수단(30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펌핑수단(30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200)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팽창과 수축을 하며, 팽창시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면에 접촉을 한다.
이와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는 횡단면의 중심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횡단면 중심을 연결한 축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용기(200)는 수직 단면의 중간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서 팽창시 상부와 하부 외측면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측면에 접촉을 하며, 중간부의 오목한 부분은 접촉을 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형성되면 상기 내부용기(200)는 외면의 표면적이 상기 외부용기(100) 내측면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항상 크게 형성되지 않을 수는 있지만, 상기 내부용기(200)와 상기 외부용기(100)의 크기가 유사한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는 오목한 부분을 가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외측면의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펌핑수단(300)는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내부용기(200)와 연통되어 결합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용기(100)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 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300)는 상기 외부용기(100)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내부용기(200)에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내용물을 토출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수단(3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200)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토출 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펜서는 상기 외부용기(100)와 상기 내부용기(200) 사이에 압축공기(G)가 충진되며 상단부가 밀폐되어 상기 내부용기(20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용기(200)와 상기 외부용기(100) 사이 공간의 압력은 약 4~5bar 정도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내부공간 내부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축 및 팽창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수용공간(110)의 압력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내부압력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내부용기(200)는 수축된 상태가 되며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기 외부용기(100)와 상기 내부용기(200) 사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의 압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주입된 상기 압축공기(G)에 의해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내부용기(200)를 가압을 하여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에 상기 내용물이 투입됨에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로 투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기 압축공기(G)에 의해서 가압 받는 힘 보다 더 큰 힘으로 팽창하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팽창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G)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따라서 그 부피가 줄어들며 압축되기 때문에 그 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외부용기(100)는 상기 압축공기(G)가 압축됨에 따라 증가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압축공기(G)의 증가된 압력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에 상기 내용물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하며, 상기 내부용기(200)와 연통되어 연결된 상기 펌핑수단(300)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펌핑수단(300)가 열림 상태가 되면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G)가 상기 내부용기(2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펌핑수단(300)가 열림 상태인 동안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해서 상기 내용물은 점차 외부로 토출 되며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기 내용물의 내부 수용여부에 따라서 팽창과 수축 상태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0)와 상기 외부용기(100) 사이의 공간 압력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내부용기(20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내부 압력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낸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의해서 압축공기(G)가 구획되어 서로 압력이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따라 압축공기(G)가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구획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되면 상부와 하부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중간부는 접촉을 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위치한 압축공기(G)는 구획되어 팽창상태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압력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공기(G)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의해 A, B, C 세 개의 영역으로 각각 구획된다.
상기 압축공기(G)에 의해서 수축된 상기 내부용기(200)가 상기 내용물의 투입에 의해서 팽창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하여 외측면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벽에 접촉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상태가 고르게 된다면 큰 문제가 없지만, 고르게 되지 않을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벽과 접촉에 의해서 공간이 구획되고 구획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팽창상태에 따라서 구획된 상기 압축공기(G)간의 압력차가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면과 접촉함에 의해서 상기 수용공간(110)을 구획하게 되는데, 이 경우 구획된 공간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200)가 지속적으로 팽창할 때,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이 증가하는 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압력 편차가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의해서 상기 압축공기(G)가 A, B, C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 상부와 하부의 압력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로 상기 내용물이 투입됨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할 때.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단부가 먼저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의 두 개의 영역으로 상기 압축공기(G)가 구획된다.
즉, A영역과 B+C영역으로 구획되며 여기서 A영역의 압력과 B+C영역의 압력은 유사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b)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더욱 팽창하게 되면 결국 B+C영역도 각각이 구획된다. 하지만, A영역에 비해서 B영역과 C영역은 상대적으로 연통된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서로간의 압력 편차가 적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서 A영역과 B+C영역의 두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순간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이 6bar라고 한다면, 도 8의 (b)에서는 A영역에서의 압력이 10bar, B영역과 C영역에서의 압력이 각각 8bar정도가 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현상은 일 예로써 압력값도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200)의 형상 및 팽창에 따라 구획되는 영역의 순서도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압축공기(G)가 구획되는 공간을 증가시켜 어느 한 공간으로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을 집중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최대한 고르게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공기(G)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200) 및 상기 외부용기(100)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앞서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와 상기 외부용기(100) 사이의 상기 압축공기(G)가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구획되어 있으며 각각이 구획된 시점 및 위치를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의 압력 편차가 크게 되었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용기(200)와 같은 형상의 경우, 상기 압축공기(G)가 구획되는 공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내부용기(200)가 변형된 형상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변형된 형태상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변형된 형태로써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따라 중간부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2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의해서 상기 압축공기(G)가 구획되는 공간이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G)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에 따라 증가한 압력의 편차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내부용기(200)의 외측면에 에 별도의 연통홈(210)이 더 구비된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외면에 별도의 연통홈(210)이 더 구비된 상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외면에 나사산 형태의 연통홈(210)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하더라도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단부와 하단부고 연통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압축공기(G)가 구획되지 않고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압력이 고르게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압력 편차가 줄어들어 상기 내부용기(200) 및 상기 외부용기(100)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외측면에 상하부를 따라 연결되어 형성된 연통홈(2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상기 연통홈(210)을 가지는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가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벽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연통홈(210)에 의해서 상기 압축공기(G)가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상기 연통홈(210)은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일부에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는 형태로 더 구비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공기(G)의 압력 편차가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G)가 균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압축공기(G)의 압축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200) 및 상기 외부용기(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형태로써 도 11을 살펴보면 상기 내부용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홈(210)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도록 하지만, 단순한 상하방향이 아닌 나사산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통홈(210)이 상기 내부용기(200)의 외측면을 따라서 나사산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G)의 상하방향 연통뿐만 아니라 둘레방향에 따른 연통도 함께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내부용기(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외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돌출부(220)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200)의 팽창시 외측면의 일부만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는 앞서 상술한 연통홈(210)을 구비한 구성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2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내부용기(200)에 별도의 압축부재(230)가 더 포함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도 4의 디스펜서에서 내부용기(200)의 외면에 별도의 압축부재(230)가 더 구비된 상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일부에 외측면을 감싸며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압축부재(23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고무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2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G)와 함께 상기 내부용기(200)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는 상기 압축부재(23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내부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최대한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부재(230)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이 상기 압축부재(230)의 외주면을 따라서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용기(200)를 압축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부재(230)는 상기 내부용기(200) 측면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주변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위치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재(23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횡단면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배치되어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압축부재(230)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수축시 횡 방향 수축을 보조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면서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축하는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의 상부와 하부에 압축된 공기가 많이 분포되기 때문에 횡 방향보다는 상하방향의 수축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0)가 상하방향으로 많이 수축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이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디스펜서 전체의 무게중심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안성정이 낮아진다.
하지만, 상기 압축부재(2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내부용기(200)의 둘레를 따라서 횡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축하는 경우 상하방향 수축뿐만 아니라 횡 방향 수축도 함께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축되는 경우 상하방향과 횡 방향 수축을 함께 함으로써, 디스펜서 전체의 무게중심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200)의 수축상태에 따라 안정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00)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0)와 상기 외부용기(10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압축가스(G)의 압력을 상기 가압부재가 미구비된 상태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내부용기(200)가 수축되도록 보조함으로써 상기 압축가스(G)의 전체적인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외부용기(100)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외부용기 110: 수용공간
200: 내부용기 210: 연통홈
220: 돌출부 230: 압축부재
300: 펌핑수단 G: 압축가스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
    유연한 재질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어 팽창시 상하방향을 따라서 횡단면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도록 형성된 내부용기; 및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시키도록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된 펌핑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외면의 표면적이 상기 외부용기 내면의 표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둘레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팽창 시 상기 수용공간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홈은 상기 내부용기의 외면을 따라서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횡단면의 중심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내부용기 측면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주변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위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157927A 2012-12-31 2012-12-31 디스펜서 KR10145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27A KR101457647B1 (ko) 2012-12-31 2012-12-31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27A KR101457647B1 (ko) 2012-12-31 2012-12-31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528A KR20140087528A (ko) 2014-07-09
KR101457647B1 true KR101457647B1 (ko) 2014-11-13

Family

ID=5173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927A KR101457647B1 (ko) 2012-12-31 2012-12-31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148A (ja) * 1998-10-01 2000-04-18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4628B1 (ko) * 2010-02-05 2011-01-03 정해룡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148A (ja) * 1998-10-01 2000-04-18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4628B1 (ko) * 2010-02-05 2011-01-03 정해룡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528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628B1 (ko) 디스펜서
KR101833531B1 (ko) 화장품 용기
KR20070078718A (ko) 가스 카트리지
JP3267533B2 (ja) 内容物分配用加圧装置
KR101058401B1 (ko) 공기 펌프식 작동구를 갖는 용기
KR102019333B1 (ko) 화장액 용기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457647B1 (ko) 디스펜서
KR20150118881A (ko) 가압형 분배 컨테이너
CN113227622A (zh) 充气的弹性本体及其用途
KR100942488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2272109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US20130008922A1 (en) Paste dispenser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RU2387485C2 (ru) Насос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вручную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содержащегося в контейнере
KR20080110609A (ko) 용기의 충전 방법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1281374B1 (ko) 튜브 용기
KR102606585B1 (ko)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JP6446238B2 (ja) 吐出容器
JP6887266B2 (ja) 吐出容器
KR100811103B1 (ko) 탄성 파우치를 이용한 분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4982A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KR101552133B1 (ko) 포장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내용물 이동 장치
KR20180001141U (ko)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