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27B1 -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 Google Patents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627B1
KR101457627B1 KR1020130157629A KR20130157629A KR101457627B1 KR 101457627 B1 KR101457627 B1 KR 101457627B1 KR 1020130157629 A KR1020130157629 A KR 1020130157629A KR 20130157629 A KR20130157629 A KR 20130157629A KR 101457627 B1 KR101457627 B1 KR 10145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ase body
unit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수
Original Assignee
박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수 filed Critical 박노수
Priority to KR102013015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외버스의 출입문 부근 차체에 설치되며, 장착된 입력키패드에 특정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번호에 대응되는 행선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은, 전후로 개구되는 블록형의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에 구비되는 고정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스본체를 버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배면에 형성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LED유닛, 다수의 행선지정보와 상기 행선지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호가 각각 대응되어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LED유닛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행선지 정보가 상기 LED유닛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행선지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가 입력될 수 있는 입력키패드로 이루어지는 행선지표시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는 LED조명,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고판넬 및 상기 광고판넬을 상기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고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버스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행선지표시부와 광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LED Display Board for Intercity Bus}
본 발명은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외버스의 전면 차체에 설치되며, 장착된 입력키패드에 특정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번호에 대응되는 행선지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외버스에는 전면 차체에 행선지 알림판이 설치되는데, 기존에는 행선지정보가 인쇄된 아크릴 판넬 등이 행선지 알림판으로 활용되었으나, 행선지 변경 등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는 LED소자로 이루어진 전광판으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LED소자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전압인가시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빛에너지가 방출되는 광전 소자로서, 고휘도의 광원 특성을 통해 주간에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광원에 비해 크기가 작아 복수의 LED소자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한 상태에서 점등제어를 하게 되면 각 LED소자의 음영을 통해 문자 또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엘이디전광판이 버스의 행선지 알림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내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은 노선상에 다수의 경유지가 포함되므로, 버스 정류장 및 GPS(위성위치 확인시스템)와 연계된 상태에서 버스의 위치정보를 GPS에 송출하고 현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경유지 정보를 수시로 변경하는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이에 비해 고속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은 출발지와 도착지 및 출발시간이 표시되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은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 복수의 경유지를 표시해야 하며, 동일 노선이라도 운행시간에 따라 복수의 경유지가 가감되므로 경유지 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엘이디전광판이 요구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의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7586호(등록일자: 2013.06.14.)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블럭 형상의 하우징(1)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의 전면부, 내부 및 상면에 LED모듈(2), 제어부(미도시) 및 조작단자(3)가 각각 구비되게 되며, 상기 조작단자(3)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LED모듈(2)에 표시되는 행선지정보가 변경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제어부의 메모리 모듈에 각 행선지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됨으로 인해, 특정 순번에 내장된 행선지정보를 상기 LED모듈(2)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단자(3)의 올림단자(3a) 또는 내림단자(3b)를 수 회에 걸쳐 눌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LED전광판이 버스에 장착되는 특성상 운행중의 진동, 가속 또는 감속 등을 통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LED전광판을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미흡한 한계가 있다.
KR 20-0467586 Y1 2013.06.14.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외버스의 잦은 노선변경에 따라 행선지정보 표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운행중 발생되는 진동 충격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행선지정보 알림판 외에도 광고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은, 전후로 개구되는 블록형의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에 구비되는 고정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스본체를 버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배면에 형성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LED유닛, 다수의 행선지정보와 상기 행선지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호가 각각 대응되어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LED유닛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행선지 정보가 상기 LED유닛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행선지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가 입력될 수 있는 입력키패드로 이루어지는 행선지표시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는 LED조명,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고판넬 및 상기 광고판넬을 상기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고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버스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행선지표시부와 광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테두리 내에 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절곡부에 라운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양 측면이 상기 보강홈의 양측 벽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각 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 벽에 고정되는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내측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기 또는 스트립 형태의 방음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다수의 행선지정보와 상기 행선지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입력키패드를 통해 식별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외버스의 잦은 노선변경에 따른 행선지정보 표시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홈, 고정브라켓, 완충패드 및 격자형태의 고정프레임을 통해 방진 및 완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구비되는 광고부를 통해 광고가 이루어질 수 있어 엘이디전광판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스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부(10), 상기 케이스부(10)에 구비되는 행선지표시부(20) 및 광고부(30)로 이루어지며, 행선지정보 변경이 용이하고, 운행중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부(10)는 상기 행선지표시부(20) 및 광고부(30)를 내장한 상태에서 시외버스의 전면 차체에 고정되게 되며, 이를 위해 케이스본체(11) 및 고정유닛(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1)는 전면과 배면이 개구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운행중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대비해 강도를 높이는 차원에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강성을 높이기 위해 보강홈(16)이 케이스본체(11)의 테두리 내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정유닛(12)은 상기 보강홈(16)의 측면 하부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3), 상기 고정브라켓(13)의 배면에 구비되는 완충패드(14) 및 상기 고정유닛(12)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13)은 케이스본체(11)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이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는 차체와 케이스본체(11)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13a)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체결홀(13a)에는 나사 또는 피스가 체결되게 되는데, 차량 진동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13b)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엘이디전광판에는 도로상태에 따라 불특정하게 가해지는 진동충격과, 급가속 또는 급정지시 발생되는 관성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흔들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13)의 양측면(13c)이 상기 보강홈(16)의 양측벽(16a)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브라켓(13)의 절곡부(13d)는 라운드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4)는 방진 및 완충 기능을 위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관성력으로부터 엘이디전광판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진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패드(14)는 방진 및 완충작용이 차체 및 보강홈(16)의 결합부위에서 2중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3)과 대응되는 형상의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5)은 후술할 LED유닛(21) 등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케이스본체(11)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일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별히, 고정부재로서의 기능 외에 외부충격으로부터 엘이디전광판을 보호하는 보강 부재의 기능을 위해 각 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1)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격자형태(A)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선지표시부(20)는 행선지정보의 표시 및 변경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5)에 고정되는 LED유닛(21), 제어부(미도시) 및 입력키패드(25)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유닛(21)은 LED모듈을 기본단위로 하며, 예를 들면, 2단 10열의 배열 형태로 총 20개의 LED모듈이 상기 고정프레임(1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모듈은 96 x 96mm의 크기를 갖는 장방형의 표면실장장치(SMD:Surface Mount Device)에 LED소자가 가로세로 16 x 16개인 총 256개의 픽셀(화소)로서 격자 형태로 배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ED모듈 상에 문자 및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콘트롤러(미도시)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하며, 셋트화된 배선뭉치인 하네스(미도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에는 CPU 및 RAM 등이 내장되게 되고, 외부 PC 연결을 통해 상기 RAM에는 다수의 행선지정보가 저장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각 행선지정보는 개별 식별번호와 각각 연계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표출방식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16 x 16개의 LED소자가 종으로 2줄씩 디스플레이되는 1/8 Duty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키패드(25)는 상기 케이스본체(11)의 배면 일측에 고정되고, 하네스에 의해 제어부와 연결되게 되는데, 상기 입력키패드(25) 상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특정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식별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해당 행선지정보가 상기 LED유닛(21)에 표시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시외버스는 행선지에 따라 출발지, 목적지 및 행선지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시외버스의 잦은 노선변경에 대응하기 위해 각 노선별 출발지, 목적지 및 행선지가 특정 식별번호와 연계된 상태에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운전자는 운전석에 비치된 행선지정보와 특정번호가 인쇄된 표지를 통해 행선지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케이스본체(11)의 배면에 광고부(30)가 구비되게 되며, 상기 광고부(30)는 LED조명(31), 광고판넬(33) 및 고정수단(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조명(31)에는 백색광을 발하는 LED소자가 내장되며, 케이스본체(11)의 테두리 내측에 복수 개 구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LED조명(31)에는 최적으로 가시성을 확보하고 소모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조도 조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도 조절수단을 통해 주야간, 시간별 단계적인 조도제어가 수동으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도 조절수단에 조도 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외부 조도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LED조명(31)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광고판넬(33)은 외부면에 광고 인쇄물이 코팅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11)의 배면에 고정되게 되며, LED조명(31)의 빛이 투광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 판넬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야간에도 광고 인쇄물의 내용이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5)은 상기 광고판넬(33)을 케이스본체(11)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광고 인쇄물이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특성상 광고판넬(33)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클립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행 중 진동에 의해 케이스본체(11)와 광고판넬(33)의 접촉으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소음 차단을 위해 케이스본체(11)와 광고판넬(33)의 접촉부위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돌기 또는 스트립 형태의 방음수단(36)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약 24V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가 구비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엘이디전광판의 작동을 위한 전압은 24V 보다는 낮거나 높은 전압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는 버스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엘이디전광판 구동을 위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40)(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장치(40)에는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휴차시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케이스부
11: 케이스본체 12: 고정유닛
13: 고정브라켓 14: 완충패드
15: 고정프레임 16: 보강홈
20: 행선지표시부
21: LED유닛 23: 제어부
25: 입력키패드
30: 광고부
31: LED조명 33: 광고판넬
35: 고정수단 36: 방음수단
40: 전원공급장치

Claims (3)

  1. 전후로 개구되는 블록형의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에 구비되는 고정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스본체를 버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배면에 형성되는 완충패드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LED유닛, 시외버스의 잦은 노선변경에 대응하기 위해 각 노선별 출발지, 목적지 및 행선지가 특정 식별번호와 연계된 상태에서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LED유닛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행선지 정보가 상기 LED유닛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행선지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호가 입력될 수 있는 입력키패드로 이루어지는 행선지표시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는 LED조명,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고판넬 및 상기 광고판넬을 상기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고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버스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행선지표시부와 광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테두리 내에 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절곡부에 라운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양 측면이 상기 보강홈의 양측 벽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각 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측 벽에 고정되는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돌기 또는 스트립 형태의 방음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케이스본체의 차체 고정을 위해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패드는 방진 및 완충작용이 차체 및 보강홈의 결합부위에서 2중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브라켓과 대응되는 형상의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LED조명에는 가시성 확보 및 소모전력 절감을 위한 조도 조절수단을 통해 주야간, 시간별 단계적인 조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상기 조도 조절수단에 외부 조도의 변화에 따라 LED조명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조도 측정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 조도의 변화에 따라 LED조명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광고판넬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클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는 시외버스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엘이디전광판의 구동을 위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SMPS)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에는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차단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2. 삭제
  3. 삭제
KR1020130157629A 2013-12-17 2013-12-17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KR10145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29A KR101457627B1 (ko) 2013-12-17 2013-12-17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29A KR101457627B1 (ko) 2013-12-17 2013-12-17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627B1 true KR101457627B1 (ko) 2014-11-07

Family

ID=5228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629A KR101457627B1 (ko) 2013-12-17 2013-12-17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67B1 (ko) * 2020-05-28 2020-11-23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방진 방수구조를 구비한 터널 등기구
WO2022202657A1 (ja) * 2021-03-26 2022-09-2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表示器の取付構造
KR102522470B1 (ko) * 2022-09-21 2023-04-17 남종석 옥외 간판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간판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404A (ja) * 1998-09-30 2000-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式バス行先表示器
KR20010035195A (ko) * 2001-01-05 2001-05-07 최성욱 상업광고용 조립식 버스행선판
JP2004355012A (ja) * 2004-07-20 2004-12-16 Koha Co Ltd バスの行き先表示装置
KR20110010004U (ko) * 2010-04-15 2011-10-21 (주)에어터치사인 엘이디 전광판 내부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2404A (ja) * 1998-09-30 2000-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式バス行先表示器
KR20010035195A (ko) * 2001-01-05 2001-05-07 최성욱 상업광고용 조립식 버스행선판
JP2004355012A (ja) * 2004-07-20 2004-12-16 Koha Co Ltd バスの行き先表示装置
KR20110010004U (ko) * 2010-04-15 2011-10-21 (주)에어터치사인 엘이디 전광판 내부프레임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67B1 (ko) * 2020-05-28 2020-11-23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방진 방수구조를 구비한 터널 등기구
WO2022202657A1 (ja) * 2021-03-26 2022-09-2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表示器の取付構造
JP7398058B2 (ja) 2021-03-26 2023-12-1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表示器の取付構造
KR102522470B1 (ko) * 2022-09-21 2023-04-17 남종석 옥외 간판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간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3002B2 (en) Window including integrated display signage
JP3139641U (ja) モバイルパネル版屋外広告看板及びネオンサイン板
KR101025825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문자 부착식 도로표지판
KR101457627B1 (ko) 시외버스용 엘이디전광판
JP2010033862A (ja) 屋外用led照明パネル
KR10128853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광고장치
KR102021717B1 (ko) 광고의 교환이 용이하고 광고면으로 시선이 유도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킨 접이식 입간판
KR20150089500A (ko) 플래카드 설치용 연장부재가 구비되는 옥외용 광고판
KR100694877B1 (ko) 타일형 엘이디모듈
JP3186591U (ja) 情報表示部付照明装置
KR101142288B1 (ko)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JP3144232U (ja) 広告防犯灯
JP2012226061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3148711U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部
CN201093284Y (zh) 带有动态扫描显示的出租车顶灯
KR100679749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양면돌출 전자광고판
KR200412094Y1 (ko) 교통안전표지장치
KR200361093Y1 (ko) 간판 구조
JP2007298565A (ja) 照明付表示器
KR200334813Y1 (ko) 간판용 엘이디모듈
KR200283015Y1 (ko) 옥외 광고 표시장치
KR20080024427A (ko) 채널캡에 설치된 엘이디 발광수단의 후광을 이용한채널간판
CN213211554U (zh) 一种壁挂式油价显示板
KR20180047004A (ko) Led 및 el 겸용의 표시판 구조
KR100993339B1 (ko) 분전함용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