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07B1 -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607B1
KR101457607B1 KR1020130036323A KR20130036323A KR101457607B1 KR 101457607 B1 KR101457607 B1 KR 101457607B1 KR 1020130036323 A KR1020130036323 A KR 1020130036323A KR 20130036323 A KR20130036323 A KR 20130036323A KR 101457607 B1 KR101457607 B1 KR 10145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lignment bars
temperature material
alignment
pres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503A (ko
Inventor
신점수
한상빈
여운산
전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3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6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 B21J9/08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equipped with devices for heating the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의 가열로를 통과하여 롤러와의 마찰로 인해 중심이 흐트러진 소재의 위치를 교정시켜 줌으로써 설비사고의 발생을 줄이고, 장치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ALIGNING APPARATUS OF HOT MATERIAL IN HOT PRESS FORMING PROCESS}
본 발명은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 가열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소재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Hot Press Forming, HPS) 공정은 냉간 상태의 소재를 가열로를 이용하여 고온으로 가열시킨 후, 가열된 소재를 프레스 금형을 통해 성형 및 냉각을 시켜 고강도의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HPS 공정 중 소재를 이송하여 가열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중 가열 공법은 HPS제품 제작 방법 중 이중의 가열로에 의해 냉간 상태의 소재를 가열가공하여 제작 제품의 상/하면이 경도의 차이가 나도록 가공되는 소재(A)를 1차가열로(1) 내부로 인입시킨 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인출시키고, 다시 롤러를 통해 2차가열로(3)로 재인입 후 소재의 상/하 면이 온도 차이가 나도록 가열시킨 후 프레스 금형을 통해 성형을 한다.
한편, 소재(A)가 고온의 1차 가열로(1)를 통과하면서 고온(약900℃)으로 가열되어 소재 표면에 일부 용융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1차 가열로(1)에서 인출된 소재(A)의 하부가 롤러(R)와 마찰하면서 소재(A)의 중심이 흐트러지게 되어 소재(A)를 금형(미도시)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비(미도시)가 소재(A)를 정확하게 파지하지 못하여 이송 중 소재(A)가 떨어져 설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심이 맞지 않은 소재(A)가 금형에 공급될 경우 금형 사이에 소재(A)가 끼이게 되어 금형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154534
본 발명은 고온의 가열로를 통과하면서 소재의 표면이 일부 용융상태가 되어 롤러와의 마찰로 인해 중심이 흐트러진 소재의 위치를 교정시킬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의 일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소재 이송 방향인 제1방향으로 고온소재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부; 상기 이송롤러 사이의 공간을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정렬바; 및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정렬바에는 상기 고온소재의 양면에 접촉하여 고온소재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수직상의 접촉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접촉롤러의 회전속도는 고온소재의 이송속도에 동조하여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고온소재를 원활한 유도를 위하여 복수의 돌기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를 이동시키는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에 선행하여 이송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온소재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온소재의 감지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롤러와의 마찰로 인해 중심이 흐트러진 소재의 위치를 교정시켜 줌으로써 설비사고의 발생을 줄이고, 장치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HPS 공정 중 소재를 이송하여 가열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렬바와 구동부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동작 관계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롤러가 구비되는 정렬바의 개략도 및 접촉 롤러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에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위", "아래", "상", "하", "좌", "우", "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정렬바와, 구동부와,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3은 이의 측면도이다.
도2 및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부만을 명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2 및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는 지지부(500)와, 위치 조절부와,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와,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부(500)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의 일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고온소재(A) 이송 방향인 제1방향으로 고온소재(A)를 이송하는 이송롤러(R) 하부에 설치된다.
위치 조절부는 지지부(500)에 설치된다.
위치 조절부는 고온소재(A)를 정렬하기 위한 초기 위치로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를 이동시킨다.
즉, 이송되는 고온소재(A)의 폭이 다양하므로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가 기설정된 초기위치(고온 소재의 폭보다 각각 약20~30mm 넓게)로 이동하고, 초기 위치로 이동된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가 구동부(300)에 의해 작동되어 이송되는 고온소재(A)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다.
위치 조절부는 가이드부(250) 및 리드 스크류(6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50)는 지지부(500) 내부에 설치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리드 스크류(600)는 가이드부(2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리드 스크류(600)에 가이드부(2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700)가 작동하면 볼 스크류 구조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리드 스크류(600)를 따라 가이드부(250)가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리드 스크류(600)의 제1정렬바(100a) 축과 제2정렬바(100b)축은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어 구동모터(700)의 구동시 제1정렬바(100a) 및 제2정렬바(10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는 이송롤러(R) 사이에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주보게 설치된다.
구동부(300)는 상기 위치 조절부에 이음체에 의해 설치되어 구동부(300)에 연결된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를 구동시킨다.
이때, 구동부(300)는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를 각각 이동시키는 실린더(310)일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는 실린더(310)의 전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330)에 이음체에 의해 설치되며, 실린더(310)가 작동되어 로드(350)에 연결된 플레이트(33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레이트(330)에 설치된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가 이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음체는 볼트와 너트, 리벳 등과 같이 다수의 물체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정렬바(100a)와 플레이트(330) 사이에는 브라켓(2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브라켓(200)상에 제1정렬바(100a)가 한쌍으로 설치된다.
제2정렬바(100b)의 연결 구성도 제1정렬바(100a)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동작 관계에 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는 감지부(8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감지부(800)는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에 선행하여 이송장치에 설치되며, 가열된 고온소재(A)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감지부에 연결되며 고온소재(A)의 감지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후에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를 동작시킨다.
도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온소재(A)가 이송롤러(R)에 의해 이송되면 감지부(800)가 고온소재(A)의 진입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a), 제어부는 고온소재(A)가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가 위치하는 지점에 이송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를 작동시키고(b),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가 고온소재(A)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고온소재(A)를 정렬시키고(c), 고온소재(A)의 정렬이 끝나면 구동부(300)에 의해 처음 위치로 이동한다.(d)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의 동작 관계에 관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정렬바의 세부 구성 및 작동 상태를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하여는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는 접촉롤러(130)를 포함한다.
접촉롤러(130)는 지면에 수직 설치되어 이송되는 고온소재(A)의 양 측면에 접촉하여 고온소재(A)의 진입을 유도한다.
이때, 접촉롤러(130)의 회전속도는 고온소재(A)의 이송속도에 동조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하는 접촉롤러(130)에 의해 고온소재(A)가 정렬바 사이로 원활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촉롤러(130)의 외주면에는 돌기부(135)가 복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접촉롤러(130)를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모터(150)가 제1 및 제2정렬바(100a, 100b)에 구비될 수 있다.(도7 참조)
본 실시예와 앞선 실시예의 상이한 점은 이송되는 고온소재(A)의 가압이 정렬바에 구비되는 접촉롤러(130)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고온소재 R: 이송롤러
100a: 제1정렬바 100b: 제2정렬바 130: 접촉롤러
135: 돌기부 150: 롤러모터 200: 브라켓
300: 구동부 310: 실린더 330: 플레이트
350: 로드 500: 지지부 510: 가이드부
600: 리드 스크류 700: 구동모터 800: 감지부

Claims (5)

  1.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의 일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소재 이송 방향인 제1방향으로 고온소재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부; 상기 이송롤러 사이의 공간을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정렬바; 및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정렬바에는 상기 고온소재의 양면에 접촉하여 고온소재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수직상의 접촉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접촉롤러의 회전속도는 고온소재의 이송속도에 동조하여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고온소재를 원활한 유도를 위하여 복수의 돌기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를 이동시키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에 선행하여 이송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온소재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온소재의 감지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정렬바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5. 삭제
KR1020130036323A 2013-04-03 2013-04-03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KR10145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23A KR101457607B1 (ko) 2013-04-03 2013-04-03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23A KR101457607B1 (ko) 2013-04-03 2013-04-03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03A KR20140120503A (ko) 2014-10-14
KR101457607B1 true KR101457607B1 (ko) 2014-11-04

Family

ID=5199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323A KR101457607B1 (ko) 2013-04-03 2013-04-03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6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534A (ja) * 1991-12-10 1993-06-22 Toshiba Eng Co Ltd サイドガイド制御装置
KR20040043062A (ko) * 2002-11-15 2004-05-22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기울어짐에 대응 작동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KR20060102241A (ko) * 2005-03-23 2006-09-27 주식회사 에쎌텍 취성재료 정렬장치 및 정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534A (ja) * 1991-12-10 1993-06-22 Toshiba Eng Co Ltd サイドガイド制御装置
KR20040043062A (ko) * 2002-11-15 2004-05-22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기울어짐에 대응 작동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KR20060102241A (ko) * 2005-03-23 2006-09-27 주식회사 에쎌텍 취성재료 정렬장치 및 정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03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248B2 (en) Direct resistance heating method
KR101448871B1 (ko) 롤포밍 형강제품 연속생산 규격의 길이 자동절단이송프레스장치
CN102617023A (zh) 柱状曲面钢化玻璃加工装置
CN107646023B (zh) 用于成形玻璃片材的方法和设备
EA03767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истов стекла
KR101536456B1 (ko) 강판 정렬분리유닛 및 이를 포함한 강판 공급장치
US10662490B2 (en) Hardening apparatus for a long member, and a hardening method for a long member
KR101424432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515420B1 (ko) 가변 롤 포밍 장치
CN113695454A (zh) 串联冲压生产线及串联冲压生产线用的中间传送装置
KR101457607B1 (ko)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정렬장치
SE463872B (sv) Saett och anordning foer boejning av en glasskiva
KR101439511B1 (ko) 고주파 열처리 대상물을 위한 교정장치
KR101837056B1 (ko) 스토퍼 센서를 이용한 멀티 캐비티 적용 핫스탬핑 라인의 블랭크 웨이스트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KR10142446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549658B1 (ko) 열간 성형용 금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간 성형 장치
KR1014350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3022B1 (ko) 금속소재의 이종 두께 가변형 압연롤 장치, 압연 시스템 및 압연 방법
KR102043778B1 (ko) 열간 프레스 성형공정의 블랭크 이송장치
KR20160069153A (ko) 블랭크 이송 로봇의 블랭크 파지 장치
KR101552835B1 (ko) 주편 교정장치
JP2794875B2 (ja) 幅圧下プレスによる鋼材のキャンバ制御方法及び装置
KR102232173B1 (ko) 로봇 유닛 및 단조 롤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소재를 자동적으로 소성 가공하는 방법
KR20180025439A (ko)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멀티 캐비티 적용 핫스탬핑 라인의 블랭크 웨이스트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CN217737802U (zh) 用于片材生产线的烘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