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263B1 - 파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263B1
KR101457263B1 KR1020120011504A KR20120011504A KR101457263B1 KR 101457263 B1 KR101457263 B1 KR 101457263B1 KR 1020120011504 A KR1020120011504 A KR 1020120011504A KR 20120011504 A KR20120011504 A KR 20120011504A KR 101457263 B1 KR101457263 B1 KR 10145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hyl orange
pas
indicator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293A (ko
Inventor
송영석
민기애
허수영
정혜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2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층 상에 지시층을 결합시켜 파스를 제조함으로써 파스의 약물층에 포함된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스의 제조방법{A preparation method of a pain relief patch}
본 발명은 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스의 교체 시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스는 피부에 바르는 염증과 통증 완화 약물, 즉 외용 소염진통제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파스의 제형으로서 반투명 연고의 형태, 또는 약 성분과 접착 성분이 섬유 상에 스프레드된 형태의 두 가지 형태가 있었으나, 요즘은 물파스, 뿌리는 파스, 로션 제형 파스 등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해졌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약 성분과 접착 성분이 섬유 상에 스프레드된 형태를 파스로 지칭한다.
이러한 섬유 상 형태의 파스는 피부에 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파스를 붙이고 있으면 진통효능 이외에 피부에 가려움증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스의 교체 시간은 제품마다 다르고, 동봉된 사용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는 평균적인 교체 시간을 기재하고 있을 뿐, 약물의 잔존량에 따른 정확한 교체 시간을 알기 어렵다. 또한, 파스가 진통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용 물품이기 때문에, 주사용자들이 노인이나 육체노동자들이며, 이들은 대체로 교체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기 어렵다. 더 나아가, 노인들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교체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여 교체 시기를 지나쳐 약효가 소진된 후에도 계속 부착함으로써 적절한 약효를 누리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따라서, 지나친 시간 동안 파스를 교체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고 파스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파스의 사용자가 파스의 교체 시간을 한눈에 정확히 알 수 있는 파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약물층 상에 지시층을 결합시켜 파스를 제조함으로써 파스의 약물층에 포함된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파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살리실산 메틸을 포함하는 약물층을 포함하는 파스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1); 및
2) 상기 파스 상에 지시층을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1은, 살리실산 메틸을 포함하는 약물층을 포함하는 파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지시층을 결합시키기 위한 약물층을 포함하는 파스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약물층"은 살리실산 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살리실산 메틸"은 파스의 진통효과를 주는 약물이며, 파스의 약물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약물층을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의 종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단계 1)의 파스는 약물층 상에 지지체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단계 1)의 파스는 약물층 하부면에 이형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지지체층"은 약물층의 형성을 지지해주고 파스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층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체층은 섬유 소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면직물 또는 면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형지는 파스를 사용하기 전, 유통 중에 약물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형지의 소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파스는 별도로 제조할 수도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파스 상에 지시층을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파스 상에 지시층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지시층"은 약물층의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시약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시층을 파스의 약물층 상에 결합시킴으로써 약물층의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파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도 1은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지시층을 결합시켜 제조한 최종 파스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스는 살리실산 메틸을 포함하는 약물층(1); 상기 약물층 상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체층(2); 상기 지지체층 상에 결합되어 있는 지시층(3); 및 상기 약물층 하부면에 결합된 이형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시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구체적으로 메틸오렌지 또는 티몰블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시약으로 메틸오렌지가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시약으로 메틸오렌지, 티몰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을 각각 사용하여 파스에 지시층을 형성시킨 뒤 시간 경과에 따른 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메틸오렌지는 시간 경과에 따라 꾸준히 변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색이 사라지나, 페놀프탈레인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일어나지 않으며, 티몰블루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일어나긴 하지만 규칙적으로 변색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도 색이 사라지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파스의 지시층에 사용할 수 있는 지시약으로 메틸오렌지가 특히 적합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도 2 및 도 3).
본 발명에서, 메틸오렌지의 농도는 변색 가능 시간의 조절에 있어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메틸오렌지의 농도를 적정으로 조절할 경우 파스의 약물 성분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을 늘려줄 수 있다. 메틸오렌지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너무 빠른 시간 내에 변색이 일어나고 색이 사라져서 약물층에 약물 성분이 남아 있어도 약물이 소진된 것으로 오인될 수 있고 약물 감소를 시각적으로 적절히 나타낼 수 없게 된다. 또한, 메틸오렌지의 농도가 적정 수준을 넘어 너무 높아도 변색 가능 시간을 연장하는데 비해 메틸오렌지의 사용량이 너무 많아져 비효율적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틸오렌지의 농도는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 100 ㎖ 당 바람직하기로 메틸오렌지 0.05 내지 0.6 g, 더욱 바람직하기로 0.05 내지 0.15 g, 가장 바람직하기로 0.10 g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는 물: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10:90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 중 물의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100:0, 75:25, 50:50, 25:75 및 0:100의 부피비로 달리하여 총 100 ㎖의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각 용매에 메틸오렌지를 0.05, 0.10, 0.15, 0.2, 0.4 및 0.6 g씩 용해시켜 각각 다른 농도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각각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사용하여 파스에 지시층을 형성시킨 뒤 시간 경과에 따른 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메틸오렌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지며, 메틸오렌지의 양이 동일한 경우에는 물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메틸오렌지의 농도 증가에 비해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이 크게 길어지지는 않았으며, 메틸오렌지의 양이 0.05 g인 경우에는 색이 다소 연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경제성 및 지시약의 변색 강도를 감안하여 메틸오렌지의 농도는 용매 100 ㎖ 당 메틸오렌지 0.10 g으로 하고, 이때 물의 비율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2, 도 6 내지 도 9).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2)의 지시층의 결합은 스탬핑, 인쇄 또는 분무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람직하기로 상기 스탬핑은 스펀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메틸오렌지 용액을 파스의 면 부직포 상에 여러 종류의 스탬프를 이용하여 스탬핑하거나 직접 한 방울을 적가하여 지시층이 구비된 파스를 제조한 다음, 상기 각각의 지시층이 찍힌 파스의 모습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무 소재 스탬프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약간 묻을 뿐 스탬핑이 안되고, 스펀지 소재 스탬프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찍히긴 하지만 스탬프 무늬 그대로 찍히지 않고 대략적인 타원형으로 찍히나, 스펀지 자체를 이용할 경우 메틸오렌지 용액이 비교적 고르게 잘 묻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스펀지 자체를 이용하여 스탬핑하는 방법이 메틸오렌지 층의 형성에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3, 도 10 내지 도 12).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2)의 지시층 결합시 마스크를 이용하여 지시층을 패턴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지시층의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글자 또는 무늬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지시층을 특정 글자의 조합인 문구의 형태로 형성시킬 경우 원하는 메시지를 부여할 수 있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스 표면에 마스킹 테이프를 이용하여 3 ㎝ × 5 ㎝의 사각틀을 만들고, 메틸오렌지 용액을 상기 파스의 사각틀 안에 찍어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마스크를 이용한 스탬핑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스탬핑을 마친 후 테이프를 제거한 후 테이프가 제거되어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도 스펀지를 이용하여 스탬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테이프 사각틀의 안에 형성된 메틸오렌지 층이 사각형의 일정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160분 이상 색이 지속되고,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메틸오렌지 층은 일정 형태를 이루고 있지는 않지만 115분 이상 색이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마스크를 이용한 스탬핑 방식으로 메틸오렌지 층을 형성시킨 경우에 일정 형태의 메틸오렌지 층을 구비한 파스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색의 지속시간도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3 및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메틸오렌지 층)에 비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4 및 도 14).
본 발명은 약물층 상에 지시층을 결합시켜 파스를 제조함으로써 파스의 약물층에 포함된 약물 성분의 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파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지시약의 종류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을 조사한 결과이다. 이때 도 2 및 도 3은 공기 중의 파스의 색 변화 양상을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밀폐시킨 파스의 색 변화 양상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는 메틸오렌지 농도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을 조사한 결과이다. 이때 도 6 및 도 7은 메틸오렌지의 양이 0.05, 0.10 및 0.15 g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8 및 도 9는 메틸오렌지의 양이 0.2, 0.4 및 0.6 g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지시층의 결합 방법에 따라 각각의 지시층이 찍힌 파스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2는 지시층의 결합 방법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을 조사한 결과이다.
도 13은 마스크를 이용하여 지시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도 14는 마스킹 테이프를 이용하여 만든 사각틀 안과, 상기 테이프가 제거되어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각각 지시층을 스탬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시약의 종류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 조사
파스로는 신신파스 아렉스(신신제약, 한국)를 사용하였다. 지시약으로는 메틸오렌지, 티몰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을 각각 사용하였다.
먼저,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100:0, 75:25, 50:50, 25:75 및 0:100의 부피비로 달리하여 총 50 ㎖의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각 용매에 각각의 지시약을 0.05 g씩 용해시켜 각각 다른 농도의 지시약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각 지시약 용액을 파스의 지지체층, 즉 면 부직포 상에 스펀지로 스탬핑하여 지시층이 구비된 파스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파스를 공기 중 또는 밀폐 조건 하에 두고, 시간 경과에 따른 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간 간격은 5분으로 하였으며, 밀폐는 지퍼백에 파스를 넣어 수행하였다.
상기 색 변화의 양상을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 2 및 도 3은 공기 중의 파스의 색 변화 양상을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밀폐시킨 파스의 색 변화 양상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공기 중의 파스에서 메틸오렌지는 시간 경과에 따라 꾸준히 변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색이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메틸오렌지의 경우 농도에 따라 색이 사라지는 시간이 달라지며, 용매 중 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변색 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이 100 부피부인 경우 275분까지 변색이 일어났으며, 물이 75 부피부인 경우 220분까지 변색이 일어났다. 그러나, 페놀프탈레인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일어나지 않으며, 티몰블루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일어나긴 하지만 규칙적으로 변색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도 색이 사라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파스의 지시층에 사용할 지시약의 종류로는 메틸오렌지가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통해 밀폐시킨 파스의 경우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스의 변색을 위해서는 공기의 접촉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메틸오렌지 농도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 조사
파스로는 신신파스 아렉스(신신제약, 한국)를 사용하였다.
먼저, 하기 표 1과 같이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100:0, 75:25, 50:50, 25:75 및 0:100의 부피비로 달리하여 총 100 ㎖의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각 용매에 메틸오렌지를 0.05, 0.10, 0.15, 0.2, 0.4 및 0.6 g씩 용해시켜 각각 다른 농도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각 메틸오렌지 용액을 파스의 지지체층, 즉 면 부직포 상에 스펀지로 스탬핑하여 지시층이 구비된 파스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파스를 공기 중에 두고, 시간 경과에 따른 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간 간격은 5분으로 하였다.
메틸오렌지양
(g)
물:에탄올(부피부)
100:0 75:25 50:50 25:75 0:100
0.05 a1 a2 a3 a4 a5
0.10 b1 b2 b3 b4 b5
0.15 c1 c2 c3 c4 c5
0.2 1-1 1-2 1-3 1-4 1-5
0.4 2-1 2-2 2-3 2-4 2-5
0.6 3-1 3-2 3-3 3-4 3-5
상기 색 변화의 양상을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 6 및 도 7은 메틸오렌지의 양이 0.05, 0.10 및 0.15 g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8 및 도 9는 메틸오렌지의 양이 0.2, 0.4 및 0.6 g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메틸오렌지의 양이 많아질수록, 즉 메틸오렌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다. 다만, 메틸오렌지의 농도 증가에 비해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이 크게 길어지지는 않았으며, 메틸오렌지의 양이 0.05 g인 경우에는 색이 다소 연하게 나타났다.
또한, 메틸오렌지의 양이 동일한 경우에는 물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 변색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제성 및 메틸오렌지의 변색 강도를 감안할 때 메틸오렌지의 농도는 용매 100 ㎖ 당 메틸오렌지 0.10 g으로 하고, 이때 물의 비율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메틸오렌지 층의 결합 방법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 조사
파스로는 신신파스 아렉스(신신제약, 한국)를 사용하였다.
먼저,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50:0 및 40:10의 부피비로 달리하여 총 50 ㎖의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각 용매에 메틸오렌지를 0.3 g씩 용해시켜 2종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각 메틸오렌지 용액을 파스의 지지체층, 즉 면 부직포 상에 여러 종류의 스탬프를 이용하여 스탬핑하거나 직접 한 방울을 적가하여 지시층이 구비된 파스를 제조하였다. 스탬프로는 붉은 고무 스탬프, 하얀 고무 스탬프, 스펀지소재 스탬프 및 스펀지 자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각각의 지시층이 찍힌 파스의 모습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그 다음, 상기 각 파스를 공기 중에 두고, 시간 경과에 따른 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간 간격은 5분으로 하였다.
상기 색 변화의 양상을 도 11 내지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고무 소재 스탬프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약간 묻을 뿐 스탬핑이 안되며, 스펀지 소재 스탬프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찍히긴 하지만 스탬프 무늬 그대로 찍히지 않고 대략적인 타원형으로 찍히고, 직접 적가하는 경우에는 중앙에 작은 원형으로 찍히긴 하지만 전체적인 도포가 어려운 반면, 스펀지 자체를 이용할 경우에는 메틸오렌지 용액이 비교적 고르게 전체적으로 잘 묻어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12를 통해 스펀지 자체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변색 시간이 95분 이상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비교적 긴 변색 시간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펀지 자체를 이용하여 스탬핑하는 방법이 지시층의 형성에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마스크를 이용한 메틸오렌지 층의 형성에 따른 파스의 변색 양상 조사
파스로는 신신파스 아렉스(신신제약, 한국)를 사용하였다.
먼저,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100:0 및 80:20의 부피비로 달리하여 총 100 ㎖의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각 용매에 메틸오렌지를 0.1 g씩 용해시켜 2종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 표면에 마스킹 테이프를 이용하여 3 ㎝ × 5 ㎝의 사각틀을 만들고(a), 상기 각 메틸오렌지 용액을 상기 파스의 사각틀 안에 찍어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마스크를 이용한 스탬핑을 수행하였다. 스탬핑을 마친 후 테이프를 제거하여 사각형의 지시층이 구비된 파스를 제조하였다(b).
테이프를 제거하자 파스 표면의 섬유가 일어났다. 이러한 섬유 표면에서도 스탬핑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도 스펀지를 이용하여 스탬핑을 실시하였다.
상기 각각의 지시층이 찍힌 파스의 모습을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a)는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100:0의 부피비로 한 경우이고, b)는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80:20의 부피비로 한 경우이다. 또한, 도 14에서, a-1 및 b-1은 테이프 사각틀의 안에 형성된 지시층의 모습이고, a-2 및 b-2는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지시층의 모습이다.
도 14를 통해, 테이프 사각틀의 안에 형성된 지시층(a-1 및 b-1)은 사각형의 일정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지시층(a-2 및 b-2)은 일정 형태를 이루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각 파스를 공기 중에 두고, 시간 경과에 따른 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100:0의 부피비로 한 경우(a) 테이프 사각틀의 안에 형성된 지시층(a-1)은 160분까지 색이 지속되었으며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지시층(a-2)은 115분까지 색이 지속되었다. 또한,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80:20의 부피비로 한 경우(b) 테이프 사각틀의 안에 형성된 지시층(b-1)은 180분까지 색이 지속되었으며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지시층(b-2)은 145분까지 색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마스크를 이용한 스탬핑 방식으로 지시층을 형성시킨 경우에 일정 형태의 지시층을 구비한 파스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색의 지속시간도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3 및 섬유가 일어난 부분에 형성된 메틸오렌지 층)에 비해 길어짐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파스의 제조방법:
    살리실산 메틸을 포함하는 약물층을 포함하는 파스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파스 상에 지시약으로서 메틸오렌지 또는 티몰블루를 포함하는 지시층을 스탬핑, 인쇄 또는 분무를 통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2).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은 스펀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파스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지시층 결합시 마스크를 이용하여 지시층을 패턴화시키는 파스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층의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글자 또는 무늬인 파스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파스는 약물층 상에 지지체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파스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은 면직물 또는 면부직포인 파스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파스는 약물층 하부면에 이형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파스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오렌지의 농도는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 100 ㎖ 당 메틸오렌지 0.05 내지 0.6 g인 파스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는 물: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10:90 내지 90:10의 부피비인 파스의 제조방법.
KR1020120011504A 2012-02-03 2012-02-03 파스의 제조방법 KR10145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504A KR101457263B1 (ko) 2012-02-03 2012-02-03 파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504A KR101457263B1 (ko) 2012-02-03 2012-02-03 파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93A KR20130090293A (ko) 2013-08-13
KR101457263B1 true KR101457263B1 (ko) 2014-11-07

Family

ID=4921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504A KR101457263B1 (ko) 2012-02-03 2012-02-03 파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1874B2 (ja) * 2017-08-30 2023-05-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ならびに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付外用貼付剤
JP7035379B2 (ja) * 2017-08-30 2022-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付外用貼付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556A (ja) * 1997-04-09 1998-10-27 Teijin Ltd 薬物残量表示機能付き貼付剤
KR20000057371A (ko) * 1996-12-03 2000-09-15 졸탄 다르다이 생체에 펩티드성 약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국소 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371A (ko) * 1996-12-03 2000-09-15 졸탄 다르다이 생체에 펩티드성 약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국소 제제
JPH10287556A (ja) * 1997-04-09 1998-10-27 Teijin Ltd 薬物残量表示機能付き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93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55410B (zh) 中药凝胶贴膏及其基质
CN1946429B (zh) 贴剂
JP4086317B2 (ja) 塗布領域の厚さが薄く柔軟性が高い経皮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377134T3 (es) Preparación tópica de enfriamiento en forma de parche
EP1855660B1 (de) Faserfreies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2895164A (zh) 一种凝水面膜及其制备方法
CN101658511B (zh) 粘合贴剂
CN107205956A (zh) 输送系统
JP6142379B2 (ja) 含水貼付剤
KR101457263B1 (ko) 파스의 제조방법
CN104379139A (zh) 贴附剂
EP065907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ächigen dosierungsform für wirkstoffe.
KR101372227B1 (ko) 표면 경화막을 가진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128B1 (ko) 지시층을 포함하는 파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64084A1 (ja) 誤用防止特性を有する貼付製剤
CN101686950B (zh) 巴布剂及巴布剂的制造方法
CN214476012U (zh) 一种计时变色的针口贴
CN201299707Y (zh) 药用贴布
KR101004140B1 (ko)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외용제의 제조방법
JP3178360B2 (ja) パップ剤
KR101154328B1 (ko)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무좀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JP2010163398A (ja) シート状貼付剤
KR20070011981A (ko)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CN204193093U (zh) 一种间隔涂条式多药效透气医疗敷贴
CN220327590U (zh) 一种防止伤口沾水的透明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