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717B1 -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717B1
KR101456717B1 KR1020080115864A KR20080115864A KR101456717B1 KR 101456717 B1 KR101456717 B1 KR 101456717B1 KR 1020080115864 A KR1020080115864 A KR 1020080115864A KR 20080115864 A KR20080115864 A KR 20080115864A KR 101456717 B1 KR101456717 B1 KR 10145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pport bracket
frame
rewinder
journal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869A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8011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7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용지롤(24)에서 공급된 용지에는 저널프린터(30)에 의해 고객의 거래내역이 프린팅된다. 그리고, 상기 저널프린터(30)에서 프린팅된 용지는 구동원(80)에 의해 회전되는 리와인더(70)에 감아진다. 프레임(22)에는 상기 저널프린터(30)를 통과하는 용지의 일측이 걸어져 팽팽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42)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센서(52,54)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을 감지하고,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원(8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22)에 구비된 차단스위치(56)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이 용지를 당기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80)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리와인더에 의해 용지가 과도하게 당겨져 끊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지지브라켓이 슬라이딩되면서 용지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115864
자동화기기, 거래내역, 저널프린터

Description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Transaction process recording apparatus for automated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기기를 통해 고객이 거래한 내역 등을 별도로 기록하기 위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기기는 그 수행되는 기능이 모두 자동화되어 별도로 관리하는 사람이 없이도 동작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자동화기기의 예로서, 매체자동지급기, 증명서발급기,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있다. 이 중에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창구를 거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화기기를 사용하는 고객은 전면에 구비된 카드 투입구에 카드를 투입한 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안내문구에 따라 조작버튼을 조작하면서 현금 또는 수표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고, 계좌이체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거래가 종료되면 자동화기기에서는 고객에게 거래내역에 관한 명세표를 발급한다. 그리고, 고객에게 발급한 명세표와는 별도로 자동화기기의 내부에서는 저널프린터를 통해 별도의 용지에 거래내역을 프린트하여 보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처리과정 기록장치에는 프레임(1)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은 거래내역 기록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에는 거래내역 기록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은 한 쌍의 단부판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는 지지암(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암(3)은 상기 프레임(1)에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지지암(3)은 용지(P)의 일면을 걸어 용지(P)가 팽팽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5)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암(3)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3)의 선단에는 상기 용지(P)가 걸어지기 위한 걸림돌기(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암(3)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9,11)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9,11)는 두 개로 구성되는데, 각각 상기 지지암(3)의 선단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지지암(3)의 회전 궤적상에 구비된다.
상기 제 1센서(9)는 용지(P)가 팽팽하게 지지되었을 때 상기 지지암(3)의 선 단을 감지하고, 상기 제 2센서(11)는 용지(P)가 풀려 지지암(3)가 하방으로 처질 때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용지(P)가 팽팽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용지(P)가 급격하게 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지(P)가 프린팅된 후에 저널프린터의 외부로 이송되면 용지(P)가 느슨하게 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지(P)가 풀리면 상기 지지암(3)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처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센서(11)에 지지암(3)의 선단이 감지되면 리와인더가 구동되어 상기 용지(P)가 리와인더에 감아져 용지(P)가 팽팽하게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 1센서(9)에 이상이 발생하여 지지암(3)의 선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리와인더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계속 구동되어 용지(P)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지지암(3)이 프레임(1)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암(3)이 제작공차 및 조립공차에 의해 정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면 상기 지지암(3)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용지(P)를 팽팽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와인더의 구동원을 제어하는 센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리와인더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팽팽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지가 권선되는 용지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롤에서 공급되는 용지에 고객의 거래내역을 프린팅하는 저널프린터와; 상기 저널프린터에서 프린팅된 용지가 감아지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와인더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널프린터를 통과한 용지의 일측이 걸어져 팽팽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가 풀 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을 감지하고,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원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센서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용지를 당기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차단시키는 차단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용지의 일면이 감아지고 상기 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슬롯에 인접한 프레임에 형성된 걸이돌기에 걸어지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원은 드라이브칩의 인에이블(Enable) 단자가 내부에 구비되는 DC모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의 풀림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원이 구동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 1센서와;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의 당김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 2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스위치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의해 눌러지는 접촉바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 또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구동모터가 계속하여 구동될 때 차단스위치가 작동하여 구동모터가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리와인더에 의해 용지가 과도하게 당겨져 끊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와인더로 감기는 용지가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감아지고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용지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지브라켓이 슬라이딩되면서 용지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용지상태에 따라 감지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처리과정 기록장치에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는 프레임(22)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2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2)은 두 개의 단부판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2)의 일측에는 용지롤(24)이 용지롤축(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용지롤(24)은 프린팅되지 않은 용지(P)가 감아지는 부분이다. 상기 용지롤(24)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모터(8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저널프린터(30)로 용지(P)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의 일측에는 상기 용지롤(24)에서 공급된 용지(P)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암(26)이 회전축(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암(26)은 상기 프레임(22)에 설치되어 용지(P)가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암(26)의 선단에는 실질적으로 용지(P)의 일면과 접촉하는 지지돌기(28)가 구비된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회전축(26')에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용지(P)가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지지암(26)이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 일측에는 저널프린터(30)가 설치된다. 상기 저널프린터(30)는 상기 용지롤(24)에서 공급되는 용지(P)에 처리된 거래내역을 프린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널프린터(30)는 일반적인 거래내역 뿐만 아니라 자동화기기의 개폐, 매체의 판독 및 반출 등에 관한 일시집적 및 회수여부 등으로 포함하여 자동화기기에서 처리되는 각종 과정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상기 저널프린터(30)의 입구에는 가이드수단(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2)은 상기 저널프린터(30)로 용지(P)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롤러, 축 등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널프린터(30)에는 실질적으로 용지(P)에 프린팅을 하기 위한 프린팅부(34)가 구비된다. 상기 프린팅부(34)에는 프린팅헤드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용지(P)의 일면에 거래내역을 프린팅한다. 한편, 상기 저널프린터(30)에는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되어 용지(P)의 프린팅이 이루어지면 이송롤러(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프린팅된 용지(P)가 저널프린터(30)의 외부로 이송되게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는 가이드슬롯(40)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40)에는 지지브라켓(42)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2)에는 상기 가이드슬롯(40)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축(44,4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44,45)은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44,45)은 용지가이드부(44)와 브라켓가이드부(45)로 구성된다. 상기 용지가이드부(44)는 상기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고 용지(P)의 일면이 감아진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가이드부(45)는 상기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브라켓(42)은 용지(P)가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일측에는 걸이돌기(4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46)에는 탄성부재(48)의 일단이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8)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용지(P)가 풀리는 방향 즉, 상기 리와인 더(7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브라켓(42)이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48)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22)에 구비된 걸이돌기(50)에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8)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된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서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상방에는 한 쌍의 센서(52,54)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52,54)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지(P)의 풀림상태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52,54)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센서(52,54)는 두 개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센서(52)는 상기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센서(54)는 상기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상기 제 1센서(52)는 용지(P)가 가장 느슨하게 풀린 상태에서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센서(54)는 용지(P)가 가장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 1센서(52)에 지지브라켓(42)이 감지되면 제 1센서(52)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모터(80)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80)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80)가 구동되면 용지(P)가 당겨져 리와인더(70)에 감긴다.
그리고, 상기 제 2센서(54)는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지(P)가 과도하게 당겨져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42)이 상기 리와인더(70)에서 과도하게 가까워지면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 해 상기 구동모터(80)에 정지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가이드슬롯(40)에 인접한 프레임(22)에는 차단스위치(56)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스위치(56)는 상기 제 2센서(54)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80)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스위치(56)에는 접촉바(58)가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접촉바(58)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일측에 의해 눌러져 차단스위치(56)에 온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차단스위치(56)는 온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80)의 내부에 구비된 드라이버칩의 인에이블(Enable) 단자를 강제로 셧다운(Shut-down)시킨다. 즉, 상기 차단스위치(56)는 비상시에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용지(P)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는 용지(P)의 일면이 가이드되는 텐션축(60)이 설치된다. 상기 텐션축(60)은 용지(P)의 일면이 밀착되어 용지(P)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며 용지(P)가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텐션축(60)은 상기 프레임(22)에 용지(P)의 이송방향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의 사이에는 리와인더(70)가 리와인더축(7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와인더(70)는 상기 저널프린터(30)에서 프린팅된 용지(P)가 감아지는 부분이다. 상기 리와인더축(70')에는 리와인더기어(72)가 구비된다. 상기 리와인더기어(72)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트레인(84)과 맞물리게 구비되어 구동모터(8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프레임(22)의 일면에는 구동모터(8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80)는 상기 센서(52,5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구동모터(80)는 바람직하게 DC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구동모터(80)의 구동축에는 웜기어(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웜기어(82)는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트레인(84)와 맞물린다. 상기 기어트레인(8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와인더기어(72)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80)의 동력을 전달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용지(P)는 용지롤(24)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저널프린터(30) 및 지지브라켓(42)을 지나 리와인더(70)에 감아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저널프린터(30)의 프린팅부(34)에서 용지(P)의 프린팅이 이루어지면 내부에 구비된 구동원이 구동되어 이송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용지(P)가 외부로 이송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지(P)의 프린팅이 끝나고 용지(P)가 저널프린터(30)의 외부로 이송되면 용지(P)가 느슨하게 풀어진다. 이 상태가 도 3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42)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센서(52)에 감지된다.
상기 제 1센서(52)에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감지되면 상기 제 1센서(52)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80)가 구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80)는 상기 웜기어(82) 및 기어트레인(84)을 차례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트레인(84)은 상기 리와인더(70)가 회전되어 용지(P)가 감아지도록 한다.
상기 리와인더(70)는 용지(P)를 당겨 상기 지지브라켓(42)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42)은 상기 리와인더(70)에 의해 이동되다가 제 2센서(54)에 감지된다(도 3b 참조). 그러면, 상기 제 2센서(54)는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80)가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80)가 정지되면 상기 리와인더(70)이 회전이 정지되므로 용지(P)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42)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센서(54)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나거나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구동모터(80)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하여 회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42)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스위치(56)의 접촉바(58)를 눌러 탄성변형시켜 차단스위치(56)가 동작되게 한다.
상기 차단스위치(56)는 온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80)의 내부에 구비된 드라이버칩의 인에이블(Enable) 단자를 강제로 셧다운(Shut-down)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80)가 구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용지(P)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베이스프레임 22 : 프레임
24 : 용지롤 26 : 지지암
28 : 지지돌기 30 : 저널프린터
32 : 가이드수단 34 : 프린팅부
40 : 가이드슬롯 42 : 지지브라켓
44 : 가이드축 46 : 걸이돌기
48 : 탄성부재 50 : 걸이돌기
52 : 제 1센서 54 : 제 2센서
56 : 차단스위치 58 : 접촉바
60 : 텐션축 70 : 리와인더
72 : 리와인더기어 80 : 구동모터
82 : 웜기어 84 : 기어트레인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지가 권선되는 용지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롤에서 공급되는 용지에 고객의 거래내역을 프린팅하는 저널프린터와;
    상기 저널프린터에서 프린팅된 용지가 감아지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와인더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널프린터를 통과한 용지의 일측이 걸어져 팽팽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을 감지하고,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원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센서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용지를 당기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차단시키는 차단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용지의 일면이 감아지고 상기 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슬롯에 인접한 프레임에 형성된 걸이돌기에 걸어지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드라이브칩의 인에이블(Enable) 단자가 내부에 구비되는 DC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의 풀림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원이 구동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 1센서와;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상기 용지의 당김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원이 정지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제 2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스위치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의해 눌러지는 접촉바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KR1020080115864A 2008-11-20 2008-11-20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KR10145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64A KR101456717B1 (ko) 2008-11-20 2008-11-20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64A KR101456717B1 (ko) 2008-11-20 2008-11-20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69A KR20100056869A (ko) 2010-05-28
KR101456717B1 true KR101456717B1 (ko) 2014-10-31

Family

ID=4228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64A KR101456717B1 (ko) 2008-11-20 2008-11-20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4748B (zh) * 2014-12-04 2016-08-24 广东金赋信息科技有限公司 自助服务终端的电控门、控制方法及自助服务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049A (ja) * 1991-10-24 1993-05-07 Sony Corp プリンタ
KR0169238B1 (ko) * 1995-12-26 1999-03-20 구자홍 저널 프린터의 와인더 홈 포지션 장치 및 방법
KR20020093369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거래내역 기록장치
KR100756486B1 (ko) 2005-08-11 2007-09-07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프린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049A (ja) * 1991-10-24 1993-05-07 Sony Corp プリンタ
KR0169238B1 (ko) * 1995-12-26 1999-03-20 구자홍 저널 프린터의 와인더 홈 포지션 장치 및 방법
KR20020093369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거래내역 기록장치
KR100756486B1 (ko) 2005-08-11 2007-09-07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69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9092A (en) Paper feed fault detection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EP0944543A4 (en) SYSREM FOR TRANSPORTING AND RECRUITING A RECEIPT FOR AN AUTOMATIC
CA2496218C (en) Paper ja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KR101456717B1 (ko)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JP4370730B2 (ja) 印刷用紙の搬送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175221A1 (en) Printer
JP5101674B2 (ja) 印刷装置
JP2007276272A (ja) レシートプリンタ
KR100981777B1 (ko)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JP3976622B2 (ja) 非接触icカード処理装置
JPH0624923Y2 (ja) 発券装置
JP5420979B2 (ja) ロール紙装着機構
JP4720087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KR200269139Y1 (ko) 현금자동 인출기의 수표 인쇄모듈 결합장치
JP2005279983A (ja) レシートプリンタ
JP6065431B2 (ja) 異物侵入防止機構、券類発行装置、及び券売機
KR100375073B1 (ko) 현금자동 인출기의 거래내역 기록장치
JP5088712B2 (ja) 印刷方法
JP3786379B2 (ja) 記録媒体の検出装置
JP4561106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EP0971820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JP3311245B2 (ja) 媒体繰出装置
JP2946739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87641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9206122A (ja) プリンタ装置およびユニット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