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423B1 -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 Google Patents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423B1
KR101456423B1 KR1020130042238A KR20130042238A KR101456423B1 KR 101456423 B1 KR101456423 B1 KR 101456423B1 KR 1020130042238 A KR1020130042238 A KR 1020130042238A KR 20130042238 A KR20130042238 A KR 20130042238A KR 101456423 B1 KR101456423 B1 KR 10145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mpeller
air
ductless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559A (ko
Inventor
허옥동
Original Assignee
허옥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옥동 filed Critical 허옥동
Priority to KR102013004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42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임펠러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이 적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임펠러를 알루미늄으로 된 에어포일 팬으로 제작하여 저전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노즐에서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차 후 차량 외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비용도 적게 드는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는, 케이싱의 양단(兩端)에 임펠러가 각각 장착되고, 단부(端部)에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을 통해 송풍된 에어를 분사하여 세차하고 난 자동차의 외부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에 사용되는데, 상기 임펠러는 알루미늄 재질의 에어포일 팬이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리되어 분사되도록, 노즐의 단부에는 노즐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스트랩(strap)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노즐의 선단(先端)과 스트랩 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Ductless top blower for automatic car washing machine easily blow out water}
본 발명은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과 진동 및 전력소모도 적고 세차 후 차량 외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비용도 적게 드는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점차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운전자 스스로 차량의 외부를 세차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세차장에서 자동 세차기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세차를 실시하고 있어서, 자동 세차기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세차장이 대부분 주택가나 사무실이 많은 도심의 좁은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장치의 특성상 자동 세차기는 좁은 공간에 많은 구성을 설치해야 하고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종전의 탑 블로워장치(실용신안등록 제211035호, 특허등록 제591986호 등)는 주름관 형태의 덕트호스의 끝에 상면노즐이 부착되기 때문에 주름관 형태의 덕트호스가 언제나 공중에 떠 있어서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면노즐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어려워서, 세차한 자동차의 상면에 남아 있는 물기를 블로워로 불어서 한번에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서, 블로워로 물기를 제거하고 난 후에도 차량 외부에 물기가 남아 있게 되므로 자동 세차기에서 세차를 마치고 난 후에 다시 사람이 걸레로 물기를 닦아내는 2차 수작업을 해줘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695691호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받았고, 실제 제조하여 많은 현장에서 사용해 보니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노즐에서 에어가 분출되는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는 노즐의 폭방향(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볼 때 단면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분사구멍 측벽 단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했는데, 에어가 한 방향으로 분사되다 보니 블로워가 지나간 후에도 오히려 물기가 남아 있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케이싱과 임펠러가 SS41 강판으로 제작한 것이어서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마력이 큰 모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전력으로 나오는 블로워의 풍속이 약해서 블로워가 지나간 후에도 차량에 물기가 많이 남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세째, 세차시 물이 튀게 되므로 강판으로 제작된 케이싱과 임펠러가 쉽게 부식되어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고, 임펠러가 3,600rpm 이상으로 고속회전시 임펠러가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 유지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과 임펠러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이 적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임펠러를 알루미늄으로 된 에어포일 팬으로 제작하여 저전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노즐에서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차 후 차량 외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비용도 적게 드는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는, 케이싱의 양단(兩端)에 임펠러가 각각 장착되고, 단부(端部)에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을 통해 송풍된 에어를 분사하여 세차하고 난 자동차의 외부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가 구비된 자동 세차기에 사용되는데, 상기 임펠러는 알루미늄 재질의 에어포일 팬이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리되어 분사되도록, 노즐의 단부에는 노즐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스트랩(strap)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노즐의 선단(先端)과 스트랩 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는, 케이싱과 임펠러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했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세차하면서 물이 튀더라도 부식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유지 관리 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또한, 임펠러를 일루미늄 재질의 에어포일 팬(air foil fan)을 사용했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기존의 강판형 시로코 팬(sirocco fan)을 사용한 것보다는 풍속이 30% 이상 증가하고, 3,600rpm 이상으로 고속회전을 하더라도 임펠러가 파손되지 않고 소음과 진동이 현저히 줄어들며, 노즐에서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세차 후 차량 외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탑 블로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에어포일 팬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탑 블로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탑 블로워장치의 케이싱과 노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케이싱과 임펠러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임펠러를 알루미늄으로 된 에어포일 팬으로 제작하여 저전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노즐에서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차 후 차량 외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 본체와 본체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세차한 차량의 측면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사이드 블로워장치 및 세차한 차량의 상면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탑 블로워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인데, 케이싱(11)의 양단(兩端)에 모터(12)와 임펠러(13)가 각각 장착되고, 단부(端部)에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14)을 통해 임펠러(13)로부터 송풍된 에어를 분사하여 세차하고 난 자동차의 외부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세차기는 세차하면서 물이 튈 수밖에 없어서 종래와 같이 SS41 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한 케이싱과 임펠러는 너무 쉽게 부식이 쉽게 되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에 많은 문제가 있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11)과 임펠러(13)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무게도 가볍고 부식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임펠러(13)의 단면(斷面) 형상을 익형(翼型)인 에어포일 팬(air foil fan)을 사용함으로써, 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운전손실이 줄어들어 저전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기존의 주물형 시로코 팬을 사용한 것보다는 풍속이 30% 이상 증가되고, 3,600rpm 이상으로 고속회전을 하더라도 임펠러(13)가 파손되지 않고 소음과 진동을 현저하게 줄어들게 하였다.
노즐(14)의 단부에는 에어가 노즐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노즐(14)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스트랩(strap, 15)을 부착하고, 노즐(14)의 선단(先端)과 스트랩(15) 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중 하나이다. 스트랩(15)이 노즐(14)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開口)된 선단 부분을 양분해 주기 때문에 노즐(14)을 통해 나오는 에어가 분사되는 방향이 노즐의 이동방향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나뉘면서 차량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해 주게 된다.
또한, 본인의 종래 특허에서는 노즐의 폭방향(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볼 때 단면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분사구멍 측벽 단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했는데, 이와 같이 에어가 한 방향으로 분사되다 보니 오히려 물기가 덜 제거된다는 문제가 있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스트랩(15)을 부착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탑 블로워장치 11 : 케이싱
12 : 모터 13 : 임펠러
14 : 노즐 15 : 스트랩

Claims (3)

  1. 케이싱의 양단(兩端)에 임펠러가 각각 장착되고, 단부(端部)에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을 통해 송풍된 에어를 분사하여 세차하고 난 자동차의 외부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알루미늄 재질의 에어포일 팬이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양방향으로 분리되어 분사되도록, 노즐의 단부에는 노즐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스트랩(strap)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노즐의 선단(先端)과 스트랩 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42238A 2013-04-17 2013-04-17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KR10145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38A KR101456423B1 (ko) 2013-04-17 2013-04-17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38A KR101456423B1 (ko) 2013-04-17 2013-04-17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59A KR20140124559A (ko) 2014-10-27
KR101456423B1 true KR101456423B1 (ko) 2014-10-31

Family

ID=5199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38A KR101456423B1 (ko) 2013-04-17 2013-04-17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4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250A (ko) * 2002-03-04 2003-09-1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액처리방법 및 액처리장치
KR100695691B1 (ko) * 2006-08-30 2007-03-16 허옥동 자동 세차기의 덕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250A (ko) * 2002-03-04 2003-09-1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액처리방법 및 액처리장치
KR100695691B1 (ko) * 2006-08-30 2007-03-16 허옥동 자동 세차기의 덕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59A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4439A (zh) 风干无接触洗车机
JP6061540B2 (ja) 洗浄装置
CN206612741U (zh) 一种高空玻璃清洗装置
KR101456423B1 (ko) 물기제거 성능이 향상된 자동 세차기의 닥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CN206336257U (zh) 一种环卫车辆清洗机
CN104043548B (zh) 用于除尘与去水的喷气清洁装置
CN216374482U (zh) 一种车载传感器的清洗装置及车辆
JP6395552B2 (ja) 噴流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車体洗浄装置
CN104340177A (zh) 汽车雨刮器
CN101397005B (zh) 一种汽车雨刮器
CN209870342U (zh) 一种龙门往复式洗车机
KR100695691B1 (ko) 자동 세차기의 덕트리스 탑 블로워장치
KR100668439B1 (ko) 자동 세차기용 송풍기
JP2009241819A (ja) 自動車用エアーワイパーの構造
CN207735272U (zh) 一种电梯的导轨自动清洗装置
CN207809332U (zh) 一种隧道式风干洗车机
CN211713842U (zh) 一种清洁车
JP2008155721A (ja) 洗車機
CN203567694U (zh) 一种用于汽车后视镜的除水装置
CN215398599U (zh) 集成风干式流控洗车机
CN219096665U (zh) 一种往复式龙门洗车机
CN215244757U (zh) 一种自动洗车机
CN217705754U (zh) 一种风挡玻璃昆虫尸迹污渍清洗器
JP4804245B2 (ja) 洗車機
CN204176766U (zh) 空调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