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300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300B1
KR101456300B1 KR1020080025236A KR20080025236A KR101456300B1 KR 101456300 B1 KR101456300 B1 KR 101456300B1 KR 1020080025236 A KR1020080025236 A KR 1020080025236A KR 20080025236 A KR20080025236 A KR 20080025236A KR 101456300 B1 KR101456300 B1 KR 10145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transporting
conveying
popul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836A (ko
Inventor
마사히로 코마츠
시게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767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112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768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112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766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112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33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340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3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34069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노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강도 밸런스가 양호한 예취조수가 7조 이상의 전처리부를 구비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주행기체(2)와, 예취조수가 7조 이상의 전처리부(3)와, 전처리부(3)에서 예취된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체(6)와, 주행기체(2)의 동력을 전처리부(3)에 전동함과 함께 전처리부(3)를 지지하는 종통(22)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종통(22)을 전처리부(3)의 진행 방향 우단부터 세어서 4조째부터 5조째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연결하고, 전처리부(3)의 우측의 반송체(38A)와 좌측의 반송체(38D)의 합류부(P)를, 평면으로 보아 종통(22)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조수가 7조(條) 이상의 전처리부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주행기체(走行機體)의 전방에 곡간(穀稈)의 예취(刈取)를 행하는 전처리부를 연결하고, 해당 전처리부의 예취조수를 7조 이상으로 구성함에 의해 예취하는 곡간의 양을 증가시킨 특허문헌1에 나타내는 콤바인이 공지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실개소55-81534호 공보
상기 문헌의 콤바인은, 전처리부의 예취조수가 8조로 구성되고, 주행기체에 기단부(基端部)가 지지된 종통(縱筒)의 선단부에 전처리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콤바인의 전처리부는, 좌우의 강도(强度) 밸런스가 양호하다고 하기는 어렵고, 전처리부의 좌우 양측을 종통 등으로 각각 지지하거나, 강도가 높은 재질로 종통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전처리부의 경량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전처리부의 예취조수를 7조로 구성하는 경우,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체의 레이아웃 구조를 예취조수가 8조인 전처리부와 공통화하는 것이 곤란하고, 저비용으로 조 수의 베리에이션을 늘리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콤바인은, 첫째, 탈곡부(7)를 갖는 주행기체(2)와, 해당 주행기체(2)의 전방에 연결된 예취조수가 7조 이상의 전처리부(3)와, 전처리부(3)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부(7)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체(6)와, 주행기체(2)의 동력을 전처리부(3)에 전동(傳動)함과 함께 전처리부(3)를 지지하는 종통(22)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종통(22)을 전처리부(3)의 진행 방향 우단(右端)부터 세어서 4조째(條目)부터 5조째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둘째, 전처리부(3)의 우측의 예취부(C1, C2)에서 예취된 곡간의 주원(株元)을 탈곡부(7)를 향하여 반송하는 주우주원(主右株元) 반송체(38A)와, 전처리부(3) 의 좌측의 예취부(C7, C8)에서 예취된 곡간의 주원을 상기 주우주원반송체(38A)의 반송 하류측으로 반송하여 합류시키는 주좌주원(主左株元) 반송체(38D)를 구비하고, 주좌주원반송체(38D)에 형성되는 반송로(51)에서의 상기 주우주원반송체(38A)와의 합류부(P)를 형성하는 하류측의 하류 반송로(51B)를 상류측의 상류 반송로(51A)에 대해 우주원반송체(38A)의 주원 반송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셋째, 전처리부(3)의 예취조수를 8조로 하고, 구동 스타 휠(31D)과, 구동 스타 휠(31D)과 맞물리는 종동 스타 휠(31S)에 의해 전처리부(3)의 예취곡간을 긁어넣어(搔入) 후방의 반송체(6)에 소입(搔入) 반송하는 소입반송체(搔入搬送體)(28)를, 전처리부(3)의 예취조수에 대응시켜서 4조(組) 마련하고, 각 조(組)의 소입반송체(28)에 동력을 각각 별도로 입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주행기체(2)를 좌우의 크롤러(1L, 1R)에 의해 지지하고, 전처리부(3)의 진행 방향 우단부터 7조째 이후의 예취부(C7, C8)를 좌크롤러(1L)의 좌단보다 좌측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콤바인에 의하면, 전처리부의 예취조수가 8조인 경우에는 종통에 의해 개략 중앙에서 지지되어, 전처리부의 좌우의 밸런스가 개략 동일하게 되어, 곡간을 예취 반송할 때의 전처리부에의 부하가 개략 균일화되기 때문에, 전처리부의 강도가 향상한다. 이 때문에, 전처리부를 구성하는 부재도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류 반송로가 상류 반송로에 대해 주우주원반송체의 반송 방향으로 경사하고, 주좌주원반송체의 합류부에의 송출 방향이 주우주원반송체의 반송 방향에 근접하기 때문에, 주좌주원반송체의 곡간의 합류부로의 송출이 보다 스무스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각 조의 소입반송체에 각각 별도로 동력을 입력시키기 때문에, 각 조의 소입반송체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동력을 전동하는 종래 공지의 것과 비교하여, 스타 휠의 구동 토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스타 휠의 마모가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구동 토크가 작아짐에 의해, 소입반송체에 마련하는 토크 리미터(안전 장치)의 효능을 강하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져서, 토크 리미터의 감도 저하에 의한 막힘의 조장이 방지되고, 막힘의 상태에 따른 토크 리미터의 적절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에 의해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 좌측의 곡간이 예취되고, 좌크롤러의 좌단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예취 폭 1조(條)분 이상의 밟는 여유가 형성되기 때문에, 좌크롤러로부터 비산하는 흙 등이 포장(圃場) 미예지(未刈地)의 곡간에 부착하여, 탈곡 처리시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예취 폭 1 조분 이상의 밟는 여유가 확보되기 때문에, 기체가 무거운 다조(多條) 예취의 콤바인에 있어서, 좌크롤러가 포장에 깊게 끼워 삽입(嵌入)한 상태로 주행하여, 기체의 좌측쪽에 있는 미예지의 곡간에 악영향을 준다는 사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 2 및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자탈식(自脫式)의 콤바인의 정면도, 평면 도 및 측면도이다. 본 콤바인은, 주행부인 좌우 한 쌍의 크롤러(1L, 1R)에 지지된 주행기체(2)와, 주행기체(2)의 전방에 승강 자유롭게 연결된 전처리부(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처리부(3)는, 조(條)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정해진 포장에의 식립곡간(植立穀稈)을 8조분 단숨에 예취하는 예취조수가 8조의 예취 장치이고, 주행기체(2)상의 진행 방향 우측에 세워진 캐빈(4) 내에 올라탄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좌우의 크롤러(1L, 1R)를 구동하여 주행기체(2)를 주행시키면서 포장의 곡간의 예취 작업을 행한다.
전처리부(3)에서 예취된 곡간은, 반송 장치(6)(반송체)에 의해 주행기체(2)상의 좌부(左部) 앞측으로 반송된 후, 주행기체(2) 좌부의 탈곡부(7)의 급실(扱室; 훑는 곳)(도시 생략)에 따라 곡간을 반송하는 탈곡 피드 체인(8)에 건네진다. 탈곡 피드 체인(8)에 건네진 곡간은, 급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탈곡 처리되어 배고(排藁)로 되고, 배고 피드 체인(도시 생략)에 의해 주행기체(2)의 후단부까지 반송된다. 주행기체(2)의 후단부까지 반송된 배고는, 그대로 기체 후방으로부터 기외(機外)로 배출되거나, 주행기체(2)의 후단부의 커터부(9)에서 절단 처리된 후에 기체 후방으로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한편, 급실에서 훑어내려진(扱降) 급강물(扱降物)은, 급실 하방의 선별실(도시 생략)에 빠져 내리고, 선별실 내에서 기풍(起風)되는 후방 경사 윗방향의 선별풍에 의해 지푸라기(藁屑)와 곡립(穀粒)으로 선별된 후, 지푸라기가 기체 후방으로부터 기외로 배출되고, 곡립이 주행기체(2)의 우부후측의 그레인 탱크(11)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11) 내에 수용된 곡립은, 주행기체(2)의 후단부 우측 에 수평 회동이 자유롭고 상하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오거(12)에 의해 기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전처리부(3)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상기 전처리부(3)에는, 포장의 2조분의 식립곡간을 일으켜세우는(引起) 인기장치(引起裝置)(13)가 4개 마련되어 있다. 각 인기장치(13)는, 서로가 인접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난 판형상의 인기(引起)케이스(14)를 좌우 한 쌍으로 구비하고 있다. 각 인기케이스(14)의 상하단 및 좌우 측단에 의해 형성된 외주단(外周端)에는 소정 피치마다 인기(引起) 폴(16)이 마련되어 있고, 좌측의 인기케이스인 좌인기케이스(14L)와, 우측의 인기케이스인 우인기케이스(14R)와의 사이에는 곡간을 인기장치(13)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보내는 소입 스페이스(S)가 형성되어 있다.
각 인기폴(16)은, 소입 스페이스(S)를 통과하는 측에서 상방 이동이 되는 방향으로 인기케이스(14)의 외주단 주위를 순환 이동하고, 상방 이동할 때에는 소입 스페이스(S)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자세로 자세 전환되는 한편으로, 그 이외의 부분을 이동할 때에는 인기케이스(14)측에 수납되는 수납자세로 자세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입 스페이스(S)를 통과하는 식립곡간을, 상기 인기폴(16)에 의해 빗어 일으켜 기립 상태로 한다.
전처리부(3)의 하단부의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합계 9개의 디바이더(17)가 지지 고정되어 있다. 해당 9개의 디바이더는, 각 인기장치(13)의 소송(搔送) 스페이스(S)의 중앙 전방에 배치된 합계 4개의 디바이더(17, 17, 17, 17) 와, 정면으로 보아 인접하는 인기장치(13)끼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합계 3개의 디바이더(17, 17, 17)와, 전처리부(3)의 우단부에 마련된 디바이더(17)와, 좌단부에 마련된 디바이더(17)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대응한 디바이더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포장의 식립곡간은, 주행기체(2)의 전진 주행에 수반하여, 조마다 각 디바이더(17) 및 디바이더 프레임(18) 사이로 분초(分草)된 후, 대응하는 인기케이스(14)의 인기폴(16)까지 안내된다. 인기폴(16)에 의해 빗어 올려져서 일으켜 세워진 포장의 식립곡간은, 후술하는 소입반송장치(27)(도 4, 5 참조)에 의해 후방으로 보내지고, 예인(刈刃)(21)에 의해 근원부터 예취된다. 또한, 예인(21) 은 2개의 날의 한쪽에 대해 또 한쪽을 왕복 작동시킴에 의해 곡간의 주원(株元)을 절단 처리하는 레시프로식의 절단날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웃하는 디바이더(17) 사이의 거리가 1조분의 예취 폭이 되고, 인기장치(13)의 좌우 폭이 2조분의 예취 폭이 된다. 즉, 가장 우측에 배치된 인기장치(13)인 제 1 인기장치(13A)에 우측부터 차례로 1조째 및 2조째의 예취부(C1, C2)가 형성되고, 제 1 인기장치(13A)의 왼편에 배치된 인기장치(13)인 제 2 인기장치(13B)에 우측부터 차례로 3조째 및 4조째의 예취부(C3, C4)가 형성되고, 제 2 인기장치(13B)의 왼편에 배치된 인기장치(13)인 제 3 인기장치(13C)에 우측부터 차례로 5조째 및 6조째의 예취부(C5, C6)가 형성되고, 가장 좌측에 배치된 인기장치(13)인 제 4 인기장치(13D)에 우측부터 차례로 7조째 및 8조째의 예취부(C7, C8)가 형성된다.
또한, 가장 좌측의 디바이더(17)에 의해 왼쪽으로 분초된 곡간은, 전처리부(3)의 좌측부의 좌(左)내로우 가이드(20L)에 의해 더욱 왼쪽으로 가이드되고, 예인(21)에 의한 절단 처리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장 우측의 디바이더(17)에 의해 오른쪽으로 분초된 곡간은, 전처리부(3)의 우측부의 우(右)내로우 가이드(20R)에 의해 더욱 오른쪽으로 가이드되어, 예인(21)에 의한 절단 처리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전처리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전처리부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주행기체(2)에는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종통(22)의 기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당 종통(22)의 선단부가 전처리부(3) 하단의 진행 방향 우단부터 4조째의 예취부(C4)와 5조째의 예취부(C5)의 경계선의 위치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종통(22)과 주행기체(2)의 사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유압 실린더(승강 실린더)의 신축 작동에 의해, 전처리부(3)가 주행기체(2)에 대해 승강 구동된다. 또한, 전처리부(3)에의 종통(22)의 연결 위치는 4조째의 예취부(C4)로부터 5조째의 예취부(C5)에 걸치는 범위라면 어느쪽이라도 좋고, 상기 종통(22)에 의해 전처리부(3)가 좌우 방향의 개략 중앙에서 밸런스 좋게 지지된다.
종통(22)과 전처리부(3)의 연결은, 전처리부(3) 전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횡통(23)의 개략 중앙 위치에 종통(22)을 T자형상으로 연결함에 의해 행한다. 종통(22) 내에는 종전동축(從傳動軸)(24)(전동축)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도 7 참조), 해당 종전동축(24)에 의해, 주행기체(2)측의 동력이 횡통(23) 내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된 횡전동축(26)(도 7 참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부(3)의 동력 전동 기구에 전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통(22)은, 평면으로 보아 좌크롤러(1L)의 내단(우단)보다도 약간 내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종통(22)에 지지되는 전처리부(3)의 좌측이 좌크롤러(1L)의 좌단에 대해 예취 폭 개략 2조분만큼 바깥쪽(왼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됨과 함께, 전처리부(3)의 우측이 우크롤러(1R)의 우단에 대해 예취 폭 개략 반조만큼 바깥쪽(오른쪽)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좌크롤러(1L)와 포장의 미예지 사이에 2조분이 밟는 여유가 형성됨과 함께, 우크롤러(1R)와 포장의 미예지 사이에 반조(半條)분의 밟는 여유가 형성된다.
다음에, 전처리부(3)의 예취 반송 기구를 도 4 내지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 (b)는 전처리부의 동력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 및 주요부 정면도이고, 도 7은 전처리부의 동력 전동 계통도이다. 전술한 각 인기장치(13)의 후방에는, 소입 스페이스(S) 부근까지 안내되어 온 포장의 2조분의 식립곡간을 후방의 반송 장치(6)에 소입 반송하는 소입반송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소입반송장치(27)는, 상하 2단(段)으로 구성되고, 대응한 인기장치(13)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하단측에 소입반송체(28)를, 상단측에 좌우 한 쌍의 소입벨트(29, 29)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소입벨트(29)는, 봉형상의 반송폴(도시 생략)을 소정 피치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폴은, 소입벨트(29)를 구동시킴에 의해 순환 이동하고, 반송로를 형성하는 왕로(往路)에서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면으로 보아 포장의 식립곡간의 주원 위치(30)에, 각 예취부(C1, C2, C3, C4, C5, C6, C7, C8)를 위치시킨 후, 주행기체(2)를 전진 구동시키면, 디바이더(17) 및 디바이더 프레임(18)에 의해 포장의 식립곡간이 소입 스페이스(S)까지 안내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기장치(13)에 의해 일으켜 세워진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소입벨트(29, 29)는, 소입 스페이스(S)에서 일으켜 세워진 식립곡간을 긁어 모아서 인기장치(13)의 후방 중심으로 소입반송하는 ハ자형상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소입반송체(28)는, 개략 원반형상의 주단(周端)에 모조리 다수의 이빨을 배치한 스타 휠(31)을 좌우 한 쌍으로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스타 휠(31)이 동력의 입력에 의해 구동된 구동 스타 휠(31D)이 되고, 또 한쪽의 스타 휠(31)이 상기 구동 스타 휠(31D)과 맞물림에 의해 구동 스타 휠(31D)의 동력이 항상 전동되는 종동 스타 휠(31S)이 된다.
양 스타 휠(31D, 31S)은, 동수의 이빨이 배치되고, 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빨이 맞물리면서 후방으로 이동한 과정에서, 좌우 한 쌍의 소입벨트(29, 29)에 의해 인기장치(13)의 후방 중심까지 반송된 곡간의 주원을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소입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에의 식립곡간은, 소입반송체(28)에 의해 소입반송되는 과정에서, 소입반송체(28)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예인(21)에 의해 포장에서 예취되고, 예취곡간으로서 후방의 반송 장치(6)에 보내진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스타 휠(31D)은, 구동 스타 휠(31D)과 일 체 회전하는 소입전동축(32)에 의해 동력이 전동된다. 해당 소입전동축(32)은, 소입전동축(32)과 일체 회전하는 소입구동 스프로켓(3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해당 소입구동 스프로켓(33)에는, 체인 전동에 의해, 전술한 종전동축(2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소입전동축(32)에는, 소입전동축(32)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 풀리(34)가 고정되어 있고, 해당 구동 풀리(34)에 의해, 상기 좌우 한 쌍의 소입벨트(29)의 일방측을 구동시킨다. 또한, 또 일방측의 소입벨트(29)를 구동시키는 구동 풀리(36)는, 종동 스타 휠(31SB)과 일체 회전하는 종동축(37)에 고정되어 있고, 종동 스타 휠(31S)측의 동력이 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소입반송장치(27)는, 4개의 인기장치(13)에 대응하여 합계 4개 마련되어 있다. 제 1 인기장치(13A)에 대응하여 후방에 마련되는 소입반송장치(27)가 제 1 소입반송장치(27A)이고, 소입구동 스프로켓(33)인 제 1 소입구동 스프로켓(33A)에 의해 동력의 입력이 행하여진다. 제 2 인기장치(13B)에 대응하여 후방에 마련된 소입반송장치(27)가 제 2 소입반송장치(27B)이고, 소입구동 스프로켓(33)인 제 2 소입구동 스프로켓(33B)에 의해 동력의 입력이 행하여진다.
제 3 인기장치(13C)에 대응하여 후방에 마련되는 소입반송장치(27)가 제 3 소입반송장치(27C)이고, 소입구동 스프로켓(33)인 제 3 소입구동 스프로켓(33C)에 의해 동력의 입력이 행하여진다. 제 4 인기장치(13D)에 대응하여 후방에 마련되는 소입반송장치(27)가 제 4 소입반송장치(27D)이고, 소입구동 스프로켓(33)인 제 4 소입구동 스프로켓(33D)에 의해 동력의 입력이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각 소입구동 스프로켓(33A, 33B, 33C, 33D)에는, 각각 별도로 동력이 입력시켜진다. 이 때문에, 4개의 소입반송장치(27A, 27B, 27C, 27D)의 어느 하나에 곡간 등의 막힘이 생긴 경우에도, 안전 장치(도시 생략) 등에 의해 막힘이 생기고 있는 소입반송장치(27)(소입구동 스프로켓(33))에의 동력 전동을 차단하면, 다른 소입반송장치(27)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한으로 멈추고, 막힘으로부터의 복구가 용이하다. 동력 전동 수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5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소입반송장치(27A)와 제 2 소입반송장치(27B)의 근접하는 종동 스타 휠(31S)끼리 및 종동 스타 휠(31S)측의 소입벨트(29)끼리는, 평면으로 보아 서로의 근접 개소가 중복되고, 서로가 개략 평행한 상태에서 상하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기체 내측의 제 2 소입반송장치(27B)의 종동 스타 휠(31S)에 대해 기체 외측의 제 1 소입반송장치(27A)의 종동 스타 휠(31S)이 하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소입반송장치(27C)와 제 4 소입반송장치(27D)의 위치 관계도 제 1 소입반송장치(27A)와 제 2 소입반송장치(27B)의 위치 관계와 개략 동일하다.
4개의 소입반송장치(27A, 27B, 27C, 27D)중에서, 기체 내측에 배치된 2개의 소입반송장치(27B, 27C)는, 근접하는 구동 스타 휠(31D)끼리 및 소입벨트(29)끼리가 평면으로 보아 중복되는 개소가 없도록 배치되고, 상하 위치가 개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외측에 배치된 2개의 소입반송장치(27A, 27D)도 상하 위치가 개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4개의 소입반송장치(27A, 27B, 27C, 27D)는 전체적으로 개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반송 장치(6)는, 가이드체(도시 생략)에 따라 예취곡간의 주원을 협지(挾持) 반송하는 주원반송체로서, 제 1 소입반송장치(27A)의 소입곡간을 반송하는 제 1 주원반송체(38A)(우주원반송체, 주우주원반송체)와, 제 4 소입반송장치(27D)의 소입곡간을 제 1 주원반송체(38A)에 반송하는 제 4 주원반송체(38D)(좌주원반송체, 주좌주원반송체)와, 제 2 소입반송장치(27B)의 소입곡간을 제 1 주원반송체(38A)에 반송하는 제 2 주원반송체(38B)(부(副)우주원반송체)와, 제 3 소입반송장치(27C)의 소입곡간을 제 4 주원반송체(38D)에 반송하는 제 3 주원반송체(38C)(부좌주원반송체)와, 제 1 주원반송체(38A)에 의해 반송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한 급심반송장치(扱深搬送裝置)(39)와, 급심반송장치(39)에 의해 반송된 곡간을 후방의 탈곡 피드 체인(8)까지 반송하는 후방 주원반송체(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6)는, 곡간의 수선(穗先)을 반송하는 수선반송체(穗先搬送體)로서, 제 1 주원반송체(38A)로부터 급심반송장치(39)를 통하여 후방 주원반송체(41)까지 주원이 반송되는 곡간을 반송하는 제 1 수선반송체(42A)와, 제 4 주원반송체(38D)에 의해 주원이 반송되는 곡간을 제 1 수선반송체(42A)까지 반송하는 제 4 수선반송체(42D)와, 제 2 주원반송체(38B)에 의해 주원이 반송되는 곡간을 제 1 수선반송체(42A)까지 반송하는 제 2 수선반송체(42B)와, 제 3 주원반송체(38C)에 의해 주원이 반송되는 곡간을 제 4 수선반송체(42D)까지 반송하는 제 3 수선반송체(42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6)는, 상기 4개의 수선반송체(42A, 42B, 42C, 42D)에 의해 반송되는 각 곡간의 수선 상단부를 각각 반송하는 합계 4개의 상부 수선반송체(43, 43, 43, 43)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5 및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주원반송체(38A)는, 제 1 소입반송장치(27A)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내측(좌측)을 향하여 평면으로 보아 종통(22)까지 이르는 반송로를 형성하고, 상류측 및 중류측에 걸쳐서 곡간의 주원을 저속 반송하는 저속 체인 벨트(44)(반송체, 상류 반송체, 체인)와, 하류측에서 곡간의 주원을 고속 반송하는 고속 체인 벨트(46)(반송체, 하류 반송체, 체인)로 이루어진다. 고속 체인 벨트(46)는, 종전동축(2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 1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A)과, 고속 스프로켓(48)(스프로켓)에 권회(卷回)되어 있고, 상기 제 1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A)에 의해 구동된다. 저속 체인 벨트(44)는, 전동축(50)을 통하여 고속 스프로켓(48)과 일체 회전하는 저속 스프로켓(49)(스프로켓)과, 전술한 제 1 소입구동 스프로켓(33A)에 권회되어 있다. 저속 스프로켓(49)은 고속 스프로켓(48)보다도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 체인 벨트(46)의 동력이 감속되어 저속 체인 벨트(44)에 전동된다. 또한 상기 저속 체인 벨트(44)에 의해, 전술한 제 1 소입구동 스프로켓(33A)에 동력이 전동된다.
제 2 주원반송체(38B)는, 체인 벨트로 이루어지고, 제 2 소입반송장치(27B)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제 1 주원반송체(38A)의 저속 체인 벨트(44)의 반송 하류측까지 이르는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고, 종전동축(2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 2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B)과, 전술한 제 2 소입구동 스프로켓(33B)에 권회되 어 있다. 그리고, 제 2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B)으로부터 제 2 소입구동 스프로켓(33B)에의 동력 전동을 행함에 의해, 제 2 주원반송체(38B)를 반송 구동시킨다
제 3 주원반송체(38C)는, 체인 벨트로 이루어지고, 제 3 소입반송장치(27C)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제 4 주원반송체(38D)의 하류측까지 이르는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고, 종전동축(2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 3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C)과, 전술한 제 3 소입구동 스프로켓(33C)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C)으로부터 제 3 소입구동 스프로켓(33C)에의 동력 전동을 행함에 의해, 제 3 주원반송체(38C)를 반송 구동시킨다.
제 4 주원반송체(38D)는, 체인 벨트로 이루어지고, 제 4 소입반송장치(27D)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내측(우측)을 향하여 제 1 주원반송체(38A)의 고속 체인 벨트(46)의 중류측까지 이르는 반송로(51)를 형성하고 있고, 종전동축(2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 4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D)과, 전술한 제 4 소입구동 스프로켓(33D)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D)으로부터 제 4 소입구동 스프로켓(33D)에의 동력 전동을 행함에 의해, 제 4 주원반송체(38D)를 반송 구동시킨다.
제 4 주원반송체(38D)의 상기 반송로(51)는, 제 3 주원반송체(38C)의 반송로와의 합류 지점보다도 반송 하류측에, 제 1 주원반송체(38A)의 반송로에 합류하기 위한 합류로(51B)(하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해당 합류로(51B)는, 제 4 주원반송체(38D)의 상기 반송로(51)에서의 합류로(51B)로부터 상류측의 반송로(51A)(상류 반송로)에 대해, 고속 체인 벨트(46)의 반송 방향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고, 제 4 주원반송체(38D)로부터 제 1 주원반송체(38A)에 걸치는 곡간의 반송 방향이 2단계로서 완만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4 주원반송체(38D)로부터 제 1 주원반송체(38A)에의 곡간의 송출이 보다 스무스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제 1 주원반송체(38A)와 제 4 주원반송체(38D)의 합류 지점은, 각 주원반송체(38A, 38B, 38C, 38D)의 구성에 의해, 전처리부(3)에서 예취한 8조분의 예취곡간의 전부가 합류하는 합류부(P)가 된다. 즉, 제 2 주원반송체(38B)로부터의 곡간이 합류한 제 1 주원반송체(38A)상의 곡간과, 제 3 주원반송체(38C)로부터의 곡간이 합류한 제 4 주원반송체(38D)상의 곡간을 합류부(P)에서 합류시킨다. 이 때문에, 합류부(P)에 반송되어 오는 곡간의 양이 많아져서 막힘이 생기기 쉽게 되지만, 합류부(P)로부터 상기 급심반송장치(39)에의 반송에 반송 속도가 고속인 고속 체인 벨트(46)를 이용하기 때문에, 합류부(P)에서의 곡간의 막힘이 방지된다.
급심반송장치(39)는, 체인 벨트에 의해 상기 합류부(P)로부터 후방 주원반송체(41)에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종전동축(2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급심반송 구동 스프로켓(52)에 의해 반송 구동되고, 급심반송장치(39)의 반송 하류측의 위치를 후방 주원반송체(41)의 반송 최상류측에 대해 변경하고 후방 주원반송체(41)에서의 곡간의 주원 협지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후방 주원반송체(41)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8)에 곡간을 보내 건네줄 때의 탈곡 피드 체인(8)의 곡간 협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곡간의 탈곡부(7)의 급실에의 삽입량이 조정되고, 급심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후방 주원반송체(41)는, 체인 벨트로 이루어지고, 종통(22)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되는 후방 주원 반송 구동 스 프로켓(53)에 의해 반송 구동된다.
제 1 수선반송체(42A), 제 2 수선반송체(42B), 제 3 수선반송체(42C) 및 제 4 수선반송체(42D)는, 체인 벨트(54)와, 해당 체인 벨트(54)에 소정 피치로 돌출·수납 가능하게 부착된 복수의 반송폴(56)로 이루어진다. 각 반송폴(56)은, 순환 이동중의 왕로에서 돌출 자세로 자세 전환되어 곡간의 수선을 반송하는 한편으로, 복로(復路)에서 수납 자세로 자세 전환되어 반송로 상류측으로 되돌아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수선반송체(42A)는 후방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53)과 일체 회전하는 제 1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A)에 의해 반송 구동되고, 제 2 수선반송체(42B)는 제 2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B)과 일체 회전하는 제 2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B)에 의해 반송 구동되고, 제 3 수선반송체(42C)는 제 3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C)과 일체 회전하는 제 3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C)에 의해 반송 구동되고, 제 4 수선반송체(42D)는 제 4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D)과 일체 회전하는 제 4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D)에 의해 반송 구동된다
4개의 수선반송체(43, 43, 43, 43)는, 각각 체인 벨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수선반송체(42A, 42B, 42C, 42D)의 동력이 전동되는 상부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8, 58, 58, 58)에 의해, 각각 반송 구동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장치(6)는, 평면으로 보아 종통(22)을 중심으로 하여 개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면으로 보아 종통(22)의 오른쪽의 반송 레이아웃은, 예취조수가 7조 이상의 전처리부와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조 수의 전처리부를 최소한의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전처리부(3)의 동력 전동 기구를 도 6 및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종통(22) 내의 종전동축(24)에는, 종통(22)의 기단측 부근에 배치된 유압식 무단계 변속기(59)(HST)를 통하여, 엔진(도시 생략)측의 동력이 전동된다. 종전동축(24)의 동력은, 종전동축(24)의 하단(최하류)에 마련된 베벨기어 기구(61)를 통하여 횡통(23) 내의 횡전동축(26)에 전동된다. 횡전동축(26)에 전동된 동력은, 횡전동축(26)의 좌부에 마련된 베벨기어 기구(62)를 통하여, 횡통(23)의 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설되어 종전동통(63) 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인기 전동축(64)에 전동된다. 인기 전동축(64)의 동력은, 변속 전동 기구(66) 및 베벨기어 기구(67)를 통하여, 종전동통(63)의 상단부로부터 안쪽(오른쪽)으로 늘어나는 상단통(68) 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인기 구동축(69)에 전동된다.
종전동축(24)의 상류에는 베벨기어 기구(71)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베벨기어 기구(71)에 의해, 종통(22)의 상단부(기단부)의 좌측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후방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53) 및 제 1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A)에 종전동축(24)의 동력이 전동된다.
종전동축(24)의 중류에는 베벨기어 기구(72)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베벨기어 기구(72)에 의해, 종통(22)의 중도부의 좌측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제 1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A)에 종전동축(24)의 동력이 전동된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 기구(72)에 전동된 동력은, 베벨기어 기구(73)를 통하여, 종통(22) 중도부 좌측의 제 1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A)과의 인접 위치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급심반 송 구동 스프로켓(52)에 전동된다. 급심반송장치(39)는 종통(22) 및 상기 합류부(P)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으로부터 급심반송장치(39)에의 동력 전동 경로가 짧아지고, 스무스하고 효율이 좋은 동력 전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전동축(24)의 하류에는 베벨기어 기구(74)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베벨기어 기구(74)에 전동된 동력은 베벨기어 기구(76)를 통하여 좌우로 분기되고, 우측의 동력이 베벨기어 기구(77)에 전동되고, 좌측의 동력이 베벨기어 기구(78)에 전동된다.
베벨기어 기구(77)의 동력은 종통(22)의 선단부 부근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상하 방향의 제 2 반송체 구동축(79B)에 전동된다. 제 2 반송체 구동축(79B)에는, 제 2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B) 및 제 2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B)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양 스프로켓(47B, 57B)은 제 2 반송체 구동축(79B)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벨기어 기구(78)의 동력은 종통(22)의 선단부 부근의 제 2 반송체 구동축(79B) 좌측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제 3 반송체 전동축(79C)에 전동된다. 제 3 반송체 구동축(79C)에는, 제 3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C) 및 제 3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C)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양 스프로켓(47C, 57C)은 제 3 반송체 구동축(79C)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전동축(24)으로부터 베벨기어 기구(76)를 통하여 동력을 좌우로 분기시킴에 의해, 제 2 소입반송체(27B)와, 제 3 소입반송체(27C)에 각각 별도로 동력을 입 력하게 하기 때문에, 동력 전동 구조를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횡전동축(26)의 동력은, 횡전동축(26)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베벨기어 기구(81, 82)를 통하여, 좌우의 예인(21, 21)에 각각 별도로 전동된다.
인기 전동축(64)의 하부에는 베벨기어 기구(83)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베벨기어 기구(83)에 의해, 인기 전동축(64)의 동력이 종전동통(63)의 하부 내측(우측)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제 4 주원 반송 구동 스프로켓(47D) 및 제 4 수선 반송 구동 스프로켓(57D)에 전동된다.
인기 구동축(69)의 좌단부에는 베벨기어 기구(84)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베벨기어 기구(84)를 통하여 제 4 인기장치(13D)의 좌인기케이스(14L)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86)에, 인기 구동축(69)의 동력이 전동된다.
인기 구동축(69)의 좌부(베벨기어 기구(84)의 오른쪽)에는 베벨기어 기구(87)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베벨기어 기구(87)를 통하여 제 4 인기장치(13D)의 우인기케이스(14R)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88)과, 제 3 인기장치(13C)의 좌인기케이스(14L)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89)에, 인기 구동축(69)의 동력이 전동된다.
인기 구동축(69)의 중앙부(베벨기어 기구(87)의 오른쪽)에는 베벨기어 기구(91)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베벨기어 기구(91)를 통하여 제 3 인기장치(13C)의 우인기케이스(14R)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92)과, 제 2 인기장치(13B)의 좌인기케이스(14L)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93)에, 인기 구동축(69)의 동력이 전동된다.
인기 구동축(69)의 우부(베벨기어 기구(91)의 오른쪽)에는 베벨기어 기구(94)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베벨기어 기구(94)를 통하여 제 2 인기장치(13B)의 우인기케이스(14R)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96)과, 제 1 인기장치(13A)의 좌인기케이스(14L)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97)에, 인기 구동축(69)의 동력이 전동된다.
인기 구동축(69)의 우단(베벨기어 기구(94)의 오른쪽)에는 베벨기어 기구(98)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베벨기어 기구(98)를 통하여 제 1 인기장치(13A)의 우인기케이스(14R)의 인기폴(16)을 구동시키는 인기 체인(99)에, 인기 구동축(69)의 동력이 전동된다.
상기 구성의 본 콤바인에 의하면, 전처리부(3)의 예취조수가 8조인 경우에는 종통(22)에 의해 개략 중앙에서 지지되고, 전처리부(3)의 좌우의 강도 밸런스가 개략 동일하게 되어, 곡간을 예취 반송할 때의 전처리부(3)에의 부하가 개략 균일화되기 때문에, 전처리부(3)의 강도가 향상한다. 이 때문에, 전처리부(3)를 구성하는 부재도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취조수가 7조인 경우에는, 전처리부(3)에서의 진행 방향 우단 1조째부터 4조째까지의 반송체(반송 장치(6))의 레이아웃 구조를 8조의 전처리와 공통화함에 의해, 가능한 한 부품을 겸용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조 수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각 조의 소입반송체(28)에 각각 별도로 동력을 입력하게 하기 때문에, 각 조의 소입반송체(28)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동력을 전동하는 종래 공지의 것과 비교하여, 맞물림 전동에 의한 구동 스타 휠(13D) 및 종동 스타 휠(13S)의 마모를 경감할 수 있는 외에, 소입반송체(28)의 어느 하나에 막힘 등이 생겨도 그 밖의 소입반송체(28)가 정지하는 일이 없도록 소입반송체(28)를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모든 쌍의 소입반송체(28)를 하나의 구동축으로 구동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각 조의 소입반송체(28)를 각각 별도로 구동시키는데도 필요한 토크는 작아도 좋기 때문에, 각 구동축(32)에의 부하도 경감된다.
또한, 상하로 비켜놓아 지지한 소입반송체(28)끼리를 평면으로 보아 서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함에 의해, 소입반송체(28)끼리를 상하로 랩시킨만큼 전체의 횡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콤바인의 횡폭을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더하여, 외측 2조의 소입반송장치(27A, 27D)의 소입반송체(28)의 상하 위치를 정돈함에 의해, 곡간의 소입위치를 정돈할 수 있어, 스무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주행기체(2)로부터 전처리부(3)에 동력을 전동하는 종통(22)의 종전동축(24)으로부터 분기된 좌우의 구동축(79B, 79C)에 의해, 내측 2조의 소입반송체(28, 28)에 동력을 각각 별도로 입력시킴에 의해, 각 소입반송체(28)의 동력 전동 구조를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염가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단독 구동되는 제 1 내지 4 주원반송체(38A 내지 38D)에 의해, 제 1 내지 4 소입반송장치(27A 내지 27D)를 각각 별도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소입반송장치(27)의 동력 전동 구성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3)에 의해 주행기체(2)의 진행 방향 좌측의 곡간이 예취되고, 좌크롤러(1L)의 좌단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예취 폭 1조분 이상의 밟는 여유가 형성되기 때문에, 좌크롤러(1L)로부터 비산한 흙 등이 포장에의 미예지의 곡간에 부착하여, 탈곡 처리시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예취 폭 1조분 이상의 밟는 여유가 확보되기 때문에, 기체가 무거운 다조 예취의 본 콤바인에 있어서, 좌크롤러가 포장에 깊게 끼워 삽입된 상태로 주행하고, 기체의 좌측쪽에 있는 미예지의 곡간에 악영향을 준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3)의 예취조수를 8조로 구성함에 의해, 좌크롤러(1L)의 좌단부터 왼쪽을 향하여 예취 폭 2조분의 밟는 여유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의 미예지의 곡간에의 흙 등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우크롤러(1R)의 우단에 대해 전처리부(3)를 반조 이상 우측으로 돌출시킴에 의해, 우크롤러(1R)의 우단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예취 폭 반조분의 밟는 여유가 형성되고, 주행시에 우크롤러(1R)에 의해 포장의 미예지의 곡간을 상하게 하여 버리는 것이나, 주행기체(2)의 우선회시에 우크롤러(1R)에 의해 포장의 미예지의 곡간을 밀어 쓰러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주원반송체(38A)의 상류측에 대해 곡간이 모아지는 하류측의 반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좌주원반송체(38D)의 곡간을 우주원반송체(38A)의 하류측에 합류시킴에 의해 우주원반송체(38A) 하류측의 반송 속도가 부족하여 막힘이나 반송의 혼란이 생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통(22) 내의 전동축(24)의 동력을 하류 반송체(46)를 통하여 상류 반송체(44)에 전동함에 의해, 주행기체(2)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동력이 전동되어지기 때문에, 동력 전동 경로를 심플하고 짧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체회전하는 2개의 스프로켓(44, 46)의 지름의 차이에 의해 상류 반송체(44)와 하류 반송체(46)의 어느 한쪽부터 다른쪽으로 동력을 변속 전동시킴에 의해, 반송 속도가 다르게 상류 반송체(44) 및 하류 반송체(46)를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류 반송로가 상류 반송로에 대해 주우주원반송체(38A)의 반송 방향으로 경사하고, 주좌주원반송체(38D)의 합류부(P)에의 송출 방향이 주우주원반송체(38A)의 반송 방향에 근접하기 때문에, 주좌주원반송체(38D)의 곡간의 합류부(P)에의 송출이 보다 스무스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부좌주원반송체(38C)의 곡간을 하류 반송로보다도 상류측에서 주좌주원반송체(38D)와 합류시킴에 의해, 부좌주원반송체(38C)에 의해 반송시켜져 오는 곡간의 합류부(P)에의 송출도 보다 스무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외측 2조의 소입반송장치(27A, 27D)의 소입반송체(28)에 대해, 내측 2조의 소입반송장치(27B, 28C)의 소입반송체(28)가 높은 위치에 설치된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도 8은 외측 2조의 소입반송장치(27A, 27D)의 소입반송체(28)에 대해, 내측 2조의 소입반송장치(27B, 28C)의 소입반송체(28)가 낮은 위치에 설치된 예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4개의 소입반송장치(27A, 27B, 27C, 27D)는 전체로서 개략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상하 위치의 설계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자탈식의 콤바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탈식의 콤바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자탈식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전처리부의 측면도.
도 5는 전처리부의 주요부 평면도.
도 6의 (a), (b)는 전처리부의 동력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 및 주요부 정면도.
도 7은 전처리부의 동력 전동 계통도.
도 8의 (a), (b)는 전처리부에 관한 동력 전동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 및 주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행기체 3 : 전처리부
7 : 탈곡부
38A : 제 1 주원반송체(우주원반송체, 주우주원반송체)
38C : 제 3 주원반송체(부좌주원반송체)
38D : 제 4 주원반송체(좌주원반송체, 주좌주원반송체)
51 : 반송로 51A : 반송로(상류 반송로)
51B : 합류로(하류 반송로) C1 : 예취부
C2 : 예취부 C5 : 예취부
C6 : 예취부 C7 : 예취부
C8 : 예취부 P : 합류부

Claims (4)

  1. 탈곡부(7)를 갖는 주행기체(2)와, 해당 주행기체(2)의 전방에 연결된 예취조수가 7조 이상의 전처리부(3)와, 전처리부(3)에서 예취된 곡간(穀稈)을 탈곡부(7)로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체(6)와, 주행기체(2)의 동력을 전처리부(3)에 전동함과 함께 전처리부(3)를 지지하는 종통(22)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종통(22)을 전처리부(3)의 진행 방향 우단부터 세어서 4조째부터 5조째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연결하고, 상기 주행기체(2)를 좌우의 크롤러(1L, 1R)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종통(22)을 평면시로, 좌우의 크롤러(1L, 1R)의 사이에 있어서 좌 크롤러(IL)로 치우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전처리부(3)의 진행 방향 우단으로부터 7조째 이후의 예취부(C7, C8)를 좌 크롤러(1L)의 좌단보다 좌측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해당 전처리부(3)를 우 크롤러(1R)의 우단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항에 있어서,
    전처리부(3)의 우측의 예취부(CD, C2)에서 예취된 곡간의 주원(株元)을 탈곡부(7)로 향하여 반송하는 주우주원반송체(38A)와, 전처리부(3)의 좌측의 예취부(C7, C8)에서 예취된 곡간의 주원을 상기 주우주원반송체(38A)의 반송 하류측으로 반송하여 합류시키는 주좌주원반송체(38D)와, 상기 주우주원반송체(38A)의 좌측에 배치되어 예취된 곡간을 해당 주우주원반송체(38A)에 반송하는 부우주원반송체(38B)와, 상기 주좌주원반송체(38D)의 우측에 배치되어 예취된 곡간을 해당 주좌주원반송체(38D)에 반송하는 부좌주원반송체(38C)를 구비하고,
    상기 종통(22)내에는 주행기체(3)측의 동력을 전처리부(3)에 전동하는 종전동축(24)이 지지되며, 상기 종전동축(24)의 동력을, 베벨기어 기구(61, 72, 74, 76)에 의해 분지시키므로서, 주우주원반송체(38A)와, 상기 부우주원반송체(38B)와, 상기 부좌주원반송체(38C)와, 주좌주원반송체(38D)에 각기 별도로 동력을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우주원반송체(38A)는, 반송로의 상류측에서 곡간의 주원을 저속 반송하는 저속 체인벨트(44)와, 반송로의 하류측에서 곡간의 주원을 고속 반송하는 고속 체인벨트(4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삭제
KR1020080025236A 2007-06-04 2008-03-19 콤바인 KR101456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76638 2007-06-04
JPJP-P-2007-00176806 2007-06-04
JPJP-P-2007-00176750 2007-06-04
JP2007176750A JP2009011237A (ja) 2007-07-04 2007-07-04 コンバイン
JP2007176806A JP2009011238A (ja) 2007-07-04 2007-07-04 コンバイン
JP2007176638A JP2009011235A (ja) 2007-07-04 2007-07-04 コンバイン
JP2007203361A JP2009034070A (ja) 2007-08-03 2007-08-03 コンバイン
JPJP-P-2007-00203360 2007-08-03
JPJP-P-2007-00203361 2007-08-03
JP2007203360A JP2009034069A (ja) 2007-08-03 2007-08-03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36A KR20080106836A (ko) 2008-12-09
KR101456300B1 true KR101456300B1 (ko) 2014-11-03

Family

ID=4037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236A KR101456300B1 (ko) 2007-06-04 2008-03-19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921U (ko) * 1978-11-22 1980-05-29
JPH0718261Y2 (ja) * 1987-10-20 1995-05-0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部駆動装置
JP2004275014A (ja) * 2003-03-12 2004-10-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刈取部の詰まり解除装置
KR20050057212A (ko) * 2002-09-06 2005-06-16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921U (ko) * 1978-11-22 1980-05-29
JPH0718261Y2 (ja) * 1987-10-20 1995-05-0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部駆動装置
KR20050057212A (ko) * 2002-09-06 2005-06-16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2004275014A (ja) * 2003-03-12 2004-10-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刈取部の詰まり解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36A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36190A (ja) コンバイン
KR101456300B1 (ko) 콤바인
JP2017225410A (ja) コンバイン
JP2009106252A (ja) コンバイン
JP2009011235A (ja) コンバイン
JP4530861B2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
JP2005095189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の補助搬送装置
JP2009011237A (ja) コンバイン
JP2009044991A (ja) コンバイン
JP4530924B2 (ja) コンバイン
JP7217679B2 (ja) 穀稈搬送装置
JP2009034070A (ja) コンバイン
JP2009034069A (ja) コンバイン
JP2009011238A (ja) コンバイン
JP5463047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5280147B2 (ja) コンバイン
KR100453923B1 (ko) 콤바인의 예취부 구조
JP2009159923A (ja) 芋植付機
JP5160291B2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JP4605669B2 (ja) コンバイン
JP200512458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の補助搬送装置
JPH0715384Y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200625470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09254319A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