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180B1 -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180B1
KR101456180B1 KR1020130060665A KR20130060665A KR101456180B1 KR 101456180 B1 KR101456180 B1 KR 101456180B1 KR 1020130060665 A KR1020130060665 A KR 1020130060665A KR 20130060665 A KR20130060665 A KR 20130060665A KR 101456180 B1 KR101456180 B1 KR 10145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ancial transaction
transaction information
display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조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중 금융거래 정보의 표시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패널이 기울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거래 도중 보안이 필요한 정보의 표시 및 입력시 디스플레이 일부분의 기울기를 전환하여 정보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표시할 때, 사용자의 개인정보의 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기는 지폐, 동전을 포함한 모든 유가의 매체를 자동처리하는 기기를 포괄하는 명칭으로,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는 가장 대표적인 금융기기로 꼽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인테리어적 측면과 시각성을 위하여 거리, 건물 외벽, 건물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광고, 지역안내, 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금융기기에도 적용되어 금융거래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 커지고 있다. 예컨대, 디자인등록번호 제30-0647745호와 같이 최근의 금융기기는 사용자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금융업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종래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금융기관의 계원의 수를 줄이고 금융 서비스의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금융기기의 서비스 영역이 점차 증대되는 것과 맞물려 각종 메뉴, 거래 컨텐츠 등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으므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형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금융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커지면서 이와 함께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민등록번호, 계좌 비밀번호 등 각종 중요한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어 많은 금융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개인 자산, 대출내역 등 사용자가 공개되는 것을 꺼리는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형화와 함께 금융거래시 각종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의 강구가 절실해 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되고 있는 현 추세를 따르면서도 개인정보의 표시 및 입력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금융기기에 있어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조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중 금융거래 정보의 표시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패널이 기울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금융기기에 있어서, 금융기기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널은 사용자가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기준 기울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할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금융거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로서,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패널에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의 표시시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준 기울기 이상으로 움직인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기기에서 거래 도중 보안이 필요한 정보의 표시 및 입력시 디스플레이 일부분의 기울기를 전환하여 정보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제2 패널이 기울어진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4는 사용자가 제2 패널에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2 패널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2 패널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2 패널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블록도; 및
도 9는 도 8의 금융기기에 의하여 제2 패널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디스플레이부(10), 디스플레이 조절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금융거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종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며,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패널(13)은 제1 패널(11)과 접합되는 부분을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hinge) 구조 등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패널(11)은 디스플레이부(10)의 상단을, 제2 패널(13)은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을 구성하도록 위아래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패널(11)의 일부분에 제2 패널(13)이 포함된 형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각종 금융거래 정보의 입력은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할 수도 있으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직접 입력받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조절부(20)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제2 패널(13)의 제1 패널(11) 대비 기울기를 조절한다.
도 2 및 도 3은 제2 패널(13)이 기울어진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조절부(20)는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제2 패널(13)이 제1 패널(11)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2 패널(13)을 전방으로, 즉,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패널(13)은 제1 패널(11)과 이루는 각도가 0˚에서 180˚ 사이가 되도록 기울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 중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금융거래 정보의 위치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제2 패널(13)이 기울어지도록 한다. 금융기기를 통하여 금융거래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이름, 주소, 주민번호,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의 개인정보, 개인 자산 내역 등 타인에게 노출되어서는 안되거나 사용자가 노출을 원하지 않는 금융거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에 입력 또는 표시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때, 제어부(30)는 이러한 정보가 제2 패널(13)에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사용자 쪽으로 기울여 타인에게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하여 각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금융거래 정보의 위치 및 제2 패널(13)의 기울어짐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는 타인에게 노출을 원하지 않는 금융거래 정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은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에서 제2 패널(13)에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를 체크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터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0)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1 패널(1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제2 패널(13)에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를 아래 방향으로 터치하여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금융거래 정보를 배치하고,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거래 정보가 제1 패널(11)에 표시된 상태인 경우, 제1 패널(1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제2 패널(13)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제2 패널(13)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패널(11)에 표시된 화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일부 화면을 그대로 제2 패널(13)로 이동시켜 단순히 표시되는 위치만을 변경할 수도 있고, 또는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화면이 제2 패널(13)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 선택한 금융거래 정보가 이미 제2 패널(13)에 표시된 상태라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 조절부(20)만을 제어하여 제2 패널(13)이 기울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 표시가 종료되면 제2 패널(13)이 제1 패널(11)과 수평을 이루도록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복구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금융거래 정보 종류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저장된 정보 이외의 정보가 표시될 때에는 사용자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배치되는 메뉴화면의 위치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패널(13)의 기울어짐은 선택하지 않고, 제1 패널(1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노출을 원하지 않는 메뉴를 선택하여 제2 패널(13)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 조절부(20)의 제어 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13)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의사에 의한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비공개를 원하는 금융거래 정보의 경우는 제2 패널(13)에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금융거래를 진행하여 금융거래 정보의 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그 이외의 정보는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에 동시에 표시하여 거래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제어부(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금융거래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와 제2 패널(13)의 기울기 조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다양한 금융거래 정보 중 제2 패널(13)에 표시되어야 할 금융거래 정보를 미리 선정하여 저장해 두고, 금융거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리 선정된 금융거래 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 자동으로 미리 선정된 금융거래 정보가 제2 패널(13)에 표시되도록 하고, 제2 패널(13)이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소, 계좌번호, 이름, 주민번호, 비밀번호 등의 개인정보와 같이 대부분의 사용자가 타인에게 노출을 꺼리는 금융거래 정보에 관해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선택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제2 패널(13)을 통하여 입력 및 표시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제2 패널(13)의 기울어짐 기능을 활용하여 금융거래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기울어짐 기능의 활용을 선택한 경우만 위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30)는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 표시가 종료되면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원래의 위치로 복구시켜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 모두에 정보를 표시하여 거래를 계속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예에서의 제어부(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30)는 개인정보 등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금융거래 정보의 종류를 미리 저장해 두고, 저장된 정보 이외의 정보는 제1 패널(11)을 통해서만 표시하고, 저장된 금융거래 정보만 제2 패널(13)에 표시하여 거래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저장된 금융거래 정보가 제2 패널(13)에 표시될 때 사용자로부터 제2 패널(13)의 기울어짐 여부를 선택받거나 또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제2 패널(13)이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제2 패널(13)의 정보 표시가 종료되면 기울기를 회복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예컨대, 제어부(30)는 제2 패널(13)의 표시가 일단락될 때마다 기울기를 회복시킬 수 있고 또는 금융거래가 모두 종료되었을 때 제2 패널(13)의 기울기가 회복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패널(13)이 제1 패널(11)과 동일하게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데 활용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패널(13)은 개인정보 등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금융거래 정보 표시에만 활용되고, 그 이외의 거래는 모두 제1 패널(11)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통하여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금융거래를 진행하게 된다(S10).
사용자는 금융거래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거나 입력이 요구되는 정보 중에서 노출시 피해가 염려되거나 노출을 원하지 않은 정보, 예컨대, 비밀번호, 주민번호, 계좌번호와 같은 정보를 선택하여 제2 패널(13)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예컨대, 특정 금융거래 정보를 체크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0)에서 이동시켜 제2 패널(13)에 표시될 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S11).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13)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제2 패널(13)이 제1 패널(11)과 접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S13). 이때,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제2 패널(13)의 정보표시 여부와 기울어짐 여부를 각각 선택받을 수도 있으며, 둘을 구분하지 않고 일체로 선택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 패널(13)의 정보표시만 선택하였다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 조절부(20)의 제어 없이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13)에만 표시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거의 수직에 가깝게 설치된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통하여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정보는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제2 패널(13)을 통하여 거래를 진행함으로써 정보의 보안을 도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일련의 과정은 상황에 따라 적절히 추가, 변경,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거래 시작시 거래표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거래표시 수단으로서 제2 패널(13)만을 선택한 경우 제2 패널(13)만을 통하여 거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거래 정보의 표시가 종료되면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초기상태로 복구시키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에 표시되는 금융거래 정보를 통하여 거래를 진행하게 된다(S20).
제어부(30)는 거래진행과정에서 표시되는 다양한 금융거래 정보 중에서 특정 정보, 예컨대, 비밀번호, 계좌번호, 주민번호 등과 같은 정보의 종류를 미리 저장해 두고, 디스플레이부(10)에 저장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저장된 정보를 제2 패널(13)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제2 패널(13)을 사용자 쪽으로 기울여 정보의 노출을 방지한다(S21, S23).
저장된 정보의 표시가 종료되면, 제어부(30)는 기울어진 제2 패널(13)의 기울기를 복구하고, 제1 패널(11)과 제2 패널(13)을 통해 금융거래를 계속한다(S25, S27).
위에서 설명한 일련의 과정은 상황에 따라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0)는 미리 저장된 금융거래 정보 외에도 사용자로부터 특정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받아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13)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제2 패널(13)을 기울이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타인에게 노출이 되면 피해가 발생하는 금융거래 정보를 결정하여 저장해 두고, 저장된 정보 이외의 정보, 즉, 노출되어도 무방한 안내정보 등은 제1 패널(11)에 표시하여 거래가 수행되도록 하고, 거래진행단계에서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어야 하는 단계에서는 제2 패널(13)에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2 패널(13)을 기울임으로써 정보의 노출을 방지한다(S40, S41, S43). 이때, 사용자로부터 제2 패널(13)의 정보 표시 여부와 제2 패널(13)의 기울어짐 여부를 선택받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거래 수행과정에서 저장된 금융거래 정보 이외의 정보는 제1 패널(11)을 통해 표시되고, 제2 패널(13)은 저장된 금융거래 정보의 표시 및 입력을 위해서만 이용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금융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해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디스플레이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 패널(41)과 제2 패널(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패널(42)은 사용자가 제1 패널(41)과 연결되어 접하는 부분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 등을 채용하고 있다.
제어부(50)는 금융거래 진행과정에서 제2 패널(42)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제2 패널(42)이 기준 기울기 이상으로 움직인 것이 감지되면, 제1 패널(4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42)에 이동시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1 패널(4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42)에 이동시키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옵션으로서, 제어부(50)는 제1 패널(41)에 표시된 화면 전체를 화면의 가공 없이 제2 패널(42)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패널(41)에 표시된 화면 중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일부 화면을 그대로 제2 패널(42)에 이동시키는 제2 옵션과 제1 패널(4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하여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화면을 제2 패널(42)에 표시하는 제3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위의 제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제1 패널(41)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제2 패널(42)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기준 기울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패널(41)에 표시된 내용 중 타인에게 노출되기를 원하지 않는 주요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2 패널(42)을 제1 패널(41) 대비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움직일 수 있고, 제어부(50)는 이러한 제2 패널(4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 패널(42)에 주요한 금융거래 정보를 이동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2 패널(42)을 통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어 타인에게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의 제어를 통하여 제2 패널(13)의 기울어짐 동작이 수행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제2 패널(42)을 움직일 수 있고, 제어부(50)는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0)의 제1 패널(41)과 제2 패널(42)에 표시되는 금융거래 정보를 기초로 금융거래가 수행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S50).
사용자가 제2 패널(43)을 기준 기울기 이상으로 움직인 경우, 제어부(50)는 이를 감지하여 제1 패널(41)에 표시된 내용을 제2 패널(42)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기울어진 제2 패널(42)을 통하여 금융거래를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53). 이때, 제어부(50)는 제1 패널(41)에 표시된 내용을 전부 제2 패널(42)로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비밀번호, 계좌번호, 주민번호, 이름 등 주요한 정보의 종류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2 패널(42)에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이동을 원하는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만을 제2 패널(42)에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각 실시예 모두 타인에게 노출되는 경우 피해가 야기될 염려가 있는 금융거래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0,40)의 제2 패널(13,42)을 통하여 표시하고, 이와 함께 제2 패널(13,42)을 수평방향으로 기울여 타인에게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40 : 디스플레이부 11, 41 : 제1 패널
13, 42 : 제2 패널 20 : 디스플레이 조절부
30, 50 : 제어부

Claims (20)

  1.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조절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할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받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패널이 기울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의 하단에 위치하는 금융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과 이루는 초기 각도가 180도로서, 상기 제1 패널과 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제1 패널과 이루는 각도가 180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패널의 기울어짐 기능의 활용 여부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패널의 기울어짐 기능을 활용한다고 선택된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패널이 기울어지도록 하는 금융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화면 중에서 상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로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화면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금융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상기 제1 패널 및/또는 제2 패널의 터치를 통하여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받는 금융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 표시가 종료되면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초기상태로 복구하는 금융기기.
  8. 삭제
  9.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조절부; 및
    상기 제1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패널에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패널이 기울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 표시가 종료되면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초기상태로 복구하는 금융기기.
  11.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패널에는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만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가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패널이 기울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
  13.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과 이루는 초기 각도가 180도로서, 상기 제1 패널과 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제1 패널과 이루는 각도가 180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14.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의 기준 기울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화면 전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1 옵션;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화면 중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한 일부 화면을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2 옵션; 및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하여 재구성된 화면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제3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옵션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15.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의 기준 기울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16.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의 기준 기울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할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17.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과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2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 중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할 금융거래 정보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제1 패널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18.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과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2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패널에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가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가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인 경우, 상기 제2 패널에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2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표시될 금융거래 정보가 상기 기선정된 금융거래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20. (a)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에 금융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기준 기울기 이상으로 움직인 경우,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화면 전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1 옵션;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화면 중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한 일부 화면을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2 옵션; 및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상기 금융거래 정보를 포함하여 재구성된 화면을 상기 제2 패널에 표시하는 제3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옵션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패널에 표시된 금융거래 정보를 상기 제2 패널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금융기기 제어방법.
KR1020130060665A 2013-05-28 2013-05-28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665A KR101456180B1 (ko) 2013-05-28 2013-05-28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665A KR101456180B1 (ko) 2013-05-28 2013-05-28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180B1 true KR101456180B1 (ko) 2014-11-12

Family

ID=5228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665A KR101456180B1 (ko) 2013-05-28 2013-05-28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1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078A (ko) * 2016-04-26 2017-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263A (ja) * 1999-03-31 2000-10-13 Toshiba Tec Corp 情報提供装置
KR20090087303A (ko) * 2008-02-1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다면 디스플레이
KR20110056942A (ko) * 2009-11-23 2011-05-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26348A (ko) * 2010-09-09 2012-03-19 엘지엔시스(주) 거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263A (ja) * 1999-03-31 2000-10-13 Toshiba Tec Corp 情報提供装置
KR20090087303A (ko) * 2008-02-1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다면 디스플레이
KR20110056942A (ko) * 2009-11-23 2011-05-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26348A (ko) * 2010-09-09 2012-03-19 엘지엔시스(주) 거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078A (ko) * 2016-04-26 2017-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544567B1 (ko) * 2016-04-26 2023-06-1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1209B2 (ja) 照合装置及び記録媒体
RU2648601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ной панелью устройств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я
US843401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large format data files
US916102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display mode betwee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odes
CA2655370C (en) Configurable icon sizing and placement for wireless and other devices
US90269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US20110246877A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0714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6649A (ko) 전자 장치에서 제스처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TW201539301A (zh) 可調適使用者介面窗格管理器
KR2012006691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272904A (ja) 画面表示項目を選択する端末機及び方法
KR20130119129A (ko)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302429A (zh) 一种移动终端屏幕截图方法及其移动终端
WO2021076383A1 (en) Adaptive assistive technology techniques for computing devices
US20220366874A1 (en) Eye gaze control of magnification user interface
CN105573485A (zh) 一种显示内容调节方法及终端
KR20110122372A (ko) 모바일 제어기를 이용한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456180B1 (ko)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CA278213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556283B2 (ja) 電子書籍リーダ機能を有する携帯機器
WO202017046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3250680A (ja) 情報表示装置、当該情報表示装置を備える情報入出力装置、当該情報入出力装置を備える情報入出力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KR101608781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