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767B1 -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767B1
KR101455767B1 KR1020130020018A KR20130020018A KR101455767B1 KR 101455767 B1 KR101455767 B1 KR 101455767B1 KR 1020130020018 A KR1020130020018 A KR 1020130020018A KR 20130020018 A KR20130020018 A KR 20130020018A KR 101455767 B1 KR101455767 B1 KR 10145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finishing
cutting
closure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048A (ko
Inventor
이창인
Original Assignee
이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인 filed Critical 이창인
Priority to KR102013002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7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Abstract

본 발명은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는, 가구용 모재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이 일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직선형의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는 모재공급부; 상기 가이드레임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모재에 부착되는 마감부재를 공급하는 마감부재공급부 및 상기 모재에 마감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마감부재결합부;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모재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마감처리하는 마감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상기 모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마감부재결합부까지 이송되어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모재에 부착되며, 상기 마감부재가 부착된 모재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마감처리부로 이송되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XY Stage Typ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nishing material bonding furniture edge}
본 발명은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용 모재의 엣지에 부착되는 마감부재를 상기 모재에 용이하게 부착시키고,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모재의 두께에 일치되게 마감처리하는 일련의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모재의 엣지에는 그 엣지부분을 마감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부재를 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모재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마감처리를 한다. 상기 모재에 상기 마감부재를 부착시킬 때, 상기 모재의 두께보다 다소 넓은 마감부재를 부착시키고, 상기 모재의 두께와 일치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수행한다.
도1을 마감부재가 부착된 모재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의 상하 높이가 상기 모재(1)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일측에서 커팅기(3)를 사용하여 모재(1)의 일면에 대하여 커팅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모재(1)를 뒤집어서 나머지 일면에 대하여 커팅작업을 수행하여 마감부재(2)가 상기 모재(1)의 두께와 일치되는 넓이로 접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모재(1)의 일면과 그 반대면에 커팅 공정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뿐만 아니라, 모재(1) 자체에 골곡이 있는 형태, 예컨대 모재(1)가 원판 형인 경우에 모재(1)에 마감부재(2)를 부착시키는 것이 까다로워 작업이 불편하여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구용 모재의 엣지에 부착되는 마감부재를 상기 모재에 용이하게 부착시키고,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모재의 두께에 일치되게 마감처리하는 일련의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는, 가구용 모재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이 일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직선형의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는 모재공급부; 상기 가이드레임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모재에 부착되는 마감부재를 공급하는 마감부재공급부 및 상기 모재에 마감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마감부재결합부;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모재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마감처리하는 마감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상기 모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마감부재결합부까지 이송되어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모재에 부착되며, 상기 마감부재가 부착된 모재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마감처리부로 이송되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처리부는, 상기 마감부재를 상기 모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절단하는 트리밍부와,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모재를 매끄럽게 다듬는 스크랩핑부와, 상기 모재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밍부, 상기 스크랩핑부, 및 상기 커팅부는 회전하는 회전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트리밍부에 의한 절단 수행 후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스크랩핑부에 의한 다듬는 공정이 수행되고, 다듬는 공정 수행 후 다시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모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를 파지하는 제1,2 파지롤러; 상기 모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의 두께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를 절단하는 제1,2 칼날; 및 상기 제1,2 파지롤러 및 상기 제1,2 칼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칼날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2 칼날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라운드형으로 만곡진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랩핑부는, 상기 모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를 파지하는 제3,4 파지롤러; 상기 모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마감부재가 부착된 상기 모재의 모서리를 커팅하는 제3,4 칼날; 및 상기 제3,4 파지롤러 및 상기 제3,4 칼날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3,4 칼날은 상기 모재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상기 모재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모재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를 커팅하는 회전날; 상기 회전날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회전날 및 상기 모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공급부는 상기 마감부재가 말려서 안착되는 대기판과, 상기 대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마감부재를 가이드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와, 상기 모재의 외주 둘레에 상기 마감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마감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마감부재가 부착된 상기 모재의 외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가압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 위에 상기 모재가 안착되면 상기 흡입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는, 모재를 일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모재에 대하여 마감부재의 접착 및 마감처리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부재의 부착 및 마감부재가 부착된 모재의 마감처리에 이르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마감부재의 처리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3은 마감처리부의 측면도,
도4는 마감처리부의 다른 각도에서의 측면도
도5는 마감처리부의 또 다른 각도에서의 측면도,
도6은 도5의 평면도,
도7은 마감부재결합부의 평면도,
도8은 마감부재결합부와 모재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모재공급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3은 마감처리부의 측면도이고, 도4는 마감처리부의 다른 각도에서의 측면도이다. 도5는 마감처리부의 또 다른 각도에서의 측면도이고, 도6은 도6의 평면도이다. 도7은 마감부재결합부의 평면도이고, 도8은 마감부재결합부와 모재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모재공급부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는, 모재공급부(10), 가이드부(20), 마감부재결합부(30), 마감처리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모재공급부(10)는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패널형의 모재(4)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안착판(11)과 가이드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판(11)은 가구용 모재(4)가 안착되는 판형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판(11)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안착판(11)의 형태는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모재(4)는 작업자가 상기 안착판(11)에 안착시키거나, 별도의 자동화된 설비에 의해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판(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흡입공(1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11) 위에 상기 모재(4)가 안착되면 흡입펌프(14)가 상기 흡입공(1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모재(4)가 상기 안착판(11) 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판(11)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안착판(11)은 일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판(1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착판(11)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의 일측에 마련된 체인(15)의 단부와 연결프레임(16)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체인(15)이 회동할 때 상기 체인(15)의 단부가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판(11)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도2 및 도9 참조).
상기 가이드부(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을 상기 안착판(11)이 이동하는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모터(21)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20)를 따라 왕복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판(1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2)에 가이드되어 일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부(20)에 가이드되어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즉, 상기 안착판(11)은 X축 및 Y축으로 이동하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XY 스테이지에서 이동하는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상기 모재(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2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후술하는 상기 마감부재결합부(30)까지 이송되어 상기 마감부재(5)가 모재(4)에 부착된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마감부재결합부(30)는 상기 모재(4)에 마감부재(5)를 결합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마감부재결합부(30)는 마감부재공급부(31)와 부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부재공급부(31)는 상기 모재(4)에 부착되는 마감부재(5)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대기판(311)과 안내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판(311)은 상기 마감부재(5)가 말려서 안착되는 판형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판(31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부재(5)는 상기 모재(4)의 두께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하 높이를 가진다. 물론, 상기 대기판(311)의 형상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부(312)는 상기 대기판(311)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가이드한다. 상기 안내부(312)는 상기 마감부재(5)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마감부재(5)가 상기 가이드롤러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부착부(32)는 상기 모재(4)의 외주 둘레에 마감부재(5)를 접착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부착부(32)는 접착제도포부(321)와 가압바(322)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도포부(321)는 상기 마감부재(5)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마감부재(5)가 상기 대기판(31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접착제도포부(321)에서 공급되는 접착제가 상기 마감부재(5)의 일면에 도포된다.
상기 가압바(322)는 상기 모재(4)의 외주 둘레에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되도록 상기 마감부재(5)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바(322)에는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된 상기 모재(4)의 외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23)이 구비된다.
즉, 상기 모재(4)의 엣지에 마감부재(5)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323)에 수용된다. 상기 모재(4)와 상기 수용홈(323)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마감부재(5)가 위치하고 상기 가압바(322)를 통과하면서 상기 마감부재(5)가 상기 모재(4)의 외주면에 접착된다. 참고로, 도8은 모재가 원형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마감처리부(40)는 상기 마감부재(5)가 상기 모재(4)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마감처리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즉, 모재공급부(10), 가이드부(20), 및 마감부재결합부(30)를 거치면서, 상기 모재(4)에 마감부재(5)가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상기 가이드부(20)를 따라서 마감처리부(40)로 이송되어 마감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처리부(40)는 트리밍부(41), 스크랩핑부(42), 및 커팅부(43)를 포함한다.
상기 트리밍부(41)는 상기 마감부재(5)를 상기 모재(4)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절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트리밍부(41)는 제1,2 파지롤러(411,412), 제1,2 칼날(413,414), 및 제1 실린더(4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는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4)를 파지한다.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4)의 두께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절단한다.
상기 제1 실린더(417)는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 및 상기 제1,2 칼날(413,41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된 모재(4)가 상기 마감처리부(40) 측으로 이송될 때,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 및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상기 모재(4)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모재(4)가 마감처리를 위해 정위치되면 상기 제1 실린더(417)에 의해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 및 상기 제1,2 칼날(413,414)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는 모재(4)를 상하 방향에서 파지하고,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절단 공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재(4)가 마감처리되기 위해 정위치로 이동시, 즉, 가이드부(20)를 따라 가이드프레임(12)이 트리밍부(41) 측으로 이동되고, 가이드프레임(12)의 안착판(11)이 트리밍부(41)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2 칼날(413,414) 사이에 제1 스토퍼(419)에 의해 과도한 진입이 방지된다.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며 제1 회전축(41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15)와 상기 수평부(415)의 단부로부터 라운드형으로 만곡진 만곡부(4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칼날(413,414)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415) 및 상기 만곡부(416)에 의해 상기 모재(4)의 엣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칼날(413,414)이 제1 회전축(41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모재(4)의 두께보다 더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의 부분을 절단한다.
상기 스크랩핑부(42)는 상기 트리밍부(41)에 의해 마감부재(5)를 절단한 후에, 상기 마감부재(5)와 상기 모재(4)의 엣지를 매끄럽게 다듬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스크랩핑부(42)는 제3,4 파지롤러(421,422), 제3,4 칼날(423,424), 및 제2 실린더(426)를 포함한다.
상기 제3,4 파지롤러(421,422)는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4)를 파지한다.
상기 제3,4 칼날(423,424)은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된 상기 모재(4)의 모서리를 커팅한다. 상기 커팅의 의미는 상기 마감부재(5)와 상기 모재(4)의 엣지의 표면을 얇게 긁어내면서 마감부재(5)와 모재(4)의 엣지 일부를 갈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3,4 칼날(423,424)은 상기 모재(4)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삽입부(425)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실린더(426)는 상기 제3,4 파지롤러(421,422) 및 상기 제3,4 칼날(423,42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트리밍부(4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4 파지롤러(421,422) 및 상기 제3,4 칼날(423,424)은 상기 모재(4)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스크랩핑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제2 실린더(426)에 의해 상기 제3,4 파지롤러(421,422)는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재(4)를 파지하고, 상기 제3,4 칼날(423,424) 또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부(425)에 상기 모재(4)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스크랩핑이 수행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랩핑 공정이 수행될 때,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모재(4)는 제3,4 칼날(423,424)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427)에 의해 과도하게 회전몸체(50)의 중심측을 향하여 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팅부(43)는 상기 모재(4)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마감부재(5)를 커팅하기 위해 구비된다. 예컨대, 모재(4)가 직사각형 형태일 때, 일변에 부착된 상기 마감부재(5)는 그 일변의 양단부로부터 다소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커팅부(43)가 상기 모재(4)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마감부재(5)를 커팅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도6 참조). 따라서, 만약 모재(4)가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커팅부(43)에 의한 커팅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팅부(43)는 지지부(431), 회전날(432), 모터(433), 및 제3 실린더(4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431)는 상기 모재(4)를 지지한다. 상기 모재(4)는 상기 지지부(431)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회전날(432)은 상기 모재(4)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커팅하고,
상기 모터(433)는 상기 회전날(43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3 실린더(434)는 상기 회전날(432) 및 상기 모터(43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커팅부(43)는 상기 모재(4)가 상기 지지부(431)에 안착되면, 모터(43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432)을 상기 제3 실린더(434)가 상승시키면서 상기 모재(4)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마감부재(5)를 커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리밍부(41), 스크랩핑부(42), 커팅부(43)는 회전하는 회전몸체(50)에 결합된다. 상기 트리밍부(41)와 상기 스트랩핑부는 상기 회전몸체(50)에 서로 반대방향에 결합된다. 상기 커팅부(43)는 상기 트리밍부(41)와 상기 스크랩핑부(4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몸체(50)는 별도의 모터(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트리밍부(41)에 의해 마감부재(5)를 모재(4)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절단한 후에, 상기 회전몸체(50)는 180도 회전하여 스크랩핑부(42)에 의한 스트랩핑이 수행된다.
상기 스트랩핑부에 의한 스트랩핑 수행이 완료된 후에 90도만큼 회전하여 커팅부(43)에 의한 커팅이 수행된다. 만약, 모재(4)가 원판형인 경우에 별도의 커팅이 수행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라면, 상기 커팅부(43)에 의한 커팅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는 트리밍부(41), 스크랩핑부(42), 및 커팅부(43)를 회전하는 회전몸체(50)에 설치함으로써, 트리밍, 스크랩핑, 및 커팅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회전몸체(50)에 의해 회전하면서 각 공정이 수행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업자가 안착판(11)에 모재(4)를 안착시킨다. 물론, 이러한 공정은 별도의 자동화 설비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모재(4)는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2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상기 가이드부(20)를 따라서 가이드부(20)의 일측에 마련된 마감부재결합부(30)로 이동한다.
상기 마감부재결합부(30)에서 마감부재(5)의 인출 및 접착 공정이 수행된다. 대기판(311)에 말려있는 마감부재(5)는 인출되면서 안내부(312)를 경유하고, 접착제도포부(321)를 거치면서 마감부재(5)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마감부재(5)는 모재(4)의 외주 둘레에 부착되면서 상기 가압부를 지나면서 가압되어 접착이 완료된다. 상기 안착판(11)이 결합된 가이드프레임(12)은 가이부를 따라서 마감처리부(40)로 이동된다.
상기 마감처리부(40)에서는 회전몸체(50)에 구비된 트리밍부(41), 스크랩핑부(42), 및 커핑부에 의한 트리밍,스크랩핑, 커팅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다만, 모재(4)의 특성상 예컨대, 모재(4)가 원판 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별도의 커팅 공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라면, 트리밍 공정과 스크랩핑 공정만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안착판(11)에 안착된 모재(4)가 마감처리부(40)의 트리밍부(41) 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가 모재(4)를 파지하고, 제1,2 칼날(413,414)에 의해 상기 모재(4)의 두께보다 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마감부재(5)의 부분을 절단한다.
이어서, 상기 회전몸체(50)가 180도 회전한 후에, 스크랩핑 공정이 수행된다. 트리밍 공정과 유사하게, 제3,4 파지롤러(421,422)이 모재(4)를 파지하고, 제3,4 칼날(423,424)에 의해 모재(4)의 모서리가 커팅된다.
상기 트리밍부(41) 및 스크랩핑부(42)에 의한 공정이 수행될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이 상기 가이드부(20)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트리밍 및 스크랩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트리밍 공정시 모재가 제1,2 칼날(413,414)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프레임(12)이 가이드부(20)를 따라 이동하면서 트리밍이 이루어지고, 스크랩핑 공정시 마찬가지로 제3,4 칼날(423,424)에 모재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이 가이드부(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랩핑이 이루어진다.
스크랩핑이 수행된 후, 모재(4)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마감부재(5)의 커팅이 필요한 경우, 커팅부(43)의 지지부(431)에 모재(4)가 안착되고, 모터(43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432)이 제3 실린더(434)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모재(4)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마감부재(5)를 커팅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는, 모재(4)가 안착되는 안착판(11)이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상기 X축에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20)의 일단에 마감부재결합부(30)를 배치하고, 상기 가이드부(20)의 주변에 마감처리부(40)를 배치하여, 모재(4)의 이송, 마감부재(5)의 결합, 및 모재(4) 엣지의 가공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마감처리부(40)의 트리밍 공정, 스크랩핑 공정, 및 커팅 공정을 회전하는 회전몸체(50)에 설치되는 트리밍부(41), 스크랩핑부(42), 및 커팅부(43)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하므로, 작업 속도를 개선하고 좁은 공간에서 일련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마감처리를 위해 작업 공간을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부지 면적을 획기적으로 절약하여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능케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모재공급부 11... 안착판
12... 가이드프레임 13... 흡입공
14... 흡입펌프 15... 체인
16... 연결프레임 20... 가이드부
30... 마감부재결합부 31... 마감부재공급부
311... 대기판 312... 안내부
32... 부착부 321... 접착제도포부
322... 가압바 323... 수용홈
40... 마감처리부 41... 트리밍부
411... 제1 파지롤러 412... 제2 파지롤러
413... 제1 칼날 414... 제2 칼날
415... 수평부 416... 만곡부
417... 제1 실린더 42... 스크랩핑부
421... 제3 파지롤러 422... 제4 파지롤러
423... 제3 칼날 424... 제4 칼날
425... 삽입부 426... 제2 실린더
43... 커팅부 431... 지지부
432... 회전날 433... 모터
434... 제3 실린더 50... 회전몸체
4... 모재 5... 마감부재

Claims (7)

  1. 가구용 모재(4)가 안착되는 안착판(11)과 상기 안착판(11)이 일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직선형의 가이드프레임(12)을 구비하는 모재공급부(10);
    상기 가이드프레임(12)과 수직으로 교차하여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을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재(4)에 부착되는 마감부재(5)를 공급하는 마감부재공급부(31) 및 상기 모재(4)에 마감부재(5)를 부착하는 부착부(32)를 포함하는 마감부재결합부(30);
    상기 가이드부(20)에 인접하여 마련되며, 상기 마감부재결합부(30)에서 상기 모재(4)에 부착된 상기 마감부재(5)가 상기 모재(4)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마감처리하는 마감처리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판(11)에 안착된 상기 모재(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2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은 상기 마감부재결합부(30)까지 이송되어 상기 마감부재(5)가 상기 모재(4)에 부착되며,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된 모재(4)는 상기 가이드부(20)를 따라 상기 마감처리부(40)로 이송되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처리부(40)는,
    상기 마감부재(5)를 상기 모재(4)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절단하는 트리밍부(41)와, 상기 마감부재(5)와 상기 모재(4)를 매끄럽게 다듬는 스크랩핑부(42)와, 상기 모재(4)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커팅하는 커팅부(43)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밍부(41), 상기 스크랩핑부(42), 및 상기 커팅부(43)는 회전하는 회전몸체(50)에 결합되고, 상기 트리밍부(41)에 의한 절단 수행 후 상기 회전몸체(50)가 회전하여 스크랩핑부(42)에 의한 다듬는 공정이 수행되고, 다듬는 공정 수행 후 다시 상기 회전몸체(50)가 회전하여 상기 커팅부(43)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41)는,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4)를 파지하는 제1,2 파지롤러(411,412);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4)의 두께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절단하는 제1,2 칼날(413,414); 및
    상기 제1,2 파지롤러(411,412) 및 상기 제1,2 칼날(413,41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417);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제1 회전축(418)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2 칼날(413,414)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15)와 상기 수평부(415)의 단부로부터 라운드형으로 만곡진 만곡부(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핑부(42)는,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모재(4)를 파지하는 제3,4 파지롤러(421,422);
    상기 모재(4)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접근하여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된 상기 모재(4)의 모서리를 커팅하는 제3,4 칼날(423,424); 및
    상기 제3,4 파지롤러(421,422) 및 상기 제3,4 칼날(423,42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426);를 포함하되,
    상기 제3,4 칼날(423,424)은 상기 모재(4)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삽입부(4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43)는,
    상기 모재(4)를 지지하는 지지부(431);
    상기 모재(4)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커팅하는 회전날(432); 및
    상기 회전날(432)을 회전시키는 모터(433)와, 상기 회전날(432) 및 상기 모터(43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공급부(31)는, 상기 마감부재(5)가 말려서 안착되는 대기판(311)과, 상기 대기판(311)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마감부재(5)를 가이드하는 안내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32)는 상기 마감부재(5)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321)와, 상기 모재(4)의 외주 둘레에 상기 마감부재(5)가 밀착되도록 상기 마감부재(5)를 가압하도록 상기 마감부재(5)가 부착된 상기 모재(4)의 외측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23)을 구비하는 가압바(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입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11) 위에 상기 모재(4)가 안착되면 상기 흡입공(1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장치.
KR1020130020018A 2013-02-25 2013-02-25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KR10145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18A KR101455767B1 (ko) 2013-02-25 2013-02-25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18A KR101455767B1 (ko) 2013-02-25 2013-02-25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048A KR20140106048A (ko) 2014-09-03
KR101455767B1 true KR101455767B1 (ko) 2014-11-03

Family

ID=5175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018A KR101455767B1 (ko) 2013-02-25 2013-02-25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66B1 (ko) 2018-07-03 2019-02-15 김상수 정밀도가 향상된 목재 패널의 에지 밴드 부착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8291B (zh) * 2021-02-07 2024-02-23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盒子类型的设定方法及服务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632Y1 (ko) * 2003-04-25 2003-07-12 (주)극동정밀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KR20040089296A (ko) * 2003-04-11 2004-10-21 조은갑 엣지 벤딩기의 트리밍 장치
KR200387194Y1 (ko) * 2005-03-21 2005-06-17 김잉길 트리밍기의 개선구조
KR101209304B1 (ko) * 2010-10-01 2012-12-06 김진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296A (ko) * 2003-04-11 2004-10-21 조은갑 엣지 벤딩기의 트리밍 장치
KR200319632Y1 (ko) * 2003-04-25 2003-07-12 (주)극동정밀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KR200387194Y1 (ko) * 2005-03-21 2005-06-17 김잉길 트리밍기의 개선구조
KR101209304B1 (ko) * 2010-10-01 2012-12-06 김진수 에지밴딩기의 에지밴드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66B1 (ko) 2018-07-03 2019-02-15 김상수 정밀도가 향상된 목재 패널의 에지 밴드 부착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048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4948A1 (en) Method for the multi-stage grinding of workpieces, and vacuum table, storage container, stripping device and pla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108433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lexible sheet
EP2181799A1 (en) Automatic flanging center for panels having different peripheral profiles
CN105946263B (zh) 一种手机外壳成型加工一体机
CN105700205B (zh) 基板分断方法以及刻划装置
KR101403973B1 (ko)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KR101455767B1 (ko)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CN105750392B (zh) 一种阻抗片自动冲裁机
KR20090069465A (ko) 모따기 장치
EP2113492B1 (en) Machine for cutting glass panes with means for rotation of a glass pane
CN107803421A (zh) 一种板件自动包边机
TWI733843B (zh) 長條體連接裝置及連接方法
KR101387079B1 (ko) 멀티 작업이 가능한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CN211062691U (zh) 一种制冷芯片封边设备
CN104889241A (zh) 一种冲压生产线
JP6963483B2 (ja) 剥離用テープカッター
CN101491903A (zh) 一种带有自动送料功能的平板式电脑切割机
CN104907402A (zh) 汽车零件冲压生产线
CN205496360U (zh) 一种阻抗片自动冲裁机
KR101381704B1 (ko) 가공 대상물 고정수단을 구비한 면취기
CN209507023U (zh) 一种自动贴料取料机器人
JP6376852B2 (ja) ドレッシングボードの保持治具
EP2835237A1 (en) Machine to process wood panels or the like
CN105583701B (zh) 一种用于加工钳类工件上钳腮的磨削机构及磨削装置
KR101295739B1 (ko) 휴대용 트리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