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632Y1 -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 Google Patents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632Y1
KR200319632Y1 KR20-2003-0012837U KR20030012837U KR200319632Y1 KR 200319632 Y1 KR200319632 Y1 KR 200319632Y1 KR 20030012837 U KR20030012837 U KR 20030012837U KR 200319632 Y1 KR200319632 Y1 KR 200319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rame
panel
conveyor
trimming
trimm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주)극동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극동정밀 filed Critical (주)극동정밀
Priority to KR20-2003-0012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패널의 코너에 대한 상하 트리밍 작업 및 패널의 단부에 대한 절단 작업을 각각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코너 트리밍장치와 엔드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와 신뢰도 및 생산성이 향상된 에지 밴딩기가 개시되어 있다.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패널의 코너를 정밀하게 트리밍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주위에 하부 트리밍장치와 상부 트리밍장치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며, 이때 하부 트리밍장치는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패널의 코너 하부를 가공하고, 상부 트리밍장치는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어 패널의 코너 상부를 가공한다. 또한,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패널의 전후 단부를 정밀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한쌍의 제 1 및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를 패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컨베이어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시키며, 이때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는 컨베이어의 진행방향 상류에 배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의 진입 선단부를 절단하고,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는 컨베이어의 진행방향 하류에 배치되어 패널의 진입 후단부를 절단한다.

Description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 밴딩기{Straight and softforming edge banding machine capable of precisely trimming corners and ends of a panel}
본 고안은 에지 밴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코너에 대한 상하 트리밍 작업 및 패널의 단부에 대한 절단 작업을 각각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코너 트리밍장치와 엔드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와 신뢰도 및 생산성이 향상된 에지 밴딩기에 관한 것이다.
가구제조 관련 산업에서 원재료로 사용되는 보드나 패널들은 나무로 이루어지거나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이나 배면에 적층된 베니어 층을 갖는다. 이러한 보드나 패널들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에지 밴딩기(edge banding)는 인조성형목재인 MDF, PB, 원목재 등의 패널에 에지 밴드(edge band)를 부착하거나, 무늬목 밴드를 부착하고, 패널의 두께에 맞추어 밴드의 끝단을 절단 또는 가공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에지 밴딩기는 패널의 에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밴드를 가압 부착시키는 글루잉(Gluing)장치, 패널의 테두리에 부착된 밴드의 선단을 패널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는 에지 커팅장치, 패널에 부착된 밴드를 패널의 두께에 맞추어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트리밍 장치, 트리밍 장치를 통과한 패널의 테두리 주변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버핑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기존의 에지 밴딩기는, 트리밍장치를 이용하여 패널의 코너를 절단하는 트리밍작업을 할 때 코너 부분이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균일하게 가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널의 전후 단부를 절단가공시에 절단 오차가 발생하여 원하는 길이만큼의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의 목적은 패널의 코너에 대한 상하 트리밍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코너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와 신뢰도 및 생산성이 향상된 에지 밴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의 목적은 패널의 코너의 전후 단부 절단을 위한 엔드 트리밍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엔드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와 신뢰도 및 생산성이 향상된 에지 밴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지 밴딩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트리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너 트리밍장치중 하부 트리밍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너 트리밍장치중 상부 트리밍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드 트리밍장치의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엔드 트리밍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지 밴딩기 11 : 작업대
12 : 컨베이어 20 : 코너 트리밍장치
30,40,50 : 트리밍장치 31,41,51a,51b : 액튜에이터
32,33,42,43,52a,52b : 가동 프레임 34,44,54a,54b : 구동 모터
35,45,55a,55b : 트리밍 커터 36a,46a,56a : 볼
36b,46b,56b : 부쉬 38,48 : 스프링
71,72,73 : 리미트 스위치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길이의 수평 작업대 상에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가 상기 수평 작업대를 따라 종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패널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에 패널을 가공하기 위한 점프 밀링 장치, 글루잉 장치, 엔드 트리밍 장치, 모터 트리밍 장치, 코너 트리밍 장치, 스크레핑 장치 및 버핑 장치를 포함하는 에지 밴딩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패널의 코너를 트리밍(Trimming)하기 위한상기 코너 트리밍 장치는, 패널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부 트리밍장치와 상부 트리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트리밍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패널의 코너 하부를 가공하고, 상기 상부 트리밍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어 패널의 코너 상부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길이의 수평 작업대 상에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가 상기 수평 작업대를 따라 종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패널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에 패널을 가공하기 위한 점프 밀링 장치, 글루잉 장치, 엔드 트리밍 장치, 모터 트리밍 장치, 코너 트리밍 장치, 스크레핑 장치 및 버핑 장치를 포함하는 에지 밴딩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패널의 전후 단부를 절단하기 위한 상기 엔드 트리밍 장치는, 패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컨베이어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는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방향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의 진입 선단부를 절단하고, 상기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는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방향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의 진입 후단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에지 밴딩기에서는, 패널의 코너를 트리밍하기 위한 트리밍 커터의 절삭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코너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패널의 코너에 대한 정밀한 트리밍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패널의 전후 단부를 각각 절단하는 절단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엔드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패널의 길이방향 절삭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지 밴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지 밴딩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 밴딩기(10)에서는 일정길이의 수평 작업대(11) 상에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12)가 수평 작업대(11)를 따라 종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컨베이어(1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하 주변부에 점프 밀링(Jump Milling) 작업단(W1), 글루잉(Gluing) 작업단(W2), 엔드 트리밍(End Trimming) 작업단(W3), 모터 트리밍(Motor Trimming) 작업단(W4), 코너 트리밍(Corner Trimming) 작업단(W5), 스크레핑(Scraping) 작업단(W6) 및 버핑(Buffing) 작업단(W7)이 차례로 마련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2)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13)와 컨베이어(12) 사이에 최소 폭 80mm 두께 10~60mm의 패널(P)이 계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점프 밀링 작업단(W1), 글루잉 작업단(W2), 엔드 트리밍 작업단(W3), 모터 트리밍 작업단(W4), 코너 트리밍 작업단(W5), 스크레핑 작업단(W6) 및 버핑 작업단(W7)을 순서대로 거치게 된다.
먼저, 패널(P)의 표면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패널(P)의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점프 밀링 작업단(W1)을 거친 다음, 패널(P)은 패널(P)의 가장자리에 밴딩재의 테두리 스트립을 접착시키기 위한 공지의 글루잉 작업단(W2)을 거치게 된다. 즉, 글루잉 작업단(W2)에서는, 패널(P)의 추후 최종 제품에서 보이지 않아야할 테두리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온의 접착제를 이용해서 패널(P)의 가장자리에 밴딩재의 테두리 스트립을 접착시킨다. 그 결과, 패널(P)에 PP, PVC, 무늬목, 무늬지 등의 에지 밴드(Edge Band)가 부착된다.
글루잉 작업단(W2)을 거친 패널(P)은 패널(P)의 양단부를 절단 가공하기 위한 엔드 트리밍 작업단(W3)을 거치게 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드 트리밍장치(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엔드 트리밍장치(50)는 에지 밴딩기(10)에서 패널(P)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컨베이어(12)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한쌍의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50b)를 포함한다.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50b)는 컨베이어(12)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데,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는 컨베이어(12)의 진행방향 상류에 배치되어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P)의 진입 선단부를 절단한다.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는 컨베이어(12)의 진행방향 하류에 배치되어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P)의 진입 후단부를 절단한다.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는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하단부가 고정 장착된 액튜에이터(51a), 액튜에이터(51a)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는 하부 가동프레임(52a), 하부 가동프레임(52a)과 연동하도록 배치된 보조 프레임(59a),하부 가동프레임(52a)과 보조 프레임(59a)의 자유단부에 배치된 모터 지지대(53a), 모터 지지대(53a)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54a), 구동모터(54a)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55a)를 구비한다.
일단부가 작업대(11)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된 액튜에이터(51a)의 타단부는 하부 가동프레임(52a)의 중간에 연결된다. 이때, 하부 가동프레임(52a)의 일단부는 제 5 힌지축(65)에 의해서 작업대(11)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하부 가동프레임(52a)의 타단부는 제 6 힌지축(66)에 의해서 모터 지지대(53a) 하부와 연결된다. 보조 프레임(59a)의 일단부는 제 7 힌지축(67)에 의해서 작업대(11)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되고, 보조 프레임(59a)의 타단부는 제 8 힌지축(68)에 의해서 모터 지지대(53a) 하부와 연결된다. 이때, 하부 가동프레임(52a)의 타단부 및 보조 프레임(59a)의 타단부와 모터 지지대(53a) 하부 사이에는 비구속 접촉수단인 세라믹 볼(56a)과 부쉬(56b)가 배치된다. 모터 지지대(53a) 하부는 부쉬(56b) 내로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에 의해 하부 가동프레임(52a) 및 보조 프레임(59a)과 연동하는 모터 지지대(53a)의 선회각도가 볼(56a)과 부쉬(56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된다.
하부 가동프레임(52a)과 보조 프레임(59a)에 의해서 지지되는 모터 지지대(53a)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54a)의 일측 위치에는 구동모터(54a)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55a)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엔드 트리밍장치의 작업과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첨부도면 도 1 및 6을 참조하여 엔드 트리밍장치(50)에서 이루어지는 패널(P)의 엔드 트리밍 작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컨베이어(12)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롤러(13)와 컨베이어(12) 사이에 놓여져서 컨베이어(12)를 따라 이동되면서 글루잉 작업단(W2)을 거친 패널(P)은 엔드 트리밍장치(50) 내로 투입되어 엔드 트리밍 작업단(W3)을 거치게 된다.
먼저, 패널(P)은 패널(P)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의 상류에 배치된 제 1 리미트 스위치(71)를 밀면서 엔드 트리밍장치(50) 내로 투입된다. 이때,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의 액튜에이터(51a)가 작동하면서하부 가동프레임(52a)을 하측으로 자연낙하 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보조 프레임(59a) 또한 하측으로 내려간다.그 결과, 모터 지지대(53a) 상에 장착된 트리밍 커터(55a)가패널(P)의 진입 선단부에 접촉하면서 패널(P)의 전면 선단부 에지를 절단한다.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는 패널(P)의 전면 선단부를 절단한 후 다음 작업을 위해 패널(P)이 이동함과 동시에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전면 선단부가 절단된 패널(P)이 계속해서 진행하여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와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 사이에 배치된 제 2 리미트 스위치(72)를 지나게 되면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가 동작 대기 상태에 놓인다. 계속해서 패널(P)이 전방으로 진행하여 제 3 리미트 스위치(73)를 밀면,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의 액튜에이터(51b)가 작동하면서 직립해 있던 하부 가동프레임(52b)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에 의해 보조 프레임(59b) 또한 상방향으로 올라간다. 그 결과, 모터 지지대(53b) 상에 장착된 트리밍 커터(55b)가 패널(P)의 후단부에 접촉하면서 패널(P)의 후단부 에지를 절단한다.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는 패널(P)의 후단부를 절단한 후 다음 작업을 위해서 상승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액튜에이터(51a,51b)의 양끝에는 센서가 있어서 상승, 하강 신호체계를 준다.
엔드 트리밍 작업단(W3)을 거친 패널(P)은 패널(P)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트리밍가공하는 모터 트리밍 작업단(W4)를 거쳐서 패널(P)의 코너부분을 가공하기 위한 코너 트리밍 작업단(W5)를 거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트리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트리밍장치(20)는 에지 밴딩기(10)에서 패널(P)의 이송방향을 따라 컨베이어(12)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부 트리밍장치(30)와 상부 트리밍장치(40)를 포함한다. 하부 트리밍장치(30)는 컨베이어(12)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부 트리밍장치(40)는 컨베이어(12)의 위쪽에 배치된다. 하부 트리밍장치(30)는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P)의 코너 하부를 가공하며, 상부 트리밍장치(40)는 패널(P)의 코너 상부를 가공한다.
도 3에는 코너 트리밍장치(20)의 하부 트리밍장치(30)가 도시되어 있다. 컨베이어(1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패널(P)의 코너 하부를 가공하기 위한 하부 트리밍장치(30)는,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 액튜에이터(31), 액튜에이터(3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는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상부 가동프레임(33),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34),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되어 구동모터(3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35), 상부 가동프레임(33)과 연동하면서 상부 가동프레임(33)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실린더(39)를 구비한다.
일단부가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 액튜에이터(31)의 타단부는 하부 가동프레임(32)의 중간에 연결된다. 이때, 하부 가동프레임(32)의 하단부는 제 1 힌지축(32a)에 의해서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하부 가동프레임(32)의 상단부는 제 2 힌지축(32b)에 의해서 상부 가동프레임(33)의 하부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2 힌지축(32b)의 일측에는 하부 가동프레임(32)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상부 가동프레임(33)의 상방향 선회동작을 탄성적으로 가공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38)이 배치된다.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제 2 힌지축(32b) 사이에는 비구속 접촉수단인 세라믹 볼(36a)과 부쉬(36b)가 배치된다. 상부 가동프레임(33)의 말단부는 부쉬(36b) 내로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에 의해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연동하는 상부 가동프레임(33)의 선회각도가 볼(36a)과 부쉬(36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된다.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34)의 위쪽 위치에는 구동모터(3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3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구동모터(34)와 트리밍 커터(35) 사이에는 가공될 패널(P)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37)가 배치된다. 상부 가동프레임(33)과 작업대(11)의 상부면 사이에는상부 가동프레임(33)의 선회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실린더(39)가 배치된다.
한편, 도 4에는 코너 트리밍장치(20)의 상부 트리밍장치(40)가 도시되어 있다. 컨베이어(12)의 위쪽에 배치되어 패널(P)의 코너 상부를 가공하기 위한 상부 트리밍장치(40)는 하부 트리밍장치(3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상부 트리밍장치(40)는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하단부가 장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프레임(49)의 상부에 고정 배치된다. 상부 트리밍장치(40)는 수직 프레임(49)의 중간에 고정 장착된 액튜에이터(41), 액튜에이터(41)에 의해서 1차선회 가능하게 이동되는 제 1 가동프레임(42)과 제 2 가동프레임(43), 제 2 가동프레임(4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44), 구동모터(4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45), 제 1 가동프레임(42)과 연동하면서 제 2 가동프레임(43)을 지지하기 위한 2차선회 보조 실린더(49a)를 구비한다.
일단부가 수직 프레임(49)의 중간에 고정 장착된 액튜에이터(41)의 타단부는 제 1 가동프레임(42)의 중간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가동프레임(42)의 일단부는 제 3 힌지축(42a)에 의해서 수직 프레임(49)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제 1 가동프레임(42)의 타단부는 제 4 힌지축(42b)에 의해서 제 2 가동프레임(43)의 일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 4 힌지축(42b)의 일측에는 제 1 가동프레임(42)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제 2 가동프레임(43)의 하방향 선회동작을 탄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48)이 배치된다.
제 1 가동프레임(42)과 제 2 가동프레임(43) 사이에는 비구속 접촉수단인 세라믹 볼(46a)과 부쉬(46b)가 배치된다. 볼(46a)과 부쉬(46b)는 다양한 곡선형상을가진 제품도 정밀하게 자동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 2 가동프레임(43)의 말단부는 부쉬(46b) 내로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제 1 가동프레임(42)과 연동하는 제 2 가동프레임(43)의 선회각도가 볼(46a)과 부쉬(46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제 2 가동프레임(4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44)의 아래쪽 위치에는 구동모터(4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4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구동모터(44)와 트리밍 커터(45) 사이에는 가공될 패널(P)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47)가 배치된다. 제 2 가동프레임(43)과 수직 프레임(49)의 상부 사이에는 제 2 가동프레임(43)의 선회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실린더(49a)가 배치되어 다양한 곡선형상을 가진 제품을 정밀하게 자동제어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코너 트리밍장치(20)에서 이루어지는 패널(P)의 코너 트리밍 작업에 대해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컨베이어(12)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롤러(13)와 컨베이어(12) 사이에 놓여져서 컨베이어(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점프 밀링 작업단(W1), 글루잉 작업단(W2), 엔드 트리밍 작업단(W3), 모터 트리밍 작업단(W4)을 거친 패널(P)은 코너 트리밍장치(20) 내로 투입되어 코너 트리밍 작업단(W5)을 거치게 된다.
패널(P)이 코너 트리밍장치(20) 내로 투입되면, 하부 가동프레임(32)은 반시계 방향으로 밀리면서(전력공급원 도시되지 않음) 하부 트리밍장치(30)가 이동중인 패널(P)의 선단부 코너 부분을 소정의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가공하고 패널(P)의 하부면을 진행 방향에 따라 가공한다. 이를 위해서, 에어 실린더인 액튜에이터(31)가외부의 전력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여 하부 가동프레임(32)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하부 가동프레임(32)은 패널(P)의 하부에 가까워지도록 제 1 힌지축(3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 계속해서 제 2 힌지축(32b)에 의해 하부 가동프레임(32)의 상단부에 동축으로 연결된 상부 가동프레임(33) 또한 패널(P)의 하부에 가까워지도록 제 2 힌지축(32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선회하게 된다.
이때,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제 2 힌지축(32b) 사이에 배치된 볼(36a)과 부쉬(36b) 그리고 제 2 힌지축(32b)의 일측에 배치된 스프링(38)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연동하는 상부 가동프레임(33)의 선회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트리밍 커터(35)가 패널(P)의 코너 하부면 상에 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34)에 의해서 트리밍 커터(35)가 회전 구동되면서 가이드 롤러(37)에 의해 안내되는 패널(P)의 코너 하부면을 가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 트리밍장치(30)에 의해서 선단부 코너 하부가 트리밍 가공된 패널(P)은 컨베이어(12)를 따라 상부 트리밍장치(40) 쪽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하부 트리밍장치(30)는 후단부 코너 부위를 곡률반경에 따라 가공한다.
이때 가동 프레임(33)은 액튜에이터가 외부의 공기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밀어올려 줌으로서 후단부 곡률반경을 가공하여준다. 만일, 선단부나 후단부중 한방향의 코너가공이 필요치 않으면, 외부의 전력공급 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을 제어한다.
후단부 코너트리밍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단부 코너 하부가 트리밍 가공된 후 컨베이어(12)를 따라 상부 트리밍장치(40) 쪽으로 이송되어온 패널(P)은 상부 트리밍장치(40)에 의해서 선단부, 즉 다양한 형상을 구비한 제품의 코너 상부가 소정의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가공된다.
이를 위해서, 에어 실린더인 액튜에이터(41)가 외부의 전력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여 제 1 가동프레임(42)을 하측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제 1 가동프레임(42)은 패널(P)의 상부에 가까워지도록 제 1 힌지축(42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 계속해서 제 2 힌지축(42b)에 의해 제 1 가동프레임(42)의 자유단부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 2 가동프레임(43) 또한 패널(P)의 상부에 가까워지도록 제 2 힌지축(42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 동작하여 선회하게 된다.
이때, 제 1 가동프레임(42)과 제 2 힌지축(42b) 사이에 배치된 볼(46a)과 부쉬(46b) 그리고 제 2 힌지축(42b)의 일측에 배치된 스프링(48)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제 1 가동프레임(42)과 연동하는 제 2 가동프레임(43)의 선회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트리밍 커터(45)가 패널(P)의 코너 상부면 상에 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제 2 가동프레임(4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44)에 의해서 트리밍 커터(45)가 회전 구동되면서 가이드 롤러(47)에 의해 안내되는 패널(P)의 코너 상부면을 가공하게 된다.
패널(P)의 진행에따라 상부 후단부 코너의 곡률 가공시는 액튜에이터(49a)가패널(P)방향으로 외부의 전력공급원 (도시되지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밀어줌으로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패널(P)의 코너부분을 가공하기 위한 코너 트리밍 작업단(W5)을 거친 패널(P)은 패널(P)의 표면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핑 작업단(W6)을 거친 후 트리밍 장치를 통과한 패널의 테두리 주변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버핑 작업단(W7)을 거쳐서 최종 패널 제품이 생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에지 밴딩기에서는, 패널의 코너를 트리밍하기 위한 트리밍 커터의 절삭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코너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패널의 코너에 대한 정밀한 트리밍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패널의 전후 단부를 각각 절단하는 절단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엔드 트리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패널의 길이방향 절삭을 오차없이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코너 트리밍 작업단과 엔드 트리밍 작업단에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일정길이의 수평 작업대(11) 상에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12)가 상기 수평 작업대(11)를 따라 종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패널(P)이 상기 컨베이어(12)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에 패널(P)을 가공하기 위한 점프 밀링 장치, 글루잉 장치, 엔드 트리밍 장치, 모터 트리밍 장치, 코너 트리밍 장치, 스크레핑 장치 및 버핑 장치를 포함하는 에지 밴딩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2)에 의해 이동되는 패널(P)의 코너를 트리밍(Trimming)하기 위한 상기 코너 트리밍 장치는, 패널(P)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12)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부 트리밍장치(30)와 상부 트리밍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트리밍장치(30)는 상기 컨베이어(1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패널(P)의 코너 하부를 가공하고, 상기 상부 트리밍장치(40)는 상기 컨베이어(12)의 위쪽에 배치되어 패널(P)의 코너 상부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트리밍 장치의 상기 하부 트리밍장치(30)는, 일단부가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 액튜에이터(31), 상기 액튜에이터(3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는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상부 가동프레임(33),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34),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3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35),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과 연동하면서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실린더(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31)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32)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32)의 하단부는 제 1 힌지축(32a)에 의해서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며,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32)의 상단부는 제 2 힌지축(32b)에 의해서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의 하부와 동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축(32b)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32)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의 상방향 선회동작을 탄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38)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상기 제 2 힌지축(32b) 사이에는 세라믹 볼(36a)과 부쉬(36b)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의 말단부는 상기 부쉬(36b) 내로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32)과 연동하는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의 선회각도는 상기 볼(36a)과 상기 부쉬(36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동프레임(33) 상에 장착된 상기 구동모터(34)의 위쪽 위치에는 상기 구동모터(3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3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4)와 상기 트리밍 커터(35) 사이에는 가공될 패널(P)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37)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트리밍장치의 상기 상부 트리밍장치(40)는,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하단부가 장착되어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프레임(49)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49)의 중간에 고정 장착된 액튜에이터(41), 상기 액튜에어터(4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는 제 1 가동프레임(42)과 제 2 가동프레임(43),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44), 상기 구동모터(4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45),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과 연동하면서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실린더(49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41)의 타단부는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의 일단부는 제 3 힌지축(42a)에 의해서 상기 수직 프레임(49)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의 타단부는 제 4 힌지축(42b)에 의해서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의 일단부와 동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힌지축(42b)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의 하방향 선회동작을 탄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48)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과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 사이에는 세라믹 볼(46a)과 부쉬(46b)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의 말단부는 상기 부쉬(46b) 내로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가동프레임(42)과 연동하는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의 선회각도가 상기 볼(46a)과 상기 부쉬(46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 상에 장착된 상기 구동모터(44)의 아래쪽 위치에는 상기 구동모터(44)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상기 트리밍 커터(4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44)와 상기 트리밍 커터(45) 사이에는 가공될 패널(P)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47)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과 상기 수직 프레임(49)의 상부 사이에는 상기 제 2 가동프레임(43)의 선회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실린더(49a)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12. 일정길이의 수평 작업대(11) 상에 무한궤도 타입의 컨베이어(12)가 상기 수평 작업대(11)를 따라 종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패널(P)이 상기 컨베이어(12)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에 패널(P)을 가공하기 위한 점프 밀링 장치, 글루잉 장치, 엔드 트리밍 장치, 모터 트리밍 장치, 코너 트리밍 장치, 스크레핑 장치 및 버핑 장치를 포함하는 에지 밴딩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2)에 의해 이동되는 패널(P)의 전후 단부를 절단하기 위한 상기 엔드 트리밍 장치는, 패널(P)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컨베이어(12) 주위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50b)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는 상기 컨베이어(12)의 진행방향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P)의 진입 선단부를 절단하고, 상기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b)는 상기 컨베이어(12)의 진행방향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패널(P)의 진입 후단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엔드 커팅 어셈블리(50a,50b)는,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 상에 하단부가 고정 장착된 액튜에이터(51a,51b), 상기 액튜에어터(51a,51b)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는 하부 가동프레임(52a,52b),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과 연동하도록 배치된 보조 프레임(59a,59b),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과 상기 보조 프레임(59a,59b)의 자유단부에 배치된 모터지지대(53a,53b), 상기 모터 지지대(53a,53b)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54a,54b), 상기 구동모터(54a,54b)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트리밍 커터(55a,5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된 상기 액튜에이터(51a,51b)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의 일단부는 제 5 힌지축(65)에 의해서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며,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의 타단부는 제 6 힌지축(66)에 의해서 상기 모터 지지대(53a)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59a,59b)의 일단부는 제 7 힌지축(67)에 의해서 상기 작업대(11)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59a,59b)의 타단부는 제 8 힌지축(68)에 의해서 상기 모터 지지대(53a,53b) 하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의 타단부 및 상기 보조 프레임(59a,59b)의 타단부와 상기 모터 지지대(53a,53b) 하부 사이에는 볼(56a)과 부쉬(56b)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 지지대(53a,53b) 하부는 상기 부쉬(56b) 내로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 및 상기 보조 프레임(59a,59b)과 연동하는 상기 모터 지지대(53a,53b)의 선회각도가 상기 볼(56a)과 상기 부쉬(56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밴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동프레임(52a,52b)과 상기 보조 프레임(59a,59b)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기 모터 지지대(53a,53b) 상에 장착된 상기 구동모터(54a,54b)의 일측 위치에는 상기 구동모터(54a,54b)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상기 트리밍 커터(55a,55b)가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밴딩기.
KR20-2003-0012837U 2003-04-25 2003-04-25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KR200319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37U KR200319632Y1 (ko) 2003-04-25 2003-04-25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37U KR200319632Y1 (ko) 2003-04-25 2003-04-25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632Y1 true KR200319632Y1 (ko) 2003-07-12

Family

ID=4933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37U KR200319632Y1 (ko) 2003-04-25 2003-04-25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6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79B1 (ko) 2013-02-25 2014-04-18 이창인 멀티 작업이 가능한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KR101455767B1 (ko) * 2013-02-25 2014-11-03 이창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79B1 (ko) 2013-02-25 2014-04-18 이창인 멀티 작업이 가능한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KR101455767B1 (ko) * 2013-02-25 2014-11-03 이창인 Xy 스테이지형 가구용 엣지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6509C (en) Automated system for precision cutting short pieces of lumber
US4243081A (en) Automatic apparatus for machining panels, planks and similar articles made of wood, wooden derivatives and the like
WO2021218258A1 (zh) 一种自动封边机及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20040149105A1 (en) Plunge slitter with clam style anvil rollers
US4931113A (en) Veneer edge joinder method and apparatus
US20080276775A1 (en) Endless blade trim saw for trimming lumber workpieces and methods
US3903771A (en) Apparatus for edging and resawing lumber
US5246533A (en) Apparatus for press-bonding tape onto edges of workpiece
KR200319632Y1 (ko) 코너 및 엔드 트리밍의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지밴딩기
AU2006202071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rrel staves
KR101150625B1 (ko) 코너 트리밍장치
JP3842737B2 (ja) 通過する工作物の縁材料を切断するための縁接着機械の装置
EP0785052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working a tree trunk by chipping
JP2009527367A (ja) 形削り盤
JPH11123624A (ja) 高精度加工機械
US7640928B2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fiber-cement materials and method operation and use
JP2004519367A (ja) プログラム制御された連続機械装置のためのエッジフライス加工機構ユニット
US4193431A (en) Fence slat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376357A (zh) 一种木板饰面自动修边系统
KR200263270Y1 (ko) 에지밴딩기의 코너트리밍장치
US4546806A (en) Method for trimming the edges of a sheet of veneer perpendicularly to its grain while preventing this sheet from splitting
CN219325328U (zh) 一种双端分切开槽机
CN213703715U (zh) 多角度旋转锯
KR200321724Y1 (ko) 엣지 벤딩기의 테이프 커팅장치
JP3106220B2 (ja) ボール紙v溝切削装置における切削屑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