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653B1 - 침입 방지형 선박 - Google Patents

침입 방지형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653B1
KR101455653B1 KR1020120156020A KR20120156020A KR101455653B1 KR 101455653 B1 KR101455653 B1 KR 101455653B1 KR 1020120156020 A KR1020120156020 A KR 1020120156020A KR 20120156020 A KR20120156020 A KR 20120156020A KR 101455653 B1 KR101455653 B1 KR 10145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asing
deck
passage
deck hous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026A (ko
Inventor
정종관
이명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6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8Other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3/0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 B63B83/4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for reducing risks of pollution or contamination; for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43/003Arrangements of emergency exits, e.g. for escape from engine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침입 방지형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원의 거주를 위한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에서 선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엔진케이싱; 상기 데크하우스와 상기 엔진케이싱 사이에 선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엔진룸으로 접근 가능한 해치통로가 구비되는 통행로; 및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 측면부와 상기 엔진케이싱의 양 측면부 간을 이어 상기 통행로의 양 단을 차폐시키는 침입방지측벽을 포함하는 침입 방지형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입 방지형 선박 {INTRUSION PREVENTION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선내 침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침입 방지형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말리아 해상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적들의 선박 나포 및 피랍행위는 국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적으로도 이러한 해적들의 행위를 근절하기 위하여 군사력 동원 등의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선박 자체에 무기를 갖추는 것이 국내외 법규상 허용되지 않으므로 충분한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강구되고 있는 대책으로는, 해적 등 외부침입자의 선내 침입을 최대한 지연 또는 억제하여 대피나 구조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방안이 주로 모색되고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39781호에서는 전면 밀폐형 구조를 통해 불법 침입한 해적 등이 데크하우스 내로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데크하우스 구조 등을 제안한 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9781호 (2012년 04월 18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의 선내 침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침입 방지형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원의 거주를 위한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에서 선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엔진케이싱; 상기 데크하우스와 상기 엔진케이싱 사이에 선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엔진룸으로 접근 가능한 해치통로가 구비되는 통행로; 및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 측면부와 상기 엔진케이싱의 양 측면부 간을 이어 상기 통행로의 양 단을 차폐시키는 침입방지측벽을 포함하는 침입 방지형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입 방지형 선박은, 상기 차폐된 통행로 내부에 상기 데크하우스 내로 출입하기 위한 데크하우스 레더 및 상기 엔진케이싱 내로 출입하기 위한 엔진케이싱 레더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입 방지형 선박은, 상부데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데크; 및 상기 데크하우스와 상기 엔진케이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층데크에서 상기 엔진케이싱으로의 접근 통로를 제공하는 비상대피플랫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입방지측벽은, 상부데크상에서 상기 비상대피플랫폼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은, 침입방지측벽을 통해 데크하우스와 엔진케이싱 간의 통행로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한편, 데크하우스 레더나 엔진케이싱 레더를 상기와 같이 차폐된 통행로 상에 배치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선내 침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은, 기 설계 또는 제작된 선박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기술적 활용도가 높으며, 간단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저비용으로도 효과적인 침입 방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데크하우스 및 엔진케이싱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데크하우스 및 엔진케이싱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은 선박의 상부데크(U) 레벨에서, 데크하우스(10) 및 엔진케이싱(20)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상부데크(U)에는 데크하우스(10) 및 엔진케이싱(20)이 마련될 수 있다. 데크하우스(10)에는 선원의 선내거주를 위한 각종 생활시설 또는 선박의 항해를 위한 각종 항해설비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엔진케이싱(20)은 엔진룸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물로서 엔진룸의 배기가스 등을 선외 배출시키기 위한 펀넬(funnel) 구조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데크하우스(10) 및 엔진케이싱(20)은 각각 상부데크(U)로부터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엔진케이싱(20)에서는 상기 펀넬 구조물 등을 통해 배기가스가 선외 배출되기 때문에, 엔진케이싱(20)은 선미측 최후방에 배치되고 데크하우스(10)는 엔진케이싱(20)에서 선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있다.
데크하우스(10)와 엔진케이싱(20)이 이격 배치됨에 따라, 데크하우스(10)와 엔진케이싱(20) 간에는 일종의 통행로(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데크하우스(10)와 엔진케이싱(20) 간에는 선폭 방향의 통행로(40)가 길게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통행로(40) 상에는 엔진룸으로의 접근을 위한 해치통로(30)가 배치되고 있다. 해치통로(30)는 엔진룸 내에서 크레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데크하우스(10)나 엔진케이싱(20)에 설치된 크레인이 엔진룸 내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데크(U)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엔진룸의 직상부 등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데크하우스(10)와 엔진케이싱(20)에는 내부 출입을 위한 다수의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데크하우스(10)의 측면부에는 상부데크(U) 상에서 데크하우스(10)의 각 층으로 출입하기 위한 지그재그 형태의 경사 사다리(이하, '데크하우스 레더(11)'로 지칭함)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엔진케이싱(20)의 측면부에도 유사하게 지그재그 형태의 경사 사다리(이하, '엔진케이싱 레더(21)'로 지칭함)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데크하우스(10) 내로 출입 가능한 데크하우스 출입문(12)이나, 엔진케이싱(20) 내로 출입 가능한 엔진케이싱 출입문(22) 또한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데크하우스 출입문(12)이나 엔진케이싱 출입문(22)은 대부분 통행로(40) 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선박의 데크하우스(10) 및 엔진케이싱(20) 배치는, 다수의 경로를 통해 외부침입자가 데크하우스(10), 엔진케이싱(20), 엔진룸 등으로 접근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외부침입자는 데크하우스(10)의 측면부에 마련된 데크하우스 레더(11)나, 엔진케이싱(20)의 측면부에 마련된 엔진케이싱 레더(21)를 통해 선내 침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행로(40)를 마주보고 배치된 데크하우스 출입문(12)이나 엔진케이싱 출입문(22)을 통해서도 선내 침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엔진케이싱(20)과 데크하우스(10) 간 통행로(40) 상에 해치통로(30)가 노출되어 있는 바, 상부데크(U)로 진입한 외부침입자가 해치통로(30)를 통해 엔진룸으로도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선박의 경우, 해적 등의 외부침입자가 일단 상부데크(U) 상에 진입하게 되면, 다수의 침입경로를 통해 외부침입자가 데크하우스(10)나 엔진룸 등에 비교적 쉽게 접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선박 내 주요 설비인 항해설비나 엔진룸 등이 단시간 내에 외부침입자에 의해 점령되어, 선원의 대피나 구조 등을 위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지 못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선박의 상부데크(U) 레벨에서, 데크하우스(110) 및 엔진케이싱(120)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상부데크(U) 상에 마련된 데크하우스(110) 및 엔진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데크하우스(110) 및 엔진케이싱(12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의 데크하우스(10) 및 엔진케이싱(20)에 대응되며, 종래의 데크하우스(10) 및 엔진케이싱(20)과 유사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데크하우스(110) 및 엔진케이싱(120)은, 선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사이에 선폭 방향의 통행로(140) 및 해치통로(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도 1를 참조하여 전술한 통행로(40) 및 해치통로(30)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데크하우스(110) 및 엔진케이싱(120) 간 형성되는 통행로(140)가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도록, 데크하우스(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에 침입방지측벽(150)을 구비할 수 있다.
침입방지측벽(150)은 데크하우스(110)의 양 측면부가 각각 엔진케이싱(120)의 양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통행로(140)의 양단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침입방지측벽(150)은 엔진케이싱(120)의 양 측면부가 각각 데크하우스(110)의 양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통행로(140)의 양단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침입방지측벽(150)은 데크하우스(110)의 양 측면부와 엔진케이싱(120)의 양 측면부를 잇는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침입방지측벽(150)에는 평상시 통행로(140)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측벽 출입문(151)이 구비될 수 있다.
침입방지측벽(150)은 데크하우스(110)와 엔진케이싱(120)의 양 측면부를 이어 통행로(14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방지측벽(150)은 통행로(140)의 양 단을 막아 상부데크(U) 상에 통행로(14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방지측벽(150)은 상부데크(U) 상에서 소정높이로 형성되어 데크하우스(110)와 엔진케이싱(120)의 측면부를 잇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침입방지측벽(150)은 간단한 구조적 변경이나 추가를 통해, 외부침입자 등의 침입경로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침입방지측벽(150)을 통해 상부데크(U)에서 통행로(140)로의 접근이 차단되는 바, 통행로(140)를 마주보고 배치된 데크하우스 출입문(112)이나 엔진케이싱 출입문(122)을 통한 선내 접근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통행로(140) 상에 배치된 해치통로(130) 또한 상부데크(U) 상에서의 접근이 차단되는 바, 해치통로(130)를 통한 엔진룸으로의 진입 또한 차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종래의 배치 구조에서 구조적, 설계적으로 큰 변화 없이 간단하게 침입방지측벽(150)만을 추가하여 상기와 같은 침입경로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기술적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 침입경로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전체적인 출입문이나 해치통로 등의 재배치를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엔진룸의 배치나 전반적인 데크하우스 내 설계가 새롭게 이뤄져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의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종래의 기본적인 배치 구조를 활용하면서도, 침입방지측벽(150)을 통해 간편하게 외부 침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기 설계 및 제작된 선박 등에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기술적 활용도 및 호환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침입방지측벽(150)을 통해 차폐된 통행로(140) 내부에 데크하우스 레더(111) 또는 엔진케이싱 레더(121)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 데크하우스(110)나 엔진케이싱(120)의 측면부에 마련되었던 데크하우스 레더(111)나 엔진케이싱 레더(121)를, 차폐된 통행로(140) 상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침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도 1 참고).
데크하우스 레더(111)나 엔진케이싱 레더(121)의 경우 데크하우스(110) 또는 엔진케이싱(120)으로 출입을 위해 필요한 설비인 바, 단순히 외부 침입 경로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데크하우스 레더(111)나 엔진케이싱 레더(121)를 차폐된 통행로(140) 내부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데크하우스 레더(111)나 엔진케이싱 레더(121)의 기능이나 용도는 그대로 살리면서도, 외부 침입 상황시 이를 통한 선내 접근은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상부데크(U)의 외부에서 데크하우스(110)나 엔진케이싱(120) 내로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도록, 데크하우스(110)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데크하우스 출입문(113)이나, 엔진케이싱(120)의 측면부에 마련되는 엔진케이싱 출입문(123) 등이 최소한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도 2에 예시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데크하우스(110)의 측면부에 상부데크(U) 외부와 연통되는 데크하우스 출입문(113)이 2개, 엔진케이싱(120)의 측면부에 상부데크(U) 외부와 연통되는 엔진케이싱 출입문(123)이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결국 양 쪽 침입방지측벽(150)에 각각 마련된 측벽 출입문(151) 2개를 포함하여, 도합 6개의 출입문을 통한 내부 접근만이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외부 침입 경로의 차단 및 관리가 월등히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이는 해적 등 외부침입자의 침입시 신속한 출입경로 차단을 가능하게 하며, 결국 충분한 대피나 대응시간 확보를 통해 물적, 인적 피해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하우스(110)나 엔진케이싱(120)의 외부에는 다수의 핸드레일(H)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상기와 같은 핸드레일(H) 또한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핸드레일(H)은, 외부침입자가 갈퀴 등을 핸드레일(H)에 걸어 선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데크하우스(110) 내는 복수개의 층 구조로 이뤄질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데크(U) 레벨 위쪽에 배치되는 상층데크(C)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상층데크(C)는 통상적으로 데크하우스(110) 내 각 층을 지칭하는 A-데크, B-데크, C-데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 내 긴급 탈출 등을 위하여 마련되는 라이프보트의 경우, 해상을 향해 비스듬하게 낙하하는 구조로 선미 최후방의 엔진케이싱(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선원의 거주구인 데크하우스(110)에서 엔진케이싱(120)에 배치된 라이프보트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대피플랫폼(17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층데크(C) 레벨에서, 데크하우스(110), 엔진케이싱(120) 및 비상대피플랫폼(170)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알련둔다.
도 4 및 전술한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데크하우스(110) 내 상층데크(C)에서 엔진케이싱(120)으로 접근 가능한 비상대피플랫폼(170)을 구비할 수 있다. 비상대피플랫폼(170)은 데크하우스(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에 마련되어, C-데크 등의 데크하우스(110) 내 상층데크(C)에서 엔진케이싱(120)까지의 대피 통로를 제공하게 되며, 데크하우스(110) 내 선원 등이 신속하게 라이프보트(160) 등에 탑승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침입방지측벽(150)은 상기의 비상대피플랫폼(17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비상대피플랫폼(170)보다 소정정도 높은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침입방지측벽(150)은 상부데크(U) 상에서 위로 연장되어 상층데크(C)보다 소정정도 높은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비상대피플랫폼(170)을 통해 선원 등이 대피하는 동안, 상부데크(U) 상의 외부침입자 등이 총기류 등을 통해 선원 등에 위해를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침입방지측벽(150)을 통해 데크하우스(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의 통행로(14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한편, 데크하우스 레더(111)나 엔진케이싱 레더(121)를 상기와 같이 차폐된 통행로(140) 상에 배치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선내 침입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형 선박(100)은 기 설계 또는 제작된 선박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기술적 활용도가 높으며, 간단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저비용으로도 효과적인 침입 방지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침입 방지형 선박 110: 데크하우스
120: 엔진케이싱 130: 해치통로
140: 통행로 150: 침입방지측벽
160: 라이프보트 170: 비상대피플랫폼

Claims (4)

  1. 선원의 거주를 위한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에서 선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엔진케이싱;
    상기 데크하우스와 상기 엔진케이싱 사이에 선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엔진룸으로 접근 가능한 해치통로가 구비되는 통행로;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 측면부와 상기 엔진케이싱의 양 측면부 간을 이어 상기 통행로의 양 단을 차폐시키는 침입방지측벽;
    상부데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상층데크; 및
    상기 데크하우스와 상기 엔진케이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층데크에서 상기 엔진케이싱으로의 접근 통로를 제공하는 비상대피플랫폼;을 포함하는 침입 방지형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된 통행로 내부에 상기 데크하우스 내로 출입하기 위한 데크하우스 레더 및 상기 엔진케이싱 내로 출입하기 위한 엔진케이싱 레더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침입 방지형 선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입방지측벽은, 상부데크상에서 상기 비상대피플랫폼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침입 방지형 선박.
KR1020120156020A 2012-12-28 2012-12-28 침입 방지형 선박 KR10145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20A KR101455653B1 (ko) 2012-12-28 2012-12-28 침입 방지형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20A KR101455653B1 (ko) 2012-12-28 2012-12-28 침입 방지형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26A KR20140086026A (ko) 2014-07-08
KR101455653B1 true KR101455653B1 (ko) 2014-10-28

Family

ID=5173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020A KR101455653B1 (ko) 2012-12-28 2012-12-28 침입 방지형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78B1 (ko) * 2015-02-27 2016-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하우스 배치 구조
KR102372156B1 (ko) * 2017-06-09 202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선의 선미 측 진동 및 응력 감소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933A (ko) * 2008-07-17 2010-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데크 하우스의 통행로 배치구조
KR20100011437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공간 활용이 용이한 선박의 격벽 구조체
KR20120015601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KR20120127943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933A (ko) * 2008-07-17 2010-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데크 하우스의 통행로 배치구조
KR20100011437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공간 활용이 용이한 선박의 격벽 구조체
KR20120015601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KR20120127943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단 모듈 및 폐쇄형 외부 계단을 구비한 선박의 거주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26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10233B2 (en) A portable safe-room
KR101215593B1 (ko)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US20160178318A1 (en) Missile canister gated obturator
KR101455653B1 (ko) 침입 방지형 선박
CN201367101Y (zh) 舰船防海盗安全防护舷墙
KR20130102272A (ko) 선원 대피용 도어장치 및 그 도어장치가 설치된 대피처
KR200479717Y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침입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267995B1 (ko)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SE441388B (sv) Observationslucka for stridsfordon
KR20140003418U (ko) 외부 경사 사다리의 해적침입 방지구조
RU2524221C1 (ru) Наблюдательная вышка
KR200485059Y1 (ko) 부유식 lng 생산 저장 하역 설비의 라이프보트 탑재장치
JP2012206672A (ja) 船舶の侵入防止構造
KR20140068435A (ko) 선박용 피난 대피처의 설치구조
Furuya Maritime Security—The Architecture of Japan’s Maritime-Security System in the East China Sea
KR102065997B1 (ko) 선박의 대피 설비와 이의 운용 방법
KR20120106375A (ko) 선원 대피소용 위장 출입구
KR101535353B1 (ko) 잠수함 어뢰기만기 발사체계의 탑재 장치 및 방법
KR101259072B1 (ko) 요새화된 엔진룸을 구비한 선박
KR20130053325A (ko) 선박의 해적 침입 방지용 핸드 레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해적 침입 방지 방법
KR20150047728A (ko) 선박용 비상 대피 설비
KR20140049318A (ko) 해적 방어 시설
KR20150001013U (ko) 선박의 대피소
Furuya THE ARCHITECTURE OF JAPAN'S MARITIME-SECURITY SYSTEM IN THE EAST CHINA SEA: The Dual-Layer Security System and the Role of the Japan Coast Guard
KR101542871B1 (ko) 선원 대피소 및 이를 갖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