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570B1 - 습식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570B1 KR101455570B1 KR1020140011646A KR20140011646A KR101455570B1 KR 101455570 B1 KR101455570 B1 KR 101455570B1 KR 1020140011646 A KR1020140011646 A KR 1020140011646A KR 20140011646 A KR20140011646 A KR 20140011646A KR 101455570 B1 KR101455570 B1 KR 101455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reinforcing plate
- washing water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upper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3—Liquid, or liquid-film, 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극; 상기 포집된 미세입자가 제거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집진극의 상단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집진극을 보강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집진극 전면(全面)으로 분배하는 상부보강판; 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식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집진극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여 미세입자의 고착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극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고착화 및 부식에 따른 정비 횟수의 감소 즉, 전기집진장치의 연속운전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집진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식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집진극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여 미세입자의 고착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극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고착화 및 부식에 따른 정비 횟수의 감소 즉, 전기집진장치의 연속운전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집진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력(精電力)을 이용하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함께 각종 공장이나 가정으로부터 배출된 폐기물, 폐가스 등은 대기오염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렇게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이동 및 확산되어 다양한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들은 관련 장치들의 작동을 방해할 뿐만이 아니라, 광화학 스모그와 같이 가시도를 감소시키고,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장치 중 하나가 전기집진장치(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이다. 전기집진장치는 폐가스 중 미세입자에 전기적인 부하를 제공하고,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기집진장치는 미세입자를 대전시키기 위한 방전극과, 대전된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극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집된 입자를 제거하는 방식에 따라 건식(dry ESP)와 습식(wet ESP)로 구분될 수 있다. 건식 전기집진장치는 기계적인 충격이나 진동을 가해 포집된 입자를 제거하는 방식이며,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집진극에 세정수을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시킴으로써 포집된 입자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특히, 습식 전기집진장치에 있어, 수막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이 스팟(dry spot)이 존재하지 않도록, 궁극적으로는 미세입자가 고착화되는 부분이 없도록, 집진극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집진극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고, 세정수의 튐 현상을 방지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습식 전기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극; 포집된 미세입자가 제거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집진극의 상단 표면에 부착되어, 집진극을 보강하고, 세정수를 집진극의 전면(全面)으로 분배하는 상부보강판; 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보강판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고, 홈을 통해 세정수를 집진극 전면으로 분배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일 수 있다.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집진극의 하단 표면에 부착되어, 집진극을 보강하는 하부보강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은, 집진극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보강판의 하단, 홈, 하부보강판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세정수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집진극은, 표면장력에 의해 세정수의 응집 현상이 방지되도록, 거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관; 및 분사관을 감싸고, 집진극의 상단이 진입되도록 하부에 개방구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구간의 양측 말단은, 집진극의 진입 시, 상부보강판 표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소정의 이격거리는, 2 내지 4mm일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는, 개방구간의 양측 말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를 더 포함하고, 돌기는, 집진극의 진입 시, 상부보강판 표면에 부착되어 상부보강판 및 집진극을 지지할 수 있다.
분사관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분사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집진극, 상부보강판 및 하부보강판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매트(Cabon paper), 유리섬유(Fiber glass) 및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식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집진극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여 미세입자의 고착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극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고착화 및 부식에 따른 정비 횟수의 감소 즉, 전기집진장치의 연속운전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집진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방전부와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의 기본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집진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세정수 공급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집진판의 상부 단면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집진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은 집진판의 하부 단면도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방전부와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의 기본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집진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세정수 공급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집진판의 상부 단면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집진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은 집진판의 하부 단면도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습식 전기집진장치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케이싱(3), 케이싱(3) 하부에 가스(gas)를 유입시키는 가스 유입부(11), 케이싱(3) 내부에 고전압과 세정수를 공급받아 가스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방전부(100)와 집진부(200), 케이싱(3)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전기집진장치는 케이싱(3) 내부 상측에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부(16), 케이싱(3) 하부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저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미세입자는 더스트(dust), 미스트(mist) 등 가스에 포함되는 고체, 액체 미립자를 의미한다.
방전부(100)는 고전압 발생기(16)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며, 방전봉이나 방전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집진부(200)는 집진판(210)과 세정수 공급부(220)를 포함하여,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를 포집 및 제거한다.
방전부(100)와 집진부(200)의 관계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방전부와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의 기본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전압 발생부(16)를 통해 발생된 고전압이 방전부(100)에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corona generation)에 의해 (-)전하가 생성된다. 방전부(100) 주위를 통과하던 미세입자는 생성된 전하에 의해 (-)로 대전되고, 쿨롱 힘(coulomb force)에 의해 (+)극을 형성하는 집진부(200)에 포집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집진판(210)의 표면에 포집된다. 이에 따라, 방전부(100)을 방전극으로, 집진판(210)은 집진극으로 칭할 수도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가동함에 따라 집진판(210) 표면에 포집된 미세입자 층은 점점 두꺼워져,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소정의 두께가 임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집진부(200)는 세정수 공급부(210)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아 집진판(210) 표면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고, 미세입자 층의 두께가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방전부(100)와 집진부(200)는 각각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방전부(100)와 복수의 집진부(200)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방전부(100)와 집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되며, 방전 및 대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집진부(200)에서 미세입자 제거에 사용되었던 세정수는 세정수 저장부(60)에 흘러들어가 정수과정을 거쳐 저장되게 된다. 순환펌프(62) 및 순환관(61)은 세정수 저장부(60)에 저장된 세정수를 순환시키고, 세정수 공급부(210)에 다시 분배하여 집진판(210)에 세정수가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부(200)는 세정수 공급부(220)를 포함하여, 집진판(210)에 세정수를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한다. 이 때, 공급되는 세정수가 집진판(210)의 표면 전체에 미칠 수 있도록, 집진부(2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집진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세정수 공급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집진부(200)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220), 세정수 공급에 의해 수막을 형성하는 집진판(210) 및 세정수의 유동 조절과 함께 집진판을 보강하는 상부보강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정수 공급부(220)는 분사관(221), 분사관(221)을 감싸는 하우징(222) 및 하우징의 말단에 마련되는 지지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관(221)은 순환관(61)을 통해 세정수를 분배받고, 분배받은 세정수를하우징(222) 내부로 분사한다. 이를 위해, 분사관(221)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및 z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H)이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분사관(221)에 분배된 세정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H)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분사되고, 이 때, 분사 노즐의 개수, 분사 노즐의 모양 및 크기 등에 따라 분사되는 세정수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분사관(221)의 단면은 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정수를 수용하여 분사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제작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분사관(221)은 스테인레스 강, 스테인레스 클래드강 등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식성, 내열성, 내산성, 내압력 등이 요구되는 소재라면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분사관(221)을 감싸는 하우징(222) 또한 분사관(221)과 마찬가지로 내부식성, 내열성, 내산성, 내압력 등이 요구되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222)의 x축 방향 내부 너비는 분사관(221)의 x축 방향 외부 너비이상으로 제작되고, 하우징(222)의 y축 방향 내부 너비 또한 분사관(221)의 y축 방향 외부 너비 이상으로 제작된다.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222)은 그 내부에 분사관(221)이 착탈 가능하도록, 분사관(221)의 장착 시 세정수를 분사할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작된다.
다만, 방전 및 대전 등 방전부(100)와 집진부(200)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우징(222)의 x축 방향으로 내부 및 외부 너비는 분사관(221)의 x축 방향 외부 너비에 근접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우징(222)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원형, 타원형 등 다각형 외에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집진판(210)의 상단이 진입 가능하도록, 하우징(222)의 하단에는 개방구간이 마련된다. 개방구간을 사이에 둔 하단부의 양측은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정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조할 수도 있다.
하단부의 양측 각각은 집진판(210)의 상단부와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양측 각각이 집진판(210) 상단에 마련된 상부보강판(230)의 표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이 때, 소정의 이격거리는, 2mm 내지 4mm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정의 이격거리는, 상부보강판(230) 표면으로 세정수(W)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측 말단에는 상술한 소정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두께로, 돌기 형태의 지지부(223)가 마련된다. 지지부(223)는 하우징(222)과 상부보강판(230) 표면을 부착시켜, 중력의 영향을 받는 상부보강판(230) 및 집진판(210)을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양측에 3개의 지지부(223)가 각각 마련되어 상부보강판(230) 및 집진판(210)을 지지하고 있으나, 지지 수단으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수만 있다면 지지부(223)의 개수는 복수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양측의 개수가 대응되지 않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지지부(223)의 개수, 모양 및 크기 등은 상부보강판(230) 표면으로 유동하는 세정수(W)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도 5는 집진판의 상부 단면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집진판(210)의 상단에는 상부보강판(230)이 집진판(210)을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이 때, 집진판(210) 및 상부보강판(230) 각각은 탄소매트(Cabon paper), 유리섬유(Fiber glass) 및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탄소매트, 유리섬유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복합재인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보강판(230)의 부착을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페놀 수지(Pheno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면에 부착된 상부보강판(230)은 집진판(210)의 휨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집진판(210)을 보강한다. 집진판(210)이 휨에 따라 세정수가 집진판(210) 표면의 일부영역으로 쏠려 유동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부보강판(230)은 휨 현상을 방지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쏠림 현상 또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양측의 상부보강판(23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동 조절홈(231)이 마련된다. 세정수 공급부(220)에서 흘러들어 온 세정수(W)는 상부보강판(230)표면에 마련된 유동 조절홈(231)에 고이게 된다. 고였던 세정수(W)는 좌?우로(즉, z축으로) 퍼지면서 흘러내린다. 유동 조절홈(23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좌?우로 퍼진 세정수(W)의 너비는 하측의 유동 조절홈(231)에서 더욱 넓어지게 된다. 즉, 유동 조절홈(231)은 세정수의 유동을 조절하여 집진판(210) 전면(全面)에 세정수(W)가 분배되도록 하며, 유동 조절홈(231)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세정수(W)의 분배 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유동 조절홈(231)은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형태를 갖을 수도 있으나,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흘러내리는 세정수(W)의 튐 현상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부보강판(230)의 하단부 또한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유지하여 세정수(W)의 튐 현상을 방지하고, 방전부(100)와 집진부(200)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집진판(210)은 세정수 공급부(220) 및 상부보강판(230)을 통해 공급?분배된 세정수(W)가 유동하면서 집진판(210)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집진판(210)은 연마기 등의 이용으로 거친 표면을 형성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판(210) 표면을 유동하는 세정수가 표면장력에 의해 구슬 형태로 응집되는 현상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표면 처리된 집진판(210)을 이용함으로써 상부보강판(230)을 통해 분배된 세정수(W)가 다시 응집되는 형상을 차단시키고, 집진판(210) 표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집진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집진부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달리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집진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집진부(200)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220), 세정수 공급에 의해 수막을 형성하는 집진판(210), 세정수의 유동 조절과 함께 집진판을 보강하는 상부보강판(230) 및 하부보강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220)는 분사관(221), 분사관(221)을 감싸는 하우징(222) 및 하우징의 말단에 마련되는 지지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220), 분사관(221), 하우징(222) 및 지지부(223)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이하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집진판(210)으로는 거칠게 표면 처리된 집진판(210)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집진판(210)의 상단에는 상부보강판(230)이 집진판(210)을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집진판(210) 및 상부보강판(230)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부보강판(230)과 대응되게 집진판(210)의 하단에는 집진판을 보강하는 하부보강판(240)이 부착될 수 있다. 하부보강판(24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위해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집진판의 하부 단면도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 있듯이, 집진판(210)에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공급된 세정수는 집진판(210) 표면에서 일부영역으로 쏠려 유동하게 된다. 즉, 집진판(210) 전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집진판(210)의 상단를 보강하여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보강판(230)이 집진판(210)의 상단 양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부보강판(230)에 대응하여, 집진판(210)의 하단을 보강하여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보강판(240)이 집진판(210)의 하단 양측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보강판(24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판(210)을 사이에 두고 집진판(210) 하단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다. 이 때, 하부보강판(240)은 상부보강판(230)과 마찬가지로 탄소매트, 유리섬유 및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탄소매트, 유리섬유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복합재인 C-FRP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보강판(230)의 부착을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보강판(230) 뿐만 아니라 하부보강판(230) 또한 부착되어 집진판(210)을 보강하므로, 집진판(210)의 휨 현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정수 공급부(220)에서 흘러들어 온 세정수는 상부보강판(230)을 지나 집진판(210)의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중력 가속도의 영향을 더 받게 된다. 즉, 집진판(210)의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세정수(W)의 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하부보강판(2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마련되어 세정수(W)의 튐 현상을 방지하고, 방전부(100)와 집진부(200)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방전부 200 : 집진부
210 : 집진판 220 : 세정수 공급부
221 : 분사관 222 : 하우징
223 : 지지부 230 : 상부보강판
231 : 유동 조절홈 240 : 하부보강판
210 : 집진판 220 : 세정수 공급부
221 : 분사관 222 : 하우징
223 : 지지부 230 : 상부보강판
231 : 유동 조절홈 240 : 하부보강판
Claims (12)
-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극;
상기 포집된 미세입자가 제거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집진극의 상단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집진극을 보강하는 상부보강판;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보강판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세정수를 상기 집진극의 전면으로 분배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의 하단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집진극을 보강하는 하부보강판;
을 더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은,
상기 집진극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판의 하단, 상기 홈, 상기 하부보강판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정수의 튐 현상이 방지되도록,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형성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은,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세정수의 응집 현상이 방지되도록,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을 감싸고, 상기 집진극의 상단이 진입되도록 하부에 개방구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간의 양측 말단은,
상기 집진극의 진입 시, 상기 상부보강판 표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격거리는,
2 내지 4mm인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상기 개방구간의 양측 말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집진극의 진입 시, 상기 상부보강판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보강판 및 집진극을 지지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 상기 상부보강판 및 상기 하부보강판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매트(Cabon paper), 유리섬유(Fiber glass) 및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1646A KR101455570B1 (ko) | 2014-01-29 | 2014-01-29 | 습식 전기집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1646A KR101455570B1 (ko) | 2014-01-29 | 2014-01-29 | 습식 전기집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5570B1 true KR101455570B1 (ko) | 2014-10-29 |
Family
ID=5199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1646A KR101455570B1 (ko) | 2014-01-29 | 2014-01-29 | 습식 전기집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570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92604B (zh) * | 2014-12-22 | 2016-07-06 | 河北工业大学 | 一种湿式水膜电极电凝并器 |
KR20170000941A (ko) * | 2015-06-25 | 2017-01-04 | 한국기계연구원 |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
KR101801949B1 (ko) * | 2016-01-28 | 2017-11-27 |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용 세정수의 재순환시스템 |
KR101809910B1 (ko) * | 2016-05-04 | 2017-12-21 | (주) 가이환경에너지 | 탈취용 습식공기정화기 |
KR102073515B1 (ko) | 2019-05-01 | 2020-03-02 | 강세형 |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 |
KR20200109034A (ko) | 2019-03-12 | 2020-09-22 |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 스크러버 내 충진재 자동 세척장치 |
KR20200109038A (ko) * | 2019-03-12 | 2020-09-22 |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
KR102193125B1 (ko) * | 2019-09-05 | 2020-12-18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20210009690A (ko) | 2019-07-17 | 2021-01-27 | 한국기계연구원 | 표면 유체막 형성 구조 |
KR20210028894A (ko) * | 2019-09-05 | 2021-03-15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20210028898A (ko) * | 2019-09-05 | 2021-03-15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20230046572A (ko) * | 2021-09-30 | 2023-04-06 | (주)코넵 |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299A (ja) * | 1995-07-13 | 1997-01-28 | Kotsutoreru Kogyo Kk | 硫酸製造設備用湿式電気集塵機の高耐孔食、高耐酸性、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集塵電極板 |
JP2008212846A (ja) * | 2007-03-05 | 2008-09-18 |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 湿式電気集塵装置の流水機構 |
KR20110047740A (ko) * | 2009-10-30 | 2011-05-09 | 한국전력공사 | 습식전기집진기의 집진판 균일수막 유지시스템 |
-
2014
- 2014-01-29 KR KR1020140011646A patent/KR101455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299A (ja) * | 1995-07-13 | 1997-01-28 | Kotsutoreru Kogyo Kk | 硫酸製造設備用湿式電気集塵機の高耐孔食、高耐酸性、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集塵電極板 |
JP2008212846A (ja) * | 2007-03-05 | 2008-09-18 |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 湿式電気集塵装置の流水機構 |
KR20110047740A (ko) * | 2009-10-30 | 2011-05-09 | 한국전력공사 | 습식전기집진기의 집진판 균일수막 유지시스템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92604B (zh) * | 2014-12-22 | 2016-07-06 | 河北工业大学 | 一种湿式水膜电极电凝并器 |
KR20170000941A (ko) * | 2015-06-25 | 2017-01-04 | 한국기계연구원 |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
KR101867373B1 (ko) * | 2015-06-25 | 2018-06-15 | 한국기계연구원 |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
KR101801949B1 (ko) * | 2016-01-28 | 2017-11-27 |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용 세정수의 재순환시스템 |
KR101809910B1 (ko) * | 2016-05-04 | 2017-12-21 | (주) 가이환경에너지 | 탈취용 습식공기정화기 |
KR102160302B1 (ko) * | 2019-03-12 | 2020-10-15 |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
KR20200109034A (ko) | 2019-03-12 | 2020-09-22 |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 스크러버 내 충진재 자동 세척장치 |
KR20200109038A (ko) * | 2019-03-12 | 2020-09-22 |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
KR102073515B1 (ko) | 2019-05-01 | 2020-03-02 | 강세형 |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 |
KR20210009690A (ko) | 2019-07-17 | 2021-01-27 | 한국기계연구원 | 표면 유체막 형성 구조 |
KR102193125B1 (ko) * | 2019-09-05 | 2020-12-18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20210028894A (ko) * | 2019-09-05 | 2021-03-15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20210028898A (ko) * | 2019-09-05 | 2021-03-15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102251974B1 (ko) * | 2019-09-05 | 2021-05-14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102251976B1 (ko) * | 2019-09-05 | 2021-05-14 | 김영수 | 대기오염 방지용 집진기 |
KR20230046572A (ko) * | 2021-09-30 | 2023-04-06 | (주)코넵 |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KR102574943B1 (ko) * | 2021-09-30 | 2023-09-06 | (주)코넵 |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5570B1 (ko) | 습식 전기집진장치 | |
KR100708544B1 (ko) | 습식 전기집진장치 | |
JP4894739B2 (ja) | 湿式電気集塵機 | |
KR101867373B1 (ko) |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 |
KR101032617B1 (ko) |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 |
KR101113780B1 (ko) |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 |
US11524305B2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 |
KR100937944B1 (ko) |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
CN106076628A (zh) | 一种立式湿式电除尘装置 | |
KR101144230B1 (ko) | 펄스 제트를 구비한 방전 전극선 세정용 습식 정전 집진기 | |
KR20190143125A (ko) |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 |
KR20190055966A (ko) | 액체분사부와 액체흐름판을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
KR101233390B1 (ko) | 전기집진 장치 및 전기집진 방법 | |
KR101995742B1 (ko) | 액체분사부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
KR101436381B1 (ko) |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 |
KR101971917B1 (ko) | 정전분무 집진장치 | |
CN105521871A (zh) | 一种湿式静电除尘器水膜形成装置 | |
KR102233652B1 (ko) | 유동안내면을 포함하는 집진판 및 이를 이용한 습식전기집진기 | |
KR20100093808A (ko) |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 | |
KR20110046420A (ko) |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
KR20210022211A (ko) | 수충격현상을 이용하여 수막노즐을 세척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 |
KR101032612B1 (ko) |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
KR101404056B1 (ko) |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전기필터부를 포함하는 집진형 터널고속팬 | |
KR101421043B1 (ko) | 플라스틱 전기집진장치 | |
KR101178766B1 (ko) | 기계가공에 의한 친수성 처리를 향상시킨 전기집진기용 친수성 집진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