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125A -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125A
KR20190143125A KR1020180070686A KR20180070686A KR20190143125A KR 20190143125 A KR20190143125 A KR 20190143125A KR 1020180070686 A KR1020180070686 A KR 1020180070686A KR 20180070686 A KR20180070686 A KR 20180070686A KR 20190143125 A KR20190143125 A KR 2019014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air
station
body portion
outflo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607B1 (ko
Inventor
최종원
김진한
이길봉
이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6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24F3/1603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2003/1617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역사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하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천정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마련된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직립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정전분무장치, 및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상기 정전분무장치 상부에 위치하여 정전분무시 발생하는 오존을 흡착제거하기 위한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정전분무장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1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Ground Water in Subway Station}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사용하여 역사내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또 지하유출수의 에너지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불특정 다수의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이나 지하상가 내부는 밀폐된 공간으로 인해 외기 먼지 농도에 비해 최대 2.5배 이상 높다는 보고가 있으며, 환풍구를 이용한 배기 또는 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구비하여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들 밀폐된 공간의 공기에는 필터로 여과하기 어려운 초미세먼지를 중심으로 하여 악취, VOCs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66597호에는 매쉬망이 결합된 프레임,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내측 전면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집진부 및 미세먼지 집진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질소산화물과 흡착하는 질소산화물 흡착부로 이루어지고, 질소산화물 흡착부는 다수의 6각 관통공이 평면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허니컴 보드와 허니컴 보드의 양쪽면에 결합하는 망과 상기 6각 관통공 내부에 위치하고 망에 의해 구속되는 활성탄 칩으로 이루어진 질소산화물 저감 기능을 갖는 지하시설 공조기용 공기정화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먼지를 포함하는 일부 물질들이 필터에 의해 제거되어 공기정화가 가능하지만, 포집된 먼지들이 필터의 기공을 폐색시키기 때문에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고, 이에 따른 과다한 비용발생, 운전의 어려움 및 필터 폐기에 따른 2차 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58822호에는 축방향으로 톱니 모양의 평면식 톱날을 포함하고 전기 대전을 통해 와류 현상을 발생시키게 트위스팅 구조로 된 이온화수단을 포함하는 증배셀과 이온화수단의 축역할을 하는 축고정체를 포함하는 증배부, 증배부에서 흡기 또는 배기 과정시 대전이 이루어져 증배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 집진부에 소정의 진동을 주어 수집된 오염먼지를 포집부로 자동 탈착시키는 진동발생기, 진동발생기에 의해 탈착되는 오염 먼지를 진공흡입덕트에 흡입하게 하는 호퍼부를 포함하는 지하철역사 공기정화 환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지하철역사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입자의 대전과 집진이라는 건식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어 집진된 먼지가 재비산하거나 집진된 먼지의 수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지하철이나 터널과 같은 지하구조물 시설에는 다량의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예로 서울시 지하철의 경우, 1호선 18개 역사, 2호선 48개 역사, 3호선 39개 역사, 4호선 23개 역사 등 상당수의 역사에서 지하수가 유출되고 있으며 공항철도의 경우에도 6개 역사에서 유출 지하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6659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588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역사 내의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2차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량으로 발생하는 지하 유출수를 활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고 나아가 지하 유출수로부터 미활용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는, 지하역사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하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천정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마련된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직립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정전분무장치; 및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상기 정전분무장치 상부에 위치하여 정전분무시 발생하는 오존을 흡착제거하기 위한 흡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분무장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1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상기 정전분무장치 하부에는 분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상기 몸체부 바닥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상기 몸체부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저장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 저장조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상기 제1 배관 내부 소정 위치에는 ‘-’ 리드선과 연결된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제1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제1 저장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는,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2 노즐을 포함하는 상기 정전분무장치 하부에 위치하는 분무장치; 유입된 오염공기의 편류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분무장치 하부에 위치하는 다공판; 유입된 오염공기가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는 몸체부 바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다공판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베인; 및 상기 몸체부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저장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 저장조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관 내부 소정 위치에는 ‘-’ 리드선과 연결된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서, 상기 제1 저장조 및/또는 제2 저장소의 상기 지하유출수는 상기 지하역사 내 히트펌프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열교환매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미세입자의 제거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재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분무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어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공기와 지하유출수를 접촉시켜 공기를 가온 또는 냉각시키기 때문에, 난방 또는 냉방 시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다공판의 일실시예로서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지하역사에서 발생하는 지하수를 활용하여 지하역사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 1과 같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다수의 단위 정화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몸체부(100), 몸체부(100)로 지하철 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공급하기 위한 챔버(200), 대략 15℃ 전후의 지하유출수를 이용하여 정화된 공기를 가온시키기 위한 제2 저장조(300), 정전분무를 위한 전원공급부(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몸체부(100)는 지하역사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하향 경사진 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정화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천정에는 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 오염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다수의 단위 정화장치가 내장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 내부가 비어 있는 직립형으로, 단면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몸체부(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단위 정화장치로는 정전분무장치(110), 흡착부재(120) 및 분무장치(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위 정화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정전분무장치(11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100)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은 후술할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제1 저장조(210)와 연통되는 한편 타측은 몸체부(10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배관(111), 상기 제1 배관(111)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1 노즐(112) 그리고 제1 노즐(11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기장 유도격벽(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배관(111)은 제1 저장조(2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메인관(111′), 메인관(111′)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다수개로 분기되며, 또 이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배치된 분기관(111″)으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으로 위치하는 분기관(111″)의 둘레에는 4개 이상의 제1 노즐(112)이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분기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가 상이한 2개 이상의 제1 노즐(112)이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장치의 A-A′단면도인 도 2, 및 요부 확대도인 도 3을 참조하면서 정전분무장치(110)의 구성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음(-)으로 대전되는 9개의 분기관(11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기관(111″) 외측으로는 4개의 제1 노즐(112)이 연결되어 있다. 또 9개의 분기관(111″) 사이 또는 인근에는 양(+)으로 대전되어 전기장을 유도하는 전기장 유도격벽(113)이 배치되어 있다.
고전압을 이용한 정전분무방식(Electrospray)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전도성 액체를 노즐에 통과시키면서 양(+)과 음(-)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노즐과 액체속의 이온들이 척력과 인력에 의해 액체표면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쿨롱반발력이 표면장력 이상의 힘이 되면 미세한 액적으로 분사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 작을 경우 액체 곡면에 작용하는 전기력과 양이온들의 반발력이 액체의 표면장력 보다 작기 때문에 액적이 분무되지 않지만, 전압을 증가시키게 되면 액체 곡면에 작용하는 전기력과 양이온들의 반발력이 액체의 표면장력보다 커지게 되면서, 모세관 팁에서 액적이 분무되는 원리이다. 여기서, 고전압은 정전분무가 가능하며 절연재의 전열이 파괴되는 전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kV 내지 50kV 일 수 있고, 사용하는 액체는 이온화될 수 있는 액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물 또는 물에 용해가 잘되는 이온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으로 대전되는 노즐과 양(+)으로 대전되는 극판사이가 너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미세한 액적이 생성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양(+)으로 대전되어 전기장을 유도하는 전기장 유도격벽(113)을 다수 개 배치하고, 이들 유도격벽(113) 사이에 제1 노즐(112)이 다수 개 구비된 분기관(111″)을 배치함으로써, 몸체부(100)의 단면적이 큰 경우에도 정전분무에 의한 미세액적 생성이 가능하고 나아가 다량의 오염공기를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분무장치(110) 상부에 흡착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전압을 이용한 정전분무 시, 의도하지 않은 유해물질인 오존가스가 발생할 수 있고, 흡착부재(120)는 이러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흡착부재(120)는 오존을 흡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일예로 다공성이면서 흡착능이 우수한 입상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충진층일 수 있다.
계속해서,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분무장치(110) 하부와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사이에 분무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분무장치(130)는 후술할 몸체부(100) 바닥에 저류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은 저류수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몸체부(100) 내부로 연장된 후 수평하게 위치하는 제2 배관(131), 그리고 몸체부(100) 하방으로 액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제2 배관(131)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제2 노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지하역사의 공기는 지하철의 제동 시 발생하는 산화철(Fe2O3) 입자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정전분무장치(110)는 미세한 액적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 ㎛ 이하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분무장치(130)는 산화철(Fe2O3)과 같은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몸체부(100) 바닥에는 유입된 오염공기가 충돌할 수 있도록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입된 오염공기가 몸체부(100) 바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입구 상부에서 바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만곡져 있는 가이드베인(140)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가이드베인(140)과 분무장치(130) 사이에는 상부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편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다공판(150)이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지하역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는 비중이 비교적 큰 각종 입자상물질의 먼지가 함유되어 있고, 특히 여름철에는 지하수의 수온보다 높은 공기가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가이드베인(140)을 통해 몸체부(100) 바닥으로 오염된 공기를 유도하면, 대략 15℃ 전후의 지하유출수가 저류된 저류수와 충돌하여, 비중이 큰 입자상 물질을 포함한 일부 미세먼지가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게다가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냉방에 필요한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다공판의 일실시예로서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몸체부(100)에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입구와 마주보는 벽면 또는 바닥을 향해 이동하며, 특히 가이드베인(140)이 설치된 경우에는 가이드베인(140)이 위치하지 않은 공간부를 통해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은 상부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편류를 야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공기유속으로 인해 먼지의 제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적이 상이한 다수개의 통공(151)이 구비된 다공판(150)을 구비함으로써 공기의 편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베인(140)이 없는 오른쪽에서부터 가이드베인(140)이 위치하는 왼쪽으로 갈수록 다공판(150)의 개구부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크게 하여, 다공판(150)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몸체부(100) 인근에는 제1 배관(111)으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저장조(210)가 내장된 챔버(20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소정 형상의 챔버(200) 내부에는 절연애자(500)에 의해 바닥과 소정거리 이격된 지지판(220)이 위치하고, 지지판(220) 상부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며 메인관(111′)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저장조(210)가 마련되어 있다.
계속해서, 몸체부(10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와 충돌하여 공기를 냉각할 수 있도록,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는 제2 저장조(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부호 500은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애자이고, P1은 몸체부(100) 바닥에 저류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분무장치(130)로 공급하기 위한 제1 펌프이고, P2는 제1 저장조(210)에 저장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정전분무장치(110)로 공급하기 위한 제2 펌프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몸체부(100) 바닥,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300)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저류조와 공급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고, 몸체부(100) 바닥에 저류된 물이 공기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을 소정 농도 이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드레인한 후 새로운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여 역사 내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 리드선(410)은 몸체부(100)에 연결하고, ‘-’ 리드선(420)은 메인관(111′)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421)과 연결한 후 전원공급부(400)에서 고전압을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이전에 몸체부(100) 입구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키면, 오염된 공기와 물이 충돌하여 1차적으로 비중이 큰 입자 중심으로 제거된 후 상승한다.
이후 분무장치(130)로부터 분사되는 액적과 공기 중의 비교적 큰 입자가 충돌하여 2차적으로 제거되고, 미처 제거되지 못한 미세입자는 정전분무장치(110)에서 분사된 미세액적과 충돌하여 3차적으로 제거된다. 정전분무시 생성된 오존은 흡착부재(120)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흡착되고, 오존과 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는 몸체부(100) 상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 다시 지하역사 내부로 공급된다.
필요에 따라 몸체부(100) 상부 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2 저장조(300)를 경유한 후 다시 지하역사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몸체부
110 : 정전분무장치
111 : 제1 배관
111′ : 메인관 111″ : 분기관
112 : 제1 노즐
113 : 전기장 유도격벽
120 : 흡착부재
130 : 분무장치
131 : 제2 배관
132 : 제2 노즐
140 : 가이드베인
150 : 다공판
151 : 통공
200 : 챔버
210 : 제1 저장조
220 : 지지판
300 : 제2 저장조
400 : 전원공급부
410 : ‘+’ 리드선
420 : ‘-’ 리드선 421 : 전극
500 : 절연애자
P1 : 제1 펌프
P2 : 제2 펌프

Claims (8)

  1. 지하역사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하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천정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마련된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직립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정전분무장치(11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상기 정전분무장치(110) 상부에 위치하여 정전분무시 발생하는 오존을 흡착제거하기 위한 흡착부재(120)를 포함하고,
    기 정전분무장치(110)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몸체부(1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111), 및 상기 제1 배관(111)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1 노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상기 정전분무장치(110) 하부에는 분무장치(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바닥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저장조(3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 저장조(300)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111) 내부 소정 위치에는 ‘-’ 리드선(420)과 연결된 전극(421)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0)는 ‘+’ 리드선(41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제1 배관(111)으로 공급하기 위한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제1 저장조(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되,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상기 몸체부(1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 배관(131)과 상기 제2 배관(131)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제2 노즐(132)을 포함하는 상기 정전분무장치(110) 하부에 위치하는 분무장치(130);
    유입된 오염공기의 편류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분무장치(130) 하부에 위치하는 다공판(150);
    유입된 오염공기가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는 몸체부(100) 바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다공판(150)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베인(140); 및
    상기 몸체부(100)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저장조(3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 저장조(300)에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가 소정 깊이로 저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관(111) 내부 소정 위치에는 ‘-’ 리드선(420)과 연결된 전극(421)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0)는 ‘+’ 리드선(41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조 및/또는 제2 저장소의 상기 지하유출수는 상기 지하역사 내 히트펌프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열교환매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역사 내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20180070686A 2018-06-20 2018-06-20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207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86A KR102079607B1 (ko) 2018-06-20 2018-06-20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86A KR102079607B1 (ko) 2018-06-20 2018-06-20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25A true KR20190143125A (ko) 2019-12-30
KR102079607B1 KR102079607B1 (ko) 2020-04-07

Family

ID=6910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86A KR102079607B1 (ko) 2018-06-20 2018-06-20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841A (zh) * 2021-04-20 2021-06-22 关亚甜 一种下沉式的环保空气净化装置
CN113007842A (zh) * 2021-04-20 2021-06-22 关亚甜 一种大流量的空气净化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042B1 (ko) 2020-04-28 2021-07-27 주식회사 씨엠씨텍 복합 집진 기능을 가진 문어발 공기 정화장치
KR102351438B1 (ko) * 2020-06-04 2022-01-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기 및 정전분무 하이브리드 지하철 역사내 미세먼지 정화 장치
KR102277275B1 (ko) 2020-12-15 2021-07-16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514A (ja) * 1995-03-14 1996-09-27 Nishimatsu Constr Co Ltd 地下空間空気の脱臭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203657A (ja) * 2000-12-27 2002-07-19 Daikin Ind Ltd イオン発生器
KR100658822B1 (ko) 2006-10-10 2006-12-15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지하철역사 공기정화 환기시스템
KR20120088106A (ko) * 2011-01-31 2012-08-08 주식회사 티알엑서지 집수조를 이용한 지하철 역사의 냉난방 시스템
KR101366597B1 (ko) 2013-11-07 2014-02-25 주식회사 리트코 질소산화물 저감 기능을 갖는 지하시설 공조기용 공기정화 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514A (ja) * 1995-03-14 1996-09-27 Nishimatsu Constr Co Ltd 地下空間空気の脱臭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203657A (ja) * 2000-12-27 2002-07-19 Daikin Ind Ltd イオン発生器
KR100658822B1 (ko) 2006-10-10 2006-12-15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지하철역사 공기정화 환기시스템
KR20120088106A (ko) * 2011-01-31 2012-08-08 주식회사 티알엑서지 집수조를 이용한 지하철 역사의 냉난방 시스템
KR101366597B1 (ko) 2013-11-07 2014-02-25 주식회사 리트코 질소산화물 저감 기능을 갖는 지하시설 공조기용 공기정화 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841A (zh) * 2021-04-20 2021-06-22 关亚甜 一种下沉式的环保空气净化装置
CN113007842A (zh) * 2021-04-20 2021-06-22 关亚甜 一种大流量的空气净化设备
CN113007841B (zh) * 2021-04-20 2022-10-28 必盈环境工程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下沉式的环保空气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07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3125A (ko)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1508661B1 (ko)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420508B1 (ko) 이온화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965067B1 (ko) 오염농도를 조절하여 집진하는 터널출구 설치형 터널 집진 장치
KR101322886B1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KR102351438B1 (ko) 전자기 및 정전분무 하이브리드 지하철 역사내 미세먼지 정화 장치
KR101959628B1 (ko)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JP4894739B2 (ja) 湿式電気集塵機
JP2006280698A (ja) 空気浄化装置
US11484888B2 (en)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ing system having conductive filter module
JP2023524311A (ja) 静電気集塵機能を有する空気処理装置
KR101852163B1 (ko) 정전분무 시스템과 전기집진기가 결합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70000941A (ko)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101187926B1 (ko) 건습식 방식에 의한 점성입자 및 악취 제거시스템
CN104128059A (zh) 撞击流气体净化系统
CN102836611B (zh) 空气净化器
CN202803044U (zh) 空气净化器
JPH05154475A (ja) 重金属含有地下水浄化法及び装置
US10799884B2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of treating an exhaust
JP3372602B2 (ja) 空気中不純物の除去装置及び除去方法
KR101404056B1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전기필터부를 포함하는 집진형 터널고속팬
JP2006320613A (ja) 空気清浄装置
KR102230219B1 (ko) 공조 시스템용 집진 장치
KR20140100001A (ko) 유도 전압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대형 지하 시설의 미세먼지 전기 필터링 시스템 설계 방법
JP2013123692A (ja) 集塵装置及び集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