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562B1 -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562B1
KR101455562B1 KR1020137027992A KR20137027992A KR101455562B1 KR 101455562 B1 KR101455562 B1 KR 101455562B1 KR 1020137027992 A KR1020137027992 A KR 1020137027992A KR 20137027992 A KR20137027992 A KR 20137027992A KR 101455562 B1 KR101455562 B1 KR 10145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hase change
dispersible
polymeric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031A (ko
Inventor
몬트 씨 마길
마크 에이치 하트만
Original Assignee
아웃래스트 테크날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웃래스트 테크날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웃래스트 테크날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1Pre-melt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6Feeding liquid to the spinning head
    • D01D1/065Addition and mixing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Homogenis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중합체 복합재 및 중합체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한 구현예에서,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다수의 마이크로캡슐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혼합되어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잠열이 40 J/g 이상이고 전이 온도가 0 ℃ 내지 50 ℃의 범위이다. 제 1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중합체 복합재는 펠렛, 섬유, 플레이크, 시트, 막, 로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는 열 조절성이 목적되는 다양한 물품으로서 또는 상기 물품에 혼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POLYMERIC COMPOSIT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관련된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미국 출원 일련 번호가 제 10/891,428호이고 2004년 7월 13일에 출원되고 제목이 "Melt Spinable Concentrate Pellet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인 Hartmann 등의 특허 출원의 일부계속출원이고, 상기 출원은 미국 출원 일련 번호가 제 09/777,512호이고 2001년 2월 6일에 출원되고 제목이 "Melt Spinable Concentrate Pellet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인 Hartmann 등의 특허 출원의 계속출원이고, 상기 출원은 미국 출원 일련 번호가 제 60/234,150호이고 2000년 9월 21일에 출원되고 제목이 "Melt Spinable Concentrate Pellet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인 Hartmann 등의 특허 출원의 이점을 청구하며, 상기 출원들의 명세서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는, 본 발명은, 합성 섬유의 제조에 유용한,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직물은 합성 섬유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합성 섬유 제조에 두 방법이 사용된다: 습식 용액 방법 및 용융 방사 방법. 습식 용액 방법은 일반적으로 아크릴 섬유를 형성하는데 사용되지만, 반면에 용융 방사 방법은 일반적으로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기타 유사한 유형의 섬유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크릴 섬유는 아크릴로니트릴 단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쇄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나일론 섬유는 아미드기 -CONH-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쇄 합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치환된 방향족 카르복실산 단위의 에스테르가 85 중량% 이상인 장쇄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올레핀 단위가 85 중량% 이상이고 전형적으로 분자량이 약 40,000 이상인 장쇄 합성 결정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방직 산업에서 사용되는 합성 섬유 대부분이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용융 방사 방법이 특히 흥미롭다. 용융 방사 방법은 일반적으로 용융된 중합체 물질이 방적돌기로 알려진 장치를 통과하여, 개개의 합성 섬유 세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형성되면, 합성 섬유는 가닥 (strand) 으로 수집되거나 또는 단섬유 (staple fiber) 로 절단될 수 있다. 합성 섬유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합성 섬유를 방적사에 감아서 제직 또는 편직 방법에 사용하여 합성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싱변화 물질을 아크릴 섬유에 혼입하여, 섬유에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을 제공하고, 이러한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전형적으로 아크릴 섬유를 형성하는 습식 용액 방법과 관련된 높은 수준의 휘발성 물질 (예컨대, 용매) 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이는 용이하게 달성된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휘발성 물질이 전형적으로 용융 방사 방법에는 존재하거나 또는 목적되지 않기 때문에, 용융 방사 합성 섬유에 상변화 물질을 혼입하는 것은 더욱 문제가 있다. 용융 방사 합성 섬유에 상변화 물질을 혼입하도록 한 이전의 시도는 전형적으로 표준 섬유-등급 열가소성 중합체와 상변화 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용융 방사하여 합성 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저농도의 상변화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한, 이러한 시도는 일반적으로 섬유 내에서 상변화 물질의 분산이 불충분하게 하고, 섬유 특성이 불량하며, 가공성이 불량하게 하였다. 그러나, 저농도의 상변화 물질로는, 통상적으로 상변화 물질의 사용과 관련된 목적하는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을 실현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중합체 복합재의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는 것은 이러한 배경기술 때문이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중합체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잠열이 40 J/g 이상이고 전이 온도가 0 ℃ 내지 50 ℃의 범위인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다수의 마이크로캡슐 (microcapsule) 을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고; (b) 제 1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함.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제 1 온도 조절성 물질을 용융하여 제 1 용융물을 형성하고; (b) 제 1 용융물에 제 2 온도 조절성 물질을 분산시켜 제 1 혼합물을 형성하고; (c) 제 1 혼합물을 처리하여 입상체를 형성하고; (d) 매트릭스 (matrix) 중합체 물질을 용융하여 제 2 용융물을 형성하고; (e) 제 2 용융물에 입상체를 분산시켜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며; (f)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함.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잠열이 40 J/g 이상이고 전이 온도가 0 ℃ 내지 50 ℃의 범위인 제 1 중합체 물질을 용융하여 제 1 용융물을 형성하고; (b) 잠열이 40 J/g 이고 전이 온도가 0 ℃ 내지 50 ℃의 범위인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 온도 조절성 물질을 제 1 용융물에 분산시켜 제 1 혼합물을 형성하고; (c) 제 2 중합체 물질과 제 1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며; (d)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함.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중합체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하기를 포함한다: (a) 잠열이 40 J/g 이상이고 전이 온도가 0 ℃ 내지 50 ℃의 범위인 중합체 물질; 및 (b) 잠열이 40 J/g 이상이고 전이 온도가 0 ℃ 내지 50 ℃의 범위인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물질에 분산된 다수의 마이크로캡슐.
또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중합체 물질과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이 중합체 물질에서 분산된 다수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중합체 물질은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에 대한 부분적인 친화성을 가진다.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은 잠열이 60 J/g 이상이고 전이 온도가 10 ℃ 내지 5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구현예가 또한 예상된다. 전술한 개요 및 하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임의의 특정 구현예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를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목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고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상이한 주위 조건 하에서 열에너지를 흡수 및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복합재는,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의 향상된 분산성 또는 보다 높은 로딩 (loading)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는 펠렛 (pellet), 섬유, 플레이크 (flake), 시트 (sheet), 막, 로드 (rod)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는 다양한 물품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혼입되어 열 조절성을 제공하고 상기 물품에 향상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방직품 (예컨대, 직물), 의류 (예컨대, 외출복, 드라이수트 (drysuit) 및 보호용 의복), 신발류 (예컨대, 양말, 부츠 및 안창), 의료 제품 (예컨대, 열담요, 치료용 패드, 실금용 패드 및 핫/콜드팩), 용기 및 포장 (예컨대, 음료 및 음식 용기, 음식 보온기, 시트 쿠션 및 회로 기판 적층), 건축 (예컨대, 벽 또는 천장 내의 절연재, 벽지, 커튼 안감, 파이프 랩 (pipe wrap), 카페트 및 타일), 기구 (예컨대, 가정 기구 내 절연재), 및 기타 제품 (예컨대, 자동차 안감재, 침낭 및 침구) 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처리하여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다양한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복합재는, 사출 성형 방법에서, 또는 압출 방법에서, 합성 섬유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펠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펠렛의 사용은 상변화 물질을 다양한 물품에 혼입하여 달성되는 이익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물품은, 예를 들어,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섬유; 막; 폼 (foam); 및 사출 성형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의류 또는 신발류와 같은 물품에 혼입될 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은 상이하거나 또는 변화하는 주위 조건 하에서 이러한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의 사용은 물품에 "일방향" 또는 "정적" 열 조절보다 "다방향" 또는 "동적" 열 조절을 제공한다. 특히, "다방향" 열 조절과 관련하여, 물품은 온화한 날씨에서 열에너지를 흡수할 뿐 아니라 추운 날씨에서 열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품은 온화한 날씨에서 냉기를 그리고 추운 날씨에서 열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날씨 조건 하에서 원하는 수준의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열 조절과 관련하여, 물품은 변하는 주위 조건 하에서 이의 열 조절성을 변경하거나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온화하고 추운 날씨 모두에서, 다용도로 물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은 수분 또는 일광과 같은 외부 유발 매커니즘 없이 이의 열 조절성을 변경하거나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제공된 열 조절성과 함께, 예를 들어, 의류 또는 신발류에 혼입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편안함의 정도에 있어서 다른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복합재를 혼입한 물품은, 예컨대 발한으로 인하여, 개개의 피부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은 피부의 온도 또는 상대 습도를 낮출 수 있고, 따라서 보다 낮은 정도의 피부 수분 및 보다 높은 편안함을 제공한다. 특정 물질의 사용 및 특정 의류 또는 신발류 디자인 특징은 추가로 편안함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은 특정 첨가제, 처리제 또는 코팅제과 함께 사용되어 열 조절성 및 수분 조정성에 추가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의 액체 용융 혼합물 또는 응고된 용융 혼합물이다. 전형적으로, 온도 조절성 물질은 균일하게 중합체 복합재 내에 분산되어 있다. 그러나, 중합체 복합재로부터 목적하는 특정 특성에 따라, 온도 조절성 물질의 분산성은 중합체 복합재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는 것으로 계획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복합재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 없이 온도 조절성 물질 및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 추가적 처리의 필요성 또는 중합체 복합재의 특정 적용에 따라, 중합체 복합재는 물, 계면활성제, 분산제, 소포제 (예컨대, 실리콘 함유 화합물 및 불소 함유 화합물), 산화방지제 (예컨대, 입체장애 페놀 및 포스파이트), 열안정화제 (예컨대, 포스파이트, 유기인 화합물, 유기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및 페놀 화합물), 광 또는 UV 안정화제 (예컨대, 히드록시 벤조에이트, 입체장애 히드록시 벤조에이트 및 입체장애 아민), 광 또는 UV 흡수 첨가제 (예컨대, 4족 전이 금속 탄화물 및 산화물의 세라믹 입자), 초단파 흡수 첨가제 (예컨대, 다관능 1차 알코올, 글리세린 및 탄소), 강화-섬유 (예컨대,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유리 섬유), 전도성 섬유 또는 입자 (예컨대, 흑연 또는 활성 탄소 섬유 또는 입자), 윤활제, 가공 보조제 (예컨대, 지방산의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에테르, 지방산 아미드, 술폰아미드, 폴리실록산, 유기인 화합물 및 페놀 폴리에테르), 난연제 (예컨대, 할로겐화 화합물, 인 화합물, 유기인산염, 유기브롬화물, 알루미나 3수화물, 멜라민 유도체, 수산화마그네슘, 안티몬 화합물, 산화안티몬 및 붕소 화합물), 블로킹방지 첨가제 (예컨대, 실리카, 탈크, 제올라이트, 금속 탄산염, 및 유기 중합체), 김서림방지 첨가제 (예컨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및 이의 에톡실레이트, 노닐 페닐 에톡실레이트 및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방전 첨가제 (예컨대,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시화 알킬아민, 디에탄올아미드 및 에톡실화 알코올과 같은 비이온성; 알킬설포네이트 및 알킬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염화물, 메토설페이트 또는 질산염의 금속염 및 제 4 차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양이온성; 및 알킬베타인과 같은 양쪽성), 향균제 (예컨대, 비소 화합물, 황, 구리 화합물, 이소티아졸린 프탈아미드, 카르바메이트, 은 기재 무기제, 은 아연 제올라이트, 은 구리 제올라이트, 은 제올라이트, 금속 산화물 및 규산염), 가교제 또는 제어된 분해제 (예컨대,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및 실란), 착색제, 안료, 염료, 형광백색제 또는 형광발광제 (예컨대, 비스-벤즈옥사졸, 페닐코우마린, 및 비스(스트릴)비페닐), 충전제 (예컨대,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황산염 및 규산염과 같은 천연 광물 및 금속; 탈크; 클래이 (clay); 규회석; 흑연; 카본 블랙;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및 비드 (bead); 세라믹 섬유 및 비드; 금속 섬유 및 비드; 가루; 및 목재, 전분 또는 셀룰로스 가루의 섬유와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원천의 섬유), 커플링제 (coupling agent) (예컨대, 실란,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지방산염, 무수물, 에폭시 및 불포화 중합체 산), 강화제, 결정화 또는 기핵제 (예컨대, 결정 성장의 속도/동역학, 성장된 결정의 수 또는 성장된 결정의 유형을 개선하는 것과 같이, 중합체에서 결정성을 증가 또는 개선시키는 임의의 물질) 등과 같은 첨가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온도 조절성 물질은 하나 이상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변화 물질은 열에너지를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어서 온도 안정화 범위에서 또는 그 범위 내에서 열흐름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임의의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 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안정화 범위는 특정 전이 온도 또는 전이 온도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사용된 상변화 물질은, 전형적으로 상변화 물질이 두 상태 (예컨대, 액체 및 고체 상태, 액체 및 기체 상태, 고체 및 기체 상태, 또는 두 고체 상태) 사이에서 전이할 때, 상변화 물질이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시간 동안, 열에너지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작용은 전형적으로 일시적이고, 예컨대 가열 또는 냉각 과정 동안에 상변화 물질의 잠열이 흡수 또는 방출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잠열"은 두 상태 사이에서 전이할 때 물질 (또는 물질들의 혼합물) 에 의해 흡수되거나 또는 방출된 열의 양으로 지칭할 수 있다. 열에너지는 상변화 물질로부터 저장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상변화 물질은 가열 또는 냉각원에 의해 효과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적당한 상변화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중합체 복합재는 이의 임의 적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상변화 물질은 고체/고체 상변화 물질일 수 있다. 고체/고체 상변화 물질은 전형적으로 두 고체 상태 사이에서 전이하고 (예컨대, 결정질 또는 메소결정질 상 변환), 따라서, 전형적으로 사용 도중에 액체로 되지 않는 상변화 물질의 유형이다.
상변화 물질은 2 종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2 종 이상의 상이한 물질을 선택하여 혼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온도 안정화 범위는 중합체 복합재의 임의의 특정 적용에 관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2 종 이상의 상이한 물질의 혼합물은, 중합체 복합재에 혼입되었을 때, 2 종 이상의 상이한 전이 온도 또는 단일하게 변경된 전이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에 혼입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은 다양한 유기 및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의 예는 탄화수소 (예컨대, 직쇄 알칸 또는 파라핀계 탄화수소, 분지쇄 알칸, 불포화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지환족 탄화수소), 수화염 (예컨대, 염화칼슘 6수화물, 브롬화칼슘 6수화물, 질산마그네슘 6수화물, 질산리튬 3수화물, 플루오르화칼륨 4수화물, 암모늄 백반,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 탄산나트륨 10수화물, 인산2나트륨 12수화물, 황산나트륨 10수화물 및 아세트산나트륨 3수화물), 왁스, 오일, 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이염기산, 이염기 에스테르, 1-할라이드, 1차 알코올, 방향족 화합물, 클래드레이트, 세미-클래드레이트, 기체 클래드레이트, 무수물 (예컨대, 스테아르산 무수물), 에틸렌 카보네이트, 다가알코올 (예컨대,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히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탈, 펜타글리세린, 테트라메틸올 에탄, 네오펜틸 글리콜, 테트라메틸올 프로판,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모노아미노펜타에리트리톨, 디아미노펜타에리트리톨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세트산),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말로네이트, 폴리네오펜틸 글리콜 세바케이트, 폴리펜탄 글루타레이트, 폴리비닐 미리스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라우레이트, 폴리헥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산 (또는 이의 유도체) 과 글리콜 (또는 이의 유도체) 의 중축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및 알킬 탄화수소 측쇄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측쇄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금속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변화 물질의 선택은 전형적으로 형성된 중합체 복합재의 목적하는 전이 온도 또는 목적하는 적용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이 온도가 실온에 가까운 상변화 물질은 형성된 중합체 복합재가 의류 또는 신발류에 혼입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온도를 유지하는 적용에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상변화 물질은 전이 온도가 약 -40 ℃ 내지 125 ℃의 범위, 예컨대 약 -40 ℃ 내지 약 100 ℃ 또는 약 -5 ℃ 내지 약 125 ℃일 수 있다. 의류 적용에 유용한 한 구현예에서, 상변화 물질은 전이 온도가 약 0 ℃ 내지 약 50 ℃, 예컨대 약 10 ℃ 내지 약 50 ℃, 약 15 ℃ 내지 약 45 ℃, 약 22 ℃ 내지 약 40 ℃ 또는 약 22 ℃ 내지 약 28 ℃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상변화 물질은 잠열이 약 40 J/g 이상, 예컨대 약 50 J/g 이상, 약 60 J/g 이상, 약 70 J/g 이상, 약 80 J/g 이상, 약 90 J/g 이상 또는 약 100 J/g 이상일 수 있다. 의류 적용에 유용한 한 구현예에서, 상변화 물질은 잠열이 약 40 J/g 내지 약 400 J/g, 예컨대 약 60 J/g 내지 약 400 J/g, 약 80 J/g 내지 약 400 J/g 또는 약 100 J/g 내지 약 400 J/g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유용한 상변화 물질은 탄소수 10 내지 44의 파라핀계 탄화수소 (즉, C10 - C44 파라핀계 탄화수소) 를 포함한다. 표 1은 본원에서 기술된 중합체 복합재 내 상변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C13 - C28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목록을 제공한다.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탄소 원자 수는 전형적으로 이의 용융점과 관련 있다. 예를 들어, 분자당 28 개의 직쇄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n-옥타코산은 용융점이 61.4 ℃이다. 비교해보면, 분자당 13 개의 직쇄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n-트리데칸은 용융점이 -5.5 ℃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분자당 18 개의 직쇄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용융점이 28.2 ℃인 n-옥타데칸은 특히 의류 적용에 바람직하다.
파라핀계 탄화 수소 탄소 원자 수 용융점 (℃)
n-옥타코산 28 61.4
n-헵타코산 27 59.0
n-헥사코산 26 56.4
n-펜타코산 25 53.7
n-테트라코산 24 50.9
n-트리코산 23 47.6
n-도코산 22 44.4
n-헨에이코산 21 40.5
n-에이코산 20 36.8
n-노나데칸 19 32.1
n-옥타데칸 18 28.2
n-헵타데칸 17 22.0
n-헥사데칸 16 18.2
n-펜타데칸 15 10.0
n-테트라데칸 14 5.9
n-트리데칸 13 -5.5
기타 유용한 상변화 물질은 중합체 복합재의 목적하는 적용에 적합한 전이 온도 (예컨대, 의류 적용에 관해 약 22 ℃ 내지 약 40 ℃) 를 갖는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쇄 구조를 갖는 중합체 (혹은 중합체의 혼합물)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선형 중합체, 분지형 중합체 (예컨대, 성(星)상 분지형 중합체, 빗상 분지형 중합체 또는 수지상 분지형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적용에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중합체 또는 소량의 분지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여 밀도, 및 정렬된 분자 패킹 및 결정화의 정도를 더 크게 한다. 이러한 보다 큰 정도의 정렬된 분자 패킹 및 결정화는 잠열을 더 증가시키고 온도 안정화 범위가 더 좁아지도록 (예컨대, 전이 온도가 명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컨대, 3량체, 통계적 공중합체, 불규칙 공중합체, 교대 중합체, 주기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방사상 (radial)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graft)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 단위의 특성은 중합체 상변화 물질의 전이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단량체 단위의 선택은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재의 목적하는 전이 온도 또는 목적하는 적용에 의존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중합체의 반응성 및 관능성은 아민, 아미드, 카르복실, 히드록실, 에스테르, 에테르, 에폭시, 무수물기, 이소시아네이트, 실란, 케톤 및 알데히드와 같은 관능기의 첨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가교, 엉킴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의 인성, 또는 열, 수분 또는 화학 약품에의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중합체의 분자량이 중합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제조 조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중합체는 분자량이 상이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특정 분자량 또는 분자량의 특정 범위를 갖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분자량"은 수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 또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의 용융 지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비-중합체 상변화 물질 (예컨대, 파라핀계 탄화수소) 와 비교하여 분자량이 보다 높거나, 분자 크기가 보다 크거나, 또는 점도가 보다 높기 때문에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자 크기가 보다 크거나 또는 점도가 보다 높기 때문에, 제조 도중 또는 최종 사용 도중에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중합체 복합재에서 누출되는 경향이 더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수 평균 분자량이 약 400 내지 약 5,000,000, 예컨대 약 2,000 내지 약 5,000,000, 약 8,000 내지 약 100,000, 또는 약 8,000 내지 약 15,000 범위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섬유 내에 혼입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의 분자 크기가 보다 크거나 또는 이의 점도가 보다 높아,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섬유 외부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 조절성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에 따른 물품에 혼입되었을 경우,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향상된 기계적 특성 (예컨대, 유연성, 인장 강도 및 경도) 을 제공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목적하는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중합체 물질 (예컨대, 분산성 중합체 물질 또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 과 결합되어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또 다른 중합체 물질 없이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적당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여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의 로딩 수준을 보다 높게 하고 열 조절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작용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변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전형적으로 이의 용융점과 관련 있다. 예를 들어, 수 평균 분자량이 약 570 내지 약 630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Michigan, Midland, 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시판되는 Carbowax™ 600) 은 전형적으로 용융점이 약 20 ℃ 내지 약 25 ℃일 것이고, 이는 의류 적용물에 바람직하다. 다른 온도 안정화 범위에서 유용할 수 있는 다른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수 평균 분자량이 약 400이고 용융점이 약 4 ℃ 내지 약 8 ℃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500의 범위이고 용융점이 약 42 ℃ 내지 약 48 ℃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수 평균 분자량이 약 6,000이고 용융점이 약 56 ℃ 내지 약 63 ℃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Michigan, Midland, 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시판되는 Carbowax™ 400, 1500 및 6000) 을 포함한다.
추가의 유용한 상변화 물질은 지방산으로 말단 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재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융점이 약 22 ℃ 내지 약 35 ℃의 범위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지방산 디에스테르는 스테아르산 또는 라우르산으로 말단 캡핑되고 수 평균 분자량이 약 400 내지 약 600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유용한 상변화 물질은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기재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800의 범위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예컨대,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Terathane® 1000 및 1800) 은 전형적으로 용융점이 약 19 ℃ 내지 약 36 ℃의 범위이다. 또한, 용융점이 약 60 ℃ 내지 약 65 ℃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옥시드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변화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적용물에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종래의 중합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용융점이 약 0 ℃ 내지 약 50 ℃의 범위인 단독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2는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 단위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단독중합체의 용융점을 나타낸다.
단량체 단위의 종류 단독중합체 단독중합체의 용융점 (℃)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
폴리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36
폴리헥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2
폴리-N-테트라데실 폴리아크릴아미드 18
폴리-N-테트라데실 폴리아크릴아미드-1,1디히드로퍼플루오로 32-35



알칸 및 알켄





폴리-1-데센 34-40
폴리-1-헵텐 17
시스-폴리옥테나머
(Germany, Frankfurt, Degussa AG에서 시판되는 Vestenamer®6213)
38
폴리-1-옥텐 5-10
폴리1-노넨 19-22
트랜스-폴리펜테머 23-34
폴리-1-운데센 36
시스-폴리이소프렌 28-36
신디오택틱 1,2-폴리(1,3-펜타디엔) 10
1-메틸-폴리도데카메틸렌 30




에테르






폴리메틸렌옥시테트라메틸렌 옥시드 (폴리-1,3-디옥세판) 30
폴리헥사메틸렌옥시메틸렌 옥시드 38
폴리옥사시클로부탄 (POX) 34-36
n-옥타데실 폴리아세트알데히드 18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000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Terathane®polyTHF 1000)
25-33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400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Terathane®polyTHF 1400)
27-35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800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Terathane®polyTHF 1800)
27-38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2000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Terathane®polyTHF 2000)
28-40

비닐
폴리도데실 비닐 에테르 30
폴리비닐 라우레이트 16
폴리비닐 미리스테이트 28

황 함유 화합물


3,3-디메틸-폴리트리메틸렌 설파이드 19
폴리메틸렌 설파이드 35
폴리테트라메틸렌 디설파이드 39-44
폴리설퍼 트리옥시드 32
1-메틸-트리메틸렌-폴리-설포닐디발레레이트 35

규소 함유 화합물

베타-2-폴리디에틸 실록산 17
노나메틸렌-폴리-디실록사닐렌 디프로피온아미드-디에틸, 디메틸 (Si) 10
노나메틸렌-폴리-디실록사닐렌 디프로피온아미드-테트라에틸 (Si) 10
폴리메틸 헥사데실 실록산 35



아미드 및 질소 함유 화합물





폴리-(헥사메틸렌)시클로프로필렌 디카르복스아미드-시스-N,N'-디부틸 20
폴리-(헥사메틸렌)시클로프로필렌 디카르복스아미드-시스-N,N'-디에틸 5
폴리-(헥사메틸렌)시클로프로필렌 디카르복스아미드-시스-N,N'-디이소프로필 20
폴리-(헥사메틸렌)시클로프로필렌 디카르복스아미드-시스-N,N'-디메틸 30
폴리펜타메틸렌 아디프아미드-2,2,3,3,4,4 헥사플루오로 (디아민)-시스-N,N'-디부틸 15
폴리펜타메틸렌 아디프아미드-2,2,3,3,4,4 헥사플루오로 (디아민)-시스-N,N'-디에틸 20
폴리펜타메틸렌 아디프아미드-2,2,3,3,4,4 헥사플루오로 (디아민)-시스-N,N'-디이소프로필 35
폴리펜타메틸렌 아디프아미드-2,2,3,3,4,4 헥사플루오로 (디아민)-시스-N,N'-디메틸 30
폴리-(4,4'-메틸렌 디페닐렌 세박아미드)-N,N'-디에틸 32
폴리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디설포닐)-디카프로아미드 25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4,4'-옥시디메틸렌-디-2-(1,3-디옥솔란)-카프릴레이트] 19
폴리펜타메틸렌 아디페이트-2,2,3,3,4,4 헥사 플루오로 34





(4-메틸-(R+)-7-폴리히드록시에난트산) 36
폴리-[4-히드록시 테트라메틸렌-2-(1,3-디옥솔란) 카프릴산] (시스 또는 트랜스) 23
폴리펜타메틸렌 2,2'-디벤조에이트 13
폴리테트라메틸렌 2,2'-디벤조에이트 36
폴리-1-메틸-트리메틸렌 2,2' 디벤조에이트 38
폴리카프로락톤 글리콜 (분자량 = 830) 35-45
더욱 바람직한 상변화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콜 (또는 이의 유도체) 과 2산 (또는 이의 유도체) 의 중축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용융점이 약 0 ℃ 내지 약 40 ℃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표 3은 글리콜 및 2산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점을 나타낸다.
글리콜 2산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점 (℃)
에틸렌 글리콜 탄산 39
에틸렌 글리콜 피멜산 25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콜산 17-20
에틸렌 글리콜 티오디발레르산 25-28
1,2-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콜산 17
프로필렌 글리콜 말론산 33
프로필렌 글리콜 글루타르산 35-39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콜산 29-32
프로필렌 글리콜 피멜산 37
1,3-부탄디올 설페닐 디발레르산 32
1,3-부탄디올 디펜산 36
1,3-부탄디올 디페닐 메탄-m,m'-2산 38
1,3-부탄디올 트랜스-H,H-테레프탈산 18
부탄디올 글루타르산 36-38
부탄디올 피멜산 38-41
부탄디올 아젤라산 37-39
부탄디올 티오디발레르산 37
부탄디올 프탈산 17
부탄디올 디펜산 34
네오펜틸 글리콜 아디프산 37
네오펜틸 글리콜 수베르산 17
네오펜틸 글리콜 세박산 26
펜탄디올 숙신산 32
펜탄디올 글루타르산 22
펜탄디올 아디프산 36
펜탄디올 피멜산 39
펜탄디올 파라-페닐 디아세트산 33
펜탄디올 디글리콜산 33
헥산디올 글루타르산 28-34
헥산디올 4-옥텐디오에이트산 20
헵탄디올 옥살산 31
옥탄디올 4-옥텐디오에이트산 39
노난디올 메타-페닐렌 디글리콜산 35
데칸디올 말론산 29-34
데칸디올 이소프탈산 34-36
데칸디올 메소-타르타르산 33
디에틸렌 글리콜 옥살산 10
디에틸렌 글리콜 수베르산 28-35
디에틸렌 글리콜 세박산 36-44
디에틸렌 글리콜 프탈산 11
디에틸렌 글리콜 트랜스-H,H-테레프탈산 25
트리에틸렌 글리콜 세박산 28
트리에틸렌 글리콜 설포닐 디발레르산 24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탈산 10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펜산 38
파라-디히드록시-메틸 벤젠 말론산 36
메타-디히드록시-메틸 벤젠 세박산 27
메타-디히드록시-메틸 벤젠 디글리콜산 35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상변화 물질 (예컨대, 상기 상변화 물질) 과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를 반응시켜 목적하는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n-옥타데실산 (즉, 스테아르산) 을 폴리비닐 알코올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테르화하여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를 수득할 수 있거나, 또는 도데칸산 (즉, 라우르산) 을 폴리비닐 알코올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테르화하여 폴리비닐 라우레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 (예컨대, 아민, 카르복실, 히드록실, 에폭시, 실란, 설퍼릭 등의 관능기 하나 이상을 갖는 상변화 물질) 과 중합체의 다양한 조합을 반응시켜, 목적하는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수득할 수 있다.
목적하는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다양한 유형의 단량체 단위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와 유사하게, 옥타데실 알코올과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시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을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폴리-(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는 각각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를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단량체 단위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과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폴리글리콜은 알릴 알코올과 에스테르화되거나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트랜스-에스테르화되어 폴리글리콜 비닐 에테르를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이를 중합시켜 폴리-(폴리글리콜) 비닐 에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말단 캡핑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글리콜의 동족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온도 조절성 물질은 원형 (예컨대, 상변화 물질이 마이크로 또는 마크로 수준에서 비-캡슐화임, 즉, 마이크로- 또는 마크로캡슐화되지 않음) 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의 제조 동안, 원형의 상변화 물질은 다양한 형태의 고체 (예컨대, 벌크 형태, 분말, 펠렛, 입상체, 플레이크 등) 또는 다양한 형태의 액체 (예컨대, 용융 형태, 용매 중 용해물 등) 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현예에 따르면, 온도 조절성 물질은 상변화 물질을 캡슐화하거나, 함유하거나, 둘러싸거나, 흡수하거나 또는 상변화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구조는 중합체 복합재 또는 중합체 복합재로부터 제조된 물품 형성과 관련된 제조 조건 (예컨대, 고온 또는 전단력) 으로부터 상변화 물질에 일정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면서 상변화 물질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구조는 중합체 복합재 또는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으로부터 상변화 물질의 누출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용 구조의 예로서, 온도 조절성 물질은 중합체 복합재 내에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은 상변화 물질을 둘러싸고 있는 중공 쉘로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형태 (예컨대, 구형, 타원형 등) 및 크기로 형성된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은 형태 또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캡슐은 최대선형치수 (예컨대, 직경) 가 약 0.01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마이크로캡슐은 일반적으로 구형이고 최대선형치수 (예컨대, 직경) 가 약 0.5 내지 약 10 마이크론의 범위, 예컨대 약 0.5 내지 약 3 마이크론일 수 있다. 수용 구조의 기타 예는 실리카 입자 (예컨대, 습식 실리카 입자, 건식 실리카 입자 및 이의 혼합물), 제올라이트 입자, 탄소 입자 (예컨대, 흑연 입자, 활성 탄소 입자 및 이의 혼합물) 및 흡수성 물질 (예컨대, 흡수성 중합체 물질, 초흡수성 물질, 셀룰로오스 물질,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물질,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물질의 금속염 및 이의 혼합물)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성 물질은 상변화 물질로 함침된 실리카 입자, 제올라이트 입자, 탄소 입자 또는 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온도 조절성 물질을 약 100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약 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1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약 15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물에 젖은 (water-wetted)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수분량이 전형적으로 약 1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일부 방식에서 서로 상이한 온도 조절성 물질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종의 온도 조절성 물질은 2 종의 상이한 상변화 물질, 또는 원형의 상변화 물질과 캡슐화 형태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의 상변화 물질은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되어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일반적으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중합체 복합재에 온도 조절성 물질의 혼입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 사용되는 구현예에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관해 본원에서 논의된 특성을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온도 조절성 물질과 융화 또는 혼화할 수 있거나 또는 온도 조절성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친화성은, 예를 들어,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온도 조절성 물질의 용해도 상수, 극성, 소수성 또는 친수성의 유사성에 의존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친화성은 제조 동안에 중합체 복합재의 중간 용융 또는 액체 형태에서 (예컨대, 분산성 중합체 물질의 용융물에서) 온도 조절성 물질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중합체 복합재에서 상변화 물질의 보다 균일하거나 또는 양 또는 로딩 수준이 보다 큰 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온도 조절성 물질이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 구조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상변화 물질에 대한 이의 친화성과 함께, 또는 상변화 물질에 대한 이의 친화성의 대안으로서 수용 구조에 대한 이의 친화성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온도 조절성 물질이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마이크로캡슐에 대한 (예컨대,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하는 물질 또는 물질들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친화성은 중합체 복합재의 중간 용융 또는 액체 형태에서 (예컨대, 분산성 중합체 물질의 용융물에서)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중합체 복합재에서 상변화 물질의 보다 균일하거나 또는 양 또는 로딩 수준이 보다 큰 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하는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캡슐이 나일론 쉘을 포함하는 경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나일론을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음). 또 다른 예로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아민 또는 에폭시와 같은 관능기 하나 이상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선택되어, 마이크로캡슐에 대한 이러한 친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캡슐이 카르복실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폴리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기 하나 이상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음). 바람직하게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온도 조절성 물질이 분산성 중합체 물질 내에서 분산되는 경우 목적하는 온도 안정화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 조절성 물질과 충분히 반응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용융 지수가 약 4 내지 약 36 g/10분의 범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예컨대, Missouri, St. Louis, Sigma-Aldrich Corp.에서 시판되는 용융 지수가 4, 12 및 36 g/10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변형된 형태 (예컨대,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Fusabond® E MB100D)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변형된 형태 (예컨대,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Fusabond® N MF416D)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용융 지수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의 흐름 특성의 측정치를 지칭하고, 전형적으로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의 분자량과는 역으로 관련 있다. 극성 상변화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이의 동족체) 에 대하여,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극성 중합체 (또는 극성 중합체의 혼합물) 을 포함하여 극성 상변화 물질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블록-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컨대, Delaware, Wilmington, DuPont Inc.에서 시판되는 Hytrel® 3078, 5544 및 8238), 및 폴리아미드-블록-폴리에테르와 같은 폴리아미드의 공중합체 (예컨대, Pennsylvania, Philadelphia, ATOFINA Chemicals, Inc.에서 시판되는 Pebax® 2533, 4033, 5533, 7033, MX 1205 및 MH 1657)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온도 조절성 물질 (예컨대, 반혼화성 중합체) 과 약간 또는 부분적으로 융화 또는 혼화할 수 있거나 또는 온도 조절성 물질에 대한 약간의 또는 부분적인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분적인 친화성은 온도 조절성 물질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보다 고온에서 처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보다 저온 및 전단 조건에서 그리고 중합체 복합재가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부분적인 친화성은 온도 조절성 물질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원형의 상변화 물질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상기 부분적인 친화성은 상변화 물질의 불용화, 및 중합체 복합재 내에 증가된 상변화 물질 영역 형성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영역 형성은 두 상태 사이에서 상변화 물질의 전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온도 조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역 형성은 처리 또는 사용 도중에 중합체 복합재로부터 상변화 물질의 유실 또는 누출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핀계 탄화수소와 같은 특정 상변화 물질은, 상변화 물질의 보다 저농도에서 또는 임계 용액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와 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파라핀계 탄화수소 (또는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혼합물) 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의 혼합을 보다 고온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보다 고농도에서 달성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기 위해 용이하게 제어, 펌핑 및 처리될 수 있는 동질성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가 형성되고 냉각되었을 때, 파라핀계 탄화수소는 불용해되고 상이한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영역은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순수한 용융 또는 결정화를 가능하게 하여 열 조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영역은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유실 또는 누출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는 약 5 내지 약 90 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타 구현예에 따르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약 5 내지 약 50 중량%이다. 한 구현예에서,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25 중량%이다. 파라핀계 탄화수소와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경우,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온도 혼화성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보다 고온에서 혼화성이 우수하도록 하여, 혼합물의 동질성으로 인해 용융 방사 방법의 안정성 및 조절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보다 저온 (예컨대, 실온 또는 시판되는 직물의 통상적인 사용 온도) 에서,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는 파라핀계 탄화수소와 반혼화성이어서,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분리하고 영역을 형성하게 한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융화 또는 혼화할 수 있거나 또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온도 조절성 물질과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 사이에 융화 연결하는 것으로서 사용되어 중합체 복합재에 온도 조절성 물질을 혼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혼합물) (즉, 가열하여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성형되거나 주조되어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 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중합체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저분자량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가열되어 용융물을 형성할 때 점도가 낮고, 이 낮은 점도는 용융물에서 온도 조절성 물질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중합체는 분자량이 상이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저분자량 중합체"는 중합체의 저분자량 형태 (예컨대, 본원에서 논의된 중합체의 저분자량 형태) 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 (이하) 인 폴리에틸렌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저분자량 중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와 관련된 분자량 또는 분자량의 범위는 저분자량 중합체와 온도 조절성 물질을 혼합하는데 선택된 특정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사용된 방법 또는 장치에 의존할 수 있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쇄 구조를 갖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선형 중합체, 분지형 중합체 (예컨대, 성상 분지형 중합체, 빗상 분지형 중합체 또는 수지상 분지형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컨대, 3량체, 통계적 공중합체, 불규칙 공중합체, 교대 중합체, 주기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방사상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의 반응성 및 관능성은 아민, 아미드, 카르복실, 히드록실, 에스테르, 에테르, 에폭시, 무수물기, 이소시아네이트, 실란, 케톤 및 알데히드와 같은 관능기의 첨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가교, 엉킴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의 인성, 또는 열, 수분 또는 화학 약품에의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의 예는 폴리아미드 (예컨대, Nylon 6, Nylon 6/6, Nylon 12,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등), 폴리아민,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예컨대, 폴리비스페놀 A 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등), 폴리디엔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노르보르넨 등), 폴리에폭시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히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프로필렌 숙시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부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옥시메틸렌 (파라포름알데히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 등), 폴리플루오로카본, 포름알데히드 중합체 (예컨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페놀 포름알데히드 등),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화합물, 키토산, 리그닌, 왁스 등),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옥텐 등), 폴리페닐렌 (예컨대, 폴리페닐렌 옥시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에테르 설폰 등), 규소 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카르보메틸 실란 등),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예컨대,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 폴리에틸 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메틸 케톤 등), 폴리아세탈, 폴리아릴레이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라우릴락탐-블록-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등),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약 100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약 15 중량%의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중합체 복합재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예컨대, 합성 섬유) 을 위해 목적하는 물성 하나 이상을 가지거나 또는 제공하는 임의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을 포함할 수 있다. 물성의 예는 기계적 특성 (예컨대, 연성, 인장 강도 및 경도), 열적 특성 (예컨대, 열성형성) 및 화학적 특성 (예컨대, 반응성)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융화 또는 혼화할 수 있거나 또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친화성은 예를 들어,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의 용해도 상수, 극성, 소수성 또는 친수성의 유사성에 의존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친화성은 중합체 복합재의 제조 동안에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온도 조절성 물질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중합체 복합재 내에 상변화 물질의 보다 균일하거나 또는 보다 큰 양 또는 로딩 수준의 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온도 조절성 물질 사이에 융화 연결하는 것으로서 사용되어 중합체 복합재에 온도 조절성 물질을 혼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이 온도 조절성 물질과 융화 또는 혼화될 수 있거나 또는 온도 조절성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온도 조절성 물질이 상변화 물질 함유 수용 구조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상변화 물질에 대한 친화성과 함께, 또는 상변화 물질에 대한 친화성의 대안으로서 수용 구조에 대한 친화성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온도 조절성 물질과 약간 또는 부분적으로 융화 또는 혼화될 수 있거나 또는 약간의 또는 부분적인 온도 조절성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분적인 친화성은 온도 조절성 물질의 분산 및 보다 고온에서의 처리를 촉진하는데 적당할 수 있다. 보다 낮은 온도 및 전단 조건에서 그리고 중합체 복합재가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부분적인 친화성은 온도 조절성 물질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원형의 상변화 물질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해서, 상기 부분적인 친화성은 상변화 물질의 불용성을 초래하고 중합체 복합재 내에 상변화 물질 영역의 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혼합물) 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중합체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고분자량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물성 (예컨대, 기계적 특성) 을 강화하지만, 가열하여 용융물을 형성할 때는 점도가 높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중합체는 분자량이 상이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고분자량 중합체"는 중합체의 고분자량 형태 (예컨대, 본원에서 기술된 중합체의 고분자량 형태) 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 (이상) 인 폴리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고분자량 중합체로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량 중합체와 관련된 분자량 또는 분자량의 범위는 고분자량 중합체와 온도 조절성 물질을 혼합하는데 선택된 특정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또는 사용된 방법 또는 장치에 의존할 수 있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함께,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쇄 구조가 다양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선형 중합체, 분지형 중합체 (예컨대,성상 분지형 중합체, 빗상 분지형 중합체 또는 수지상 분지형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컨대, 3량체, 통계적 공중합체, 불규칙 공중합체, 교대 중합체, 주기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방사상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의 반응성 및 관능성은 아민, 아미드, 카르복실, 히드록실, 에스테르, 에테르, 에폭시, 무수물기, 이소시아네이트, 실란, 케톤 및 알데히드와 같은 관능기의 첨가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가교, 엉킴 또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여, 인성 또는 열, 수분 또는 화학 약품에의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의 예는 폴리아미드 (예컨대, Nylon 6, Nylon 6/6, Nylon 12,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등), 폴리아민,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예컨대, 폴리비스페놀 A 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등), 폴리디엔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노르보르넨 등), 폴리에폭시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히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프로필렌 숙시네이트 등),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부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메틸렌 (파라포름알데히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 등), 폴리플루오로카본, 포름알데히드 중합체 (예컨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페놀 포름알데히드 등),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키토산, 리그닌, 왁스 등),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옥텐 등), 폴리페닐렌 (예컨대, 폴리페닐렌 옥시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에테르 설폰 등), 규소 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카보메틸 실란 등),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예컨대,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 폴리에틸 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메틸 케톤 등), 폴리아세탈, 폴리아릴레이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라우릴락탐-블록-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등),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약 100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약 4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약 70 중량%의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와 관련된 다수의 이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향상된 열 조절성을 제공할 수 있고, 중합체 복합재가 의류 또는 신발류와 같은 물품에 혼입되었을 경우, 이는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중합체 복합재 내에 하나 이상의 상변화 물질을 높은 로딩 수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중합체 복합재에 온도 조절성 물질을 혼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높은 로딩 수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중합체 복합재는 중합체 복합재의 전체적인 물성 (예컨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예컨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의 형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적당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고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로딩 수준을 훨씬 더 높게 하고 열 조절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잠열이 약 2 J/g 이상, 예컨대, 약 10 J/g 이상, 약 20 J/g 이상, 약 30 J/g 이상, 약 40 J/g 이상, 약 50 J/g 이상 또는 약 60 J/g 이상일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중합체 복합재는 잠열이 약 2 J/g 내지 약 200 J/g, 예컨대 약 20 J/g 내지 약 200 J/g, 약 40 J/g 내지 약 200 J/g 또는 약 60 J/g 내지 약 200 J/g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접근법이 하기에 논의된다. 우선,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제공한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온도 조절성 물질은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상변화 물질을 캡슐화하거나, 함유하거나, 둘러싸거나 또는 흡수하는 수용 구조 (예컨대, 마이크로캡슐)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수용 구조 또는 상변화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저분자량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고 중합체 복합재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목적하는 물성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고분자량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또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고,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이어서, 온도 조절성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혼합되어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용융되어 제 1 용융물을 형성하고, 온도 조절성 물질을 제 1 용융물에 분산시켜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혼합물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사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제 1 혼합물을 처리하여 입상체를 형성하고, 이 입상체를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특히,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용융하여 제 2 용융물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입상체를 제 2 용융물에 분산시켜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입상체를 용융하고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용융된 입상체에 첨가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현예에 따르면, 입상체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혼합물을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형성된 경우,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제 2 혼합물에 혼입된 상변화 물질에 의해 공급된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펠렛을 형성한다.
도 1과 관련하여 더욱 충분히 본 발명을 통찰하고,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온도 조절성 물질을 공급한다 (단계 10). 본 구현예에서, 온도 조절성 물질은 상변화 물질, 및 상기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조절성 물질은 추가로 마이크로캡슐을 젖게 하거나, 코팅하거나 또는 마이크로캡슐에 흡수되는 만큼의 물을 포함하여, 물에 젖은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에 젖은 마이크로캡슐은 습윤 케이크를 형성할 수 있다. 습윤 케이크는, 물을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과 함께, 약 1 내지 약 90 중량%의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습윤 케이크는, 물을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과 함께, 약 60 내지 약 70 중량%의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습윤 케이크의 사용은 마이크로캡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용융물에서 마이크로캡슐의 분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덩어리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의 대안으로 또는 마이크로캡슐과 함께, 다른 수용 구조가 상변화 물질을 캡슐화하거나, 함유하거나, 둘러싸거나 또는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성 물질은 대안적으로, 또는 함께, 원형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의 상변화 물질은 다양한 형태의 고체 (예컨대, 벌크 형태, 분말, 펠렛, 입상체, 플레이크 등) 또는 다양한 형태의 액체 (예컨대, 용융 형태, 용매 중 용해물 등) 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공급한다 (단계 11).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중합체 복합재에 온도 조절성 물질을 혼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마이크로캡슐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저분자량 중합체를 포함한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부가적 중합체 하나 이상 (예컨대, 부가적 저분자량 중합체 하나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조절성 물질을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단계 12). 본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우선 용융되어 제 1 용융물을 형성하고 (예컨대, 가열된 혼합 용기 또는 습윤 세척 장치에서), 온도 조절성 물질 (예컨대, 습윤 케이크) 을 제 1 용융물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마이크로캡슐에 대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의 친화성이 상변화 물질 함유 마이크로캡슐을 제 1 용융물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융된 상태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유지하거나 또는 혼합 (예컨대, 진탕 (agitation) 또는 교반 (stirring)) 함으로서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습윤 케이크의 물은 습윤 세척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제 1 혼합물이 약 1 중량% 미만의 물을 포함하도록 습윤 케이크의 물이 실질적으로 제거될 때까지, 제 1 혼합물을 가열할 수 있다. 단계 (12)가 대안적으로 온도 조절성 물질과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건식 혼합하여 건식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후속적으로 상기 건식 혼합물을 가열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경우, 제 1 혼합물을 처리하여 입상체를 형성한다 (단계 14 및 15). 본 구현예에서, 제 1 혼합물을 냉각하여 제 1 고체물을 형성하고 (단계 14), 제 1 고체물을 입상화하여 입상체를 형성한다 (단계 15).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 1 혼합물을 가는 선 (또는 가는 선들) 으로 압출시키고, 상기 가는 선을 냉각하고 이어서 입상화하여 입상체를 형성한다. 임의의 압출기 (단일 스크류 압출기와 같은 임의의 종래의 압출기 포함) 를 사용하여 압출을 수행하여,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가는 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 방법 (임의의 종래의 방법 포함) 을 사용하여 제 1 고체물을 입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 1 고체물을 분쇄, 절단 또는 촙핑 (chopping) 하여 입상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상체를 다양한 형상 (예컨대, 구형, 타원형, 원통형, 분말 형태, 불규칙적 형상 등)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상체는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매끄럽거나 또는 거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입상체는 최대선형치수 (예컨대, 길이 또는 직경) 가 약 0.01 내지 약 10 밀리미터의 범위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5 밀리미터이다.
상기 입상체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 나머지 부분과 함께,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 (예컨대, 마이크로캡슐 및 거기에 분산된 상변화 물질의 건조 중량)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입상체는 전형적으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 나머지 부분과 함께, 약 45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의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입상체는 또한 소량의 물 (예컨대, 약 1 중량% 미만의 물) 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공급하고 (단계 18),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중합체 복합재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대해 목적하는 물성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임의의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고 목적하는 기계적 또는 열적 특성과 같은 목적하는 물성을 제공하는 고분자량 중합체를 포함한다.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부가적 중합체 하나 이상 (예컨대, 부가적 고분자량 중합체 하나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단계 15에서 형성된 입상체를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단계 17). 본 구현예에 따르면,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우선 용융하여 제 2 용융물을 형성하고, 입상체를 제 2 용융물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대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의 친화성이 제 2 용융물에서 입상체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형적으로, 제 2 용융물에 첨가하여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을 방출한 후, 입상체가 용융되고,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대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의 친화성 및 마이크로캡슐에 대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의 친화성이 제 2 용융물에서의 마이크로캡슐의 균일한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융된 상태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유지하거나 또는 혼합 (예컨대, 진탕 또는 교반) 하는 것이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습윤 케이크의 물은 추가로 습윤 세척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단계 (17)은 대안적으로 입상체와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건식 혼합하여 건식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후속적으로 상기 건식 혼합물을 가열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형성된 경우,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단계 20 및 21).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중합체 복합재는 펠렛, 섬유, 플레이크, 시트, 막, 로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제 2 혼합물을 냉각하여 제 2 고체물을 형성하고 (단계 20), 제 2 고체물을 입상화하여 펠렛을 형성한다 (단계 21).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혼합물을, 예를 들어, 가는 선 (또는 가는 선들) 으로 압출시키고, 상기 가는 선을 냉각하고 이어서 입상화하여 펠렛을 형성한다. 임의의 압출기 (단일 스크류 압출기와 같은 임의의 종래의 압출기 포함) 를 사용하여 압출을 수행하여,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가는 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종래 방법 포함) 을 사용하여 제 2 고체를 입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종래 방법을 사용하여, 제 2 고체물을 분쇄, 절단 또는 촙핑하여 펠렛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펠렛은 다양한 형상 (예컨대, 구형, 타원형, 원통형, 분말형, 불규칙적 형상 등)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펠렛은 형상 또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매끄럽거나 또는 거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펠렛은 최대선형치수 (예컨대, 길이 또는 직경) 이 약 1 내지 약 10 밀리미터의 범위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5 밀리미터이다.
본 발명의 본 구현예에 따르면, 형성된 펠렛은 전형적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 (예컨대,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약 4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펠렛은 전형적으로 약 1 중량% 미만인 소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펠렛을 사용하여,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합성 섬유, 막 및 사출성형품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전 구현예와 같이,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공급한다 (단계 30-32).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또한 중합체 상변화 물질이 분산체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고,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대해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어서,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함께 혼합한다 (단계 33). 본 구현예에 따르면,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우선 용융하여 제 1 용융물을 형성하고, 온도 조절성 물질을 제 1 용융물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물은, 존재하는 경우, 습윤 세척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온도 조절성 물질은 대안적으로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건식 혼합되어 건식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가열되어 제 1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혼합물을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우선 용융하여 제 2 용융물을 형성하고, 제 1 혼합물을 제 2 용융물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제 1 혼합물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함께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의 중합체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온도 조절성 물질을 상기 중합체 혼합물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건식 혼합하여 건식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이를 가열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 예로서,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함께 공급하고, 가열하고,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온도 조절성 물질,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압출기 내로 공급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경우,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단계 35 및 36).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중합체 복합재는 펠렛, 섬유, 플레이크, 시트, 막, 로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제 2 혼합물을 냉각하여 고체물을 형성하고 (단계 35), 상기 고체물을 입상화하여 펠렛을 형성한다 (단계 36).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제 2 혼합물을, 예를 들어, 가는 선 (또는 가는 선들) 으로 압출시키고, 상기 가는 선을 냉각하고 이어서 입상화하여 펠렛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추가의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구현예에서, 다단식 압출기 (43)을 사용하여 상기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다단식 압출기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구성으로 (예컨대, 시리즈로)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2 이상의 압출 단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여기서 각 압출기 단위는 단일 또는 다중 스크류 압출기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유입 개구부가 있어서 압출하고자 하는 물질을 수용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배출 포트가 있어서 공기, 물 (예컨대, 수증기) 및 휘발성 물질과 같은 기체를 배기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조절성 물질 및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공급하고 (단계 40 및 41), 다단식 압출기 (43) 내로 공급한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계획된다. 본 구현예에서, 온도 조절성 물질 및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다단식 압출기 (43)의 동일한 유입 개구부 또는 상이한 유입 개구부로 공급될 수 있다. 다단식 압출기 (43) 내에서, 온도 조절성 물질을 분산성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 1 혼합물을 용융 스트림 통로 (44)에 따라 다단식 압출기 (43)을 통해 전달한다.
이어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공급하고 (단계 42), 다단식 압출기 (43) 내로 공급한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또한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생략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본 구현예에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용융 스트림 통로 (44)를 따라 유입 개구부 하류로 공급된다. 대안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용융 스트림 통로 (44)를 따라 유입 개구부 상류 (예컨대, 온도 조절성 물질 또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을 받는데 사용된 동일한 유입 개구부) 로 공급될 수 있다. 다단식 압출기 (43) 내에서, 제 1 혼합물을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은, 존재하는 경우, 배출 포트를 통해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단계 45).
형성된 경우, 제 2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한다 (단계 46).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중합체 복합재는 펠렛, 섬유, 플레이크, 시트, 막, 로드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혼합물을 다이를 통해 가는 선 (또는 가는 선들) 으로 압출시킬 수 있고, 상기 가는 선을 냉각하고 이어서 입상화하여 펠렛을 형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 2 혼합물을 방적돌기를 통해 압출시켜 합성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원형의 상변화 물질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3과 관련된 상기 제조 방법은, 대안적으로 또는 함께, 원형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온도 조절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원형의 상변화 물질은 다양한 형태의 고체 (예컨대, 벌크 형태, 분말, 펠렛, 입상체, 플레이크 등) 또는 다양한 형태의 액체 (예컨대, 용융 형태, 용매 중 용해물 등) 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단계 (10)에서, 도 2의 단계 (30)에서, 또는 도 3의 단계 (40)에서).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원형의 상변화 물질을 중합체 복합재에 혼입하고, 여기서 중합체 복합재의 도처에 분산되는 하나 이상의 유리된 부피 또는 공간 내에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고, 중합체 상변화 물질은 원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계획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하는 제조 과정 도중 사실상 임의의 시간에 (예컨대, 도 1, 도 2 및 도 3에 설명된 단계 중 사실상 임의의 단계에) 원형의 상변화 물질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주입을 통해, 또는 고체 형태의 상변화 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분산성 중합체 물질 또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과 함께 공급함으로써 상변화 물질을 도입할 수 있다. 원형의 액체 상변화 물질을 여과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액체 주입 전에 동질하게 할 수 있다. 원형의 고체 상변화 물질을 압출기의 공급 입구 내로 공급하거나, 또는 압출기 내로 옆에서 밀어 넣어, 공급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원형의 상변화 물질을 바람직하게는 제조 과정 도중 후기에 도입하여, 상변화 물질의 적당한 분산을 보장하거나 또는 중합체 복합재 형성에 따른 제조 조건 (예컨대, 고온 또는 높은 전단력) 에의 노출을 감소시킨다. 상변화 물질의 이러한 후-단계 첨가를 사용하여, 상승된 온도에의 상변화 물질의 노출, 및 상변화 물질의 임의의 후속적 분해 또는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다수의 기타 구현예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는 온도 조절성 물질, 및 분산성 중합체 물질 또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성 중합체 물질 또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은 온도 조절성 물질에 대한 친화성 (또는 약간의 또는 부분적인 친화성) 을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복합재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중합체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 및 온도 조절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온도 조절성 물질, 및 분산성 중합체 물질 또는 매트릭스 중합체 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처리하여 중합체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다.
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중합체 복합재를 처리하여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다양한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라 형성된 펠렛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 방법 또는 압출 방법으로 합성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펠렛을 용융방사 방법에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을 포함하는 합성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경우, 합성 섬유를 가닥으로 수집하거나 또는 단섬유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합성 섬유를 방적사에 감아서 제직 또는 편직 방법에 사용하여 합성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펠렛을 중합체 하나 이상 (예컨대, 열가소성 중합체 하나 이상) 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중합체 하나 이상은 펠렛에 포함된 중합체(들)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어서, 형성된 혼합물을 처리하여, 예를 들어,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온도 조절성 물질을 포함한 합성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 하나 이상을 펠렛과 함께 사용하여 다성분 용융 방사 섬유 (예컨대, 이성분 섬유), 다성분 압출 막, 다성분 사출성형제품 등을 형성할 수 있다.
[ 실시예 ]
하기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예시 및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의 특정 양태를 기술한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를 이해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한 특정 방법론을 제공할 뿐이기 때문에,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 1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AC-16 폴리에틸렌, 적점 (drop point) 이 102 ℃, Honeywell Specialty Chemical 사제) 약 5.0 파운드를 습식 세척 장치에 첨가하고, 이어서, 단독중합체를 서서히 용융하고, 약 110 ℃ 내지 약 130 ℃에서 혼합하였다. 단독중합체를 용융한 후, 습윤 케이크 약 8.47 파운드를 용융된 단독중합체에 약 30 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습윤 케이크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물에 젖은 마이크로 캡슐 (마이크로 PCM lot# M 42-31, 59.0 중량%의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 MicroTek Laboratories, Inc.사제) 을 포함하였다.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을 용융된 단독중합체에 첨가하고 분산시키면서 물을 빠르게 증발시켰다. 약 0.15 중량% 미만의 물이 남을 때까지 (카를-피셔 (Karl-Fischer) 적정을 사용하여 측정함) 혼합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형성된 제 1 혼합물을 냉각하여 제 1 고체물을 형성하고, 제 1 고체물을 촙핑하여 추가로 처리에 사용되는 촙핑 물질을 형성하였다. 촙핑 물질은 약 50 중량%의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였다.
이어서, 약 30 파운드의 촙핑 물질 및 약 70 파운드의 고분자량 섬유-등급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중합체 (PB Amoco Ploymers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852) 를 건식 혼합하여 건식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모든 지역이 약 230 ℃로 설정되고, 스크류 속도가 약 70 rpm이고, 메시 스크린 (mesh screen) 이 150이고, 질소로 퍼징한 2 ½인치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형성된 건식 혼합물을 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펠렛을 밤새 약 50 ℃ 및 약 1 mmHg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이어서, 마이크로캡슐 및 상변화 물질 약 15 중량%를 포함한 상기 펠렛을 약 230 ℃ 내지 265 ℃ (예컨대, 약 235 ℃ 내지 245 ℃) 의 온도에서 압출/용융방사하였다.
합성 섬유를 1 분 당 약 1600 미터 (mpm)까지의 권취 (take-up) 속도로 방사/권취하여 섬유 당 약 20 내지 약 6 데니어 (denier) 를 수득하였고, 상기 합성 섬유는 실시예 2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상변화 물질에 의해 제공된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Perkin Elmer Pyris 1 기계를 사용하여 상기 합성 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 (DSC) 측정을 하였다. FTS Systems Intercoller 1를 사용하여 냉각하였다. Perkin Elmer Pyris Thermal Analysis System 및 윈도우용 소프트웨어 버전 3.72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시료를 Perkin Elmer의 용접 밀폐된 알루미늄 시료 팬에 준비하고, 시험 시료에 지속적으로 N2 흐름을 가하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조건은 하기를 포함하였다: 1) 시험 시료를 약 -10 ℃로 냉각하고; 2) 약 1 분 동안 -10 ℃에서 등온 유지하고; 3) -10 ℃에서 약 50 ℃까지 1 분 당 약 5 ℃ 속도로 가열하고; 4) 약 1 분 동안 50 ℃에서 등온 유지하며; 이어서 5) 50 ℃에서 약 -10 ℃까지 1 분 당 약 5 ℃의 속도로 냉각하였다.
상기 DSC 측정을 사용한 경우, 상기 합성 섬유는 약 17.5 내지 23.2 J/g 의 열에너지 저장 용량 (즉, 잠열) 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3
원형의 상변화 물질 (Kenwax 19 paraffin, C18 내지 C24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혼합물, 잠열 150 J/g) 약 3.1307 g 을 바이알에 담고, 상변화 물질에 대해 약간의 또는 부분적인 친화성을 갖는 중합체 물질 (DuPont Inc.사제 Elvax 450, 18 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약 3.1255 g을 상기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상변화 물질 및 중합체 물질을 함께 손으로 120 ℃ 내지 130 ℃ 에서 혼합하여, 동질하고 투명한 50:50 중량비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냉각하는 중에, 중합체 복합재가 형성되었고, 이 중합체 복합재는 말랑말랑하거나 미끈한 느낌없이 흐리고 질겼다. 상기 중합체 복합재의 DSC 측정은 73.3 J/g의 열에너지 저장 용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열 조절성을 제공할 수 있는 48.9 %의 Kenwax 19에 해당한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기술된 중합체 복합재를 개발함에 있어서 부가적 설명이 필요하지 않지만, 미국 특허 제 6,689,466호이고 2004년 2월 10일에 공개되고 제목이 "Stable Phase Change Materials for Use in Temperature Regulating Synthetic Fibers, Fabrics And Textiles"인 Hartmann의 특허, 및 미국 특허 제 6,855,422호이고 2005년 2월 15일에 공개되고 제목이 "Multi-component Fiber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인 Magill 등의 특허를 검토함으로써 일부 유용한 지침을 찾을 수 있고, 상기 특허의 명세서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또는 참고된 특허 출원, 특허, 공개공보 및 기타 공개 문서 각각은, 개별적 특허 출원, 특허, 공개공보 및 기타 공개 문서 각각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참고로 포함되도록 지시된 것과 같은 정도로,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을 이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관하여 기술하면서,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정한 의도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균등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특정 상황, 물질, 물질의 조성, 방법, 처리 단계 또는 단계들을 본 발명의 목적, 정신 및 범주에 맞도록 다수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경은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내인 것으로 의도된다. 특히, 본원에 개시된 방법을 특정 순서로 수행된 특정 단계에 관하여 기술하였지만, 이 단계를 결합하거나, 다시 나누거나, 또는 재정렬하여 본 발명의 교시에서 벗어나지 않는 균등한 방법을 형성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 한, 단계의 순서 및 그룹화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8)

  1.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로서,
    2 J/g 이상 150 J/g 미만의 잠열;
    셀룰로오스 매트릭스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섬유 바디;
    분산성 중합체 물질; 및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중합체 상변화 물질 및 비-중합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고,
    분산성 중합체 물질은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에 대한 부분적인 친화성을 포함하고,
    비-캡슐화 상변화 물질은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용성이고, 분산성 중합체 물질에 분산된 다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0 ℃ 내지 100 ℃ 범위의 전이 온도를 포함하는 것인,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폴리아미드, 폴리아민,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디엔, 폴리에폭시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플루오로카본, 포름알데히드 중합체, 천연 중합체, 폴리페닐렌, 규소 함유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폴리아세탈,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코-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라우릴락탐-블록-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코폴리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극성 중합체인,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매트릭스 물질을 형성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이, 실리카 입자, 제올라이트 입자 및 흡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입자성 물질에 흡착된,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6.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중합체 복합재 섬유에 온도 조절성 물질의 혼입을 용이하게 하는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적어도 하기 중 하나인,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온도 조절성 물질과 융화 가능;
    온도 조절성 물질과 혼화 가능; 및
    온도 조절성 물질에 대한 친화성을 가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성 물질이 상변화 물질을 갖는 수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수용 구조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4 내지 36 g/10분 범위의 용융 지수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20,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하나 이상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복수의 쇄 구조를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선형 중합체 및 분지형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의 10 내지 30 중량% 인,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성 중합체 물질이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의 15 중량%인, 다성분 중합체 복합재 섬유.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37027992A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55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78,656 US20050208286A1 (en) 2000-09-21 2005-03-11 Polymeric composit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11/078,656 2005-03-11
PCT/US2006/006216 WO2006098851A2 (en) 2005-03-11 2006-02-23 Polymeric composit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12A Division KR101396006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979A Division KR101563177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031A KR20130137031A (ko) 2013-12-13
KR101455562B1 true KR101455562B1 (ko) 2014-10-27

Family

ID=369921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12A KR101396006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47016979A KR101563177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37027992A KR101455562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12A KR101396006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47016979A KR101563177B1 (ko) 2005-03-11 2006-02-23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50208286A1 (ko)
EP (2) EP1856317B8 (ko)
JP (5) JP2008533238A (ko)
KR (3) KR101396006B1 (ko)
CN (2) CN103061039B (ko)
TW (1) TWI439499B (ko)
WO (1) WO20060988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9078B2 (en) * 2001-09-21 2009-08-25 Outlast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regulating cellulosic fiber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50208286A1 (en) * 2000-09-21 2005-09-22 Hartmann Mark H Polymeric composit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9434869B2 (en) 2001-09-21 2016-09-06 Outlast Technologies, LLC Cellulosic fiber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20050106392A1 (en) * 2002-03-12 2005-05-19 Masahiro Sano Heat storing material, composition thereof and their use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EP1882049A1 (en) * 2005-05-19 2008-01-3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Quenching fluid
TWI287996B (en) * 2005-10-19 2007-10-11 Taiwan Textile Res Inst Temperature regulating gel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DE102005051589A1 (de) * 2005-10-27 2007-05-03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Fettsäureanhydride enthaltende Dispersionspulver
US8404341B2 (en) * 2006-01-26 2013-03-26 Outlast Technologies, LLC Microcapsules and other containment structures for articles incorporating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US20100016513A1 (en) * 2008-07-16 2010-01-21 Outlast Technologies, Inc.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34059B2 (en) * 2008-07-16 2016-01-12 Outlast Technologies, LLC Articles containing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12883A1 (en) * 2008-07-16 2010-01-21 Outlast Technologies, Inc.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TWI313695B (en) * 2006-04-20 2009-08-21 Taiwan Textile Res Inst Melted-spinning grains containing thermal-stable phase-chang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070259990A1 (en) * 2006-05-05 2007-11-08 Trans Global Chemical, Llc Tire treatment composition, process and packaging
US8820028B2 (en) * 2007-03-30 2014-09-02 Certainteed Corporation Attic and wall insulation with desiccant
EP2162575B1 (en) 2007-07-03 2013-03-13 Aditya Birla Science & Technology CO. LTD. A lyocell fiber with modified property and a process for making therefor
EP2087998B1 (en) * 2008-02-07 2013-01-23 OCE-Technologies B.V. A heat regulated printer element, us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dispersed therein, a printer and a method of printing
DE102008015782A1 (de) * 2008-03-26 2009-10-01 Rubitherm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hasenwechselmaterial-Zusammensetzung
US20100015430A1 (en) * 2008-07-16 2010-01-21 Outlast Technologies, Inc. Heat Regulating Article With Moisture Enhanced Temperature Control
US8221910B2 (en) 2008-07-16 2012-07-17 Outlast Technologies, LLC Thermal regulating building materials and other construction components containing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GB0911562D0 (en) * 2009-07-03 2009-08-12 Basf Se Foam composition
US20110117353A1 (en) * 2009-11-17 2011-05-19 Outlast Technologies, Inc. Fibers and articles having combined fire resistance and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EP2508459B1 (en) * 2009-12-02 2015-09-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pe for elevators, and elevator device
US8602914B2 (en) * 2010-01-20 2013-12-10 Nik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a golf ball
US9534098B2 (en) 2010-02-26 2017-01-03 Peterson Chemical Technology, Llc. Enhanced thermally conductive cushioning foams by addition of metal materials
US8933140B2 (en) 2010-02-26 2015-01-13 Peterson Chemical Technology, Inc. Thermal storage gelatinous triblock copolymer elastomer particles in polyurethane flexible foams
US20120183861A1 (en) 2010-10-21 2012-07-19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 binders
EP2643393A4 (en) * 2010-11-24 2014-07-02 Basf Se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USING MICROCAPED MATERIAL FOR LATENT HEAT ACCUMULATION
FR2972007B1 (fr) * 2011-02-25 2014-05-16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composes a groupes fonctionnels azotes pour le stockage d'energie thermique
US8673448B2 (en) 2011-03-04 2014-03-18 Outlast Technologies Llc Articles containing precisely branched functional polymeric phase change materials
CN102443879B (zh) * 2011-09-23 2013-10-23 大连工业大学 一种智能调温纤维及其制备方法
CN103146355B (zh) * 2011-12-07 2016-02-10 北京中石伟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吸热材料
US8882963B2 (en) 2012-01-31 2014-11-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WO2014008250A1 (en) * 2012-07-03 2014-01-09 Peterson Chemical Technology, Inc. Thermal storage gelatinous triblock copolymer elastomer particles in polyurethane flexible foams
US9303357B2 (en) 2013-04-19 2016-04-05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US10106717B2 (en) * 2014-01-13 2018-10-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 (PCM),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CM, and article of clothing including a composite PCM
CN103952860A (zh) * 2014-05-08 2014-07-30 浙江金三发非织造布有限公司 一种无纺布的生产工艺
CN104403197B (zh) * 2014-11-28 2017-01-11 苏州银禧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阻燃保温复合材料
JP2016113675A (ja) *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真空処理方法および真空処理装置
US10431858B2 (en) 2015-02-04 2019-10-01 Global Web Horizons, Llc Systems, structures and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device thermal management
US10003053B2 (en) 2015-02-04 2018-06-19 Global Web Horizons, Llc Systems, structures and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device thermal management
CN105446022B (zh) * 2016-01-05 2019-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应用
US9896527B2 (en) 2016-03-01 2018-02-20 Saudi Arabian Oil Company Highly selective polynorbornene homopolymer membranes for natural gas upgrading
KR101780045B1 (ko) * 2016-04-06 2017-09-19 주식회사 지에스피 투습 차단성이 우수한 기능성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
IT201600093856A1 (it) * 2016-09-19 2018-03-19 Humanwellness Sa Tessuto cosmetico
JP1609255S (ko) 2017-04-03 2018-07-17
WO2019046154A1 (en) * 2017-09-01 2019-03-07 Rogers Corporation PHASE CHANGE FUSE POWDERS FOR THERMAL MANAGEMENT, METHODS OF MAKING SAME, AND ARTICLES CONTAINING POWDERS
US20190330508A1 (en) * 2018-04-30 2019-10-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s for coaxial devices including a phase change material
JP2019218518A (ja) * 2018-06-22 2019-12-26 イビデン株式会社 蓄熱材粒子含有樹脂ペレット、及び、蓄熱材粒子含有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CN108727815A (zh) * 2018-06-26 2018-11-02 长春智享优创科技咨询有限公司 耐高温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BR112021014050A2 (pt) * 2019-01-18 2021-09-21 Equalizer Technology, Llc Touca cirúrgica para controle de temperatura corporal do paciente
CN110129010B (zh) * 2019-07-04 2021-01-15 浙江海洋大学 一种高导热复合相变材料的制备方法
CN110983630A (zh) * 2019-12-11 2020-04-10 青岛迦南美地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调温无纺布、其制备方法及应用
TWI715381B (zh) * 2019-12-27 2021-01-01 穩得實業股份有限公司 纖維級導電高分子組成物及複絲纖維紗線
CN111154229A (zh) * 2020-01-18 2020-05-15 深圳垒石热管理技术有限公司 一种阻燃的相变材料薄膜
TWI720894B (zh) * 2020-05-19 2021-03-0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溫度調節耐隆纖維
US11814566B2 (en) 2020-07-13 2023-11-14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nanomaterials in flexible foam
CN111979597B (zh) * 2020-09-02 2023-06-23 吴键儒 一种制备热熔丝的方法
CN112961656B (zh) * 2021-02-20 2021-11-02 青岛尼希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相变调温材料及其制备方法、多重相变调温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267657A1 (en) * 2021-02-20 2022-08-25 Packaging Technology Group, Llc Dual phase change material liquid suspens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857496B2 (en) 2021-02-20 2024-01-02 Packaging Technology Group, Llc Temperature controlled product shipper with a dual phase change material liquid suspension
US11597862B2 (en) 2021-03-10 2023-03-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nanomaterial coatings on flexible foam or fabric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118A (ko) * 2001-09-21 2004-08-11 아웃래스트 테크날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역적 열 특성을 갖는 다성분 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166A (en) * 1985-11-22 1990-03-13 University Of Dayton Method for preparing polyolefin composites containing a phase change material
US5053446A (en) * 1985-11-22 1991-10-01 University Of Dayton Polyolefin composites containing a phase change material
US4756958A (en) * 1987-08-31 1988-07-12 Tria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with reversible enhanced thermal storage properties and fabrics made therefrom
US5718835A (en) * 1989-08-04 1998-02-17 Mitsubishi Cable Industries Heat storage composition
US6319599B1 (en) * 1992-07-14 2001-11-20 Theresa M. Buckley Phase change thermal control materials, method and apparatus
US6207738B1 (en) * 1994-06-14 2001-03-27 Outlast Technologies, Inc. Fabric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energy absorbing phase change material
JPH08311716A (ja) * 1995-05-12 1996-11-26 Nippon Ester Co Ltd 吸発熱性複合繊維
US5565132A (en) * 1995-06-06 1996-10-15 The University Of Dayton Thermoplastic, moldable, non-exuding phase change materials
US6001904A (en) * 1998-05-08 1999-12-14 Westvaco Corporation Shear-thinning phase change ink jet inks and method of printing therewith
US7244497B2 (en) * 2001-09-21 2007-07-17 Outlast Technologies, Inc. Cellulosic fiber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20050208286A1 (en) * 2000-09-21 2005-09-22 Hartmann Mark H Polymeric composit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6793856B2 (en) * 2000-09-21 2004-09-21 Outlast Technologies, Inc. Melt spinable concentrate pellet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CA2423123A1 (en) * 2000-09-21 2002-03-28 Outlast Technologies, Inc. Multi-component fibers having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US20050191487A1 (en) * 2000-09-21 2005-09-01 Outlast Technologies Inc Multi-component fiber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03062513A2 (en) * 2000-10-19 2003-07-31 Outlast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adaptable textile fiber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DE60334895D1 (de) * 2002-01-23 2010-12-23 Barbara Pause Aus silikonkautschuk hergestelltes material, herstellungsverfahren und anwendung
JP2003246931A (ja) * 2002-02-25 2003-09-05 Toyobo Co Ltd マイクロカプセル保有成形物
JP2004011032A (ja) * 2002-06-03 2004-01-15 Idemitsu Technofine Co Ltd 温度コントロール繊維、および温度コントロール布部材
US7459494B2 (en) * 2002-07-31 2008-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hase change solvents for thermoplastic elastomers
JP2004301397A (ja) * 2003-03-31 2004-10-28 Mitsubishi Paper Mills Ltd 蓄熱性ボード
KR20040100285A (ko) *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휴비스 온도 응답형 고기능 해도형 복합섬유
DE102008015782A1 (de) * 2008-03-26 2009-10-01 Rubitherm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hasenwechselmaterial-Zusammensetz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118A (ko) * 2001-09-21 2004-08-11 아웃래스트 테크날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역적 열 특성을 갖는 다성분 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8480A1 (en) 2015-01-15
EP2392712A1 (en) 2011-12-07
TWI439499B (zh) 2014-06-01
KR101396006B1 (ko) 2014-05-21
CN101208465B (zh) 2012-12-19
EP1856317A2 (en) 2007-11-21
JP6208793B2 (ja) 2017-10-04
KR20140099910A (ko) 2014-08-13
EP2392712B1 (en) 2015-08-26
US20050208286A1 (en) 2005-09-22
EP1856317B8 (en) 2013-12-18
KR20070110138A (ko) 2007-11-15
EP1856317A4 (en) 2008-04-02
JP2016135883A (ja) 2016-07-28
JP6105701B2 (ja) 2017-03-29
JP2008533238A (ja) 2008-08-21
EP1856317B1 (en) 2013-11-13
CN103061039A (zh) 2013-04-24
JP2016047981A (ja) 2016-04-07
JP2014114457A (ja) 2014-06-26
JP5969519B2 (ja) 2016-08-17
WO2006098851A2 (en) 2006-09-21
WO2006098851A3 (en) 2007-08-30
JP2013163886A (ja) 2013-08-22
KR101563177B1 (ko) 2015-10-27
KR20130137031A (ko) 2013-12-13
CN101208465A (zh) 2008-06-25
TW200641003A (en) 2006-12-01
CN103061039B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562B1 (ko) 강화된 가역적 열 특성이 있는 중합체 복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26662B1 (ko) 가역적 열 특성을 갖는 다성분 섬유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421731B1 (ko) 개선된 가역적 열 특성을 갖는 다성분 섬유 및 이의제조방법
WO2002024789A2 (en) Polymeric composit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TW200523412A (en) Cellulosic fiber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KR20030079917A (ko) 가역성 열적 특성을 갖는 다성분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