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969B1 -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무선 충전 및 통신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무선 충전 및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969B1
KR101454969B1 KR1020120110652A KR20120110652A KR101454969B1 KR 101454969 B1 KR101454969 B1 KR 101454969B1 KR 1020120110652 A KR1020120110652 A KR 1020120110652A KR 20120110652 A KR20120110652 A KR 20120110652A KR 101454969 B1 KR101454969 B1 KR 10145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puting system
personal computing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190A (ko
Inventor
에릭 토마스 이튼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3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동안 무선 충전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 동작한다. 개인 컴퓨팅 시스템은 모바일 폰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 가능하다.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은 통신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서버는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이 충전 배열에 놓여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에 응답하여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 중 하나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된 메시지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을 금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무선 충전 및 통신{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력 충전 장치의 재충전 가능한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통신 시스템 내에서 무선 통신 장치들의 재충전 가능한 전원들의 무선 충전 및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동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많은 유형의 휴대용 전자 장치들(예컨대,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들 뿐만 아니라 헤드셋과 같은 액세서리)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원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데이터를, 메시징 서버와 교환한다. 많은 이러한 장치들은 유선 또는 케이블 물리 접속없이 (예컨대, 다른 장치 또는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의 일례는 셀룰러와 유사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들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원격 서버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들의 일부는 핸드헬드(handheld), 즉, 사람 손에 쥐어지거나 휴대되는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장치들은 사회 곳곳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며, 사용자들은 종종 두 개 이상의 이러한 통신 장치들을 소유하거나 그 이용 권한을 갖게 된다. 두 개 이상의 통신 장치들을 갖는 사용자들은 종종, 자신의 모든 통신 장치들(가능하게는, 상이한 통신 링크들을 이용하는 상이한 장치들)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선택적으로는,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자신의 개인용 랩탑 컴퓨터 상에서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의 무선 셀룰러 전화 장치 상에서 동일한 이메일을 또한 수신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중복 통신(duplicate communication)은 불필요하거나 중복적이거나 통신 시스템 및 장치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또는 다른 전기 충전 저장 장치와 같은 재충전 가능한 전원을 이용하여, 여러 곳을 돌아다니고 특정 정지 전원에 속박됨 없이 장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 통신 장치 내의 재충전 가능한 전원(예컨대, 배터리)이 방전될 때, 장치를 정지 전원에 접속함으로써(예컨대, AC 소켓에 접속되는 충전기를 이용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줄 수 있는데, 1) 장치의 사용자가, 충전이 표시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 내의 재충전 가능한 전원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해야 하고, 2) 사용자가 추가적인 충전 용품(예컨대, 충전기 장치 및 전력 케이블)을 준비 및 휴대하여 이따금 필요한 무선 통신 장치 충전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무선 충전 패드는, 이러한 유형의 충전기가 무선 통신 장치와의 전력 케이블링의 인터커낵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부분적으로는 인기를 끌 수는 있으나, 실용적인 문제로서 무선 충전 패드는 휴대성이 제한되고 상대적으로 크며, AC 소켓에 대한 액세스를 요구할 수 있다.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동안 무선 충전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 동작한다. 개인 컴퓨팅 시스템은 모바일 폰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 가능하다.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은 통신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서버는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이 충전 배열에 놓여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에 응답하여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모바일 폰 중 하나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된 메시지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을 금지할 수가 있다.
첨부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 개시에 따르는 원리 및 이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개별 시야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형성한다.
도 1은 일례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열려진 상태의 랩탑 개인용 컴퓨터를 예시하는 일례에 따르는 통신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닫혀진 상태의 랩탑 개인용 컴퓨터를 예시하며, 도 2의 통신 장치의 또 다른 시야를 나타낸다.
도 4는 랩탑 개인용 컴퓨터의 다양한 내부 구성 요소들을 예시하며, 도 2의 통신 장치의 또 다른 시야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와 같이, 통신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도성 커플링 코일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례에 따라, 전력 소싱 유도 코일 회로 및 제어기를 예시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7은 일례에 따라, 전력 충전 장치와 관련된 충전 가능한 전원에 충전을 제공하도록 상호 동작하는 개별 전력 충전 장치 및 전력 소싱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례에 따라, 도 7의 전력 충전 장치의 상세 시야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례에 따라, 서로 근접하여 위치해 있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개별적인 전력 충전 장치 및 전력 소싱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례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두 개의 장치들에 의해 이동된 상대 거리 및 충전 에너지 신호의 전압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11은 일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시야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례에 따라, 세 개의 충전 에너지 신호를 위한 충전 에너지 신호 주파수와 에너지 신호를 충전하는 전압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19는 다양한 예들에 따른 다양한 동작 플로우 시퀀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두 개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 같은 두 개의 휴대용 전자 장치들 간의 전력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와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프로토콜에 따라 전력의 전달에 관여한다. 전형적인 동작에서, 전원 장치는 유도 무선 전력 전송 회로를 통하여 충전 에너지 신호를 유도에 의해(inductively) 무선으로 전송한다. 전력 충전 장치는, 유도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통하여 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충전 에너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전력 충전 장치는 무선으로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같은 전력 저장 요소에 전달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원 장치는, 전력 충전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잠금가능한(lockable)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사용자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고, 전력 충전 장치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자세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고, 아래에서 기술되는 장치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내용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되고, 당업자로 하여금 개시된 청구대상을 가상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상세 구조 및 기능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초로서 그리고 청구항의 기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문장은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이해가능한 서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내용으로부터 그 이용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거나 명백히 이해되는 것이 아닌 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그 용어의 단수 또는 복수를 서술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a"와 "an"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복수의"는 둘 또는 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다른(another)"은 적어도 제2의 또는 그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함하는"(즉, 개방형 언어)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된"은 "연결된"으로 정의되며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기계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통신가능하게 결합된"은 컴포넌트들이 예컨대, 유선, 무선 또는 다른 통신 매체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의 결합을 의미한다. 용어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및 "통신가능한 결합"은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를 지시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통신 전자 제어 신호를 포함하나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구성된"은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응되거나, 설정되거나, 마련되거나, 명령으로 작동하거나(commanded), 개조되거나, 수정되거나, 만들어지거나, 구성되거나(composed), 건설되거나, 설계되거나, 또는 이러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말한다. 용어 "적응된"은 주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수용할 수 있거나, 만들거나, 또는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말한다. 용어 "제어기", "컴퓨터", "서버",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컴퓨팅 시스템", "개인 컴퓨팅 시스템"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적절하게 구성된 처리 시스템의 예들을 말한다. 제한적이 아닌 예로서, 개인 컴퓨터, 랩 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팅 시스템,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하게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해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의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중앙화된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상이한 요소들이 여러 상호접속된 프로세싱 시스템들에 걸쳐 분산되는 분배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개인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적절히 구성되고 적응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말한다. 용어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팅 네트워크" 및 "통신 네트워크"는, 사용자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하는, 통신 채널에 의해 상호접속된 컴퓨터들 및 장치들의 집합의 예들을 말한다. 용어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유사하게 무선 통신 매체에 의해 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컴퓨터들과 장치들을 통신가능하게 결합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1)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의 충전을 유지시키고, 2) 하나보다 많은 스크린이 사용자에게 근접할 때 사용자에게 인입 메시지를 알리기 위해 하나의 공통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용하고, 3) 모바일 폰과의 충전 배열(charging arrangement)에 놓여 있을 때 개인 컴퓨터의 잠금해제(unlocking)를 단순화하고, 4) 사용자의 오피스 데스크 상의 공간을 클리어하게 하고(clear), 5)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모바일 디바이스 및 개인 컴퓨터 모두에게로 확장함으로써, 앞에서 설명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신규한 방법은, 통합된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모바일 디바이스를 완전히 충전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개선한다. 개인 컴퓨터의 표면(skin) 아래의 무선 충전 코일은 충전 에너지 신호를 모바일 폰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폰과 개인 컴퓨터가 충전 구성으로 서로 근접하게 있으면, 메시지 통신에 액세스하기 위해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할지에 있어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승(synergistic) 통신 프로토콜이 두 개의 디바이스 사이에 설정된다. 모바일 폰에 의해 수신된 텍스트 메시지 및 이메일 메시지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개인 컴퓨터로 전달될 수 있어, 개인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메시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잠금상태에 기초하여, 두 개의 장치 및 사용자 간의 메시지의 통신을 위해, 더 효율적으로 잠금해제(unlocked)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은 충전 구성에 있을 때 중복 이메일 메시지가 두 개의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 데이터 쓰루풋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두 개의 디바이스에서 자원의 이용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의 이러한 양태 및 추가의 양태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일 예로, 제1 네트워크(N1)(106) 및 제2 네트워크(N2)(104)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네트워크 운용 센터(NOC; network operations center)(102; 서버 시스템(102) 또는 서버(102)로서도 일컬어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N1(106)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NOC(102)는 제1 네트워크 N1(106)에서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102)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N2(104)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NOC(102)는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 시스템, 메모리 저장 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 및 관리 및 기술적 개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OC(102)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이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의 예들과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다양한 사용예들은 도 2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NOC(102)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과 통신하고,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통신 시스템(100) 내의 통신 장치(112, 114)들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도록 서로 링크되는 통신 장치들(112, 114)의 트랙을 유지한다.
이메일 서버(108)는 제2 네트워크 N2(104)와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메일 서버(108)는 지메일(Gmail), 핫메일(hotmail), 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상업적 이메일 서버 시스템과 같이 상업적 이메일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다목적 이메일 서버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이메일 서버(108)는 선택적으로 개인용 회사 이메일 서버 시스템, 개인용 정부 이메일 서버 시스템, 개인용 사용자 이메일 서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용(private) 이메일 서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메일 서버(108)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은, 본 실시예에서 NOC(102)에 통신적으로 연결되고 도 2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의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블랙베리TM 이메일 서버(111)와 같은 서버는 제2 네트워크 N2(104)와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블랙베리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되는, 주식회사 리서치 인 모션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사유의 상업 이메일 서버 시스템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은, 본 실시예에서 NOC(102)에 통신적으로 연결되고 도 2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의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개인 컴퓨터 1(112) 및 모바일 폰 1(114)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는 도시된 것처럼 무선 통신 네트워크 N1(106)와 광역 네트워크 N2(104)와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에서는, 개인 컴퓨터 1(112)은 개인 컴퓨터 1(112)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 N1(106)과 통신적으로 연결시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개인 컴퓨터 1(112)은 NOC(102)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N1(106) 와 N2(104)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폰 1(114)은 NOC(102)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N1(106)을 통해 무선으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메일 서버(108)와, 선택적으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네트워크 N2(104)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또한 NOC(102)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N1(106)에서 작동하는 모바일 폰 1(114)와 같은 블랙베리 무선 통신 장치로 이메일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음성 통신이 가능한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는 적합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음성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모선 음성 통신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데이터 통신은 무선 통신 장치가 인터넷 N2(104)와 같은 것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시스템과 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실시예들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데이터 메시징 장치, 양방향 페이저(pager), 데이터 메시징이 가능한 핸드폰, 무선 인터넷 장치 또는 전화가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은 데이터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개인 컴퓨터 1(112)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10''')과 통신적으로 연결되고, 및/또는 모바일 폰 1(114)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10''')과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은, 본 실시예에서 NOC(102)에 통신적으로 연결되고 도 2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10)의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는 NOC(102)에 의해 다른 것들의 사이에서 통신 장치 메시징 상태의 트랙(track)을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는 통신 장치 상태 데이터베이스(2002)와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2004)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 상태 데이터베이스(2002)는 통신 장치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 2009, 2050)을 포함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은 모바일 폰 1(114)과 관련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 기록(2007)은 개인 컴퓨터 1(112)와 관련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 기록(2009)은 통신 시스템(100) 내의 제3 통신 장치(미도시)와 관련 있다. 유사하게 다른 데이터베이스 기록(2050)은 통신 시스템(100) 내의 다른 통신 장치(미도시)와 관련 있다.
통신 장치 상태 데이터베이스(2002)의 각 기록(2005, 2007, 2009)은 각 특정 기록(2005, 2007, 2009)과 관련하여 각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 필드(2006, 2008, 20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식별 필드(2006, 2008, 2010)는 통신 시스템(100) 내의 각 통신 장치만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 필드(2006, 2008, 2010)의 식별 정보는 특정 통신 장치를 서버(102)에 식별시키는 임의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의 경우, 식별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장치의 전기적 시리얼 넘버(ESN), 모바일 장치 식별 코드(MEID),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코드(IMEI), 또는 모바일 식별 번호(MIN)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인터넷 N2(104)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있는 통신 장치인 경우에, 식별자 정보는 이 장치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링크 필드(2012, 2026, 2052)는 장치 식별 필드(2006, 2008, 2010)에 의해 식별된 주 장치와 충전 배치된 통신 시스템(100)에 있는 별개의 보조 통신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장치 링크 필드(2012, 2026, 2052)에 있는 식별자 정보는 서버(102)에 대한 특정 통신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임의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인 경우에, 식별자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장치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모바일 식별번호(Mobile Equipment Identifier; MEID), 국제 모바일기기 식별코드(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또는 이동국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인터넷 N2(104)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있는 통신 장치인 경우에, 식별자 정보는 이 장치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록은 특정 기록(2005, 2007, 2009)과 연계된 주 장치와 보조 장치 사이의 충전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장치 상태 필드(2014, 2028,2054)를 포함한다. 예컨대, 장치 상태 필드(2014, 2028, 2054)는 주 장치와 보조 장치가 느슨하게 결합된 충전 배치되어 있는 충전 배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느슨하게 결합된 충전 배치에 있어, 두 개의 통신 장치는 보조 장치로 주 장치를 충전하거나 그 역으로 충전하기 위해 상호 간에 충전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두 번째로, 장치 상태 필드(2014, 2028, 2054)는 예컨대 주 장치와 보조 장치가 근접 결합된 충전 배열에 놓여 있음을 나타낼 수 있고, 이 배열 상태에서 두 개의 통신 장치는 보조 장치로 주 장치를 충전하거나 그 역으로 충전하도록 상호 간에 충전 신호를 전달하여 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세번째로, 장치 상태 필드(2014, 2028, 2054)는 주 장치와 보조 장치가 근거리 통신 모드에 있음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 모드에서 두 개의 통신 장치는 서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다른 장치 상태 정보가 선택적으로 장치 상태 필드(2014, 2028, 2054)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종류의 장치 상태 정보는 다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장치와 보조 장치 사이의 충전 배열이 해제(또는 분리)되었음, 주 장치와 보조 장치 사이의 근거리 통신이 해제(또는 분리)되었음, 주 장치가 네트워크[예컨대, 제2 네트워크 N1(106) 및/또는 제2 네트워크 N2(104)]를 벗어난 상태임, 주 장치가 네트워크 내에 있는 상태임, 보조 장치가 네트워크를 벗어난 상태임, 그리고 보조 장치가 네트워크 내에 있는 상태임.
또한, 통신 장치 상태 데이터베이스(2002)에 있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 2009)은 하나 이상의 계정 식별 필드(2016, 2020, 2030, 2034, 2044, 2056)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필드는 특정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 2009)과 연계된 각각의 통신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특정 계정 정보를 식별한다. 예컨대, 휴대폰 1(114)과 연계된 제1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은 계정 식별 정보 1(2016)에 의해 식별된 제1 계정와, 계정 식별 정보 2(2020)에 의해 식별된 제2 계정에 추가로 연계된다.
이들 계정 각각은 각각의 계정 상태 정보(2018, 2022)를 구비한 특정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과도 연계된다. 이 계정 식별자 정보(2016, 2020) 및 계정 상태 정보(2018, 2022)는 휴대폰 1 장치(114) 및 장치 링크 1 정보(2012)에 의해 식별된 장치[예컨대, PC 1(112)]가 서로, 그리고 제1 계정(2016) 및 제2 계정(2020)와 연계됨을 지시한다. 각각의 특정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에 있어서, 계정 식별 정보(2016, 2020) 및 연계 계정 상태 정보(2018, 2022)는 각각의 특정 계정에 대한 메시지가 어떻게 특정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과 연계된 주 및 보조 통신 장치(114, 112) 각각에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PC 1 장치(112)와 연계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7)과 관련하여, 주 통신 장치, 즉, PC1(112)와 링크된 복수의 보조 장치가 있다. 장치 링크 2(2026)에 의해 식별된 보조 통신 장치는 주 장치 ID(2008)에 의해 식별된 주 장치 PC1 (112)과 링크된다. 예컨대, 이 장치 링크 2(2026)은 휴대폰 1(114)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 링크 3(2040)에 의해 식별된 다른 보조 장치(도시되지 않음)도 PC1 장치(112)에 연계 또는 링크된다. 이 다른 보조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상태 3(2042)를 구비하면서 추가로 계정 3(2044) 및 계정 3 상태(2046)을 주 장치 PC1(112)와 공유하는 장치 링크 3(2040)에 의해 식별된다. 다른 보조 통신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공개 필드 정보(2038)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특정 데이터베이스 기록(2007)에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정보는 각각의 공개 필드(2024, 2048, 206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 2009)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동조 데이터베이스(110)는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2004)를 포함한다. 이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2004)는 메시지 식별 기록(2062, 2064, 2066)을 포함하고, 이는 통신 장치 상태 데이터베이스(2002)에서 식별된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특정 메시지를 식별한다. 각각의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 기록(2062, 2064, 2066)은 고유하게 특정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 식별 필드(2068, 2078)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 기록(2062, 2064)은 계정 식별 정보(2070, 2080)를 포함하고, 이 정보는 각각의 메시지 식별 필드(2068, 2078)에 의해 식별된 특정 메시지와 연계된 계정를 식별한다. 각각의 메시지 상태 에이타 베이스 기록(2062, 2064)은 장치 식별 정보(2072, 2074, 2082, 2084)를 더 포함하고, 이 정보는 특정 계정(2070, 2080)와 연계된 각각의 메시지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를 식별한다. 다른 메시지 상태 정보 및 관련 정보(2076, 2086)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 기록(2062, 2064)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통신 시스템(100)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112, 114)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는 메시지 상태 데이터베이스(2004)에서 추적되고, 통신 장치 상태 데이터베이스(2002)에서 추적되는 기록(2005, 2007, 2009, 2050)을 갖는 통신 장치와 연게된다. 메시지 동조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방식은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예에서는, NOC 102에 의해 통신 시스템 100과 통신 디바이스 112, 114에서 통신되는 메시지들을 추적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110이 이용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110, 110' 110'', 110''', 및 110''''은 도 1과 같이 통신 시스템 100의 여러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서버 108이 상기 이메일 서버 108로부터 통신 시스템 100안의 통신 디바이스 112, 114로 전달되는 이메일 메시지들을 추적하도록 상기 이메일 서버 108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110''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통신 디바이스 112, 114가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 112, 114로 전달되는 메시지들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 112, 114는 각각의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110''', 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 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102, 108, 111, 112, 114은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100의 하나 이상의 이 컴포넌트들 102, 108, 111, 112, 114이 어떻게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110, 110', 110'', 110''', 및 110''''를 이용하는지에 대한 여러 예들이 더욱 자세히 아래에서 논의된다.
도 2는 도 1에서 개시된 퍼스널 컴퓨터 1 112의 예인 랩톱 퍼스널 컴퓨터 202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랩톱 202는 경첩 메커니즘 209를 통해서 회전할 수 있는 208 경첩이 달린 두껑 204 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경첩 부분 204는 경첩 메커니즘 209를 따라 베이스 부분 206으로 회전되어 208 랩톱 202를 닫을 수 있다. 뚜껑 부분 204가 베이스 부분 206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208 때는 사용자에 의한 통상 사용을 위해 랩톱을 열게 된다. 베이스 부분 206은 키보드 210 및 다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다른 요소에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트랙 패드, 조이 스틱, 트랙 볼, 키 패드 및 기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부분 204는 랩톱 디바이스 202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정보를 위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21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도 1의 모바일 폰 1 디바이스 114와 같이, 재충전 배터리를 가지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위한 배터리 충전기로 사용될 수 있는 세 개의 따로 떨어진 인덕티브 코일들 214, 216, 302이 랩톱 202의 바깥 스킨 아래에 전략적으로 위치하여 있다. 도 2 및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랩톱 202의 베이스 부분 206에 두 개의 코일들 214, 216이 스킨 아래에 위치해 있다. 세번째 코일 302은 뚜껑 부분 204의 바깥 스킨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이 코일들 214, 26, 302은 다른 디바이스의 재충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모바일 폰 1 114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랩톱 디바이스 202 사이의 충전 에너지 신호의 인덕티브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 는 코일들 중 하나를 개시하는데, 이 경우 랩톱 202의 베이스 부분 206에서의 오른쪽 코일 214를 개시한다. 도 2 및 3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서 렙톱 202가 인덕티브 충전 에너지 전송 402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3과 같은 닫힌 위치에서는, 충전 에너지의 인덕티브 연결은 가장 오른쪽 코일 214에 인접하게 위치한 수신 디바이스로 뚜껑 부분 204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도4와 같이, 충전 제어 및 생성 회로 404는 코일 214와 연결되어 충전 에너지의 인덕티브 연결 402을 생성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논의된다. 랩톱 퍼스널 컴퓨터 202는 랩톱 202을 위한 전원으로서 재충전 배터리 410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랩톱 202는 랩톱 202에 AC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AC 아웃렛과 케이블 및 어댑터 408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AC 인터페이스 406을 포함한다. 충전 및 제어 회로 404가 있는 랩톱 202에 의해서 AC 전력은 다른 디바이스로 인덕티브 연결 충전 에너지 402를 전달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AC 전력은 랩톱 202에 의해서 재충전 배터리 410을 충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랩톱 202는 재충전 배터리 410로부터의 전력을 다른 디바이스로 인덕티브 연결 충전 에너지 402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충전 에너지의 인덕티브 연결의 이러한 특성들 및 기능들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논의된다.
도 5는 충전 에너지의 인덕티브 연결 402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코일 214의 예를 개시한다. 이 코일 214는 상기 코일 214를 통해서 충전 에너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리드 502, 504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코일 214는 에어 코어드 코일(air cored coil)을 포함한다. 다른 형태의 코어들이 다른 실시예에서 코일 214에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에너지의 공명 인덕티브 연결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충전 에너지 신호에 공명하는 두 개의 코일들 사이에서 에너지의 근거리 필드 무선 전송을 포함한다. 도 5의 코일 214와 같은 전송 코일은 공명 주파수에서 상기 코일에 진동 전류가 맴돌도록 튜닝된 L-C 회로에서 작동된다. 이것은 코일 214로부터 진동 자기장을 생성한다. 보충적인 제2 코일이 모바일 폰 1 디바이스 114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신 코일로서 사용된다. 상기 수신 코일은 전송 코일 214의 튜닝된 L-C 회로와 유사하게 튜닝된 L-C 회로안에 있으며 동일한 주파수에서 공명한다. 제2코일이 제1코일에 가까이 다가갈 때, 두 코일들의 공명 주파수 및 각각의 튜닝된 L-C 회로들에서 제2 코일(수신 코일)은 제1코일(전송 코일) 214로부터 전송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잡아낸다. 전송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에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주고받는 진동 자기장은 공명 주파수에서 코일들 사이에서 유도적으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작동한다. 이 충전 에너지 공명 전송은 두 코일 사이의 근거리장 전송이며, 이는 전송 코일로부터 코일들 가까이에 있는 비공명 구조체들에 거의 에너지를 방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것은 디바이스들 사이에 충전 에너지의 전송 수단으로서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도 6은 전송 코일을 통해서 충전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한 공명 인덕티브 연결 회로의 예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콜피츠(Colpitts) 진동 회로 602는 공명 주파수 근처의 패스 밴드(pass band)에서 전송 코일을 맴도는 충전 전류의 튜닝된 L-C 진동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패스 밴드는 진동 회로의 정적인 회로 디자인에 의해 또는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진동기 602에 대한 튜닝된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를 바꿀 수 있는 튜닝 커패시터 또는 튜닝 인덕터 또는 둘 모두와 같은 튜닝가능한 전기적 컴포넌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진동기 602에서 선택된다. 진동기(oscillator) 602는 전역 제어기 회로 604및 제어된 전력 스위치 606에 의해 제어된다. 한 예에서, 전력 제어기 604는 진동기 602로의 제어된 스위치 606을 통해서 전원 608으로부터 에너지의 전송을 제어한다. 전력 제어기 604는 ON-OFF 패턴에 따라 스위치 606을 열거나 닫도록 스위치 606을 제어한다. 이런 면에서, 전력 제어기 604는 전송 코일 및 진동기 602의 L-C 튜닝된 회로을 통해서 다른 디바이스로 유도적으로 전송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변조(modulate)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전력 제어기(604)가 오실레이터(602)의 L-C 동조 회로 및 송신 코일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 유도 송신되는 충전 에너지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2개의 디바이스들 간에 충전 에너지 신호의 유도 커플링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704)의 송신 코일(720)로부터 송신되는 유도 연결된 충전 에너지를 수신하는 수신기 코일(708)을 포함한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72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폰 1(114) 등의 모바일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디바이스(704)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개인 컴퓨터 1(112) 등의 랩탑 개인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는 수신기 코일(7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제어기 및 컨디셔닝 회로(706)를 포함한다. 전력 컨디셔닝 회로는 수신기 코일(7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조 L-C 회로의 패스 밴드 공진 주파수에서 수신기 코일을 통해 충전 에너지 신호를 수신하는 동조 L-C 회로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 코일(708)과 동조 L-C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제어기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가변 주파수 필터(730)에 컨디셔닝 회로와 수신기 코일(708)이 마련된다. 즉, 공진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에서 패스 밴드에 관하여 유도 송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의 수신을 위해 특정한 공진 주파수 패스 밴드로 동조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원(710)은 수신기 코일(708)을 매개로 충전 에너지 신호의 유도 연결을 통해 충전될 수 있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센서 회로(712)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710)에 전기 연결되어 전력 제어기(706)에 감지된 충전 레벨 지시 신호를 제공한다. 센서(712)를 이용하는 전력 제어기(706)는 배터리(710)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할 수 있다.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14)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를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14)에 대한 변경예로는 단거리 무선 통신 송신기, 단거리 무선 통신 수신기, 또는 이들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일례에서,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14)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와 전원 디바이스(704) 간에 단거리 신호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일(716)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32)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의 사용자가 디바이스(702)와 상호 작용하게 하도록 전력 제어기(706)와 통신 연결된다. 전원 디바이스(704)는 송신 코일(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제어기와 컨디셔닝 회로(718)를 포함한다. 컨디셔닝 회로(718)는 동조 L-C 회로의 송신 코일(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도 연결을 통해 동조 L-C 회로의 패스 밴드 공진 주파수의 충전 에너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가변 주파수 오실레이터(719)는 패스 밴드 공진 주파수가 전력 제어기(718)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동조 L-C 회로의 부품으로서 제공된다. 전력 제어기와 컨디셔닝 회로(718)는 전원(7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전원은 동조 L-C 회로의 패스 밴드 공진 주파수에서 송신 코일(720)로부터 유도 송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전력 제어기(718)에 의해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센서(724)는 전원 디바이스(704)에서 전원(722)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한다. 추가적으로, 센서(724)는 충전 에너지 신호의 레벨 지시를 전력 제어기(718)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전력 제어기(718)는 전원(722), 이 예에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72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할 수 있다.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26)는 전력 제어기(718)와 통신 연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26)에 대한 변경예는 단거리 무선 통신 송신기, 단거리 무선 통신 수신기, 또는 이들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26)는 전원 디바이스(704)와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 간에 신호들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코일(728)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34)가 전원 디바이스(704)와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력 제어기(718)에 연결된다.
일례에 따르면, 전원 디바이스는 충전 에너지 신호를 전력 충전 디바이스에 유도 연결한다. 전원 디바이스는 전원; 충전 에너지를 전원으로부터 유도 무선 전력 송신 회로로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공진 주파수 주위의 패스 밴드 내의 주파수를 갖는 충전 에너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진 주파수 주위의 패스 밴드를 갖는 유도 무선 전력 송신 회로; 및 유도 무선 전력 송신 회로와 통신 연결된 충전 전력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충전 전력 프로세서는 전원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갖는 충전 장치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유도 무선 전력 송신 회로를 제어하고, 전원으로부터 유도 무선 전력 송신 회로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충전 에너지 신호를 다른 디바이스로 무선 유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 등의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 및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폰 1(114)의 상세한 회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802)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에서 플래시 메모리 또는 랜덤 억세스 모메로(RAM)에 통신 연결된다.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06)(즉, 장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는 제어기(802)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808)에 연결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폰 1(114)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6) 간에 장거리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이 예에서, 제어기(802)는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신될 신호를 발생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포함한다.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24)는 코일(826) 및 제어기(802)에 전기 연결되어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를 위한 단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24)에 대한 변경예는 단거리 무선 통신 송신기, 단거리 무선 통신 수신기, 또는 이들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유사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코일(826)을 갖는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24)는 전원 디바이스(704)와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 간에 정보 신호들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802)는 하나 이상의 I/O 데이터 포트(822)에 결합되며, 그 포트(822)를 통해 다른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허용된다. 선택적으로, 가변 주파수 필터(VFF)(838)에는 전력 조절 장치(830)가 포함되며, 리시버 코일(828)을 포함한 동조 L-C 회로의 패스밴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제어기(802)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식으로, 제어기(802)는 동조 공진 주파수에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수신하는 리시버 코일(828)을 포함하는 리시버 회로의 공진 주파수 패스밴드를 조절할 수 있다.
정류기 회로(832)는 전력 조절 회로(830)와 결합되고, 정류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배터리(834)에 제공하여 배터리(834)를 충전시킨다. 센서(836)는 제어기(802)에 충전 에너지 신호의 레벨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제어기(802)에 의해 이용된다. 센서(836)는 대안적으로는 배터리(834)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기(802)에 의해 이용된다. 따라서, 센서(836)는 배터리(834)의 충전 레벨이나 전원 디바이스(704)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충전 표시 정보 신호를 제어기(802)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를 위한 제어기(802)와 전원 디바이스(704)를 위한 제어기(718)는 다양한 유용한 방식으로 충전 표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8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에게 충전 표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기(802)가 전원 디바이스(704)에 충전 표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디바이스(704)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24) 및 전원 디바이스(704)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26)를 통하는 등에 의한 충전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전원 디바이스(7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734)를 통해 전원 디바이스(704)의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기(802)는 전원 디바이스(704)의 근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726)에 충전 표시 정보의 표현(representation)을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24)를 이용한다. 전원 디바이스의 제어기(718)는 충전 표시 정보의 표현을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734)를 통해 전원 디바이스(704)의 사용자에게 충전 표시 정보를 제시한다. 충전 표시 정보는 배터리(834)의 충전 레벨이나 전원 디바이스(704)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충전 에너지 신호의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표시 정보의 표현은 시각적 표현 또는 시각적 표시 또는 이들 둘 모두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12)(도 2 참조) 상에 표시될 수 있다(또한, 도 13과 관련한 설명 참조). 물론, 충전 표시 정보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제어기(802), 전원 디바이스(704)의 제어기(718), 또는 이들 두 제어기(802, 718) 모두에 의해 다양한 기타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충전 표시 정보는 각각의 디바이스(800, 704)의 각각의 제어기(802, 718)에 의해, 디바이스(800, 704)들이 서로 충전 중의 상태로 배치되어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요소 및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랙 패드(814)(하나의 예에서는 트랙볼을 포함할 수 있음)가 디스플레이(820) 상의 커서를 조종하도록 사용자에게 조종 툴을 제공할 수 있고,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트랙 패드(814)는 예를 들면 그래픽 사용자 디스플레이(820)를 통해 커서를 조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트랙 패드(814)는 또한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가 트랙 패드(814)의 일부분을 눌러 트랙 패드(814)를 작동시키고 선택적으로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누름 스위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0)는 예를 들면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픽 디스플레이(820)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816)이 마이크로폰(816) 주변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음향을 수신한다. 또한,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가 모바일 폰(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경우, 마이크로폰(816)은 사용자가 말할 수 있도록 폰의 마우스 피스의 일부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키패드(812)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 내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키패드(812)는 터치 스크린 키패드(812)로서 디스플레이(820)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생체측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13)가 사용자들의 생체측정 정보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생체측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13)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생체측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13)는 마이크로폰(816)과 조합되어, 사용자의 음성(또는 사용자 음성의 특성)을 수집하여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타 형태의 생체측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에 구현될 수 있다.
I/O 데이터 포트(822)는 제어기(802)와 통신하도록 결합되며,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와 기타 디바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 옵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가,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와 개인 컴퓨터[예들 들면, 도 1에 도시한 개인 컴퓨터 1(112)] 간에 정보 전달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I/O 데이터 포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재충전 가능 전원; 이 재충전 가능 전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대략 공진 주파수의 패스밴드를 가져, 대략 공진 주파수의 패스밴드 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는 주파수를 갖는 유도식으로 전송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로부터의 충전 에너지를 재충전 가능 전원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된 유도성 무선 전력 수신 회로; 이 유도성 무선 전력 수신 회로와 통신하게 결합된 충전 전력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예에 따른 충전 전력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 디바이스와 충전 중의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지의 결정에 기초하여,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로부터의 충전 에너지를 재충전 가능 전원에 전달하도록 유도성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력 충전 디바이스(903)[예를 들면, 모바일 폰 1(114)]와 전원 디바이스(905)[예를 들면, 개인 컴퓨터 1(112)]의 상대 이동[화살표(901)로 표시]가 도시되어 있다. 전력 충전 디바이스(903)의 리시버 코일(902)이 전원 디바이스(905)의 트랜스미터 코일(904)에 대해 문자 A, B, 및 C로 나타낸 3곳의 위치로 상대 이동한다. 두 코일(902, 904)이 서로 상대 이동할 때에, 도 10은 3곳의 상대 위치(A, B, C)에서의 전력 충전 디바이스(903)에 의해 수신되는 충전 에너지 신호(102)의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차트는 수신기 코일(902)과 송신기 코일(904) 사이의 상대적 운동으로 이동되는 거리(1006)에 따라 변하는 충전 에너지 신호(1002)의 전압(1004) 플롯을 나타낸다. 코일(902)과 코일(904) 사이의 충전 신호의 유도성 커플링은 2개의 코일(902)과 코일(904) 사이의 거리 및 상대적 배향에 의존하여 변한다.
송신기 코일(904)은 수신기 코일(902)이 다양한 상대적 위치(A, B, 및 C)에서 에너지를 컷스루(cut through)하고 유도적으로 흡수할 것인 발진 자기장을 생성한다. 수신기 코일(902)이 송신기 코일(904)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관통함에 따라 충전 에너지 신호가 전원 디바이스(905)와 전력 충전 디바이스(903) 사이에서 유도적으로 전달된다. 송신기 코일(904)에서 발진 에너지 충전된 신호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자속이 다양한 상대적 위치(A, B 및 C)에서 수신기 코일(902)에 의해 경험(experience)된다.
위치(A 및 C)에서 2개의 코일(902 및 904)은 송신기 코일(904)로부터의 자속의 작은 프랙션(fraction)이 수신기 코일(902)에 의해 경험되도록 서로로부터 다소 떨어지는 느슨한(loosely) 커플링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대적 위치(B)에서 2개의 코일은 공명 주파수에서의 충전 에너지 신호의 유도성 전달이 비교적 높아지는 밀착한(tightly) 커플링[또는 임계적(critically) 커플링]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어기(802)(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는 센서(836)를 이용하여 유도적으로 전달된 충전 에너지 신호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2개의 디바이스(903, 905)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2개의 코일(902, 904)도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어기(802)는 상대적 위치(A, B, 및 C)에서 센서(836)로부터 충전 표시 신호[예를 들어, 전압값(1004)]를 포착할 수 있다. 제어기(80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커브(1002)의 표현을 생성하기 위해 메모리(804)에서 [센서(836)로부터 포착된 바와 같은] 여러 충전 표시 신호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04)에서 저장된 충전 표시 신호 값은, 도 10에서 위치(B)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디바이스(903, 905)[및 코일(902, 904)]의 상대적 위치가 밀착하게 커플링된 유도적인 에너지 전달 배치에 있을 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메모리(804)에서 저장된 충전 표시 신호 값은, 위치(A 및 C)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디바이스(903, 905)의 상대적 위치가 느슨하게 커플링된 유도적인 에너지 전달 배치에 있을 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전력 충전 디바이스(800)의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즉 디바이스(903, 905)가 밀착하게 커플링된 배치에서 느슨하게 커플링된 배치 사이의 범위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818)로부터 방출된 음향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그러한 음향 신호의 진폭 및/또는 주파수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밀착하게 커플링된 유도적인 에너지 전달 배치에서 2개의 디바이스(112, 114)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자가 랩톱 개인 컴퓨터(112)에 대하여 모바일 폰 1(114)을 이동시키도록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즉 디바이스(903, 905)가 밀착하게 커플링된 배치에서 느슨하게 커플링된 배치 사이의 범위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8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0)는 텍스트 또는 숫자 형태 또는 그래프 형태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의 형태의 조합, 예를 들어 음향, 시각적 텍스트, 시각적 숫자 또는 그래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바 그래프는 2개의 디바이스(903, 905)가 위치(B)와 같은 밀착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 또는 위치(A 및 C)와 같은 느슨하게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 사이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치(B)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 그래프(1104)에서 전체 7개의 바 중에서 6개의 바(1107)는 에너지 전달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것은 2개의 디바이스(903, 905)가 밀착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에 있음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2개의 디바이스(903, 905)가 밀착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에 있음을 전력 충전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개별의 표시자(1109)가 ON(강조됨)되거나, 심지어 녹색과 같은 특정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위치(A)에서 바 그래프(1102)는 단지 하나의 ON된(강조된) 바(1103)만 가짐으로써 느슨하게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를 표시한다. 표시자(1105)가 OFF되어 2개의 디바이스(903, 905)가 느슨하게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표시자(1105)는 적색과 같은 색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위치(C)에서는 바 그래프 표시자(1106)는 단지 2개의 ON된(강조된) 바(1108)만 갖고, 개별의 표시자(1110)는 OFF되어(또는 적색이 됨) 2개의 디바이스(903, 905)가 느슨하게 결합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모드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력 충전 디바이스(903)[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모바일 폰 1(114)]가 직사각형 쇄선(214, 216, 30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타겟 충전 위치 중 하나에 위치되면,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사용자는, 이롭게는, 디바이스(202, 114) 사이의 충전 에너지 신호의 유도성 커플링의 근사 레벨을 표시하는 모바일 폰 1(114) 상의 디스플레이(820)를 모니터링하면서 랩톱(202)의 표면 상부에 모바일 폰 1(11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코일(214)(도 4에 나타냄) 바로 위에 있는 타겟 영역(214)(도 3에 나타냄)의 대략적으로 상부에 위치될 랩톱(202)의 외부면 상부에 모바일 폰 1(114)을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디바이스(202, 114)의 이러한 위치는 2개의 디바이스(114, 202) 사이의 친밀 커플링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배치를 나타낼 것이다. 사용자는 친밀 커플링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배치에서 코일(214)의 바로 상부에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를 이동시키기 위해 바 그래프 표시자(1102, 1104, 및 1106)에 의해 안내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바 그래프, 시각적 표시자, 음향 표시자, 또는 그 조합과 같은 충전 에너지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현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랩톱(202)의 외부면 상부에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를 이동시키는 동안 사용자를 안내한다. 일례에 따르면, 이러한 피쳐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디스플레이(820) 상에 바 그래프 및 표시자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바 그래프 및 표시자 정보는 랩톱(20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2) 상에 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제어기(802)는 코일(728)을 갖는 근거리 통신 트랜스시버(726)를 통하여 메모리(804)로부터 랩톱(202)의 제어기(718)로 충전 표시 신호 값을 통신하기 위해 코일(826)을 갖는 근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824)를 사용한다. 그 다음에, 랩톱(202)의 제어기(718)는 랩톱(20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2) 상에 바 그래프 및 표시자 정보를 제시한다. 물론, 랩탑(lap top)(20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2) 및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의 디스플레이(820)는 모두, 견고히 연결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어레인지먼트 내에서 서로에 관하여 2개의 디바이스(114, 202)를 유저가 배치하도록 안내(guide)하기 위해 바 그래프(bar graph) 및 표시 정보(indicator information)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랩탑(202) 등의 전원 디바이스는 동일 시간에 다수의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다수의 충전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탑(202)의 스킨(skin) 아래에 3개의 코일(214, 216, 302)이 있다. 이에 따라, 3개까지의 전력 충전 디바이스 내의 재충전 가능 전원(예컨대 재충전 가능 배터리)에 대응하여 재충전이 가능한 유도적으로(inductively) 연결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개별 전력 충전 디바이스가 3개까지 랩탑(20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2의 그래프는 개별 코일(214, 216, 302)로부터 전송된 유도적 전달 충전 에너지 신호의 주파수(1200)에 관하여 3개의 개별 유도적 전달 충전 에너지 신호(1202, 1204, 1206)의 전압(1202)을 나타낸다.
3개까지의 전력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 위치는 직사각형의 점선(214, 216, 302)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3개의 전력 충전 디바이스는 예컨대 차선인[즉, 랩탑(202)과 함께 견고히 연결된 충전 어레인지먼트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개별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여전히 수신할 수 있다. 3개의 개별 코일(214, 216, 및 302)로부터 전송된 3개의 개별 충전 에너지 신호는, 일실시예에 따라 3개의 충전 에너지 신호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넌-오버래핑 개별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non-overlapping individual pass band resonant frequencies)(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갖는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전원 디바이스[랩탑(202) 등]는, 3개의 개별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에서 3개의 개별 코일(214, 216, 및 302)로부터의 3개의 개별 충전 에너지 신호를 유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관련된 개별 L-C 동조 회로(tuned circuit) 및 3개의 개별 코일(214, 216, 302)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적 전달 충전 에너지 신호(1202)는 제1 공명 주파수(1203)에서 패스 밴드에 관하여 제1 코일(214)로부터 전달되고, 제2 유도적 전달 충전 에너지 신호(1204)는 제2 공명 주파수(1205)에서 패스 밴드에 관하여 제2 코일(216)로부터 전달되고, 제3 유도적 전달 충전 에너지 신호(1206)는 제3 공명 주파수(1207)에서 패스 밴드에 관하여 제3 코일(302)로부터 전달된다.
여러가지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정 개별 코일(214, 216, 302) 및 관련 개별 L-C 동조 회로는, 제어기(718) 및 VFO(719) 등의 제어기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동조 가능 회로 콤포넌트에 의해 또는 L-C 회로의 고정된 디자인에 의해 동조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실시형태에 따르면, 3개까지의 개별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 및 2개까지의 다른 유사 디바이스 등] 각각을 위한 리시버 코일(708) 및 관련 L-C 동조 회로는 제어기(706) 및 VFF(730) 등의 제어기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조정 가능 회로 콤포넌트에 의해 또는 L-C 회로의 고정된 디자인에 의해 동조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702, 704)의 코일의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를 매칭시키기 위해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 및 전원 디바이스(704)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코일의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일실시형태에 따라 유도성 연결 충전 에너지 신호 어레인지먼트(예컨대, 충전 어레인지먼트)를 확립하기 위해, 2개의 디바이스(702, 704) 사이에서 충전 에너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을 위해, 타겟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예컨대, 가능한 복수의 패스 밴드 공명 주파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적으로 복수의 개별 코일(214, 216, 302) 중 하나 및 관련된 개별 L-C 동조 회로들을 선택하도록, 디바이스(702, 704)는 서로 통신할 것이다.
도 13은 전원 디바이스(704)[예컨대, 랩탑(202)]의 유저 인터페이스(734)에서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다. 랩탑(202)의 유저는 예컨대 그래피컬 디스플레이(1300) 상에서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 등의 전력 충전 디바이스에서 재충전 가능 전원의 충전 상태의 표시를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에 전원 디바이스(704)의 유저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아이콘들(1304, 1306)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나의 아이콘(1322)은 충전 에너지 신호의 견고히 연결된 유도성 전달을 위한 전원 디바이스(704)에 관한 어레인지먼트 및 위치에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가 배치되는 표시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한 논의와 마찬가지로, 랩탑(202)과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 사이에서의 충전 에너지 신호의 견고히 연결된 유도성 전달을 위해 랩탑 디바이스(202)의 타겟 충전 영역(214)(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관하여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랩탑(202)의 유저에게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1105, 1109, 1110)에 아이콘(1322)이 대응한다.
2개의 디바이스(114, 202)가 견고히 연결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어레인지먼트(견고히 연결된 어레인지먼트) 내에 있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디케이터(1109)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의 아이콘(1322)이 강조될(highlighted)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105, 1110)와 같이 아이콘(1322)이 강조되지 않는 경우에, 아이콘(1322)은 느슨하게 연결된 유도성 에너지 전달 어레인지먼트(느슨하게 연결된 어레인지먼트) 내에 2개의 디바이스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의 직사각형 다이얼로그 박스(1326)는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의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충전 표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로그 박스(1326) 내의 텍스트 및 숫자 정보는,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가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의 재충전 가능 배터리에 대한 완전 충전의 대략 72%로 충전되어 있다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낸다. 단거리 트랜스시버(short range transceivers)(714, 726)를 사용하여 전력 충전 디바이스(702) 및 전원 디바이스(704) 사이에서 정보의 통신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로부터 랩탑(202)으로 이 정보가 통신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의 다이얼로그 박스(1308)는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랩탑(202)의 유저에 대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랩탑 디바이스(202)의 유저는,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 또는 랩탑(202)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의 메시지를 수신(및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싱글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랩탑(202)을 가진 충전 어레인지먼트에서의 경우에, 모바일 폰(1) 디바이스(114)는 단거리 통신 트랜스시버(714, 726)를 통해 랩탑(202)과 통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114, 202) 사이에서 메시지 정보를 통신한다.
양쪽 디바이스(114, 202)의 사용자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로부터 그리고 랩톱(202)으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랩톱의 디스플레이(1300)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양쪽 디바이스(114, 202)의 사용자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 및 랩톱(202) 양자 모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디스플레이(820)를 사용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이런 유연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2개의 디바이스(114, 202)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동안 통신 메시지를 위한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랩톱(202)의 사용자는 랩톱(202)과의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그래픽 표현(1310)을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에서 관측할 수 있다. 따라서, 랩톱(202)의 사용자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에 대응하는 정보를 그래픽 표현(1310)으로 관측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기(1324)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 및 랩톱(202)이 아이콘(1322)에 대해 상술된 바와 유사하게 견고하게 커플링된 충전 배열 상태에 있거나 느슨하게 커플링된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경우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그래픽 표현(1310) 내의 다이얼로그 박스(1328)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충전식 배터리(710)의 현재 충전 상태의 충전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에 제공한다. 예컨대, 다이얼로그 박스(1328)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충전식 배터리(710)가 배터리의 총 충전량의 대략 72%임을 나타낸다.
또한, 랩톱(202)의 사용자가 예컨대, 랩톱(202)과의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동안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를 통해 통신된 텍스트 스레드 메시징을 관측할 수 있도록 일련의 메시지(1312, 1314, 1316, 1318)가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그래픽 표현(1310) 내부에 도시된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의 그래픽 표현(1310) 내부의 다이얼로그 박스(1320)는 모바일 폰 1 디바이스(114)와 관련된 다른 메시징 정보 통신 수단을 랩톱(20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에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작 시퀀스가 예시되어 있다. 단계 1402에서 동작 시퀀스에 진입한 후에, 단계 1404에서 랩톱 개인 컴퓨터(랩톱 PC)(202)는 랩톱 개인 컴퓨터(202)에 근접해 있는 모바일 폰(114)을 탐지한다. 단계 1404에서 탐지되면, 단계 1406에서 랩톱 PC(202)는 모바일 폰(114)과 랩톱 PC(202)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축한다. 단계 1408에서, 랩톱 PC(202)는 모바일 폰(114)이 랩톱 PC(202)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모바일 폰은 랩톱 PC(202)가 모바일 폰(114)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1408에서 이런 매칭이 양쪽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지 못한 경우, 단계 1410에서 동작 시퀀스가 종료된다.
단계 1408에서 2개의 디바이스가 매칭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1412에서 랩톱 PC(202)는 모바일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잠금해제된 최종 시간부터 경과된 시간량을 결정한다. 단계 1412에서 모바일 폰(114)이 잠금해제된 최종 시간부터 경과된 시간량이 사전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 후속적으로 단계 1414에서 랩톱 PC(202)는 모바일 폰(114)이 잠금해제된 최종 시간이 생체측정 또는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1414에서 모바일 폰(11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잠금해제된 최종 시간이 모바일 폰(114)을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생체측정 또는 패스워드 액세스 중 하나가 아닌 경우, 단계 1410에서 동작 시퀀스가 종료된다. 단계 1414에서 모바일 폰(11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잠금해제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경우, 후속적으로 단계 1416에서 랩톱 PC(202)는 제한된 액세스를 갖도록 랩톱 PC(2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잠금해제시키고, 단계 1418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패스워드를 요청한다. 단계 1420에서 패스워드가 부정확하게 입력되면, 단계 1410에서 동작 시퀀스는 종료된다. 그러나, 단계 1420에서 패스워드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단계 1422에서 동작 시퀀스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 대한 완전한 또는 최대 액세스를 갖도록 랩톱 P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잠금해제시키게 진행된다. 단계 1414에서 모바일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잠금해제된 최종 시간이 생체측정 액세스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단계 1422에서 랩톱 PC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 대한 완전한 또는 최대 액세스를 갖도록 랩톱 P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잠금해제시키게 진행된다.
단계 1422에서 랩톱 PC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폰에 대한 완전한 또는 최대 액세스를 갖도록 잠금해제된 후에, 단계 1424에서 모바일 폰과 랩톱 PC간의 기능이 필요에 따라 동기화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1426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별도의 충전 동작 시퀀스가 개시된 다음, 단계 1410에서 현재 동작 시퀀스가 종료된다.
일례에 따르면, 전원 디바이스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가 현재 잠금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사전결정된 시간량 동안 잠금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는 전력 충전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 정보로부터 결정한 바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잠금해제시키고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전력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충전 동작 시퀀스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1426에서 충전 시퀀스가 개시되면, 단계 1502에서 충전 시퀀스에 진입한 다음, 단계 1504에서 모바일 폰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진행한다. 단계 1506에서 충전 파라미터는 디바이스(114, 112)간에 동기화된다. 예컨대, 충전 에너지 신호 진폭, 충전 에너지 신호 통과 대역 공진 주파수, 공진 유도성 코일 위치, 및 적용되는 다른 공진 유도성 커플링 구성 파라미터가 디바이스(114, 112)간에 동기화된다.
후속적으로, 모바일 폰(114)은 통신 시스템(100)을 위한 (도 1에 도시된 NOC(102)와 같은)서버에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를 전송한다. 단계 1506에서 모바일 폰(114)이 서버(102)에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를 전송할 때, 서버(102)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 내의 모바일 폰 기록(2005)의 디바이스 링크 1 필드(2012) 및 상태 필드(2014)를 업데이트된 디바이스 링크 1 필드(2012) 및 업데이트된 상태 필드(2005)로 업데이트한다. 예컨대, 디바이스 링크 1 필드(2012)는 랩톱 PC(112)를 확인하고, 상태 필드(2005)는 모바일 폰(114)이 랩톱 PC(112)와의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도록 세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랩톱 PC 기록(2007)은 랩톱 PC(112)가 모바일 폰(114)과의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도록 (모바일 폰(114)을 확인하는)업데이트된 디바이스 링크 2 필드(2026) 및 업데이트된 상태 필드(2028)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랩톱 PC(112) 및 모바일 폰(114)에 대응하는 다른 관련 정보도 추가적인 필드 내의 각각의 기록(2005, 2007)에 또한 저장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폰 기록(2005)의 업데이트 및 PC 기록(2007)의 업데이트는 이메일 서버(108)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 또는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행해질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게다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랩 탑 PC(112)는 서버에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를 보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랩 탑 PC(112)에 의해 보내지거나 또는 모바일 폰(114)에 의해 보내지는,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는 랩 탑 PC(112), 모바일 폰(114), 또는 이들 모두에 관한 다양한 상이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업데이트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12, 114)이 충전 장치에 속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112, 114)에 의해 보내진 상태 업데이트는 디바이스들(112, 114) 중 하나가 무선 네트워크(N1, 106)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예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112, 114)에 의해 보내진 상태 업데이트는 이들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서버와 연관된 계정과 같은, 계정에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예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112, 114)에 의해 보내진 상태 업데이트는 디바이스들(112, 114) 중 하나가 디바이스들(112, 114) 중 하나와 연관된 특정한 계정에 연관되는 무선 네트워크(N1, 106)(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1506)에서 디바이스들(114, 112)이 서로 동기화된 이후에, 동작 순서는 단계(1508)에서 충전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진행한다. 단계(1508)에서 충전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두 개의 디바이스들(112, 114)이 각자의 코일(902, 904)에 대해 자신들의 최적의 장치(단단히 결합된 장치)의 위치를 정하는 것을 돕는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적의 충전 장치의 위치 정하기 프로세스의 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논의되었다.
디바이스들(112, 114)이 단단히 결합된 충전 장치에 속한 이후에, 충전 순서는 랩 탑 PC(112)로부터 모바일 폰(114)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710)를 충전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단계(1510)에서 일단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1512)에서 모바일 폰(114)은 서버(102)에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계(1514)에서 동작 순서를 종료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메시지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이메일 서버(108) 및/또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에 전송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단계(1512)에서 모바일 폰(114)으로부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서버(102)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 및 랩 탑 개인 컴퓨터(112)에 대한 각자의 기록(2005, 2007)을 업데이트한다. 이런 식으로, 통신 시스템(100) 내의 서버(102)는 모바일 폰(114) 및 랩 탑 PC(112)를 추적할 수 있고, 이 디바이스들이 충전 장치에 속해 있을 때를 추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이메일 서버(108) 및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모바일 폰(114) 및 랩 탑 PC(112)를 추적할 수 있고, 이 디바이스들이 충전 장치에 속해 있을 때를 추적할 수 있다.
모바일 폰(114) 및 랩 탑 PC(112)가 충전 장치에 속해 있을 때, 도 16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순서를 뒤따를 수 있다. 단계(1602)에서 동작 순서가 시작되고, 그 다음에 단계(1604)에서 모바일 폰(114)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6)를 모니터링한다. 단계(1606)에서 모바일 폰(114)이 메시지를 수신하였다고 결정하면, 단계(1608)에서 모바일 폰(114)은 메모리(804)에 그 메시지를 저장한다.
단계(1610)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이메일 메시지이면, 단계(1612)에서, 모바일 폰(114)은 이메일 계정이 랩 탑 PC(112)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 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114)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모바일 폰(114)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의 계정 식별 1 필드(2016) 및 계정 상태 필드(2018)가 모바일 폰(114)에 의해 체크되어 PC(112)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7)의 계정 식별 1 필드(2030) 및 계정 1 상태 필드(2032)에 의해 또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메일 계정이 PC(112)에 의해서도 공유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계정 상태 필드들(2018, 2032)은 이메일 계정이 랩 탑 PC(112) 상의 사용자 그리고 모바일 폰(114)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랩 탑 PC(112)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있지 않으면, 이메일 메시지는 보통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 의해 처리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 순서는 단계(1604)에서 무선 네트워크(106)를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단계(1612)에서 이메일 계정이 랩 탑 PC(112)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지 않으면, 단계(1614)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는 PC 디스플레이 모니터(도 13을 참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메일 메시지를 랩 탑 PC(112)에 전송한다. 그 다음에, 단계(1616)에서 동작 순서는 종료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랩 탑 PC(1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의 다이얼로그 박스(1308)에 의해 사용자에게 이메일 메시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랩 탑 PC(1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의 그래픽 표현(1310) 안에 이메일 메시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라. 메시지 정보는 일련의 연속적인 메시지(1312, 1314, 1316, 1318)로서, 또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의 그래픽 표현(1310)에서 다이얼로그 박스(1320) 내에 메시지 정보로서 표현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PC(112)는 제2 네트워크(N2, 104)로부터 수신된 이메일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그 다음에,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PC(112)는 이메일 계정이 랩 탑 PC(112)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모바일 폰(114)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지 않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PC(112)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7)은 PC(112)가 이메일 계정(2030)으로부터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고, 모바일 폰(114)이 이메일 계정(2030)으로부터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지 았음을 나타내는 계정 상태 필드(2032)를 보여줄 수 있다. 랩 탑 PC(112)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모바일 폰(114) 상의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되지 않으면, 이메일 메시지는 PC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게다가, PC(112)는 모바일 폰(114)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모바일 폰(114) 내의 저장을 위해 모바일 폰(114)에 이메일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모바일 폰(114)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다.
부가적으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는 서버(102)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고, 그것 때문에 서버(102)는 모바일 폰(114)으로 제1 네트워크(N1, 106)를 통한 이메일 메시지의 무선 전송을 못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서버(102)는 제2 네트워크(N2, 104)를 통해 PC(112)에 보내지고 근거리 통신 링크(115)를 통해 PC(112)로부터 모바일 폰(114)으로 전달되었던 복제 이메일 메시지를 모바일 폰(114)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피한다. 이것은 무선 네트워크(106)의 자원의 활용을 향상시키고, 제1 네트워크(N1, 106)의 메시징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이메일 서버(108)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상 커플링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이메일 서버(108)는 NOC(102)에 대한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저지하며, 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N1 106을 통한 모바일 폰(114)으로의 이메일 메시지의 무선 전송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상 커플링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NOC(102)에 대한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저지하며, 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N1 106을 통한 모바일 폰(114)으로의 이메일 메시지의 무선 전송을 방지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도 1의 통신 시스템(100)에서 서버(102)를 이용한 작업 시퀀스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1702에서 작업 시퀀스가 입력되며, 이때 서버(102)는 단계 1704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로부터의 상태 업데이트의 수신을 모니터링한다. 서버(102)가 단계 1704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로부터의 상태 업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때 서버(102)는 단계 1706에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의 모바일 폰 디바이스의 기록(116)을 업데이트한다.
대안으로, 서버(102)는 단계 1708에서 랩탑 PC(112)로부터 서버에 의해 상태 업데이트를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서버(102)가 단계 1708에서 랩탑 PC(112)로부터 상태 업데이트를 수신하였다면, 이때 서버(102)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도 20 참고)에서 랩탑 PC의 기록(2007)을 업데이트한다.
선택적으로, 서버(102)가 단계 1706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의 기록(2005)을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단계 1710에서 랩탑 PC의 기록(2007)을 업데이트할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2)는 다른 디바이스의 관련 기록(2007, 2005)을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데, 이는 충전 장치 내에 함께 존재한다. 즉, 서버(102)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 대한 기록 및 랩탑 PC(112)에 대한 기록 양자 모두를 동시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메일 서버(108)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상 커플링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이메일 서버(108)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 및/또는 랩탑 PC(112)로부터의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메일 서버(108)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상 커플링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 및/또는 랩탑 PC(112)로부터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데이터베이스 기록(2005, 2007)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예에 있어서, 단계 1712에서 이메일 서버(108)가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로 송신할 이메일 메시지를 갖고 있다고 서버(102)가 결정하면, 이때 서버(102)는 또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의 각각의 기록(2005)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의 상태(2014)가 메시지 수신을 위한 메시징 상태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단계 1714에서 결정한다. 단계 1714에서 상기 지시가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가 메시지를 수신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면, 이때 서버(102)는 단계 1716에서 이메일 서버(108)로부터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로 이메일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나, 각각의 기록(2005)에서의 모바일 폰 디바이스의 상태(2014)가 단계 1714에서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가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이때 서버(102)는 모바일 폰 디바이스(114)에 의해 수신될 예정인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저지한다.
단계 1718에서 서버(102)는 랩탑 PC(112)가 메시지를 수신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의 각각의 기록(2007)에서 개인용 컴퓨터 상태(2028)를 체크한다. 단계 1718에서 랩탑 PC(112)가 메시지를 수신 중이라면, 이때 서버(102)는 단계 1720에서 예컨대 이메일 서버(108)로부터 이메일 메시지를 랩탑 PC(112)에 송신한 후, 단계 1722에서 작업 시퀀스를 빠져나간다.
그러나,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에서의 각각의 기록(2007)에서 개인용 컴퓨터 상태(2028)가 단계 1718에서 랩탑 PC(112)가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이때 서버(102)는 랩탑 PC(112)에 의해 수신될 예정인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저지한다.
서버(102)는 충전 장치에 있는 2개의 디바이스(112, 114)에 송신될 메시지의 중복 전송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2가지 디바이스(112, 114)에 대해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 중일 때, 서버(102)는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 하나의 디바이스[디바이스들(112, 11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디바이스(112, 114)는 협역 무선 통신 링크(115)를 이용하여 2개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동기화 및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112, 114)와 서버(102) 사이의 이러한 메시지 수신 상태 동기화 메커니즘은, 다양한 네트워크(104, 106)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의 중복 전송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메커니즘은 다양한 네트워크(104, 106)의 통신 채널에 대한 메시지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리소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수신된 메시지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소모를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무선 통신 등과 같은 메시지 수신을 위한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다. 무선 네트워크 N1 106과 같이 특히 제한된 메시지 처리량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는 메시지의 무선 통신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N1에 대한 전체 메시지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이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 N1 106에서 다른 정보의 더욱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네트워킹 리소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관점에서, 이메일 서버(108)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상 커플링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이메일 서버(108)는 충전 장치에 있는 2가지 디바이스(112, 114)에 송신되는 메시지의 중복 전송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가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상 커플링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블랙베리 이메일 서버(111)는 충전 장치에 있는 2가지 디바이스(112, 114)에 송신될 메시지의 중복 전송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8 및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PC 장치(112)로부터 스마트폰(114)을 충전하기 위한 전체 동작 시퀀스의 부분들을 구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동작 시퀀스가 단계(1802)에서 진입하고, 단계(1804)에서 스마트폰(114)이 개인용 컴퓨터(112)에 근처에 배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다. 그런 다음, 장치(112, 114)는 단거리 통신 트랜시버(714, 726)를 통해 통신 링크(115)를 수립하고, 단계(1806)에서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해 진행한다.
개인용 컴퓨터(PC)(112)는 단계(1808)에서 스마트폰(114)과의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 배터리(710)의 배터리 레벨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단계(1810)에서 PC(112)는 자신이 AC 아웃렛(outlet)에 플러그인 되어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1810)에서 만약 PC(112)가 AC 아웃렛에 플러그인 되어 있으면, PC(112)는 단계(1816)에서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용량의 100%로 충전하도록 최대 충전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폰(114)을 충전한다. 그런 다음, 동작 시퀀스는 단계(1822)에서 스마트폰 배터리(710)를 충전하기 시작하고, 그런 다음, 단계(1824)에서 동작 시퀀스를 이탈한다.
하지만, 만약 PC(112)가 단계(1810)에서 AC 아웃렛에 플러그인 되어 있지 않으면, PC(112)는 PC 배터리(404)의 잔여 충전량을 결정하고, 단계(1812)에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충전하기 위해 임계 세팅 및 충전 파라미터를 체크한다. 단계(1814)에서 만약 스마트폰(114)를 최대로{재충전가능한 배터리(710)의 100%}충전하는 것이 PC 배터리(404)의 잔여 충전의 특정 백분율 임계값 미만을 소모할 것이라는 것을 개인용 컴퓨터(112)가 결정하면, 개인용 컴퓨터(112)는 단계(1816)에서 스마트폰(114)의 충전을 최대 100%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PC(112)는 단계(1822)에서 스마트폰 배터리(710)를 충전하기 시작하고, 그런 다음, 단계(1824)에서 동작 시퀀스를 이탈한다.
하지만, 만약 단계(814)에서 스마트폰을 배터리(710)의 용량의 실질적인 100%로 충전하는 것이 개인용 컴퓨터 배터리(404)의 잔여 충전의 적어도 미리 결정된 임계 백분율을 소모할 것이라고 개인용 컴퓨터(112)가 결정하면, 개인용 컴퓨터(112)는 단계(1818)에서 이러한 조건을 위한 임계 세팅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단계(1818)에서 임계 세팅이 존재하면, 단계(1820)에서 개인용 컴퓨터(112)는 스마트폰 배터리(710)의 소정(a) 백분율을 충전하기 위해 이용될 개인용 컴퓨터 배터리(404)의 충전의 소정 백분율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단계(1824)에서 PC(112)는 동작 시퀀스를 이탈한다.
하지만, 만약 PC(112)가 단계(1818)에서 이러한 조건을 위한 임계 세팅을 발견하지 않으면, 단계(1826)에서 개인용 컴퓨터(112)는 스마트폰 배터리(710)의 충전을 시작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다. 단계(1826)에서, 개인용 컴퓨터(112)는 그래픽 디스플레이(1032)를 통해 다이얼로그 박스(1308) 내의 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린다(prompt). 그런 다음, 사용자는 키보드(210)를 통해서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112)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만약 단계(1826)에서 개인용 컴퓨터(112)로 하여금 스마트폰 장치(114)의 충전을 시작할 것을 사용자가 지시하면, 개인용 컴퓨터는 단계(1822)에서 충전 시퀀스를 시작하고, 그런 다음 단계(1824)에서 동작 시퀀스를 이탈한다. 대안적으로, 만약 사용자가 단계(1826)에서 개인용 컴퓨터(112)로 하여금 스마트폰 배터리(710)의 충전을 시작할 것을 긍정적으로(affirmatively) 지시하지 않으면, 개인용 컴퓨터(112)는 단계(1828)에서 스마트폰(114)을 충전하지 않을 것이고, 단계(1824)에서 동작 시퀀스를 이탈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계(1902)에서 동작 시퀀스에 진입하고, 단계(1904)에서 설정된 충전 파라미터 및 임계값에 따라 스마트폰 배터리(710)를 충전하기 위해 진행한다. 단계(1906)에서 스마트폰 배터리(710)를 충전하면서, 스마트폰(114) 내의 전력 제어기(706)는 스마트폰의 배터리(710)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센서(712)를 이용하며, 단계(1906)에서 스마트폰(114)은 (예를 들면,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배터리 레벨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112)에 송신한다. 단계(1908)에서 개인용 컴퓨터(112)는 PC 모니터 디스플레이 스크린(1302)상에 스마트폰 배터리 레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그런 다음, 동작 시퀀스는 단계(1910)에서 이탈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 내에 중앙화된 형태로, 또는 상이한 구성 요소가 다수의 상호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걸쳐 분산된 분산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적응된 다른 장치 - 도 적절하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전형적인 조합은, 적재되고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비한 범용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의 구현을 가능케하는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 내에 적재될 때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또한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황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능력을 갖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또는 a)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notation)으로 변환, 및 b) 상이한 재질 형태로 재생성 중 하나의 동작 또는 이 두 동작 모두 후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의도된,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의 명령어 세트의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각각의 컴퓨터 시스템은, 그 중에서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와, 컴퓨터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데이터, 명령어, 메시지 또는 메시지 패킷, 및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판독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일시적 매체는 램, 버퍼, 캐시 메모리와, 네트워크 회로와 같은 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컴퓨터 판독가능한 정보를 판독하게 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링크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시적(transitory) 상태 매체 내에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 실시예
A) 본 개시 내용의 각종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재충전 가능한 전원,
재충전 가능한 전원에 의해서 전원 공급되는 전자 회로,
재충전 가능한 전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공진 주파수 부근 통과 대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주파수를 가진 충전 에너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로부터의 충전 에너지를 재충전 가능한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공진 주파수 부근의 통과 대역을 갖는 유도성 무선 파워와,
무선 통신 장치가 전원 장치와 충전 배열(a charging arrangement) 상태에 있는 지에 의거해서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로부터의 충전 에너지를 재충전 가능한 전원으로 전달하기 위해 유도성 무선 전원 수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유도성 무선 전원 수신 회로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충전 파워 제어기를 포함한다.
B)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경유하여 전원 장치와 통신하고,
재충전 가능한 전원의 충전 상태 표시를 전원 장치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충전 파워 제어기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 송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C)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 값의 표시를 전원 장치에 제공하도록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경유하여 전원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충전 파워 제어기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D) (C)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충전 파워 제어기는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의 현재 값의 표시를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경유하여 전원 장치에 반복적으로 제공한다.
E)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 값의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충전 파워 제어기에 결합된 사용자 인터페이를 더 포함한다.
F) (E)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충전 파워 제어기는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 값의 가상 표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G) (F)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가상 표현은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 값을 나타내는 바 그래프(bar graph)를 포함한다.
H)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전원 장치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 지를, 수신된 충전 에너지 신호의 감시 값에 기초해서 판정하고,
무선 통신 장치가 전원 장치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지에 관한 판정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충전 파워 제어기와 결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I) (H)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충전 파워 제어기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전원 장치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을 나타내는 가상 표시장치(visual indicator)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J)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경유하여 전원 장치와 통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가 전원 장치와 충전 배열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에 응답하여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충전 파워 제어기와 결합된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신호는 전원 장치에 의해서 수신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에 전달된 메시지를 포함한다.
K) (A)의 무선 통신 장치는 충전 파워 제어기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와,
충전 파워 제어기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장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와,
충전 파워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충전 파워 제어기는,
장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경유하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수신된 메시지 정보 표시를 단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거쳐 전원 장치에 제공하도록 전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추가로 구성된다.
L) (K)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 장치는 개인 컴퓨터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 장치는 모바일 폰을 포함한다.
비제한 실시예
비록 본 주제의 특정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지만 당업자라면 개신된 주제의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이 가능함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개시 내용 및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의 청구범위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모든 응용, 변형, 실시예를 망라한다.

Claims (15)

  1. 통신 시스템 내의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 및 무선 충전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서버를 이용하여,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개인 컴퓨팅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충전 배열 - 상기 충전 배열은 충전 에너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열을 포함함 - 에 놓여 있다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 단계; 및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송신을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금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하나 이상의 이메일 메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금지 단계는, 상기 서버를 이용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된 하나 이상의 이메일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송신을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금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충전 배열에 놓여 있다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이메일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이메일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서버와 연관된 계정과 연관되어 있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계정과 연관되며,
    상기 금지 단계는, 상기 서버를 이용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되고 상기 계정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송신을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금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와 연관된 계정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상기 서버와 연관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메시징 상태 기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상기 서버와 연관된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메시징 상태 기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연관된 메시징 상태 기록을 상기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서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충전 배열에 놓여 있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를 무선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게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및 무선 충전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됨 - ;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개인 컴퓨팅 시스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하나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와 충전 배열 - 상기 충전 배열은 충전 에너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열을 포함함 - 에 놓여 있다는 것과,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와 연관된 메시징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전송을 금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을 포함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하나 이상의 이메일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은 제2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며, 제1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 및 제2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신호를 교환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사이에서 단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무선 충전 배열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무선 충전 배열에 놓여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 및 제2 단거리 무선 통신 트랜스시버 간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구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의 복사본(copy)을,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징 상태 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메시징 상태 기록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무선 충전 배열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인, 통신 시스템.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징 상태 기록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동기화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충전 배열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시징 상태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징 상태 기록에 메시징 상태 정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징 상태 기록에 저장되는 메시징 상태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충전 배열에 놓여 있는지 여부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하나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로 전달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함 - 를 저장하고,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징 상태 기록에 저장된 메시징 상태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과 충전 배열에 놓여 있다는 것과,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하나에 의한 수신용으로 예정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금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시스템.
KR1020120110652A 2011-10-05 2012-10-05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무선 충전 및 통신 KR101454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4014.6 2011-10-05
EP11184014.6A EP2579522B1 (en) 2011-10-05 2011-10-05 Wireless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90A KR20130037190A (ko) 2013-04-15
KR101454969B1 true KR101454969B1 (ko) 2014-11-03

Family

ID=4472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52A KR101454969B1 (ko) 2011-10-05 2012-10-05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무선 충전 및 통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79522B1 (ko)
JP (1) JP5634471B2 (ko)
KR (1) KR101454969B1 (ko)
CN (1) CN103036940B (ko)
AR (1) AR094129A1 (ko)
BR (1) BR102012025520B1 (ko)
CA (1) CA2791979C (ko)
MX (1) MX20120116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24B1 (ko) 2013-07-17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263451B2 (en) 2013-08-09 2019-04-16 Intel Corporation Coil for mobile device context-driven switching and wireless charging
KR102312355B1 (ko) 2014-06-23 2021-10-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5189959A1 (ja) * 2014-06-12 2015-12-17 株式会社 東芝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EP3172688B1 (en) * 2014-07-24 2018-11-28 Intel Corporation Secure wireless charging
KR20170100649A (ko) * 2014-12-29 2017-09-04 에너저스 코포레이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82543B1 (ko) 2016-03-10 202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7171561A1 (en) * 2016-04-01 2017-10-05 Powerbyproxi Limited Method of authentication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180131412A1 (en) * 2016-11-10 2018-05-1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s for increasing data communication bandwidth between wireless power devices
US10070393B2 (en) 2017-01-30 2018-09-04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JP6812537B2 (ja) * 2017-04-07 2021-01-1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無線充電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充電対象機器
US11437841B2 (en) 2018-06-11 2022-09-06 Bensussen Deutsch & Associates, Llc Controller with inductive charging and slideable portions
CN111580408A (zh) * 2020-06-29 2020-08-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系统和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5233A1 (en) 2004-03-23 2005-09-29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wireless device with fixed station
EP1715642A2 (fr) 2005-04-19 2006-10-25 France Telecom Procédé et système d'activation ou de désactivation automatique d'un service
JP2011078191A (ja) 2009-09-30 2011-04-14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充電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72437A (ja) 2010-02-22 2011-09-01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757A (ja) * 2002-05-24 2003-12-05 Sony Corp 電子機器、管理装置、充電装置、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充電サービス方法
JP2007304971A (ja) * 2006-05-12 2007-11-22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メールサーバ及び電子メールの受信制限方法
US7711370B2 (en) * 2006-09-20 2010-05-0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using a mobile handset
DE102008018003A1 (de) * 2008-04-09 2009-10-22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m Austausch von Daten zwischen einem Mobiltefelon und einem Festnetztelefon
US20110050164A1 (en) *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5233A1 (en) 2004-03-23 2005-09-29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wireless device with fixed station
EP1715642A2 (fr) 2005-04-19 2006-10-25 France Telecom Procédé et système d'activation ou de désactivation automatique d'un service
JP2011078191A (ja) 2009-09-30 2011-04-14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充電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72437A (ja) 2010-02-22 2011-09-01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91979C (en) 2016-05-03
EP2579522B1 (en) 2018-05-30
CN103036940B (zh) 2016-06-01
JP2013085248A (ja) 2013-05-09
BR102012025520A2 (pt) 2014-12-02
MX2012011658A (es) 2013-04-16
BR102012025520A8 (pt) 2020-05-19
AR094129A1 (es) 2015-07-15
KR20130037190A (ko) 2013-04-15
BR102012025520B1 (pt) 2022-04-12
JP5634471B2 (ja) 2014-12-03
EP2579522A9 (en) 2014-04-16
CN103036940A (zh) 2013-04-10
EP2579522A1 (en) 2013-04-10
CA2791979A1 (en)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969B1 (ko)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 장치들과의 무선 충전 및 통신
US9319855B2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419444B2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power source devices and power charge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533856B2 (ja) 無線電力供給システム、無線送電装置、および無線受電装置
US10354301B2 (en) Mobile power source and method of use
US9912380B2 (en) Power suppl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method
CA2791980C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power source devices and power charge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689066B2 (en) Multi-housing charging devices and methods
WO2014103191A1 (en) Power supply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110103294A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3179670A (ja) 携帯電話用近接調整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20190104473A1 (en) Managing device power on sequences and communications control for wireless power transfer
WO2014150649A1 (en) Electronic lock with selectable power sources
JP6185396B2 (ja) ウエアラブル型の小形電気機器
KR20160035750A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키 시스템
EP4233149A1 (en) Portable charging system with network capabilities
CN106301603A (zh) 驻波比调节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7564187B (zh) 无固定点借还移动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50054037A (ko) 공진주파수 가변방식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그 방법
TW202105882A (zh) 具遙控啟動充電功能的無線充電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