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242B1 - 압축기용 머플러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242B1
KR101454242B1 KR1020080126751A KR20080126751A KR101454242B1 KR 101454242 B1 KR101454242 B1 KR 101454242B1 KR 1020080126751 A KR1020080126751 A KR 1020080126751A KR 20080126751 A KR20080126751 A KR 20080126751A KR 101454242 B1 KR101454242 B1 KR 10145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er case
inner case
muffler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066A (ko
Inventor
김진국
이종목
조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2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6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sidebranch resonators, e.g. 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3Hermetic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60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given to material by treatment or manufacturing
    • F05B2280/6013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머플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머플러의 케이스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그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이에 액상으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는 단열재를 넣음으로써 압축기 밀폐용기의 내부온도가 상기 머플러의 소음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여 냉매의 흡입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가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이중벽 구조의 머플러가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흡입머플러, 이중벽, 소음공간, 단열재

Description

압축기용 머플러{MUFFLER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측에 설치되어 소음을 감쇄시키는 압축기용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머플러의 케이스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를 주입하여 열전달을 감소시키는 압축기용 머플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내부에 전동부와 그 전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압축부가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부의 흡입측에는 냉매가 압축부로 흡입될 때 발생되는 밸브타음이나 유동소음, 또는 압력맥동 등을 감쇄시키기 위한 흡입머플러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머플러는 냉매의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도록 소음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음공간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구획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소음공간은 필요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머플러는 압축기에 적용되는 형태에 따라 직접 흡입방식 또는 간접 흡입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접 흡입방식의 흡입머플러는 그 입구가 압축기의 밀폐용기에 관통 결합되는 흡입관에 밀접하게 배치되거나 일체로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소음공간으로 직접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간접 흡입방식은 상기 흡입관이 상기 흡입머플러의 입구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냉매가 상기 압축기의 밀폐용기의 내부공간을 거쳐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는 압축기의 운전시 그 밀폐용기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면서 냉매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흡입머플러는 그 케이스가 통상 단일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아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압축기의 흡입손실이 발생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압축기용 흡입머플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상기 흡입머플러의 단열효과를 높여 밀폐용기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머플러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챔버(chamber)가 형성되도록 밀봉 결합되는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밀봉결합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압축기용 머플러가 제공된다.
또,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주입공을 통해 그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액상의 단열재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단열재가 고형화되도록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압축기용 머플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머플러는, 상기 흡입머플러의 케이스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그 케이스의 사이에 열전달계수가 낮은 단열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압 축기 밀폐용기의 내부온도가 상기 흡입머플러의 소음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머플러의 소음공간으로 흡입된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냉매의 흡입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가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이중벽 구조의 머플러가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함에 따라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흡입머플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흡입머플러가 장착된 왕복동식 압축기는, 밀폐용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역회전을 하는 전동부(10)와, 상기 전동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그 전동부(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부(1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정속 모터이나 인버터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부(10)는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 프레임(2)으로 지지되어 탄력 설치되는 고정자(11)와, 상기 고정자(11)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12)와, 상기 회전자(12)의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압축부(20)에 전달하는 크랭크축(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부(20)는 소정의 압축공간(V1)을 형성하는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21)의 압축공간(V1)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 는 피스톤(22)과, 상기 피스톤(22)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크랭크축(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동부(10)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2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커넥팅로드(23)와, 상기 크랭크축(13)과 커넥팅로드(23)의 사이에 삽입되어 베어링역할을 하는 슬리브(24)와, 상기 실린더(21)의 선단에 결합되어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구비되는 밸브조립체(25)와, 상기 밸브조립체(25)의 흡입측에 결합되는 흡입머플러(26)와, 상기 밸브조립체(25)의 토출측을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토출커버(27)와, 상기 토출커버(27)에 연통되어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소음을 감쇄시키는 토출머플러(28)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왕복동식 압축기는, 상기 전동부(10)의 고정자(11)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고정자(11)와 회전자(12)의 상호작용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12)가 크랭크축(13)과 함께 회전을 하고, 상기 크랭크축(13)에 편심 결합된 상기 커넥팅로드(23)가 선회운동을 하며, 상기 커넥팅로드(23)에 결합된 상기 피스톤(24)이 실린더(21)에서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냉매는 상기 흡입머플러(26)의 소음공간으로 유입되어 소음진동이 감쇄되고, 이 냉매는 상기 실린더(21)의 압축공간(V1)으로 흡입되어 피스톤(22)에 의해 압축된 후 상기 토출커버(27)로 토출되며, 이 토출커버(27)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토출머플러(28)를 거쳐 냉동사이클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냉매가 밀폐용기(1)의 내부공간을 거치지 않고 상기 흡입머플러(26)의 소음공간(S1)으로 직접 흡입됨에 따라 냉매가 압축공간(V1)으로 흡입되기 전에 압축기 밀폐용기(1)의 내부공간에서 예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매의 흡입손실을 줄 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머플러(26)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머플러(26)에서의 단열효과가 배가되어 냉매의 흡입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2 및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머플러(26)는 냉매의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도록 소음공간(S1)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100)와, 상기 내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소정의 공간(S2)을 두고 감싸는 외부케이스(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케이스(1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흡입구멍이 형성되는 제1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의 상측을 복개하는 제2 내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부케이스(100)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제2 내부케이스(120)는 제1 내부케이스(110)의 개구된 상면을 복개하여 함께 소음공간(S1)을 형성하도록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와 제2 내부케이스(12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그 접합부위가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실링면(112)(122)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케이스(100)의 두께가 단차면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껍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의 접합부위 또는 제2 내부케이스(120)의 접합부위에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 띠 모양의 실링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그 실링돌기를 이용하여 단차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와 제2 외부케이스(120)는 금형에 넣고 그 접합부위를 이중사출 공법으로 몰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1 외부케이스(210)와,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의 상면을 복개하여 상기 내부케이스(100)와의 사이에 공기층(S2)을 밀봉 형성하는 제2 외부케이스(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제2 외부케이스(220)는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의 개구된 상면을 복개하여 상기 내부케이스(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밀봉 형성한다.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는 도 3에서와 같이 그 일측 저면에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의 제1 흡입구멍(113)과 연통되어 흡입안내관(300)이 삽입되도록 제2 흡입구멍(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흡입구멍(213)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실링돌기(114)가 삽입되어 실링면을 이루도록 환형의 제1 실링홈(214)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는 도 3에서와 같이 그 타측 저면에 상기 배유안내돌기(116)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21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215)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실링돌기(117)가 삽입되어 실링면을 이루도록 환형의 제2 실링홈(216)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외부케이스(220)는 그 상면 중앙에 상기 배출안내부(223)가 관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안내부(223)의 내주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안내부(223)가 시작되는 모서리 지점에는 후술할 배출안내관(4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3 실링돌기(411)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제3 실링홈(224)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는 도 4에서와 같이 그 접합부위가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실링면(211)(221)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두께가 단차면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껍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내부케이스(10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의 접합부위 또는 제2 외부케이스(220)의 접합부위에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 띠 모양의 실링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그 실링돌기를 이용하여 단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는 도 4에서와 같이 그 접합부위가 초음파 등을 이용한 융착작업을 통해 밀봉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를 별도의 금형에 넣고 몰딩재를 주입하여 이중사출 방법을 통해 몰딩으로 밀봉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230)는 몰딩시 몰딩액의 유동속도가 늦게 되면 밀봉부(230)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몰딩액의 유동속도가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를 감안하여 몰딩액의 주입압을 높일 경우에는 그 높은 주입압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적정 주입압 이상으로 몰딩액을 주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몰딩액이 신속하게 유동하면서 적정 주입압으로 몰딩액을 주입하기 위하여는 상기 몰딩액의 성분이 외부케이스(200)보다 점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유리섬유(fiber grass)를 포함한 폴리머 재질일 경우, 상 기 밀봉부(230)의 몰딩액은 외부케이스(200)의 몰딩액보다 유리섬유의 함유량이 낮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물론 내부케이스(100)도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강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또는 유리섬유가 함유된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230)가 이중사출 공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밀봉부(230)가 사출후 탈거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밀봉부(23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에 접촉면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의 접합부위 외주면에는 상기 밀봉부(2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부들(212)(222)이 각각 외주면을 따라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돌부들(212)(222)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들(212)(222)은 내부케이스(100)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접합부위에는 별도의 지지돌부들이 형성되지 않고 그 외주면에 상기와 같은 밀봉부(2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흡입안내관(300)은 도 3에서와 같이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입구멍(113)에 삽입되는 일단에는 그 제1 흡입구멍(113)의 내측면과 후술할 제1 외부케이스(210)의 제2 흡입구멍(213)의 외측면에 걸려 실링되도록 제1 실링턱(310)과 제2 실링턱(3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배출안내관(400)은 도 3에서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관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제1 관로부(410)와 제2 관로부(420)의 중간높이에서 횡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소음공간(S1)을 복수 개의 챔버(chamber)로 구획하도록 일종의 배플판을 이루는 플랜지부(4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로부(410)의 상단은 상기 제2 내부케이스(120)의 배출구멍(122)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외부케이스(220)의 배출안내부(223)에 마련된 실링홈(224)에 맞물리도록 제3 실링돌기(411)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안내관(400)은 그 하측 방향으로는 상기 플랜지부(430)의 일측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430)의 타측 저면이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에 지지되고, 상측 방향으로는 그 상단의 제3 실링돌기(411)가 제2 외부케이스(220)의 배출안내부(223)에 마련된 제3 실링홈(224)에 맞물려 결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안내관(400)은 내열성이나 내식성을 가지면서도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제작이나 조립을 고려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외부케이스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이에 간격을 두기 위한 간격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간격돌부가 내부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우를 보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와 제2 내부케이스(120)는 그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에 소정의 간격, 즉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간격돌부(111)가 리브형상 또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돌부(111)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간격돌부(111)는 도 6에서와 같이 후술할 외부케이스(200)의 주입공(218)으로 유입될 주입액이 상기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 전체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신속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공(218)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돌부(111)가 띠모양의 리브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간격돌부(111)가 주입공(218)을 기준으로 그 주입공(218)이 있는 부위와 그렇지 않은 부위로 양분하게 되면 상기 주입공(218)을 통해 주입될 주입액이 한 쪽에만 채워지고 다른 쪽에는 주입액이 채워지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간격돌부(111)는 주입공(218)이 있는 부위와 그렇지 않은 부위가 서로 연통되도록 양단을 갖는 리브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간격돌부(111)가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기능에 부합할 수 있는 모양, 즉 돌기모양으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돌부(111)는 내부케이스(100)의 외주면에 고르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가 접촉되어야 하는 부위가 속하는 면에는 굳이 간격돌부(111)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의 제1 흡입구멍(113)에 구비되는 제1 실링돌기(114)는 후술할 제1 외부케이스(210)의 제2 흡입구멍(213)에 구비되는 제1 실링홈(214)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1 흡입구멍(113)과 제2 흡입구멍(213)이 형성되는 면에는 별도 의 간격돌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의 타측 저면에도 제2 실링돌기(117)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의 제2 실링홈(216)에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간격돌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내부케이스(220)의 상면에도 그 제2 내부케이스(120)를 관통하는 배출안내관(400)의 끝단이 상기 제2 외부케이스(220)의 제3 실링홈(224)에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간격돌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돌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의 측벽면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내부케이스(100) 또는 외부케이스(20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 외부케이스(200)가 내부케이스(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눌러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간격돌부(111)가 내부케이스(100)의 외주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와 넓이만큼 경사지거나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케이스(100)의 접합부위가 눌려지도록 하는 힘이 그만큼 증가하게 되어 실링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S2)에는 공기층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접합부위에서의 실링상태가 불량할 경우 양측 케이스(100)(200) 사이의 공간(S2)으로 더운 냉매가 유입되어 공기층의 단열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 케이스(100)(200)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5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500)는 솜이나 스치로폼과 같은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흡입머플러(26)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할 때 액상으로 주입되어 고형화되 는 물질을 형성하는 것이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재(500)로는 탄성중합체인 PDMS(polydimethylsiloxane)가 사용될 수 있고, 공기보다 열전도계수가 낮은 재질이면 무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00)에는 액상의 단열재(500)를 상기 양쪽 케이스(100)(200) 사이의 공간(S2)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218)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공(218)은 한 개가 형성되는 것이 주입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의 공간(S2)이 복수 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공간(S2)마다에 주입공(218)들이 별개로 형성되어야 하고, 설사 한 개의 공간(S2)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각 부위를 고르게 주입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주입공(218)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7은 배유안내돌부, SP는 흡입관, V2는 토출공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흡입머플러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먼저,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와 제2 내부케이스(120)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를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안내관(300)과 배출안내관(400)을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한다.(ST1)
다음, 상기 배출안내관(400)을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에 조립하고 나서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와 제2 내부케이스(12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내부케이스(110)와 제2 내부케이스(120)의 접합부위는 그 실링면(112)(122)이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부케이스(100)를 완성한다.(ST2)
다음, 상기 내부케이스(100)를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에 삽입하고,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의 상단에 상기 제2 외부케이스(220)를 덮어 그 접합부위를 초음파 융착하거나 또는 별도의 금형에 넣고 몰딩하여 이중사출함으로써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의 접합부위에 상기 밀봉부(230)를 형성하여 외부케이스(20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1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간격돌부(111)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외부케이스(210)와 제2 외부케이스(220)가 조립될 때 그 간격돌부(111)가 상기 제1 내부케이스(210)와 제2 내부케이스(220)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200)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소정의 공간(S2)이 형성된다.(ST3)
다음, 상기 외부케이스(200)에 구비된 주입공(218)을 통해 PDMS와 같은 단열재(500)를 액상으로 주입한다.(ST4)
다음, 액상의 단열재(500)가 고형화될 수 있도록 노상에서 냉각시켜 상기 단열재(500)가 고상으로 상기 공간에 충진되도록 한다.(ST5)
이렇게 하여, 상기 흡입머플러가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달계수가 낮은 단열재가 충진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 밀폐용기의 내부온도가 상기 흡입머플러의 소음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의 흡입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흡입손실을 줄임으로써 압축기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상기 흡입머플러가 이중벽 구조인 경우 벽 사이에 단열재를 넣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한 냉매의출구온도를 검토한 그래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단열재를 넣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대략 3℃정도 출구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조립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부케이스와 제2 내부케이스는 상하 방향으로 조립하는 반면 상기 제1 외부케이스와 제2 외부케이스는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밀어서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인 구성과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머플러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단식 왕복동식 압축기는 물론 복식 왕복동식 압축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고, 직접 흡입식 외에 간접흡입식 왕복동식 압축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냉매가 적용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압축기용 머플러가 적용된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압축기용 머플러의 외부케이스를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머플러를 조립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4의 "A"부에 대한 각 실시예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2에 따른 머플러에서 간격돌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도 2에 따른 머플러의 조립순서를 보인 블록도,
도 8은 도 2에 따른 압축기용 머플러가 이중벽 구조인 경우, 그 벽면 사이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경우와 단열재를 충진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출구온도를 비교 검출한 값을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
100 : 내부케이스 110 : 제1 내부케이스
111 : 간격돌부 120 : 제2 내부케이스
200 : 외부케이스 210 : 제1 외부케이스
218 : 단열재 주입공 220 : 제2 외부케이스
300 : 흡입안내관 400 : 배출안내관
500 : 단열재

Claims (12)

  1.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챔버(chamber)가 형성되도록 케이스가 밀봉 결합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밀봉결합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단열재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간격돌부가 형성되는 압축기용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공기에 비해 열전도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축기용 머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운전온도에서 고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머플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돌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주입공과 연통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압축기용 머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그 내부공간이 밀봉되도록 복수 개의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스가 서로 접하는 면은 각각 적어도 1회 이상씩 단차지게 단차면이 형성되어 그 단차면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압축기용 머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그 내부공간이 밀봉되도록 복수 개의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스가 서로 접하는 면은 각각 적어도 1회 이상씩 단차지게 단차면이 형성되어 그 단차면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압축기용 머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복수 개의 케이스가 서로 접하는 접합부위의 외주면을 융착 또는 몰딩 결합하는 압축기용 머플러.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탄성중합체인 PDMS(polydimethylsiloxane)로 이루어지는 압축기용 머플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섬유(fiber grass)가 포함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기용 머플러.
  12. 삭제
KR1020080126751A 2008-12-12 2008-12-12 압축기용 머플러 KR10145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751A KR101454242B1 (ko) 2008-12-12 2008-12-12 압축기용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751A KR101454242B1 (ko) 2008-12-12 2008-12-12 압축기용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066A KR20100068066A (ko) 2010-06-22
KR101454242B1 true KR101454242B1 (ko) 2014-10-23

Family

ID=4236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751A KR101454242B1 (ko) 2008-12-12 2008-12-12 압축기용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8653B (zh) * 2020-06-12 2022-01-14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固态硅脂组合物及其使用方法、以及使用该组合物的压缩机壳体和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723Y1 (ko) * 1997-03-31 1999-06-15 윤종용 왕복동형 압축기
JP2001317325A (ja) * 2000-05-08 2001-11-16 Hiraoka Seisakusho:Kk エンジンのマフラー
JP2005334141A (ja) * 2004-05-25 2005-12-08 Tada Plastic Kogyo Kk 風呂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723Y1 (ko) * 1997-03-31 1999-06-15 윤종용 왕복동형 압축기
JP2001317325A (ja) * 2000-05-08 2001-11-16 Hiraoka Seisakusho:Kk エンジンのマフラー
JP2005334141A (ja) * 2004-05-25 2005-12-08 Tada Plastic Kogyo Kk 風呂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066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930E1 (en) Muffle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101279091B1 (ko) 내부 단열을 갖춘 밀폐형 압축기
CN102144095A (zh) 用于封闭式制冷压缩机的抽吸装置
KR101454242B1 (ko) 압축기용 머플러
KR20110123145A (ko) 밀폐형 압축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504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20064689A (ko) 냉각 컴프레서의 가스 배출 튜브를 절연하기에 적합한, 열 절연기, 및 가스 배출 튜브에 절연기를 조립하는 방법
KR101386482B1 (ko) 압축기용 머플러
JP2006144729A (ja) 密閉型圧縮機
EP2859236B1 (en) A compressor comprising a cylinder head
KR101996488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CN219432059U (zh) 压缩机及热交换设备
JP2002235667A (ja) 冷媒圧縮機
JPS63120887A (ja) 水冷却による密封型冷媒圧縮装置
KR10141484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JPS6350695A (ja) ロ−タリコンプレツサ
JPH03249392A (ja) 密閉形回転圧縮機
JP2015010529A (ja) 密閉型圧縮機
CN205036604U (zh) 压缩机
US20130224054A1 (en) Scroll compressor
CN112412740A (zh) 线性压缩机
KR20100129894A (ko)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012753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장치
KR900009048Y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흡입측 소음기 구조
CN112879120A (zh) 油底壳密封结构、方法、发动机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