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894A -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894A
KR20100129894A KR1020090048480A KR20090048480A KR20100129894A KR 20100129894 A KR20100129894 A KR 20100129894A KR 1020090048480 A KR1020090048480 A KR 1020090048480A KR 20090048480 A KR20090048480 A KR 20090048480A KR 20100129894 A KR20100129894 A KR 20100129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wer container
terminal
manufacturing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일
최용호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9894A/ko
Publication of KR2010012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밀폐용기의 하부 쪽을 형성하는 하부용기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하부용기의 제조과정에서는 고정브래킷과 같은 밀폐용기 주변의 부품이 하부용기와 일체로 다이캐스팅 되는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하부용기와 밀폐용기 주변 부품이 동시에 성형되어 밀폐용기 주변의 부품을 별도로 제조하거나 별도로 밀폐용기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밀폐형 압축기의 전체적인 제조공정이 간소화된다.
또 이와 같이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는 밀폐용기는 곡률이 심한 부위도 다른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기 용이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벽 두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되면서 진동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에 유리하게 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A HERMETIC TYPE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소음유발에 따른 제품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냉장고나 공기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에 채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용기를 통해 외관을 이루며, 밀폐용기 내부에는 냉매압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압축유닛이 설치된다.
구동유닛과 압축유닛 등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용기는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로 분리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는 통상 중공의 반구형태를 취하도록 강판을 소재로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하여 제조되며 내부에 상기 부품들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압축유닛은 실린더 및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축유닛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은 통상의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유닛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밀폐용기 한 쪽에는 터미널이 설치되며, 터미널 쪽 밀폐용기 외면에는 터미널의 보호를 위한 터미널브래킷이 설치된다. 터미널은 밀폐용기 한 쪽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상기 구멍에 둘레가 지지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브레이징 용접된다.
그리고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은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밀폐용기 내부에 수용되는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해 프레임과 밀폐용기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탄성부재의 설치를 위해 프레임의 바닥에는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보스부가 형성되고, 밀폐용기의 내부 바닥에는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또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냉장고나 공기조화기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를 채용하는 제품의 본체 바닥에 설치되는데, 밀폐형 압축기의 설치는 밀폐용기를 상기 본체 바닥에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고, 밀폐용기의 고정을 위해 상기 하부용기 양측 외면에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이 설치된다. 고정브래킷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브래킷과 상기 지지부재 및 터미널브래킷은 딥 드로잉 가공된 하부용기에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이중 고정브래킷(2)과 하부용기(1)가 프로젝션 용접되어 상호 고정된 구조가 도시된다. 미설명부호 3은 용접부위를 가리킨다.
또한 밀폐용기에는 냉매나 오일을 안내하기 위한 여러 개의 관이 결합된다. 먼저 밀폐용기 한 쪽에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밀폐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이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다른 한 쪽에는 밀폐용기 내부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관이 설치된다. 또 밀폐용기의 또 다른 한쪽에는 밀폐용기 내부로 오일이나 질소가스를 충진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세스관이 설치된다.
즉, 밀폐용기의 저부 바닥에는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의 습동부를 윤활시켜 습동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소정량의 오일이 충진되는데, 상기 프로세스관은 이러한 오일의 충진시에 이용된다. 오일은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가 밀폐된 상태의 밀폐용기 내부에 충진된다. 그리고 오일은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밀폐용기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오일에 혼합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 압축기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밀폐용기 내부는 진공상태를 이루어야 하고, 이때는 상기 프로세스관을 통해 밀폐용기 내부로 질소가스가 충진된다. 상기 흡입관과 토출관 및 프로세스관은 성형된 상태의 밀폐용기 일측에 브레이징 용접된다. 브레이징 용접을 위해 흡입관과 토출관 및 프로세스관이 설치되는 부위의 밀폐용기에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2에는 이중 하부용기(1)에 브레이징 용접된 흡입관(4)의 구조가 도시된다. 미설명 부호 5는 용접부위를 가리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련되는 종래 밀폐형 압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 소재를 딥 드로잉 가공하여 마련되는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상부용기와 하부용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 변화가 심한 부위의 벽 두께가 다른 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 등 전체적으로 벽 두께가 고르게 형성되기 어렵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밀폐용기의 벽 두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되지 못한 상태에서는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의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밀폐형 압축기를 제작할 때는 밀폐용기를 이루는 상부용기와 하부용기(1)를 딥 드로잉 가공하여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과 지지부재와 터미널브래킷을 밀폐용기에 프로젝션 용접하고, 또 상기 흡입관(4)과 토출관 및 프로세스관을 밀폐용기에 브레이징 용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종래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과정에서는 밀폐용기 주변의 부품이 대부분 밀폐용기에 용접되어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소음 증대에 따른 제품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압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압축유닛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고정을 위해 상기 하부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지지를 위해 상기 하부용기 내부 바닥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의 보호를 상기 터미널 주변의 밀폐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터미널브래킷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용기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지지부재와 터미널브래킷은 상기 하부용기의 다이캐스팅시 하부용기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밀폐용기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관과, 상기 밀폐용기 내 부로 충진되는 오일 및 질소가스를 안내하는 프로세스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관과 토출관과 프로세스관 및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부용기의 다이캐스팅시 상기 하부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어 상기 하부용기의 제조와 동시에 상기 하부용기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압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압축유닛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고정을 위해 상기 하부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지지를 위해 상기 하부용기 내부 바닥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의 보호를 상기 터미널 주변의 밀폐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터미널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하부용기를 제조하는 하부용기 제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지지부재와 터미널브래킷은 상기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와 일체로 다이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밀폐용기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관과,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충진되는 오일 및 질소가스를 안내하는 프로세스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관과 토출관과 프로세스관 및 상기 터미널은 상기 상기 하부용기의 제조와 동시에 상기 하부용기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하부용기의 제조를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하부용기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하부용기의 제조과정에서는 고정브래킷과 같은 밀폐용기 주변의 부품이 하부용기와 일체로 다이캐스팅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하부용기와 밀폐용기 주변 부품이 동시에 성형되어 밀폐용기 주변의 부품을 별도로 제조하거나 별도로 밀폐용기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밀폐형 압축기의 전체적인 제조공정이 간소화된다.
또 이와 같이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는 밀폐용기는 곡률이 심한 부위도 다른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기 용이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벽 두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되면서 진동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에 유리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를 통해 외관을 이루며, 밀폐용기(10) 내부에는 냉매압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0)과, 상기 구동유닛(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압축유닛(30)이 설치된다.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밀폐용기(10)는 상부용기(10a)와 하부용기(10b)로 분리 구성된다. 상부용기(10a)와 하부용기(10b)는 대략 중공의 반구 형태를 취하여 그 사이에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다.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은 프레임(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밀폐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데, 먼저 구동유닛(20)은 프레임(40)의 외곽에 고정되는 고정자(21)와, 고정자(21)와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으로 회전하도록 고정자(2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22)를 구비하는 통상의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자(21)의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밀폐용기(10) 일측에는 터미널(51)이 설치되고, 터미널(51)에는 오버로드프로텍터(미도시)와 기동릴레이(미도시) 등의 전장물이 조립된다. 터미널(51) 주변의 밀폐용기(10) 외면에는 상기 터미널(51)을 보호하기 위한 터미널브래킷(52)이 마련되고, 전장물(미도시)이 터미널(51)에 접속된 상태에서 터미널브래킷(52)에는 외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유닛(30)은 압축실(31a)을 구비하는 실린더블록(31)과, 압축실(31a) 내부에 직선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32)을 포함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압축실(31a) 일단은 내부에 냉매흡입실(33a)과 냉매토출실(33b)이 구획되게 형성된 실린더헤드(33)를 통해 밀폐되며, 압축유닛(30)은 실린더헤드(33)와 실린더블록(31)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흡입실(33a)을 통해 압축실(31a)로 흡입되거나 압축실(31a)로부터 냉매토출실(33b)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장치(34)를 더 구비한다.
구동유닛(20)의 구동력은 회전축(60)을 통해 압축유닛(30)으로 전달된다. 회전축(60)은 회전자(22)와 함께 회전하도록 일단 쪽이 회전자(22) 중앙에 압입되고, 회전축(60)의 타단에는 편심축(61)이 형성되며, 이러한 편심축(61)과 피스톤(32) 사이는 커넥팅로드(35)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정자(21)와 회전자(22) 간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으로 회전자(22)와 함께 회전축(60)이 회전하게 되면, 커넥팅로드(35)를 통해 편심축(61)의 편심 회전운동이 피스톤(32)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화되어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40)과 밀폐용기(10)의 바닥 사이에는 상기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71)가 설치된다. 탄성부재(70)의 설치를 위해 프레임(40)의 바닥에는 탄성부재(71)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보스부(41)가 형성되고, 밀폐용기(10)의 내부 바닥에는 탄성부재(71)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72)가 설치된다. 탄성부재(71)는 4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스부(41)와 지지부재(72) 역시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거친 냉매를 밀폐용기(10) 내부로 안내하도록 밀폐용기(10) 한 쪽에는 흡입관(81)이 연결되고, 압축유닛(30)에 의해 압축되어 밀폐용기(10)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도록 밀폐용기(10)의 다른 한 쪽에는 토출관(82)이 연결된다. 흡입관(81)에 안내되어 밀폐용기(1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실린더헤드(33)의 냉매흡입실(33a)을 거쳐 압축실(31a)로 흡입되어 압축되고, 압축실(31a)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린더헤드(33)의 냉매토출실(33b)로 토출되어 토출관(82)을 따라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쪽으로 안내된다.
또 밀폐용기(10)의 또 다른 한쪽에는 밀폐용기(10) 내부로 오일(a)이나 질소가스를 충진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세스관(83)이 설치된다(도 4참조). 밀폐용기(10)의 저부 바닥에는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의 습동부를 윤활시켜 습동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소정량의 오일(a)이 충진되고, 회전축(60)의 내부에는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러한 오일(a)을 상기 습동부로 안내하기 위한 오일통로(미도시)가 가공되는데, 상기 프로세스관(83)은 이러한 오일(a)의 충진시에 이용된다. 오일(a)은 상부용기(10a)와 하부용기(10b)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가 밀폐된 상태의 밀폐용기(10) 내부에 충진된다. 또 오일(a)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밀폐용기(10)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오일(a)에 혼합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 압축기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밀폐용기(10) 내부는 진공상태를 이루어야 하고, 이때는 상기 프로세스관(83)을 통해 밀폐용기(10) 내부로 질소가스가 충진된다.
흡입관(81)과 토출관(82) 및 프로세스관(83)의 일단은 밀폐용기(10)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고 타단은 밀폐용기(10) 외부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밀폐용 기(10) 외부 쪽 흡입관(81)의 단부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 쪽과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밀폐용기(10) 외부 쪽 토출관(82)의 단부에는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쪽과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밀폐용기(10) 외부 쪽 프로세스관(83)의 단부는 평소 실링캡(미도시)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냉장고나 공기조화기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를 채용하는 제품의 본체 바닥에 설치되는데, 밀폐형 압축기의 설치는 밀폐용기(10)를 상기 본체 바닥에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지고, 밀폐용기(10)의 고정을 위해 상기 하부용기(10b) 양측 외면에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90)이 설치된다. 고정브래킷(90)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냉장고 등의 본체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90)의 일측에는 방진고무(b)를 끼우기 위한 끼움공(92)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c는 지면을 가리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소음 증대에 따른 제품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상기 하부용기(10b)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며, 상기 고정브래킷(90)과 터미널브래킷(52)과 지지부재(72)는 이러한 하부용기(10b)의 다이캐스팅시 하부용기(10b)와 일체로 제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크게 상기 밀폐용기(10)를 제조하는 밀폐용기 제조단계와, 상기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의 구성들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제조하는 부품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기 제조단계는 상부용기(10a)를 제조하는 상부용기 제조단계와 하부용기(10b)를 제조하는 하부용기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는 데, 상기 하부용기(10b)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되고, 하부용기(10b)는 물론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90)과 터미널브래킷(52)과 지지부재(72)가 일체로 다이캐스팅 되도록 이러한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사용되는 금형의 성형공간은 하부용기(10b)를 성형하기 위한 부분과 고정브래킷을 성형하기 위한 부분과 터미널브래킷을 성형하기 위한 부분과 지지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부분을 구비하고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융시킨 용융금속을 상기 금형의 성형공간 내부로 주입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90)과 터미널브래킷(52) 및 지지부재(72)가 하부용기(10b)의 제조와 동시에 하부용기(10b)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90) 및 터미닐브래킷(52)과 지지부재(72)를 하부용기(10b)와 별도로 제조하거나 하부용기(10b)에 별도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전체적으로 제조공정이 간소화 된다. 도 5에는 이중 하부용기(10b)와 일체로 마련된 고정브래킷(90) 쪽 구조가 도시된다.
또 상기 상부용기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상부용기(10a)도 다이캐스팅 되는데, 이와 같이 밀폐용기(10)를 이루는 상부 및 하부용기(10a,10b)를 모두 다이캐이팅으로 제조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용기(10a)와 하부용기(10b)의 벽이 성형공간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게 되므로 상부 및 하부용기(10a,10b)가 전체적으로 고른 두께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용기(10)의 벽 두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되어 밀폐형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진동소음이 밀폐용기(10)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되어 소음 증대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제조공정이 보다 간소화되도록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기 흡입관(81)과 토출관(82)과 프로세스관(83) 및 터미널(51)이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하부용기(10b)의 제조와 동시에 하부용기(10b)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부용기(10b)의 제조를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된다.
즉, 상기 흡입관(81)과 토출관(82)과 프로세스관(83) 및 터미널(51)은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용융금속의 주입 전에 각각 하부용기(10b)의 벽을 형성하게 될 부위의 성형공간을 관통하도록 상기 금형에 미리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성형공간으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게 되면 용융금속을 통해 형성되는 하부용기(10b)의 벽에 상기 흡입관(81)과 토출관(82)과 프로세스관(83)의 중도와 상기 터미널(51)의 둘레가 감싸여지게 됨으로써 상기 흡입관(81)과 토출관(82)과 프로세스관(83) 및 터미널(51)이 하부용기(10b)의 제조와 동시에 하부용기(10b)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는 이 중 하부용기(10b)의 제조시 하부용기(10b)에 일체로 고정되는 흡입관(81)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은 종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하부용기에 대한 고정브래킷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하부용기에 대한 흡입관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하부용기 및 하부용기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일체로 고정되는 주변 부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고정브래킷 쪽 하부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흡입관 쪽 하부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밀폐용기 10a: 상부용기
10b: 하부용기 20: 구동유닛
30: 압축유닛 51: 터미널
52: 터미널브래킷 71: 탄성부재
72: 지지부재 81: 흡입관
82: 토출관 83: 프로세스관
90: 고정브래킷

Claims (4)

  1. 냉매압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압축유닛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고정을 위해 상기 하부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지지를 위해 상기 하부용기 내부 바닥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의 보호를 상기 터미널 주변의 밀폐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터미널브래킷을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지지부재와 터미널브래킷은 상기 하부용기의 다이캐스팅시 하부용기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밀폐용기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관과,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충진되는 오일 및 질소가스를 안내하는 프로세스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관과 토출관과 프로세스관 및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부용기의 다이 캐스팅시 상기 하부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어 상기 하부용기의 제조와 동시에 상기 하부용기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냉매압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의 압축작용을 수행하는 압축유닛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고정을 위해 상기 하부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구동유닛과 압축유닛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지지를 위해 상기 하부용기 내부 바닥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의 보호를 상기 터미널 주변의 밀폐용기 외면에 마련되는 터미널브래킷을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하부용기를 제조하는 하부용기 제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브래킷과 지지부재와 터미널브래킷은 상기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와 일체로 다이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밀폐용기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토출관과,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충진되는 오일 및 질소가스를 안내하는 프로세스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관과 토출관과 프로세스관 및 상기 터미널은 상기 상기 하부용기의 제조와 동시에 상기 하부용기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용기 제조단계에서 하부용기의 제조를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제조방법.
KR1020090048480A 2009-06-02 2009-06-02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9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80A KR20100129894A (ko) 2009-06-02 2009-06-02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80A KR20100129894A (ko) 2009-06-02 2009-06-02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94A true KR20100129894A (ko) 2010-12-10

Family

ID=4350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480A KR20100129894A (ko) 2009-06-02 2009-06-02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062A (zh) * 2019-11-19 2020-02-28 浙江科恩特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半封闭式制冷压缩机用电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062A (zh) * 2019-11-19 2020-02-28 浙江科恩特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半封闭式制冷压缩机用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930E1 (en) Muffle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10961995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mpressors and refrigerators
CN107339223A (zh) 线性压缩机
KR102259638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90041719A (ko) 리니어 압축기
KR20080030708A (ko) 밀폐형 압축기
KR10189785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010087971A (ko) 밀폐형 압축기
CN106979138B (zh) 密闭型制冷剂压缩机和制冷装置
KR20100129894A (ko)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JP6648342B2 (ja) 密閉型冷媒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2006336481A (ja) 密閉型圧縮機
KR101698084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70051063A (ko) 밀폐형 압축기
WO2014053368A1 (en) Compressor comprising connection member
KR100771909B1 (ko)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의 고정장치
JP2015105635A (ja) 圧縮機
KR101366566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1263432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539825B1 (ko)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고정장치
KR101466657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1854953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60136754A (ko) 밀폐형 압축기의 모 타 브 라켓 구조
KR20015400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충진파이프
KR101130472B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밸브 리테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