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953B1 - 왕복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953B1
KR101854953B1 KR1020140155453A KR20140155453A KR101854953B1 KR 101854953 B1 KR101854953 B1 KR 101854953B1 KR 1020140155453 A KR1020140155453 A KR 1020140155453A KR 20140155453 A KR20140155453 A KR 20140155453A KR 101854953 B1 KR101854953 B1 KR 10185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housing shell
unit
refrigeran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528A (ko
Inventor
임상현
박강균
손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9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9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쉘, 하우징 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 구동원과의 연결을 위해 하우징 쉘의 외측에 마련되는 전원부와 하네스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유닛,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통해 하우징 쉘 내에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 압축유닛과 연결되며, 하우징 쉘로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하우징 쉘 외부로 토출하는 흡토출유닛 및 하우징 쉘 내에 구비되며, 하네스를 고정하는 하네스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는 실린더 내에서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통해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는 방식으로 유체를 압축하는 장치를 말한다.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의 구동 방식에 따라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와 진동형 왕복동식 압축기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구동유닛의 회전축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 연결된 피스톤의 실린더 내에서의 왕복 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진동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에 연결되어 진동하는 피스톤의 실린더 내에서의 왕복 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85760호에 개시된다. 공보에 개시된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쉘, 하우징 쉘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구동유닛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며, 구동유닛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 및 냉매를 유입하며 압축유닛의 왕복 운동을 통해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흡토출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유닛에는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전압 인가를 인해 외부 구동원과 연결되는 하네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네스는 일반적으로 전원 와이어, 그라운드 와이어 및 신호 와이어 등의 복수 개의 와이어들을 포함하며, 하우징 쉘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압축기 구동시나 압축기 이동시, 하네스가 하우징 쉘 내에서 하우징 쉘 내벽에 부딪히거나 또는 하우징 쉘 내부에 기타 구조물들에 낄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하네스의 와이어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또는 와이어의 접촉 불량 등이 발생되어, 누전이나 단선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이러한 누전이나 단선 등으로 인해 압축기의 구동유닛의 구동 불량을 야기하여 압축기의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네스의 누전이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쉘; 상기 하우징 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 구동원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하우징 쉘의 외측에 마련되는 전원부와 하네스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하우징 쉘 내에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쉘로 냉매를 흡입하고 상기 압축유닛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상기 하우징 쉘 외부로 토출하는 흡토출유닛; 및 상기 하우징 쉘 내에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를 고정하는 하네스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하네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쌀 수 있다.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 쉘과 상기 압축유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유닛은 상기 압축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흡토출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흡토출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압축유닛 가까이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흡토출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하네스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상기 제1 고정부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흡토출유닛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내부 중공을 갖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 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장착되며, 상단부에서 상기 압축유닛과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단부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네스의 누전이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압축기의 하네스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하네스 고정부재를 통해 비산되는 오일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식품이나 약품 등을 저온에 보관하여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냉장고(1)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0),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0), 응축기(20)를 향하여 공기를 불어주기 위한 응축팬(25),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 중 수분, 이물 또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30), 드라이어(30)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팽창장치(40), 팽창장치(40)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하기 위한 증발기(50) 및 증발기(50)를 향하여 공기를 불어주기 위한 증발팬(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기(10)는, 냉장고(1)를 이루는 주요한 일 구성 중 하나로서, 구동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로터리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또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왕복동식 압축기로서, 특히,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압축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압축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압축기의 하네스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쉘(100), 하우징 쉘(100)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00), 구동유닛(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왕복운동을 통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300) 및 압축유닛(300)의 냉매 압축을 위한 냉매를 흡입함과 아울러 압축유닛(300)으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흡토출유닛(400)를 포함한다.
하우징 쉘(100)은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밀페 공간 내에 압축기(10)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하우징 쉘(1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쉘(110) 및 커버 쉘(160)을 포함한다.
베이스 쉘(110)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서, 커버 쉘(160)과 함께 앞선 구동유닛(200), 압축유닛(300), 토출유닛(400) 및 압축기(10)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베이스 쉘(110)에는 흡입 파이프(120), 토출 파이프(130), 프로세스 파이프(140) 및 전원부(150)가 구비된다.
흡입 파이프(120)는 하우징 쉘(100) 내부로 냉매를 유입시키며,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흡입 파이프(120)는 베이스 쉘(11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베이스 쉘(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파이프(130)는 하우징 쉘(100)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배출시키며,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토출 파이프(130) 또한 베이스 쉘(11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베이스 쉘(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파이프(130)에는 후술하는 흡토출유닛(400)의 토출 호스(43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흡입 파이프(120)로 유입되어 압축유닛(300)을 통해 압축된 냉매는 흡토출유닛(400)의 토출 호스(430)를 거쳐 토출 파이프(130)로 배출될 수 있다.
프로세스 파이프(140)는 하우징 쉘(100) 내부를 밀폐시킨 이후 하우징 쉘(100) 내부로 냉매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흡입 파이프(120) 및 토출 파이프(130)와 같이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전원부(150)는 압축유닛(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구동원(미도시)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전원부(150)는 하우징 쉘(100) 내에서 후술하는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는 하네스(800)와 연결된다.
커버 쉘(160)은 베이스 쉘(110)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베이스 쉘(110)과 같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쉘(160)은 베이스 쉘(110)의 상측에서 베이스 쉘(110)을 패키징하여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구동유닛(200)은, 스테이터(210, 220), 인슐레이터(230), 로터(240) 및 회전 샤프트(25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210, 220)는 구동유닛(200)의 구동 중 고정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스테이터 코어(210) 및 스테이터 코일(220)을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2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중공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10)는 외부로부터 구동유닛(200)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후술하는 스테이터 코일(220) 및 로터(240)와 함께 전자기력을 통한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한다.
스테이터 코일(220)은 스테이터 코어(210) 내측에 장착된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일(220)은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앞선 스테이터 코어(220) 및 로터(240)와 함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구동유닛(200)은 압축유닛(300)의 왕복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슐레이터(230)는 스테이터 코어(210)와 스테이터 코일(220) 사이에 배치되며, 스테이터 코어(210)와 스테이터 코일(22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왜냐하면, 스테이터 코일(220)이 스테이터 코어(2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경우, 스테이터 코일(220)로부터의 전자기력 발생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슐레이터(230)는 스테이터 코어(210)와 스테이터 코일(220) 사이에서 양자를 서로 소정 거리 이격시킨다.
로터(240)는 구동유닛(200)의 구동 중 회전되는 부분으로서, 스테이터 코일(220)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인슐레이터(230) 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로터(240)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로터(240)는 전압 인가시, 앞선 스테이터 코어(210) 및 스테이터 코일(220)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로터(240) 회전에 따른 회전력은 압축유닛(20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압축유닛(200)의 구동력은 로터(240)의 회전력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50)는 로터(240) 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장착되며, 로터(240)의 회전시 로터(240)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 샤프트(250)는 후술하는 커넥팅 로드(34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로터(24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 즉, 구동력이 압축유닛(300)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회전 샤프트(250)는 베이스 샤프트(252), 회전 플레이트(254) 및 편심 샤프트(256)를 포함한다.
베이스 샤프트(252)는 로터(240) 내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장착된다. 베이스 샤프트(252)는 로터(240)의 회전에 따라 로터(240)와 함께 회전 동작하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254)는 베이스 샤프트(250)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후술하는 실린더 블럭(310)의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편심 샤프트(256)는 회전 플레이트(25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편심 샤프트(256)는 베이스 샤프트(252)의 축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회전 플레이트(254)의 회전시 편심 회전된다. 편심 샤프트(256)에는 후술하는 커넥팅 로드(340)가 장착된다. 편심 샤프트(256)의 편심 회전에 따라, 커넥팅 로드(340)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압축유닛(300)은, 실린더 블럭(310), 커넥팅 로드(340), 피스톤(350) 및 피스톤 핀(370)을 포함한다.
실린더 블럭(310)은 구동 어셈블리(200), 더 구체적으로, 로터(240) 상측에 구비되게 하우징 쉘(100) 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린더 블럭(310)은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10) 및 실린더(330)를 포함한다.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10)는 실린더 블럭(310)의 저부에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254)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아울러,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10)에는 베이스 샤프트(250)가 관통될 수 있는 샤프트 개구(322)가 형성된다.
실린더(330)는 실린더 블럭(310)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피스톤(350)을 내부에서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그리고, 실린더(330)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는 압축 공간(C)이 형성된다.
실린더(33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소재로 인해 실린더(330)에는 로터(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실린더(330)에 전달되어 실린더(33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40)는 구동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피스톤(35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유닛(200)의 회전 샤프트(25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로드(340)는 회전 샤프트(250)의 회전시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커넥팅 로드(340)는 소결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350)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린더(330) 내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피스톤(350)은 커넥팅 로드(340)와 연결된다. 피스톤(350)은 커넥팅 로드(34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실린더(330)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피스톤(350)의 왕복 운동에 따라, 실린더(330) 내에는 흡입 파이프(120)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압축되는 전술한 압축 공간(C)이 형성된다.
피스톤(350)은 실린더(330)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330)와 마찬가지로, 로터(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피스톤(350)에 전달되어 피스톤(35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피스톤(350)은 실린더(33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실린더(330)와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짐에 따라, 압축기(10) 구동시, 고온(일반적으로, 대략 100℃)의 하우징 쉘(100) 내부 환경에서, 피스톤(350)은 실린더(330)와 거의 동일한 양만큼 열변형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330) 내에서의 피스톤(350)의 왕복 운동시, 피스톤(350)과 실린더(330)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 핀(370)은 피스톤(350)과 커넥팅 로드(34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핀(370)은 피스톤(350)과 커넥팅 로드(340)를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피스톤(350)과 커넥팅 로드(340)를 연결한다.
흡토출유닛(400)은, 머플러 조립체(410), 밸브 조립체(420), 토출 호스(430), 복수 개의 개스킷들(440, 450), 탄성부재(460) 및 클램프(470)를 포함한다.
머플러 조립체(410)는 흡입 파이프(120)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실린더(330)내부로 전달하고, 또한, 실린더(330)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 파이프(13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머플러 조립체(410)에는 흡입 파이프(120)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흡입 공간(S) 및 실린더(330)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 공간(D)이 마련된다.
밸브 조립체(420)는 흡입 공간(S)의 냉매를 실린더(330) 내부로 안내하거나 또는 실린더(330)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 공간(D)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밸브 조립체(420)의 전면에는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 공간(D)으로 내보내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 밸브(422)가 마련되며, 밸브 조립체(420)의 후면에는 흡입 공간(S)의 냉매를 실린더(330)의 압축 공간(C)으로 내보내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 밸브(426)가 마련된다. 즉, 밸브 조립체(420)의 전면에는 토출 밸브(422)가 구비되며, 밸브 조립체(420)의 후면에는 흡입 밸브(426)가 구비된다.
토출 밸브(422)와 흡입 밸브(426)의 개폐를 살펴 보면, 실린더(330) 내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의 토출시, 토출 밸브(422)는 개구되고 흡입 밸브(426)는 폐쇄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330) 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흡입 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고 토출 공간(D)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실린더(330) 내로 흡입 공간(S)으로 유입된 냉매의 흡입시, 토출 밸브(422)는 폐쇄되고 흡입 밸브(426)는 개구된다. 이에 따라, 흡입 공간(S)의 냉매는 토출 공간(D)으로 유입되지 않고 실린더(3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 호스(430)는 토출 공간(D)에 수용된 압축된 냉매를 토출 파이프(13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머플러 조립체(410)에 구비된다. 토출 호스(430)의 일단부는 토출 공간(D)에 연통되도록 머플러 조립체(410)에 장착되며, 토출 호스(430)의 타단부는 토출 파이프(130)에 연통되게 장착된다.
복수 개의 개스킷들(440, 450)은 냉매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조립체(420)에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개스킷들(440, 450)은 제1 개스킷(440) 및 제2 개스킷(450)을 포함한다. 제1 개스킷(440)은 밸브 조립체(420)의 전방에 장착되며, 제2 개스킷(450)은 밸브 조립체(420)의 후방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1 개스킷(440) 및 제2 개스킷(450)은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탄성부재(460)는 압축기(10)의 구동시, 머플러 조립체(4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플러 조립체(410)의 전방에 장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460)는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470)는 밸브 조립체(420), 제1 개스킷(440), 제2 개스킷(450) 및 탄성부재(460)를 머플러 조립체(410)에 고정한다. 클램프(470)는 대략 삼발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류부재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머플러 조립체(410)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압축기(10)는, 복수 개의 댐퍼부재들(500, 550, 600, 650), 밸런스 웨이트(700), 하네스(800) 및 하네스 고정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복수 개의 댐퍼부재들(500, 550, 600, 650)은 압축기(10) 구동시 발생되는 내부 구조물들의 진동 등을 완충시킨다. 이러한 복수 개의 댐퍼부재들(500, 550, 600, 650)은, 전방 댐퍼(500), 후방 댐퍼(550) 및 하측 댐퍼들(600, 650)을 포함한다.
전방 댐퍼(500)는 압축유닛(300) 및 흡토출유닛(400)의 진동을 완충시키며, 실린더 블럭(310) 및 머플러 조립체(410)의 전방 상측에 장착된다. 이때, 전방 댐퍼(500)는 체결 수단을 통해 실린더 블럭(310) 및 머플러 조립체(4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댐퍼(5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 댐퍼(550)는 압축유닛(300)의 진동을 완충시키며, 실린더 블럭(310)의 후방 상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후방 댐퍼(550), 또한, 전방 댐퍼(550)와 같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댐퍼들(600, 650)은 구동유닛(200)의 진동을 완충시키며,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하측 댐퍼들(600, 650)는 하측 전방 댐퍼(600) 및 하측 후방 댐퍼들(650)을 포함한다.
하측 전방 댐퍼(600)는 구동유닛(200)의 전방측 진동을 완충시키며, 스테이터 코어(210)의 전방 하측에 장착된다. 하측 후방 댐퍼들(650)은 구동유닛(200)의 후방측 진동을 완충시키며, 스테이터 코어(210)의 후방 하측에 장착된다.
밸런스 웨이트(700)는 구동유닛(200)의 회전 샤프트(250) 회전시 회전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팅 로드(340) 상측에서 회전 샤프트(250)의 편심 샤프트(256)에 결합된다.
하네스(800)는 복수 개의 와이어들을 포함하며, 구동유닛(200)으로의 전압 인가를 위해 전원부(150)와 구동유닛(200)을 연결한다. 복수 개의 와이어들은 전원 와이어, 그라운드 와이어, 신호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네스(800)의 단부에는 전원부(150)와 결합되는 커넥터(820)가 구비된다.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하네스(8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쉘(100) 내에서 하네스(800)의 위치를 고정한다. 하네스(800)는 하네스(800)의 하우징 쉘(100) 내벽에 부딪히거나 또는 하우징 쉘(100) 내부에 구비된 압축기(10)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에 낄 수 있다. 이 경우, 하네스(800)는 와이어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또는 와이어의 접촉 불량 등으로 와이어의 누전이나 단선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고정부재(100)는 하네스(800)의 위치를 제어하여 전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고정부재(10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하우징 쉘(100)과 압축유닛(300) 사이에 배치되며, 머플러 조립체(410)에 구비된다. 이때, 하네스 고정부재(100)는 머플러 조립체(41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하네스(800)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며, 제1 고정부(1100) 및 제2 고정부(120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100)는 머플러 조립체(410)에 장착되며, 회전 샤프트(250)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340) 가까이에 배치된다. 제1 고정부(1100)는 대략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머플러 조립체(41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00)는 머플러 조립체(410)에 장착되며, 제1 고정부(1100)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이격 배치를 통해, 제1 고정부(1100) 및 제2 고정부(1200) 사이에는 하네스(8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된다.
제2 고정부(1200)는 머플러 조립체(410)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고정부(1100)에 대해 큰 이격 거리를 갖도록 제1 고정부(1100)로부터 소정 각도로 만곡 형성된다. 즉,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 고정부(1100)와 제2 고정부(1200)는 벌어진 집게 형상을 갖도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제1 고정부(1100) 및 제2 고정부(1200) 사이에서 하네스(8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하네스(8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기타 다른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하네스(8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머플러 조립체(410) 이외의 기타 다른 구조물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하네스 고정부재(1000)를 통해 하네스(800)가 하우징 쉘(800) 내에 부딪히거나 또는 하우징 쉘(800) 내부의 기타 다른 구조물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네스(800)의 와이어 누전이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하네스(800)의 누전이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구동유닛(200)의 구동 불량을 방지하여 압축기(10)의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이외에도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비산되는 오일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또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하네스 고정부재를 통해 비산되는 오일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는 하네스 고정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 압축기(12)의 부분 단면도가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압축기(12)의 경우, 구동유닛(70) 구동시, 회전 샤프트(75)에서 오일이 비산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75)에는 원할한 회전을 위해 오일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오일이 회전 샤프트(75) 회전시 회전 샤프트(75)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종래 압축기(12)에서는 비산되는 오일이 하우징 쉘(65)의 측내벽에 부딪혀 흡입 파이프(80) 측으로 떨어져 흡입 파이프(8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흡입 파이트(80) 내로 오일이 유입될 경우, 압축기(12)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와 섞이게 되어 압축기(12)의 압축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고정부재(1000)를 구비하는 압축기(10)의 부분 단면도가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의 경우, 종래와 같이 구동유닛(200)의 회전 샤프트(250)에서 오일이 비산될 수 있다. 이때, 비산되는 오일은 하우징 쉘(100)의 측내벽 대신에 우선적으로 회전 샤프트(250)에 인접 배치되는 하네스 고정부재(1000)로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비산되는 오일이 하네스 고정부재(1000)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흡입 파이프(120) 측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고정부재(1000)는 비산되는 오일을 가이드하여, 비산되는 오일의 흡입 파이프(120) 측으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냉장고 10: 압축기
100: 하우징 쉘 200: 구동유닛
300: 압축유닛 400: 흡토출유닛
500: 전방 댐퍼 550: 후방 댐퍼
600, 650: 하측 댐퍼들 700: 밸런스 웨이트
800: 하네스 1000: 하네스 고정부재

Claims (9)

  1. 전원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쉘;
    상기 하우징 쉘의 측벽에 배치되는 흡입 파이프;
    상기 하우징 쉘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 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포함되는 구동유닛;
    상기 전원부와 상기 구동유닛을 연결하는 하네스;
    상기 구동유닛의 상측에 구비되며, 냉매의 압축공간을 가지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압축유닛;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간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구 및 상기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 토출구를 가지는 머플러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쉘과 상기 압축유닛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하네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네스가 상기 하우징 쉘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네스 고정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압축유닛과 연결되는 상부를 가지며,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비산되는 오일을 차단하여, 상기 오일이 상기 흡입 파이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조립체는 상기 압축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머플러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왕복동식 압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V” 형상을 가지는 왕복동식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에는,
    상기 머플러 조립체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머플러 조립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1,2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네스가 위치하는 수용공간이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고정부재는 상기 머플러 조립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8. 삭제
  9. 삭제
KR1020140155453A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5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453A KR101854953B1 (ko)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453A KR101854953B1 (ko)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28A KR20160055528A (ko) 2016-05-18
KR101854953B1 true KR101854953B1 (ko) 2018-05-04

Family

ID=5611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453A KR101854953B1 (ko)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9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2155B2 (ja) * 1989-11-09 199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動圧縮機のリード線保護具
US20130330214A1 (en) * 2010-05-04 2013-12-12 Acc Austria Gmbh Discharge silencer for a hermetically encapsulated refrigerant compres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2155B2 (ja) * 1989-11-09 199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動圧縮機のリード線保護具
US20130330214A1 (en) * 2010-05-04 2013-12-12 Acc Austria Gmbh Discharge silencer for a hermetically encapsulated refrigerant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28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5497A (ko)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KR10215657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0267301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8561521B2 (en) Linear compressor
US20170321684A1 (en) Linear compressor
KR10189785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0180131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10677234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85628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20180031280A1 (en) Hermetic refrigerant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KR101854953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425390B1 (ko) 왕복동식 압축기
JP2017145787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装置
KR10207374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1423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45584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19896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1434887B2 (en) Linear compressor with suction guide and suction muffler
EP3587814B1 (en) Linear compressor
KR10185495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60055496A (ko)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93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220092022A (ko) 리니어 압축기
KR10199039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JP2005054580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