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584B1 - 왕복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584B1
KR101845584B1 KR1020140155389A KR20140155389A KR101845584B1 KR 101845584 B1 KR101845584 B1 KR 101845584B1 KR 1020140155389 A KR1020140155389 A KR 1020140155389A KR 20140155389 A KR20140155389 A KR 20140155389A KR 101845584 B1 KR101845584 B1 KR 10184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ischarge
cylinder
refrigerant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499A (ko
Inventor
박강균
최재영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584B1/ko
Priority to CN201510751648.7A priority patent/CN105587598B/zh
Priority to EP15193705.9A priority patent/EP3023640A1/en
Priority to EP19161036.9A priority patent/EP3514386B1/en
Priority to US14/937,505 priority patent/US10180131B2/en
Publication of KR2016005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58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하우징 쉘; 상기 하우징 쉘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피스톤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실린더를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 쉘로 흡입되는 냉매를 상기 실린더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실린더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하우징 쉘 밖으로 내보내는 흡토출유닛; 및 상기 흡토출유닛의 전방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압축유닛과 장착되어 상기 흡토출유닛을 상기 압축유닛에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는 실린더 내에서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통해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는 방식으로 유체를 압축하는 장치를 말한다.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의 구동 방식에 따라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와 진동형 왕복동식 압축기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구동유닛의 회전축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 연결된 피스톤의 실린더 내에서의 왕복 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진동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에 연결되어 진동하는 피스톤의 실린더 내에서의 왕복 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0-0085760호에 개시된다. 공보에 개시된 연결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쉘, 하우징 쉘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구동유닛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며, 구동유닛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 및 하우징 쉘 외부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실린더로 전달하고 실린더에서 압축된 냉매를 하우징 쉘 외부로 토출하는 흡토출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흡토출유닛은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에 밀착되어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압축기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구성품을 실린더에 장착한다.
그러나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압축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에 의해 흡토출유닛과 압축유닛이 일체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는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하우징 쉘; 상기 하우징 쉘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피스톤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실린더를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 쉘로 흡입되는 냉매를 상기 실린더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실린더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하우징 쉘 밖으로 내보내는 흡토출유닛; 및 상기 흡토출유닛의 전방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압축유닛과 장착되어 상기 흡토출유닛을 상기 압축유닛에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흡토출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압축유닛에 체결되는 다수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는 3개의 브릿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브릿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브릿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 브릿지 및 상기 레그 브릿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압축유닛에 장착되는 마운트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압축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마운트 브릿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토출유닛은, 상기 실린더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구 및 상기 실린더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토출구가 형성되는 흡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흡토출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토출유닛은, 상기 흡토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쉘로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 및 상기 흡토출부와 연결되며, 압축된 냉매를 상기 하우징 쉘 밖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머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3개의 브릿지부 중에서 하나의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토출 머플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토출유닛은, 상기 흡토출부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단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흡토출부 및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실린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토출유닛은, 상기 클램프를 마주보게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흡토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클램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머플러 조립체와 상기 실린더가 서로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는 상기 압축유닛에 안착되는 다수의 마운트 브릿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는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프를 이용하여 다수의 부재를 일체로 실린더 블록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부재를 연결하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요하지 않으므로, 구성 요소 간의 결합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운트 브릿지의 형상을 각각 달리 함으로써 클램프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왕복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왕복동식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의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흡토출유닛과 머플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흡토출유닛과 머플러 조립체가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쉘(100)은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밀페 공간 내에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 쉘(1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쉘(100)은, 베이스 쉘(110) 및 커버 쉘(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쉘(110) 및 커버 쉘(160)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서,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쉘(110)에는 흡입 파이프(120)와, 토출 파이프(130) 및 프로세스 파이프(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20)는 상기 하우징 쉘(100)의 내부로 냉매를 유입시키며, 상기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20)는 상기 베이스 쉘(11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쉘(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30)는 상기 하우징 쉘(100)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배출시키며, 상기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30) 또한 상기 베이스 쉘(11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쉘(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40)는 상기 하우징 쉘(100) 내부를 밀폐시킨 이후 상기 하우징 쉘(100) 내부로 냉매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 파이프(120) 및 토출 파이프(130)와 같이 상기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상기 베이스 쉘(110)에 구비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하우징 쉘(100)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쉘(110)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 2은 도 1의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의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상기 하우징 쉘(100) 내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상기 구동유닛(200)의 구동 중 고정되어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스테이터 코어(210)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 내측에 장착되는 스테이터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 및 스테이터 코일(220)을 통칭하여 “스테이터” 라 이름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은 상기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테이터 코어(220) 및 후술할 로터(240)와 함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와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23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와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왜냐하면,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경우,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로부터의 전자기력 발생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슐레이터(23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와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 사이에서 양자를 서로 소정 거리 이격시킨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상기 구동유닛(200)의 구동 중 회전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로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240)는, 상기 스테이터 코일(22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로터(240)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240)는 전압 인가 시,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 및 스테이터 코일(220)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터(240) 회전에 따른 회전력은 후술할 압축유닛(30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유닛(300)의 구동력은 상기 로터(240)의 회전력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상기 로터(240) 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장착되는 회전 샤프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샤프트(250)는 상기 로터(240)의 회전시 로터(240)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250)는 베이스 샤프트(252), 회전 플레이트(254) 및 편심 샤프트(2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샤프트(252)는 상기 로터(240) 내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샤프트(252)는 상기 로터(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240)와 함께 회전 동작하게 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254)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250)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후술하는 실린더 블록(310)의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편심 샤프트(256)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25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 샤프트(256)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252)의 축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254)의 회전시 편심 회전된다. 상기 편심 샤프트(256)에는 후술하는 커넥팅 로드(340)가 장착된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상기 하우징 쉘(100) 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닛(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왕복운동을 통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유닛(300)은, 상기 로터(24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실린더 블록(31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블록(310)은 상기 실린더 블록(310)의 저부에 형성되는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20) 및 상기 실린더 블록(31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실린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20)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254)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 플레이트 안착부(320)에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250)가 관통될 수 있는 샤프트 개구(322)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330)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후술할 피스톤(3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소재로 인해 상기 실린더(330)에는 상기 로터(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로터(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실린더(330)에 전달되어 상기 실린더(33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유닛(300)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피스톤(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50)은 상기 실린더(330) 내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상기 피스톤(350)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330) 내에는 상기 흡입 파이프(120)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공간(C)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 공간(C)은, 상기 실린더(33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상기 피스톤(350)과 후술할 밸브 조립체(420) 사이 간격부에 냉매가 유동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피스톤(350)은 실린더(330)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린더(33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터(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피스톤(350)에 전달되어 상기 피스톤(35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350)은 상기 실린더(33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330)와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짐에 따라,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 구동시, 고온(일반적으로, 대략 100℃)의 상기 하우징 쉘(100) 내부 환경에서, 상기 피스톤(350)은 상기 실린더(330)와 거의 동일한 양만큼 열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330) 내에서의 상기 피스톤(350)의 왕복 운동시, 상기 실린더(330)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유닛(300)은, 상기 구동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상기 피스톤(350)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 로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340)는 소결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340)의 일측은 상기 회전 샤프트(250)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240)에서 전달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로드(340)는 상기 편심 샤프트(256)의 편심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 커넥팅 로드(340)의 타측은 상기 피스톤(350)과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350)은 커넥팅 로드(34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330)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 압축유닛(300)은, 상기 피스톤(350)과 상기 커넥팅 로드(340)를 결합시키기 위한 피스톤 핀(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 핀(370)은 상기 피스톤(350)과 상기 커넥팅 로드(340)를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350)과 상기 커넥팅 로드(34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상기 하우징 쉘(10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유닛(300)의 냉매 압축을 위한 냉매를 흡입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유닛(300)으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흡토출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토출유닛(4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압축유닛(30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또는 전면부라 함은, 상기 압축유닛(300)으로부터 상기 흡토출유닛(40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또는 배면부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라 함은 X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X축의 음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의 규정은, 명세서 전반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흡토출유닛(400)은, 머플러 조립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는 상기 흡입 파이프(120)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상기 실린더(330)내부로 전달하고, 또한, 상기 실린더(330)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13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에는 상기 흡입 파이프(120)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흡입 공간(S) 및 상기 실린더(330)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 공간(D)이 마련된다.
상기 흡토출유닛(400)은, 상기 실린더(330)와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조립체(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420)는 흡입 공간(S)의 냉매를 실린더(330) 내부로 안내하거나 또는 실린더(330)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 공간(D)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밸브 조립체(420)의 전면에는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 공간(D)으로 내보내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 밸브(422)가 마련되며, 밸브 조립체(420)의 배면에는 흡입 공간(S)의 냉매를 실린더(330)의 압축 공간(C)으로 내보내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 밸브(426)가 마련된다. 즉, 밸브 조립체(420)의 전면에는 토출 밸브(422)가 구비되며, 밸브 조립체(420)의 배면에는 흡입 밸브(426)가 구비된다.
토출 밸브(422)와 흡입 밸브(426)의 개폐를 살펴 보면, 실린더(330) 내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의 토출시, 토출 밸브(422)는 개구되고 흡입 밸브(426)는 폐쇄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330) 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흡입 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고 토출 공간(D)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실린더(330) 내로 흡입 공간(S)으로 유입된 냉매의 흡입시, 토출 밸브(422)는 폐쇄되고 흡입 밸브(426)는 개구된다. 이에 따라, 흡입 공간(S)의 냉매는 토출 공간(D)으로 유입되지 않고 실린더(3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유닛(400)은,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토출 호스(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호스(430)는 상기 토출 공간(D)에 수용된 압축된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130)로 전달하는 중간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호스(430)의 일단부는 상기 토출 공간(D)에 연통되도록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 호스(430)의 타단부는 상기 토출 파이프(130)에 연통되게 장착된다.
상기 흡토출유닛(400)은,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와 상기 밸브 조립체(4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개스킷(440) 및 상기 밸브 조립체(420)와 상기 실린더(330)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440, 450)은 냉매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 1 개스킷(440) 및 제 2 개스킷(450)은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왕복동식 압축기(10) 구동시 발생되는 내부 구조물들의 진동 등을 완충시키는 전방 댐퍼(500), 후방 댐퍼(550) 및 하측 댐퍼(600, 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댐퍼(500)는 상기 흡토출유닛(400)의 진동을 완충시키며, 머플러 조립체(410)의 전방 상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전방 댐퍼(5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방 댐퍼(550)는 상기 압축유닛(300)의 진동을 완충시키며, 상기 실린더 블록(310)의 후방 상측에 장착된다. 상기 후방 댐퍼(550), 또한, 상기 전방 댐퍼(550)와 같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 댐퍼(600, 650)는 상기 구동유닛(200)의 진동을 완충시키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댐퍼들(600, 650)는 하측 전방 댐퍼(600) 및 하측 후방 댐퍼들(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전방 댐퍼(600)는 상기 구동유닛(200)의 전방측 진동을 완충시키며,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의 전방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하측 후방 댐퍼(650)는 상기 구동유닛(200)의 후방측 진동을 완충시키며,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의 후방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10)는, 상기 커넥팅 로드(340) 상측에서 상기 편심 샤프트(256)에 결합되는 밸런스 웨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700)는 상기 회전 샤프트(250) 회전시 회전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토출유닛(400)의 전방에는 클램프(47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470)는 대략 삼발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70)는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310)과 장착되어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 밸브 조립체(420), 제 1 개스킷(440), 제 2 개스킷(450)을 상기 실린더(330)에 고정한다.
이하, 상기 클램프(47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의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470)는, 상기 흡토출유닛(400, 도 2 참조)의 전방에 배치되는 본체부(47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471)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湛?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47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램프(470)는 상기 본체부(471)로부터 상기 실린더(330, 도 2 참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각각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는 상기 본체부(47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471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는 상기 테두리부(471a)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는 후술할 다수의 체결홀(314, 316, 318, 도 6 참조)이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체결홀(314, 316, 318)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는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70)는 각각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로부터 연장되는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는 상기 본체부(471)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47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는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470)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6 이하에서 후술한다.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에는 관통홀(474a, 476a, 478a)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관통홀(474a, 476a, 478a)에는 후술할 체결부재(484, 486, 488, 도 6 참조)가 관통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470)가 상기 실린더 블록(310, 도 6 참조)에 장착된다.
상기 다수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와 상기 다수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를 통칭하여 “다수의 브릿지부”라 이름할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부는 어느 하나의 레그 브릿지와 그로부터 연장되는 어느 하나의 마운트 브릿지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레그 브릿지(473)와 상기 레그 브릿지(473)로부터 연장하는상기 마운트 브릿지(474)를 합하여 제 1 브릿지부라 이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클램프(470)를 이용하여 상기 흡토출유닛(400, 도 6 참조)을 상기 실린더 블록(310, 도 6 참조)에 고정시키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흡토출유닛과 머플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470)와 상기 실린더 블록(310) 사이에는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와, 상기 제 1 개스킷(440)과, 상기 밸브 조립체(420)와, 상기 제 2 개스킷(450)이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는 상기 실린더(330)로 냉매를 공급하거나 상기 실린더(330)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흡토출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1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11)의 배면부(412)는 상기 실린더(330)의 개구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면부(412)는 상기 제 1 개스킷(440)과 접촉한다. 상기 배면부(4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11)의 배면부(412)에는 상기 실린더(330)로 냉매를 공급하는 통로인 냉매 공급구(413) 및 상기 실린더(330)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통로인 냉매 토출구(414)가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는 상기 흡토출부(411)의 일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쉘(100)의 내부로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416)는 내부에 상기 흡입 공간(S, 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 공간(S)에 수용된 냉매는 상기 냉매 공급구(413)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330)로 공급 될 수 있다.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는 상기 흡토출부(411)의 타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330)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하우징 쉘(100) 밖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 머플러(4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머플러(418) 내부에는 상기 토출 공간(D, 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33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냉매 토출구(414)를 통하여 상기 토출 공간(D)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416) 및 상기 토출 머플러(418)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머플러(416) 및 상기 토출 머플러(418)는 상기 흡토출부(411)의 외주면(415)에서 서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11)의 외주면(415)에는 상기 개스킷(440)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돌출부(415a, 41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415a, 415b)는 제 1 돌출부(415a) 및 제 2 돌출부(415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돌출부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70)는 다수의 체결부재(484, 486, 488)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484, 486, 488)가 삽입되는 다수의 체결홀(314, 316, 3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가 상기 실린더 블록(310)의 단면부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는 상기 각각의 관통홀(474a, 476a, 478a)이 차례로 상기 다수의 체결홀(314, 316, 318)과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484, 486, 488)는 상기 각각의 관통홀(474a, 476a, 478a)을 관통하여 상기 다수의 체결홀(314, 316, 318)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는 상기 클램프(47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마운트 브릿지(474, 476, 478)는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관통홀(474a, 476a, 478a)은 차례로 상기 다수의 체결홀(314, 316, 318)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토출부(411)의 전면부(419)에는 상기 머플러 조립체(41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46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60)는 상기 클램프(470)의 본체부(47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60)는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70)가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장착되면, 상기 탄성부재(460)의 일측은 상기 전면부(41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460)의 타측은 상기 본체부(47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흡토출부(411)와 상기 실린더(330)가 서로 밀착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흡토출유닛과 머플러 조립체가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470)가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클램프(470)의 상기 흡토출부(411)를 감싸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471)는 상기 흡토출부(411)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부(419, 도 6 참조)에 접촉하고, 상기 다수의 레그 브릿지(473, 475, 477)는 상기 흡토출부(411)의 외주면(415, 도 6 참조)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그 브릿지(473)는 상기 제 1 돌출부(415a)와 상기 흡입 머플러(416)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레그 브릿지(475)는 제 2 돌출부(415b)와 상기 토출 머플러(418)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 3 레그 브릿지(477)는 상기 흡입 머플러(416)와 상기 토출 머플러(418) 사이에 구비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압축기(10, 도 1 참조)는 다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상기 흡토출유닛(400, 도 2 참조)을 상기 클램프(470)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부재를 연결하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압축기(10)의 구성 요소 간의 결합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압축기
100: 하우징 쉘
200: 구동유닛
300: 압축유닛
400: 흡토출유닛

Claims (23)

  1. 하우징 쉘;
    상기 하우징 쉘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의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구 및 상기 실린더에서 압축된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 토출구를 가지는 흡토출부;
    상기 흡토출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흡토출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흡토출부를 상기 실린더측으로 가압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브릿지부가 구비되는 클램프가 포함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본체부와 상기 흡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본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흡토출부의 전면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클램프의 본체부에 지지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는 왕복동식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실린더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 브릿지가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에는,
    상기 레그 브릿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체결공이 형성되는 마운트 브릿지가 더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운트 브릿지는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에 체결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흡토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토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토출부로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 및
    상기 흡토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쉘 밖으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머플러가 더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중에서 하나의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토출 머플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흡토출부 사이에 구비되며, 흡입밸브 및 토출밸브가 구비되는 밸브 조립체 및 개스킷이 더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흡토출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개스킷을 장착하기 위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더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부에는, 제 1 내지 제 3 브릿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브릿지부는 상기 토출 머플러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토출 머플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제 1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브릿지부는 상기 토출 머플러와 상기 제 2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9. 냉매의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구 및 상기 실린더에서 압축된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 토출구를 가지는 흡토출부;
    상기 실린더와 상기 흡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밸브 및 토출밸브가 구비되는 밸브 조립체;
    상기 흡토출부와 상기 밸브 조립체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개스킷;
    상기 밸브 조립체와 상기 실린더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개스킷;
    상기 흡토출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흡토출부, 상기 밸브 조립체, 상기 제 1 개스킷 및 상기 제 2 개스킷을 상기 실린더에 밀착시키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와 상기 흡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흡토출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흡입 머플러 및 토출 머플러가 더 포함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실린더에 체결되는 3개의 브릿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3개의 브릿지부 중 하나의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토출 머플러가 서로 인접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왕복동식 압축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흡토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개스킷을 장착하기 위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3 개의 브릿지부 중 다른 하나의 브릿지부는 상기 흡입 머플러와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또 다른 하나의 브릿지부는 상기 토출 머플러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23. 삭제
KR1020140155389A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4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389A KR101845584B1 (ko)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CN201510751648.7A CN105587598B (zh) 2014-11-10 2015-11-06 往复式压缩机
EP15193705.9A EP3023640A1 (en) 2014-11-10 2015-11-09 Reciprocating compressor
EP19161036.9A EP3514386B1 (en) 2014-11-10 2015-11-09 Reciprocating compressor
US14/937,505 US10180131B2 (en) 2014-11-10 2015-11-10 Reciprocating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389A KR101845584B1 (ko)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748A Division KR101897939B1 (ko) 2018-02-12 2018-02-12 왕복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99A KR20160055499A (ko) 2016-05-18
KR101845584B1 true KR101845584B1 (ko) 2018-04-04

Family

ID=5611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389A KR101845584B1 (ko) 2014-11-10 2014-11-10 왕복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0273B (zh) * 2020-01-22 2024-02-23 黄石东贝压缩机有限公司 用于往复式活塞制冷压缩机的新型阀组安装系统及方法
US20220106953A1 (en) * 2020-10-07 2022-04-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 dissipation assembly for a linea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99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7301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160055497A (ko)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 조립방법
US10180131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JP2005195023A (ja) 外部防振構造を有するリニア圧縮機
KR101845584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1255577B2 (en) Linear compressor
KR10186551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9785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1423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9793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5628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07374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9062669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85495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671609B1 (ko) 왕복동식 압축기
CN220204073U (zh) 往复式压缩机
KR20230172243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60055500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80080586A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1680563B2 (en) Compressor including rotor frame
KR101854953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19896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60055496A (ko) 왕복동식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