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095B1 -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 - Google Patents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095B1
KR101454095B1 KR1020127024334A KR20127024334A KR101454095B1 KR 101454095 B1 KR101454095 B1 KR 101454095B1 KR 1020127024334 A KR1020127024334 A KR 1020127024334A KR 20127024334 A KR20127024334 A KR 20127024334A KR 101454095 B1 KR101454095 B1 KR 10145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ductive belt
cylindrical conductive
electrophotographic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407A (ko
Inventor
고오이치 우치다
히로오미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C21D1/22Mar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14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20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53Intermediate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머넌트 컬을 저감한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전성 벨트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고, 또한 상기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전자 사진용 도전성 벨트이며, 결정화도가 내주면측보다도 외주면측이 낮다.

Description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CONDUCTIVE BELT AND ELECTROPHOTOGRAPH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장치의 중간 전사 벨트 등에 사용되는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고분자 이온 도전제로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가 첨가되어서 이루어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중간 전사 벨트에 사용하는 도전성 엔드리스 벨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벨트는,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 등의 전자 도전성의 도전제로 도전화한 경우와 비교해서, 첨가량에 대한 도전성의 변화가 완만하여, 전기 저항의 제어가 용이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나 폴리에테르아미드는 기본적으로 비상용(非相溶)이다. 그로 인해, 특허문헌 1에 관한 도전성 엔드리스 벨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연속상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로 구성된 비연속상을 갖는 구조가 된다. 이것은 특허문헌 2 및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99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42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4674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결정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도전제로서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고, 상기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는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해 왔다.
여기서, 원통 형상의 전자 사진용 도전성 벨트는 일반적으로 이하와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즉,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는, 전자 사진 장치 내에서, 복수의 롤러 사이에 일정한 장력으로 걸쳐진 상태로 놓인다. 그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도전성 벨트가 정지한 상태가 계속되면, 당해 도전성 벨트의, 롤러에 접촉해서 가장 곡률이 커져 있는 부분에 용이하게는 회복되지 않는 컬(이후 「퍼머넌트 컬」이라고 칭함)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전자 사진용 벨트의 퍼머넌트 컬의 발생 부위는, 당해 부위가 롤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도 당해 퍼머넌트 컬에 의한 변형이 유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당해 변형 부위로의 전자 사진 감광체로부터의 토너상의 전사가 불충분해지고, 전자 사진 화상에 줄무늬 등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결정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고, 상기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는 구성을 갖는 원통 형상 도전성 벨트에 대한 퍼머넌트 컬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서 검토해 왔다. 그 결과, 이 도전성 벨트에 발생하는 퍼머넌트 컬에는, 당해 구성에 특유한 원인이 있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구성을 갖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퍼머넌트 컬이 발생하기 어려운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위의 전자 사진 화상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는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고, 또한 상기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전자 사진용 도전성 벨트이며, 결정화도가 내주면측보다도 외주면측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의 도전성 벨트를 중간 전사 벨트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머넌트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 도전성 벨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품위 전자 사진 화상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는 전자 사진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의 설명도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의 설명도다.
도 2는 퍼머넌트 컬의 발생 메커니즘의 설명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장치의 설명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개략도다.
본 발명자들은, 결정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고, 상기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는 구성을 갖는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로에 대한 퍼머넌트 컬의 발생 메커니즘을 이하와 같이 해석하였다.
우선, 퍼머넌트 컬이란, 도전성 벨트가 걸쳐진 롤러에 권취된 부분이, 고무와 같은 원래 형상으로의 복원력을 상실하고, 롤러에 권취된 채 형상이 유지된 상태라고 파악하였다.
여기서, 도 1a 및 도 1b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고, 또한 상기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사시도다. 도 1b는, 도 1a의 원주 방향 단면의 부분 확대도다. 도 1a 및 도 1b 중, 참조 부호 101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이후, 간단히 「PE」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연속상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103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불연속층을 나타낸다. 그리고, 불연속층(103)은 도전성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벨트를 2개의 롤 사이에 걸치고, 장기간에 걸쳐 정지 상태에 둠으로써 퍼머넌트 컬이 발생한 부분의 원주 방향의 단면에 대해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벨트의 외주측에 존재하고 있는 불연속층과 연속상과의 계면에 미소한 간극(102)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간극은, 도전성 벨트의 외주측에 인장의 힘이 작용하고, 연속상과 불연속상의 거동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간극은, 연속상과 불연속상의 물리적인 결합을 약화시키는 것이 되는 결과, 도전성 벨트의 형상 복원력이 저하하여, 퍼머넌트 컬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퍼머넌트 컬의 발생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연속상과 불연속상과의 계면에 대한 간극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도전성 벨트의 두께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는 외주면측보다도 압축력이 가해지는 내주면측에서, 결정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계면에 대한 간극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퍼머넌트 컬의 경감에 이바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와 같은 내주면과 외주면에서의 결정화도의 상대적 관계가, 퍼머넌트 컬을 경감시키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정하고 있다.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가 복수의 롤러 사이에 걸쳐졌을 때, 도전성 벨트의 롤러에 접하고 있는 부분의 외주면측에는 인장력이, 내주면측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것은 앞서 설명하였다. 이때, 외주면측의 결정화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함으로써 외주면측의 인장력의 작용에 의해 신장하기 쉽게 함으로써, 연속상과 불연속상과의 계면으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고, 연속상과 불연속상과의 계면에 대한 간극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압축력이 작용하는 내주면측은, 롤러와 접촉했을 때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롤러와의 접촉이 풀어지면 당해 압축력으로부터 개방된다. 이때, 내주면측의 결정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치밀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전성 벨트의 내주면측이 압축력으로부터 개방된 후 원래 형상으로의 복원력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 결과, 도전성 벨트 전체적으로, 장기간의 롤러와의 접촉으로부터 풀어진 부분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기 쉬워져, 퍼머넌트 컬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100)의 원주 방향의 단면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101)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불연속상(103)을 갖는다. 또한, 상기 불연속상(103)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그리고, 도전성 벨트(100)의 결정화도가 내주면보다도 외주면측이 낮아져 있다.
우선, 도전제로서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포함하는 불연속층(103)을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시킴으로써, 복수의 불연속층 사이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불연속상 사이에서 누설 전류가 흐르기 쉬워져, 도전성 벨트의 도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기술적 의의를 갖는다.
결정화도를 내주면측보다도 외주면측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의 기술적인 의의는 상기한 바와 같다. 외주면측 및 내주면측의 구체적인 결정화도는, 도전성 벨트가 걸쳐지는 롤러의 직경이나 장력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결정화도의 구체적인 조정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의 재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연속상(101)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이후 「PE」라고 약기함)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히드록시 성분과의 중축합, 옥시카르복실산 성분 혹은 락톤 성분의 중축합 또는, 이들 성분을 복수 사용한 중축합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PE는 호모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코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분자 내의 탄소 원자수가 8 이상 16 이하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탄디카르복실산 등);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함유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0개인 시클로알칸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등의 함유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2개인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스테르 형성 가능한 유도체(예를 들어, 디메틸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산 무수물, 산 클로라이드 등의 산 할라이드)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결정성, 내열성의 관점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이다.
상기 디히드록시 성분의 예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함유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10개인 알킬렌디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함유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2개인 지환족 디올(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20개인 방향족 디올(히드로퀴논, 레조르신, 디히드록시비페닐, 나프탈렌디올, 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상기 방향족 디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예를 들어, 비스페놀 A의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개인 알킬렌옥시드 부가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이들 디히드록시 성분은, 에스테르 형성 가능한 유도체(예를 들어,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치환체 등)이어도 좋다. 이들 디히드록시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디히드록시 성분 중, 결정성,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알킬렌 디올(특히 탄소 원자수 2 내지 4개인 알킬렌디올) 및 지환족 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옥시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옥시벤조산, 옥시나프토산, 디페닐렌옥시카르복실산, 2-히드록시프로판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및 이들 옥시카르복실산의 유도체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옥시카르복실산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락톤 성분에는, 프로피오락톤,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카프로락톤(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등) 등의 C3 내지 C12락톤 등이 포함된다. 이들 락톤 성분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결정성, 내열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병용해도 좋다. 다관능 단량체의 예로서는,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다가 카르복실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에 의해 생성하는 분지 또는 가교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PE는, 상기 성분(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히드록시 성분, 옥시카르복실산 성분, 락톤 성분 또는 이들 성분 중 복수)을 사용해서 중축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성, 내열성 등의 점에서, PE로서는, 폴리알킬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텔레프탈레이트와 폴리알킬렌이소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다.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이소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중의 알킬렌의 탄소수는 결정성, 내열성의 관점에서 2 이상 16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와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면 2종류 이상의 블렌드 혹은 합금이어도 좋다. 또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시판하고 있는 TN-8050SC(상품명, 데이진카세이(주)제) 및 TN-8065S(상품명, 데이진카세이(주)제)를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서, 시판하고 있는 TR-8550(상품명, 데이진카세이(주)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시판하고 있는 PIFG30(상품명, (주)벨폴리에스테르프로덕츠제)을 들 수 있다.
PE의 고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4d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dl/g 이상 1.2dl/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dl/g 이상 1.1dl/g 이하다. 고유 점도가 1.4dl/g 이하이면 성형 시의 유동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0.3dl/g 이상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의 강도나 내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희석 용매에 o-클로로페놀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o-클로로페놀 용액의 농도를 0.5질량%, 온도를 25℃로 해서 측정한 값이다.
PE는, PE와 후술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PEEA) 및 폴리에테르아미드(PEA)의 총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특히 60질량% 이상, 나아가 7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질량% 이상이면, 전자 사진용 벨트의 내구성이 저하하는 것을 보다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PEEA), 폴리에테르아미드(PEA)>
PEEA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1, 나일론12 등의 폴리아미드 블록 단위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주된 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탐(예를 들어 카프로락탐, 라우릴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본산의 염과,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운데칸2산, 도데칸2산 등을 들 수 있다. PEEA는 용융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PEEA는 2종 이상의 블렌드 또는 합금이어도 좋다. 또한, 시판되는 PEEA (상품명: 이루가스타트 P20,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주)제), (상품명: TPAE H151, 후지카세이고교(주)제) 및 (상품명:펠레스타트NC6321, 산요카세이고교(주)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PEA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1, 나일론12 등의 폴리아미드 블록 단위와, 폴리에테르디아민 단위와, 디카르복실산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주된 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PEA의 구체예로서는, 락탐(예를 들어 카프로락탐, 라우릴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본산의 염과, 폴리테트라메틸렌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PEA는 용융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를 2종 이상 블렌드한 것이나, 그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판되는 (상품명: 페백스5533, 아르케마(주)사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배합량:
PEEA 및 PEA의 합계량은, PE와 PEEA와 PEA의 총 질량에 대하여, 3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특히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EA 및 PEA는 도전제로서 기능한다. 그로 인해, 3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나아가서는 전자 사진용 벨트의 전기 저항을 적절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3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의 분해에 의한 저점도화를 보다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성형된 전자 사진용 벨트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첨가제>
불연속상 및 연속상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절연성 필러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절연성 필러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는 산화아연, 황산바륨, 황산칼슘, 티타늄산바륨, 티타늄산칼륨, 티타늄산스트론튬, 산화티타늄,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이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벨트는 3가지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다. 첫번째는, PE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PEEA 및 PEA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불연속상을 갖는 것, 두번째로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고 있는 것, 세번째로 두께 방향의 결정화도가 외주면측이 내주면측보다도 낮은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의 달성에는, 도전성 벨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조성의 조정이 필요하다. 즉, PE의 도전성 벨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한 질량비를 A라고 하고, PEEA 및 PEA의 총 질량의 도전성 벨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한 질량비를 B라고 했을 때, A>B로 할 필요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B>2이다.
상기 제2 특징의 구성의 달성에는, 상기 특정 조성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2축 연신 성형해서 이음매 없는 형상의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러한 방법 자체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615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28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2축 연신 성형해서 이음매 없는 형상의 도전성 벨트를 얻는 구체적인 하나의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가열한 당해 프리폼을 이음매 없는 벨트 성형용 금형 내에 장착한다. 그 후,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내부로부터 연신 막대로 상기 프리폼을 축 방향으로 연신시킴과 함께, 상기 프리폼 내에 기체를 유입시켜서 상기 프리폼을 직경 방향으로 연신시켜, 보틀형 성형물을 얻는다. 그리고, 당해 보틀 형상 성형물의 동체부를 절단해서 이음매 없는 벨트를 얻는다. 이러한 2축 연신 성형법을 채용함으로써, 불연속상이 원주 방향으로 연신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 이음매 없는 형상의 도전성 벨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불연속상 종횡비의 목표로는 평균값으로 10 내지 30, 특히 15 내지 25이다. 여기서 종횡비란,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를 둥글게 잘랐을 때의 단면에 나타나는 불연속상 두께의 최대값(t)에 대한 원주 방향의 길이(l)의 비율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 특징의 구성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험관 형상을 갖는 프리폼 결정 상태의 제어 및 당해 프리폼을 2축 연신시킬 때의 프리폼의 내벽 및 외벽의 표면 온도의 제어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우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은 후술하는 2축 연신이 가능한 정도로 비정질한 상태를 갖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리폼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프리폼 형상의 금형 내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때의 금형 온도의 조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형 온도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융점보다도 충분히 낮은 온도로 설정해서 금형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급랭시킨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융점은 260℃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금형 온도 30 내지 40℃로 온도 조절한 금형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2축 연신 가능한 정도로 비정질한 상태의 프리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1
다음으로 이 비정질한 프리폼을 가열해서 금형 내에서 2축 배향 연신시켜, 보틀 형상의 성형물을 성형할 때의 프리폼의 내벽 가열 온도 및 외벽 가열 온도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리폼 내벽의 표면 온도가 프리폼의 결정화 온도 ±5℃ 정도가 되도록 가열한다. 한편, 외벽에 대해서는 표면 온도가 프리폼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결정화 온도 -10℃ 이하가 되도록 가열한다. 상기 표 1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의 결정화 온도는 170℃다. 그로 인해, 프리폼을 그 내벽 온도가 165 내지 175℃의 범위 내가 되도록 가열하고, 외벽 온도가 100 내지 160℃의 범위 내가 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벽 온도 및 외벽 온도의 각각을 상기 온도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도전성 벨트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결정화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로 가열한 프리폼에 대하여, 연신 막대를 사용해서 프리폼을, 그 축 방향으로 연신시킴과 함께, 상기 프리폼의 내부에 기체를 불어 넣어서 직경 방향으로 연신시켜, 보틀 형상 성형물을 얻는다. 이때 프리폼에 불어 넣는 기체의 온도는 프리폼의 연신 공정 중, 프리폼의 내벽이 상기한 온도 범위를 일탈하는 경우가 없도록 온도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폼의 2축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보틀 형상 성형물의 표면이 접하는 금형의 온도는, 당해 보틀 형상 성형물의 외벽의 결정화도에 끼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보틀 형상 성형물의 동체 부분을 소정의 폭으로 절단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가 얻어진다.
전자 사진용 도전성 벨트의 두께로는 10㎛ 이상 500㎛ 이하, 특히, 30㎛ 이상 150㎛ 이하가 일반적이다. 또한, 도전성 벨트의 체적 고유 저항은, 도전성 벨트의 용도에 따라, PE와 PEEA 또는 PEA와의 양을 조정해서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구체적인 체적 고유 저항률의 목표로서는, 도전성 벨트를 중간 전사 벨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1×102Ω㎝ 이상 1×1014Ω㎝ 이하다.
<전자 사진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풀컬러 전자 사진 장치의 단면도다. 도 3 중, 중간 전사 벨트(5)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를 사용하고 있다. 전자 사진 감광체(1)는 제1 화상 담지체로서 반복 사용되는 회전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 드럼」이라고 기재함)이며,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주속도(프로세스 스피드)로써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은 회전 과정에서, 1차 대전기(2)에 의해 소정의 극성·전위에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다. 계속해서 노광 수단에 의해 화상 노광(3)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컬러 화상의 제1색 성분상(예를 들어, 옐로우색 성분상)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광 수단으로서는, 컬러 원고 화상의 색분해·결상 노광 광학계, 화상 정보의 시계열 전기 디지털 화소 신호에 대응해서 변조된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스캐너에 의한 주사 노광계 등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그 정전 잠상이 제1 현상기(옐로우색 현상기(41))에 의해 제1색인 옐로우 토너 Y에 의해 현상된다. 이때 제2 내지 제4 현상기(마젠타색 현상기(42), 시안색 현상기 (43), 블랙색 현상기(44))의 각 현상기는 작동이 오프로 되어 있어서 감광 드럼(1)에는 작용하지 않고, 상기 제1색의 옐로우 토너 화상은 상기 제2 내지 제4 현상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자 사진용 벨트(5)는 화살표 방향으로 감광 드럼(1)과 같은 주속도로써 회전 구동되고 있다. 감광 드럼(1) 상의 옐로우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5)의 닙부를 통과 시에, 대향 롤러(6)로부터 전자 사진용 벨트(5)에 인가되는 1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에 전사된다(1차 전사). 전자 사진용 벨트(5)에 제1색의 옐로우 토너 화상의 전사를 종료한 감광 드럼(1)의 표면은, 클리닝 장치(13)에 의해 청소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제2색인 마젠타 토너 화상, 제3색인 시안 토너 화상, 제4색인 블랙 토너 화상이 순차 전자 사진용(중간 전사) 벨트(5)상에 중첩해서 전사되어, 목적으로 하는 컬러 화상에 대응한 합성 컬러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2차 전사 롤러(7)는, 구동 롤러(8)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베어링시켜서 전자 사진용 벨트(5)의 하면부에 이격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자 사진용 벨트(5)로의 제1 내지 제3 색의 토너 화상의 1차 전사 공정 시에, 2차 전사 롤러(7)는 전자 사진용 벨트(5)로부터 이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사진용 벨트(5) 상에 전사된 합성 컬러 토너 화상의 제2 화상 담지체인 전사재(P)로의 전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2차 전사 롤러(7)가 전자 사진용 벨트(5)에 접촉됨과 함께, 급지 롤러(11)로부터 전사재 가이드(10)를 통하여, 전자 사진용 벨트(5)와 2차 전사 롤러(7)와의 접촉 닙에 소정의 타이밍에 전사재(P)가 급송된다. 그리고,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전원(31)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7)에 인가된다. 이 2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전자 사진용(중간 전사) 벨트(5)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인 전사재(P)로 합성 컬러 토너 화상이 전사(2차 전사)된다. 토너 화상의 전사를 받은 전사재(P)는 정착기(15)에 도입되어 가열 정착된다. 전사재(P)로의 화상 전사 종료 후, 전자 사진용 벨트(5)에는 클리닝 장치의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롤러(9)가 접촉되어, 감광 드럼(1)과는 역극성의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전사재(P)에 전사되지 않고 전자 사진용 벨트(5) 상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전사 잔류 토너)에 감광 드럼(1)과 역극성의 전하가 부여된다. 참조 부호 33은 바이어스 전원이다. 상기 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 드럼(1)과의 닙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감광 드럼(1)에 정전적으로 전사됨으로써, 전자 사진용 벨트(5)가 클리닝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전자 사진용 벨트 중 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를 제작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분석 및 물성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특성값의 측정법, 평가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의 특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체적 고유 저항률(ρv)
측정 장치는, 저항계로서 초고저항계(상품명: R8340A, 어드밴테스트(주)제)를, 그리고 시료 상자로서 초고저항 측정용 시료 상자(상품명: TR42, 어드밴테스트(주)제)를 사용한다. 주 전극의 직경을 25㎜로 하고, 가드·링 전극의 내경을 41㎜, 외경을 49㎜로 한다(ASTMD257-78에 준거).
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의 체적 고유 저항율 측정용 샘플은 다음과 같이 제작한다. 우선, 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를 직경 56㎜의 원형으로, 펀칭기 또는 예리한 칼날을 사용해서 오려낸다. 오려낸 원형편의 편면 전체면에 Pt-Pd 증착막에 의해 전극을 설치하고, 다른 한쪽 면에 Pt-Pd 증착막에 의해 직경 25㎜의 주 전극과 내경 38㎜, 외경 50㎜의 가드 전극을 설치한다. Pt-Pd 증착막은 스퍼터링 장치(상품명: 마일드스퍼터E1030, 히타치세이사꾸쇼(주)제)를 사용하여, 전류 15mA, 타깃(Pt-Pd)과 시료(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의 원형편) 사이의 거리 15㎜로 증착 조작을 2분간 행함으로써 얻었다. 증착 조작이 종료된 원형편을 상기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또한, 측정 분위기는 온도 23℃, 상대 습도 52%로 하고, 상기 측정용 샘플은 미리 동 분위기 하에 12시간 이상 방치해 둔다. 체적 고유 저항율의 측정 모드는 디스차지 10초, 차지 30초, 측정 30초로 하고, 인가 전압 100V로 행한다. 이 측정 모드에서 10회 체적 고유 저항율을 측정하고, 그 10회 측정값의 평균값을 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의 체적 고유 저항률로서 채용하였다.
(2) 결정화도
결정화도는, 얻어진 전자 사진용 벨트를 30㎜×30mm으로 절단하고, 하기의 장치, 조건에서 전자 사진용 벨트의 내주면, 외주면을 측정하였다.
장치: X선 회절 장치 리가크(주)제 RINT-2200
출력: 30kV-50mA
타깃: Cu(CuKα)
광학계: 제1 핀홀 콜리메이터 1.0mmφ
리시빙 슬릿(세로 폭 슬릿 1° 가로 폭 슬릿 1°)
측정 조건: 평행 빔법
측정 속도: 10°/min
측각 범위: 2θ=5 내지 40°
수지의 비정질 부분과 결정질 부분의 양쪽의 회절 피크가 나타나는 2θ=5 내지 40°의 회절 각도에 있어서의 피크의 적분 강도로부터, 하기 식 1로 결정화도(%)를 산출하였다.
[식 1]
결정화도=(결정질 부분(2θ=26° 부근의 피크)의 적분 강도/비정질과 결정질을 포함하는 부분(2θ=5 내지 40°)의 적분 강도)×100(%)
(3) 불연속상의 평균 종횡비
전자 사진용 벨트의 원주 방향의 두께 단면을 마이크로톰 등으로 절삭하고, 단면을 전계 방사 주사형 전자 현미경(FE-SEM)XL30(상품명: FEI테크놀로지(주)제)으로 관찰하였다. 단면으로부터 관찰되는 해도 구조(바다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섬 구조 성분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중 100㎛×100㎛의 범위 내에서 각 섬에 상당하는 부분의 종횡비를 2치화 처리에 의해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채용하였다.
(4) 퍼머넌트 컬 높이
도전성 벨트를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구조를 갖는 레이저 빔 프린터(상품명: LBP-5200, 캐논(주)제)의 중간 전사 유닛에 중간 전사 벨트로서 장착하였다. 이 레이저 빔 프린터의 중간 전사 벨트는 직경이 18㎜인 구동 롤러와, 직경이 15㎜인 텐션 롤러의 사이에, 걸침 응력 6kgf로 걸쳐져 있다. 이 레이저 빔 프린터를, 온도 35℃, 95% RH의 환경 하에 1개월 정치하였다. 계속해서, 도전성 벨트를 약간량 회전 구동시켜서, 정치시에 구동 롤러와 접하고 있었던 부분을 구동 롤러로부터 이격시켜, 그 상태에서 온도 35℃, 상대 습도 95%RH의 환경 하에서 1일 정치하였다. 그 후, 도전성 벨트의 정치시에 구동 롤러가 접촉하고 있었던 부분의 구동 롤러의 접촉 자국의 높이를 표면 조도계(상품명: SE-3500, 고사카켄큐쇼(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높이를 퍼먼넌트 컬 높이라고 정의한다. 이 높이가 높을수록, 당해 부분으로의 토너상의 1차 전사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5) 화상 평가
상기의 평가 (4)의 후, 온도 23℃, 50% RH의 환경 하에서, 155g/㎡의 A4 크기의 광택지에 옐로우와 마젠타의 2색을 사용해서 오렌지의 솔리드 화상을 프린트하였다. 이 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퍼머넌트 컬에 기인하는 줄무늬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줄무늬를 확인할 수 없다.
B: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재료)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재료를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2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3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4
(실시예 1)
2축 압출기(상품명: TEX30α, 닛폰세이코쇼(주)사제)를 사용하여, 표 5에 기재된 배합으로 열용융 혼련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열용융 혼련 온도는 260℃ 이상, 280℃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하고, 열용융 혼련 시간은 약 3 내지 5분으로 하였다.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펠릿화하고, 온도 140℃에서 6시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사출 성형 장치(상품명: SE180D, 스미또모 쥬키카이고교(주)제)에, 건조시킨 펠릿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실린더 설정 온도를 295℃로 하여, 온도가 30℃로 온도 조절된 금형 내에 사출 성형해서 프리폼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프리폼은, 외경이 20㎜, 내경이 18㎜, 길이가 150㎜인 시험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 프리폼이 비정질한 상태를 포함하는 것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프리폼의 비정질성 확인 방법>
프리폼으로부터 세로 1㎜×가로 1㎜의 샘플을 잘라내어, 상기 샘플을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25℃부터 300℃까지 승온 속도 10℃/min로 행하였다. 비정질 성분이 남아있을 경우, 170℃ 부근에 보이는 결정화 발열 피크가 나타난다. 그리고, 당해 샘플에 있어서의, 결정화 발열 피크의 발열량이 38J/g이었다. 한편, 260℃ 부근에 보이는 융해 흡열 피크의 흡열량은 62J/g이었다. 결정화 발열 피크의 발열량이 융해 흡열 피크의 흡열량의 1/2 이상인 점에서, 상기 프리폼은 비정질 성분을 충분히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프리폼을 도 4에 도시한 2축 연신 장치를 사용해서 2축 연신하였다. 2축 연신 전에, 프리폼(104)의 외벽 및 내벽을 가열하기 위한 비접촉형의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가열 장치(107) 내에 프리폼(104)을 배치하고, 표 5에 나타낸 온도의 외부 가열 히터 및 내부 가열 히터로, 프리폼의 외벽 및 내벽을 표 5에 나타내는 표면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계속해서, 가열한 프리폼(104)을, 금형 온도를 110℃로 유지한 블로우 금형(108) 내에 배치하고, 연신 막대(109)를 사용해서 축방향으로 연신하였다. 동시에, 온도 23℃로 온도 조절된 에어를 블로우에어 주입 부분(110)으로부터 프리폼 내에 도입해서 프리폼(104)을 직경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이렇게 해서, 보틀 형상 성형물(112)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보틀 형상 성형물(112)의 동체부를 절단해서 이음매 없는 도전성 벨트를 얻었다. 이 도전성 벨트의 두께는 70㎛였다. 이 도전성 벨트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배합 및 외부 가열 히터 온도, 내부 가열 히터 온도, 외벽의 표면 온도, 내벽의 표면 온도를 표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자 사진용 이음매 없는 벨트를 얻었다. 이들 도전성 벨트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5
또한, 유리 전이 온도, 결정화 온도 및 융점의 각각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분으로 측정해서 얻어지는 변곡점의 온도(유리 전이 온도) 및 피크 톱의 온도(결정화 온도 및 융점)이다.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6
(비교예 1 내지 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배합 및 외부 가열 히터, 내부 가열 히터, 외부 표면 온도, 내부 표면 온도를 표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음매 없는 도전성 벨트를 얻었다. 이들 도전성 벨트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7
Figure 112012075393712-pct00008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9에 관한 도전성 벨트의 원주 방향 단면을 전계 방사 주사형 전자 현미경(FE-SEM) XL30(상품명: FEI테크놀로지(주)제)으로 배율 5000배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9에 관한 도전성 벨트는, 비교예 1 내지 9에 관한 도전성 벨트와 비교하여, 외주면 근방의 연속상과 불연속상의 계면에 있어서 균열의 발생이 대폭 경감하고 있었다. 또한, 실시예에 관한 도전성 벨트의 평균 퍼머넌트 컬 높이는, 비교예에 관한 도전성 벨트의 그것들과 비교해서 최저인 경우에도 45㎛의 경감이 달성되었다. 중간 전사 벨트에 있어서의 퍼머넌트 컬 높이의 45㎛의 차이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의 1차 전사 시의 토너상의 전사 정밀도, 나아가서는 전자 사진 화상의 품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1 감광 드럼
2 1차 대전기
3 화상 노광
5 중간 전사 벨트
6 1차 전사 대향 롤러
7 2차 전사 롤러
8 구동 롤러
9 중간 전사 벨트 크리닝 롤러
10 전사재 가이드
11 급지 롤러
13 클리닝 장치
15 정착기
30, 31, 33 전원
이 출원은 2010년 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42730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내용을 인용해서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5)

  1. 전자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로서,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불연속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불연속상들의 각각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상기 불연속상들은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해서 존재하며,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외주면측의 결정화도가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내주면측보다 낮은,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알킬렌텔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도전성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텔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도전성 벨트.
  4. 제1항에 기재된 도전성 벨트를 중간 전사 벨트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5.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를 중간 전사 벨트로서 포함하는 전자 사진 장치이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는 구동 롤러와 텐션 롤러 상에 걸침 응력으로 걸쳐지고,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는 전사 사진용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이고,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과 불연속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불연속상들의 각각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상기 불연속상들은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존재하고,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외주면측의 결정화도가 상기 원통 형상의 도전성 벨트의 내주면측의 결정화도보다 낮은, 전자 사진 장치.
KR1020127024334A 2010-02-26 2011-02-17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 KR101454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2730A JP5538954B2 (ja) 2010-02-26 2010-02-26 導電性ベルト及び電子写真装置
JPJP-P-2010-042730 2010-02-26
PCT/JP2011/000890 WO2011105033A1 (ja) 2010-02-26 2011-02-17 導電性ベルト及び電子写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407A KR20120121407A (ko) 2012-11-05
KR101454095B1 true KR101454095B1 (ko) 2014-10-22

Family

ID=4450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334A KR101454095B1 (ko) 2010-02-26 2011-02-17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34476B2 (ko)
EP (1) EP2541337B1 (ko)
JP (1) JP5538954B2 (ko)
KR (1) KR101454095B1 (ko)
CN (1) CN102763043B (ko)
WO (1) WO2011105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954B2 (ja) * 2010-02-2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導電性ベルト及び電子写真装置
EP2703513B1 (en) 2011-04-28 2018-01-1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ot press molded article, fabrication method therefor
WO2012169638A1 (ja) 2011-06-10 2012-12-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プレス成形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用薄鋼板
JP6033037B2 (ja) 2012-10-26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エンドレスベルトの製造方法
JP6238692B2 (ja) * 2012-12-07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導電性ベルト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14126576A (ja) * 2012-12-25 2014-07-07 Ricoh Co Ltd シーム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シームレスベルトの製造方法
JP6041695B2 (ja) 2013-02-05 2016-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158251B2 (en) * 2013-08-30 2015-10-13 Canon Kabushiki Kaisha Film and image heating device using film
JP2015055863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リコー 中間転写体、画像形成装置
US10466627B2 (en) 2016-02-10 2019-11-05 Ricoh Company, Ltd. Member for an image forming appratus
JP6625111B2 (ja) * 2016-12-19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ベルト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0551771B2 (en) 2018-04-19 2020-02-04 Canon Kabusk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bel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98347B2 (en) 2018-12-04 2020-06-3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bel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434029B2 (ja) 2019-04-26 2024-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458912B2 (ja) 2019-07-02 2024-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23070081A (ja) 2021-11-05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23070080A (ja) 2021-11-05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335A (en) * 1989-06-23 1993-10-05 Toyo Seikan Kaisha, Ltd. Polyester vessel for drink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732B2 (ja) * 1994-05-16 2000-06-05 東洋製罐株式会社 二軸延伸ブロー容器の製造方法
US5867316A (en) * 1996-02-29 1999-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film having a continuous and disperse phase
JPH10207250A (ja) * 1997-01-23 1998-08-07 Tokai Rubber Ind Ltd 半導電性プラスチック無端ベルト
JP2001018284A (ja) 1999-07-06 2001-01-23 Suzuka Fuji Xerox Co Ltd シームレス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208211B2 (en) 2000-09-19 2007-04-2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belt member,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photographic belt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6737133B2 (en) 2000-09-19 2004-05-18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seamless belt,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the electrophotographic seamless belt
US6600893B2 (en) * 2000-09-19 2003-07-29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member, process for producing transfer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member
US6463248B1 (en) * 2000-12-04 2002-10-08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belt providing high transfer efficiency of toner images to a transfuse member
JP2002202668A (ja) * 2000-12-28 2002-07-19 Yuka Denshi Co Ltd エンド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316174A (ja) * 2002-04-26 2003-11-06 Canon Inc 中間転写体及び転写部材、中間転写体及び転写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中間転写体及び転写部材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094178A (ja) * 2002-04-26 2004-03-25 Canon Inc 電子写真エンドレスベル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US7641973B2 (en) * 2002-11-27 2010-01-0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onductive member for image-forming apparatus
WO2005010621A1 (ja) * 2003-07-25 2005-02-0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画像形成装置用エンドレス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8480B2 (ja) * 2003-11-28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ムレス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6025555A1 (en) * 2004-08-31 2006-03-09 Showa Denko K.K.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s with resin and vgcf, production process, and use thereof
JP2006076154A (ja) 2004-09-10 2006-03-23 Canon Inc 電子写真用シームレスベルトの製造方法
JP4799214B2 (ja) * 2006-03-02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ムレスベル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089961A (ja) 2006-10-02 2008-04-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91225A (ja) * 2007-02-01 2008-08-21 Canon Inc 電子写真用シームレスベルト
JP5084412B2 (ja) * 2007-09-07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中間転写ベルト
JP4575970B2 (ja) 2008-05-26 2010-11-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ポリマー組成物
JP5088268B2 (ja) 2008-08-11 2012-12-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キャブ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式建設機械
JP5538954B2 (ja) * 2010-02-2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導電性ベルト及び電子写真装置
JP6238692B2 (ja) * 2012-12-07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導電性ベルトおよび電子写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335A (en) * 1989-06-23 1993-10-05 Toyo Seikan Kaisha, Ltd. Polyester vessel for drink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5033A1 (ja) 2011-09-01
EP2541337A1 (en) 2013-01-02
US20150205230A1 (en) 2015-07-23
JP2011180275A (ja) 2011-09-15
US9753411B2 (en) 2017-09-05
US20110249995A1 (en) 2011-10-13
CN102763043B (zh) 2016-01-20
JP5538954B2 (ja) 2014-07-02
EP2541337B1 (en) 2016-01-27
KR20120121407A (ko) 2012-11-05
EP2541337A4 (en) 2015-05-20
US9034476B2 (en) 2015-05-19
CN102763043A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95B1 (ko) 도전성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
CN108205246B (zh) 电子照相用带和电子照相图像形成设备
EP1650609B1 (en) Endless belt for image forming devices and image forming device
JP5517427B2 (ja) 電子写真用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6267626A (ja) 画像形成装置用エンドレス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18063B1 (ko) 전자 사진용 벨트 및 전자 사진 장치
JP4337606B2 (ja)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5045B2 (ja)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84247A (ja)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90720A (ja)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1906913B2 (en) Electrophotographic bel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US11971669B2 (en) Electrophotographic bel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275976A (ja) ベルト状転写部材、ベルト状転写部材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7458912B2 (ja) 電子写真用ベル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2106794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