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890B1 -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890B1
KR101453890B1 KR1020140007560A KR20140007560A KR101453890B1 KR 101453890 B1 KR101453890 B1 KR 101453890B1 KR 1020140007560 A KR1020140007560 A KR 1020140007560A KR 20140007560 A KR20140007560 A KR 20140007560A KR 101453890 B1 KR101453890 B1 KR 10145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aint
pattern
glass
paint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칠식
최환종
Original Assignee
그라스한솔(주)
최칠식
최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스한솔(주), 최칠식, 최환종 filed Critical 그라스한솔(주)
Priority to KR102014000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ntaining a dispersed phase, e.g. particles, fibres or flakes, in a continuous 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85Drying; Dehydrox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2Decorative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감 있는 효과를 선사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와; 상기 유리에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패턴형성도료와; 상기 패턴형성도료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상기 패턴형성도료 위로 형성되는 마감층 형성도료를 포함하되, 상기 패턴형성도료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에는 상기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반사되는 금속입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제공하여,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마감층 형성도료에서 반사됨에 따라 보다 입체적인 효과를 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A glass for interior and the methods of making it}
본 발명은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감 있는 효과를 선사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유리판재는 건물의 외벽이나 건물 내부의 내벽 혹은 건물 내부 공간에서 사용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창출하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현재의 일반 주거문화에 벽 마감소재로는 주로 벽지나 시트지, 페인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마감제는 사용한 시간만큼이나 색이 바래거나 오물 낙서 등에 노출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갈아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들어와서 유리를 사용한 벽 마감재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3900호는 표면의 코팅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착색유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3900호에 따르면 유리에 코팅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유리에 코팅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일 인테리어 마감재로서의 입체적 효과는 부여하고 있지 않다.
최근 들어 자연 친화적 건축마감재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어 유리에 패턴을 형성하는 착색유리가 등장하고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착색유리를 이용한 마감재들은 자연스러운 무늬를 표현하면서도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인테리어유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39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연스러운 무늬를 표현하면서도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리와; 상기 유리에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패턴형성도료와; 상기 패턴형성도료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상기 패턴형성도료 위로 형성되는 마감층 형성도료를 포함하되, 상기 패턴형성도료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에는 상기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반사되는 금속입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턴형성도료의 가장자리부의 음영은 상기 패턴형성도료의 중심부의 음영보다 더 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입자는 알루미늄, 은, 구리, 니켈 또는 홀로그램 가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턴형성도료는 상기 유리 표면에서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유리를 세척 후 건조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준비단계를 마친 유리에 점도를 갖는 패턴형성도료를 도포하는 제1도포단계와; 상기 도포 된 패턴형성도료를 건조하는 제1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패턴형성도료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상기 건조된 패턴형성도료 위로 마감층 형성도료를 도포하는 제2도포단계와; 상기 도포된 마감층 형성도료를 건조시키는 제2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턴형성도료의 점도는 크랩스유닛(Krebs Units) 점도계 기준으로 70KU 이상 130KU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건조단계와 상기 제2건조단계는 상온에서 온도를 올려 섭씨 70도 이상 섭씨 200도 이하인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건조단계와 상기 제2건조단계는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턴형성도료는 두께를 갖으면서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고, 마감층 형성도료에는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반사되는 금속입자가 포함되기 때문에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마감층 형성도료에서 반사됨에 따라 보다 입체적인 효과를 선사하는 강점이 있다.
둘째, 패턴형성도료의 가장자리의 음영이 패턴형성도료의 중심부의 음영보다 더 짙게 형성되기 때문에 패턴형성도료의 깊이 감이 보다 입체적으로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마감층 형성도료가 불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낱장의 인테리어유리판재를 사용하여 유리 전면부를 통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한편 마감층 형성도료가 반투명인 경우에는 두 장의 유리를 반투명인 면끼리 서로 맞붙여서 접합유리로 불투명 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형성된 불투명 면을 사이에 두고 양쪽 면에서 입체감 있는 인테리어유리판재를 감상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금속입자는 알루미늄, 은, 구리 또는 니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각의 금속입자가 갖는 고유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컬러 연출이 가능해지는 강점이 있다.
다섯째, 패턴형성도료는 유리 표면에서 불규칙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획일적이지고 정형화된 패턴보다 자연스러운 입체무늬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여섯째, 패턴형성도료의 점도는 크랩스유닛(Krebs Units) 점도계 기준으로 70KU 이상 130KU 이하로 설정되므로 패턴형성도료가 유리면에서 흘러내리거나 얇고 납작하게 펴지지 않은 채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어 빛이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할 때 투과되는 거리가 형성되므로 빛의 굴절 및 반사로 인해 보다 입체감이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패턴형성도료는 상온에서 온도를 서서히 올려 가열하여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되는 과정에서 끓지 않기 때문에 기포가 발생 되지 않아 투명도가 저하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 전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먼저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 뒤 상세한 설명은 후술키로 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투명의 의미는 빛이 온전하게 투과되는 것을 의미하고 불투명의 의미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반투명은 빛이 일부만 투과되거나, 한쪽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투명하게 보이나 반대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불투명하게 보이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패턴형성도료(200)는 유리(110)의 양면 중 어느 일면에서 유리(110) 표면으로부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마감층 형성도료(300)는 패턴형성도료(200)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패턴형성도료(200)의 위로 형성된다.
패턴형성도료(200)는 점도를 갖고 유리면에 형성되므로 유리(110) 표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두께를 갖게 된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두께는 패턴형성도료(200)의 유리(110)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하나 폭의 두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족할 것이다.
패턴형성도료(20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도료이거나 반투명 도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층 형성도료(300)는 패턴형성도료(200)를 투과한 빛이 반사되는 층으로서 금속입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마감층 형성도료(300)는 유리(110)의 전면부(111)로 입사된 빛을 반사시킨다.
마감층 형성도료(300)는 반투명이거나 불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형성도료(200)는 유리(110)의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패턴형성도료(200)는 점도를 갖고 유리(110)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마치 물방울이 유리(110)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것과 흡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패턴형성도료(200)는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키기에 적합하다.
유리(110)의 굴절률과 패턴형성도료(200)의 굴절률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빛이 유리(110)의 전면부(111)를 통과하여 패턴형성도료(200)로 입사하면 굴절된다.
굴절된 빛은 패턴형성도료(200) 위로 형성된 마감층 형성도료(300)에 반사되어 유리(110)의 전면부(111)로 다시 빠져나온다.
이와 같은 빛의 경로(400)는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유리(110)의 전면부(111)로 빠져나온 빛은 유리(110)로 입사될 때와 다른 각도로 반사되어 나오기 때문에 입체감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처럼 유리(110)의 배면에는 패턴형성도료(200)가 형성되어 있고 패턴형성도료(200)와 패턴형성도료(200)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 위로 마감층 형성도료(300)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의 배면부(113)에는 패턴형성도료(200)로 형성된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220), 제3돌출부(230)와 같이 모양과 크기, 두께가 각각 다른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턴형성도료(200)의 두께 차이, 모양의 차이, 크기의 차이로 인하여 빛의 투과되는 깊이나 굴절되는 각도가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부언하면 빛이 투과하는 길이가 짧은 곳으로 반사되는 빛은 투과하는 길이가 긴 곳으로 반사되는 빛에 비하여 더 빨리 반사되면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이 살아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패턴형성도료(200)가 유리에서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유리의 전면부(111)를 통하여 자연스럽고 입체감 있는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패턴형성도료(200)의 가장자리부(203)의 음영은 패턴형성도료(200)의 중심부(201)의 음영보다 더 짙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마감층 형성도료(300)에서 반사되어 유리의 전면부(111)로 되돌아 나오는 빛의 양은 패턴형성도료(200)의 가장자리부(203)보다 패턴형성도료(200)의 중심부(201)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패턴형성도료(200)의 중심부(201)가 패턴형성도료(200)의 가장자리부(203) 보다 더 밝다.
따라서 인테리어유리판재(100)의 전면부(111)를 통한 시각적 효과는 보는 방향에 따라서 패턴형성도료가 마치 유리의 배면부(113)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보이거나 반대로 볼록하게 솟아 오른 것처럼 보이는 입체감이 발휘되는 것이다.
패턴형성도료(200)의 형상에 따라서 빛의 굴절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입체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턴형성도료(200)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는 빛이 유리의 굴절률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마감층 형성도료(300)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입자의 색상이 그대로 표출된다.
마감층 형성도료(300)에는 금속입자가 포함되며, 반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금속입자는 알루미늄, 은, 구리 또는 니캘 등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해지며, 금속입자의 종류는 보다 다양한 색상 연출을 위하여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일러둔다.
또한 마감층 형성도료(300)에는 홀로그램 효과를 위한 홀로그램 가루가 포함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가루는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루를 가리키며 글리터 가루라고도 한다.
홀로그램 효과란 홀로그램 가루가 빛의 간섭효과를 유발하고, 패턴형성도료(200)가 빛을 굴절시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색깔이나 형태가 달라지게됨으로써 입체감이 발휘되는 효과를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체 도이다.
도 4와 같이 제1인테리어유리판재(101)의 배면과 제2인테리어유리판재(102)의 배면을 서로 포개어 양방향에서 입체감 있는 시각적 인테리어 효과를 선사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제1인테리어유리판재(101)의 마감층형성도료와 제2인테리어유리판재(102)의 마감층형성도료는 각각 반투명인 도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인테리어유리판재(101)의 배면과 제2인테리어유리판재(102)의 배면을 서로 접촉되도록 포개면 포개어지는 접촉면(700)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제1인테리어유리판재(101)와 제2인테리어유리판재(102)가 접촉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제1인테리어유리판재(101)와 제2인테리어유리판재(102)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인테리어유리판재(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전체 도이다.
인테리어유리판재(100)는 크게 준비단계(S1), 제1도포단계(S2), 제1건조단계(S3), 제2도포단계(S4), 제2건조단계(S3)를 순차적으로 거쳐 완성된다.
준비단계(S1)는 유리를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이다.
제1도포단계(S2)는 준비단계(S1)를 마친 유리에 점도를 갖는 패턴형성도료(20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제1건조단계(S3)는 도포된 패턴형성도료(200)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제2도포단계(S4)는 건조된 패턴형성도료(200)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건조된 패턴형성도료(200) 위로 마감층 형성도료(30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제2건조단계(S5)는 도포된 마감층 형성도료(300)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는 세척부(500)에서 깨끗하게 세척된다.
세척부(500)는 제1노즐(710)을 통해 세척액을 유리에 분사하여 유리를 세척시킨다.
세척된 유리는 제1건조실(610)에 진입하여 건조된다.
제2노즐(720)은 크랩스유닛(Krebs Units) 점도계 기준으로 70KU 이상 130KU 이하인 점도를 갖는 패턴형성도료(200)를 유리의 배면부(113)에 불규칙하게 도포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2노즐(720)은 패턴형성도료(200)를 유리의 배면부(113)에 뿌려준다.
패턴형성도료(200)가 도포된 유리는 제2건조실(620)에서 건조된다.
제2건조실(620)은 상온에서 온도를 올려 섭씨 70도 이상 섭씨 200도 이하의 온도에서 패턴형성도료(200)를 건조시킨다.
이때, 패턴형성도료(200)가 투명도를 유지한 채로 건조되는 것은 상온에서 서서히 가열시키기 때문이다.
제3노즐(730)은 건조된 패턴형성도료(200)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상기 건조된 패턴형성도료(200) 위로 마감층 형성도료(300)를 도포한다.
마감층 형성도료(300)가 도포된 유리는 제3건조실(630)에서 건조된다.
제3건조실(630)은 상온에서 온도를 올려 섭씨 70도 이상 섭씨 200도 이하의 온도에서 마감층 형성도료(300)를 건조시킨다.
마감층 형성도료(300)가 건조되고 나면 인테리어유리판재(100)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제1건조실(610)은 열풍을 가하는 건조실로 이루어지고, 제2건조실(620), 제3건조실(630)은 열선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패턴형성도료(200)가 도포된 유리와 마감층 형성도료(300)가 도포된 유리는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자연건조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인테리어유리판재(100)는 입체감 있는 인테리어 마감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마감층 형성도료(300)는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패턴형성도료(200)에 금속입자가 포함되어 패턴형성도료(200)에 포함된 금속입자가 직접 빛을 반사시키는 구성도 가능함을 일러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바,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이 반드시 하기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발명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밝힌다.
100 : 인테리어유리판재 101 : 제1인테리어유리판재
102 : 제2인테리어유리판재 110 : 유리
111 : 전면부 113 : 배면부
200 : 패턴형성도료 201 : 중심부
203 : 가장자리부 210 : 제1돌출부
220 : 제2돌출부 230 : 제3돌출부
300 : 마감층 형성도료 400 : 빛의 경로
500 : 세척부 610 : 제1건조실
620 : 제2건조실 630 : 제3건조실
700 : 접촉면 710 : 제1노즐
720 : 제2노즐 730 : 제3노즐
S1 : 준비단계
S2 : 제1도포단계 S3 : 제1건조단계
S4 : 제2도포단계 S5 : 제2건조단계

Claims (10)

  1. 유리와;
    상기 유리에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패턴형성도료와;
    상기 패턴형성도료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과 상기 패턴형성도료 위로 형성되는 마감층 형성도료를 포함하되,
    상기 패턴형성도료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에는 상기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반사되는 금속입자가 포함되되,
    상기 패턴형성도료가 형성되지 않은 유리면은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입자의 색상이 그대로 표출되고,
    상기 패턴형성도료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패턴형성도료를 투과한 빛이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에서 반사됨에 따라 입체적인 효과를 선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성도료의 가장자리부의 음영은 상기 패턴형성도료의 중심부의 음영보다 더 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 형성도료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인 도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알루미늄, 은, 구리, 니켈 또는 홀로그램 가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성도료는 상기 유리 표면에서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성도료에는 상기 금속입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유리판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07560A 2014-01-22 2014-01-22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560A KR101453890B1 (ko) 2014-01-22 2014-01-22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560A KR101453890B1 (ko) 2014-01-22 2014-01-22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890B1 true KR101453890B1 (ko) 2014-10-22

Family

ID=5199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560A KR101453890B1 (ko) 2014-01-22 2014-01-22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8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106Y1 (ko) * 1993-11-05 1996-10-15 권영만 장식용 유리
KR200369687Y1 (ko) 2004-09-10 2004-12-20 김광현 유리판 장식재
KR100511392B1 (ko) * 2003-01-08 2005-08-31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난반사 도료 조성물
KR20120012361A (ko) * 2010-07-30 2012-02-09 권영만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106Y1 (ko) * 1993-11-05 1996-10-15 권영만 장식용 유리
KR100511392B1 (ko) * 2003-01-08 2005-08-31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난반사 도료 조성물
KR200369687Y1 (ko) 2004-09-10 2004-12-20 김광현 유리판 장식재
KR20120012361A (ko) * 2010-07-30 2012-02-09 권영만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9877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5535484A5 (ko)
CN206308261U (zh) 盖板玻璃层叠结构
CN104878895A (zh) 一种环保装饰石材及其制作工艺
KR101453890B1 (ko) 인테리어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017286A (zh) 盖板玻璃层叠结构
CN109650740A (zh) 一种盖板
JP2014523850A (ja) 滑り止めガラス板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205382093U (zh) 一种角度变换炫彩玻璃
WO2018103142A1 (zh) 一种聚光变炫光装饰片及生产工艺
JP2012042501A (ja) ガラス板構造体
KR20110040942A (ko) 래커 패턴의 제조방법, 그것을 사용하여 형성된 래커 패턴 및 래커 패턴의 전시방법
CN106140582A (zh) 一种闪光漆板的制造方法
CN205273002U (zh) 一种立体艺术装饰品
KR100964843B1 (ko) 기재에 반사방지 효과를 부여하는 투명 필름
WO2020052412A1 (zh) 一种新型装饰材料及其加工工艺
CN203773519U (zh) 一种ogs电容触摸屏及触控设备
CN209402595U (zh) 一种具有cd纹效果的摄像头保护镜片
CN104442167B (zh) 艺术玻璃及其制造方法
TWI568698B (zh) 裝飾玻璃及其製造方法
CN109353156A (zh) 一种应用于环境艺术设计中的陶瓷壁画装饰工艺
CN206737715U (zh) 一种装饰用七彩玻璃板
CN104973802A (zh) 一种高效节能温致变色玻璃
KR200369687Y1 (ko) 유리판 장식재
CN207243744U (zh) 内雕涂层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