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360B1 -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360B1
KR101453360B1 KR1020120076218A KR20120076218A KR101453360B1 KR 101453360 B1 KR101453360 B1 KR 101453360B1 KR 1020120076218 A KR1020120076218 A KR 1020120076218A KR 20120076218 A KR20120076218 A KR 20120076218A KR 101453360 B1 KR101453360 B1 KR 10145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construction
finish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714A (ko
Inventor
권영덕
이익선
Original Assignee
이익선
권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선, 권영덕 filed Critical 이익선
Priority to KR102012007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3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과 분리가능한 요철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개폐가능한 복수의 철근 수용 홈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길이가 길거나, 철근의 설치 간격이 상이한 공사 현장에서도 용이한 사용은 물론 반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의 효율성과 시공품질을 향상하며 비용을 절감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일 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요부가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철부가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설치규격에 따라 설치되는 철근을 수용하거나, 철근을 수용하지 않는 복수의 철근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A mold finish of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과 분리가능한 요철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개폐가능한 복수의 철근 수용 홈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길이가 길거나, 철근의 설치 간격이 상이한 공사 현장에서도 용이한 사용은 물론 반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의 효율성과 시공품질을 향상하며 비용을 절감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건축물의 슬라브(slab : 평판, 어느 정도 두껍고 평평한 조각) 등 기초구조물을 콘크리트로 구축할 경우, 계약도면, 승인받은 시공상세도,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 따라 50㎝, 100㎝, 150㎝, 200㎝ 등의 간격으로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이 설치된 구조물의 거푸집 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면적이 넓어서 하루 작업시간 내에 모두 타설할 수 없거나, 콘크리트의 생산현장에서 타설 현장까지의 운송지연이나 타설 장비의 고장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공급이 갑자기 중단될 경우, 타설 가능한 면적을 구획하여 시공 이음을 위한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이 설치된다.
한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은 목재 또는 철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목재의 경우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시 파손으로 재사용이 어렵고, 철재의 경우 무거워 운반과 설치가 어려운 등의 주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여 다양한 구성의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은 각 거푸집 간의 결합과 분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또 콘크리트 타설 길이가 길거나 높이가 높은 경우, 복수의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나 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높이가 높거나 길이 긴 콘크리트 타설 공사장에서는 사용이 어려우며, 또한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틈으로 콘크리트가 유출(누출)되므로, 이러한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실리콘 밀봉작업이 반드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과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의 사이로 형성되는 빈 틈(공간)을 메우기 위해 실링 되는 실리콘은 콘크리트의 양생 후 제거해야 하고 이와 같은 실리콘 제거를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상기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연결부분은 콘크리트의 압력돌출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마감 면이 고르지 못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약도면, 승인받은 시공상세도,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 따라 50㎝, 100㎝, 150㎝, 200㎝ 등의 간격으로 상이하게 설치되는 철근을 모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설치되는 철근의 간격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동일한 규격을 갖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으로는 철근의 간격이 각각 다르게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은 철근을 수용하는 홈 또는 구멍이 모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된 홈 또는 구멍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불필요한 콘크리트의 낭비가 발생하고, 또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양생 후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의 분리가 어렵고 홈 또는 구멍으로 유입된 콘크리트의 제거를 위한 청소, 정비와 같은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형틀)의 재료는 목재 또는 철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속 시공이음부는 노출되는 철근으로 인하여 매우 복잡하고 조잡하여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과 비용(인건비)이 과다소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목재, 합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 후 분리, 제거시, 파손으로 재사용이 불가하고 그로 인하여 산업 폐기물 및 처리비용이 과다 발생하고, 숙련된 기능공을 투입하여 매번 목재를 재단하여 시공해야 하므로 고급인력이 필요함은 물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여 인건비가 상승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장대교량 및 면적이 넓은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경우 시공 이음부의 수량만큼 자재비 및 인건비를 포함하는 공사비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시공 이음부의 겹 이음 철근수량이 많아서 목공 작업이 조잡하고 작업 시간이 과다하여 공정관리가 어려우며, 노출된 겹이음 철근과 철근 사이의 공간을 많은 조각의 채움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조잡하고 품질이 떨어진다.
또, 규격이 작은 목재를 전기톱을 사용하여 절단하여야 하므로 근로자가 장시간 위험에 노출되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콘크리트 타설 높이나 길이가 길더라도 시공 이음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 철근의 설치 간격이 상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작업을 통해 작업성 향상과 시공품질 향상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을 수용하지 않는 철근 수용 홈은 덮개 등으로 폐쇄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분리,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마감 면을 매끈하게 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으로서, 일 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요부가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철부가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설치규격에 따라 설치되는 철근을 수용하거나, 철근을 수용하지 않는 복수의 철근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철근 수용 홈에는 개폐를 위한 커버체 또는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 수용 홈은,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어느 일 측만이 철근을 수용하거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모두가 철근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 수용 홈은 상호 25㎝∼50㎝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은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철근 수용 홈을 통해 공사조건에 따라 설치 간격이 다른 철근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의 설치 간격이 상이한 여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 향상은 물론 작업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 맞춤으로 인한 시간을 줄여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라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시공)가 가능하고, 각 거푸집 간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루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 누구라도 고품질로 일정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목재와 같은 거푸집에 비해 자재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길이 방향으로 2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은, 개략 사각 또는 직사각형태의 두께를 갖는 패널(panel : 널빤지)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일 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요부(101)가 형성되며, 대향 하는 타 일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철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요부(101)는, 견고한 결합과 용이한 분리를 이루도록 개략 알파벳 T자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부(102)는, 상기 요부(101)에 대응하는 개략 알파벳 T자 형태의 돌기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의 상면(105)과 하면(106)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시공시 설치규격에 따라 여러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부철근(210)과 하부철근(220)을 용이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철근 수용 홈(10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철근 수용 홈(104)은,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을 수용하거나, 수용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감 면(벽면)으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한 분리,제거가 이루어지도록 개방과 폐쇄가 자유롭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철근 수용 홈(104)은 상호 25㎝∼50㎝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철근 수용 홈(104)의 간격은 25㎝를 이루며 형성되거나, 50㎝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계약도면, 승인받은 시공상세도,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 따라 50㎝, 100㎝, 150㎝, 200㎝ 등으로 공사조건에 따라 설치 간격이 상이하더라도 25㎝∼50㎝ 간격으로 형성하면 50㎝, 100㎝, 150㎝, 200㎝의 간격으로 각각 설치되는 모든 철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철근의 설치 간격이 상이한 여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 향상은 물론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철근 수용 홈(104)은, 상면(105) 또는 하면(106) 중, 어느 일 측만이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을 수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상면(105)과 하면(106)에 형성되는 각 철근 수용 홈(104) 중, 철근 설치 간격과 일치하는 모두에 상부철근(210)과 하부철근(220)을 수용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가 낮거나, 골조로 설치되는 상부철근(210)과 하부철근(220)의 간격이 다소 좁을 경우에는 상면(105)에 형성된 각 철근 수용 홈(104) 중, 일부로는 상부철근(210)이 수용되고, 하면(106)에 형성된 각 철근 수용 홈(104) 중, 일부로는 하부철근(22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철근 수용 홈(104)에는 개폐를 위한 커버체 또는 덮개(10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체 또는 덮개(103)는 각 철근 수용 홈(104)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를 이루어 필요에 따라 각 철근 수용 홈(104)으로부터 분리하여 개방하거나, 결합하여 폐쇄하게 된다.
예컨대,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의 설치 간격이 50㎝를 이루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시공 이음을 위한 마감 작업이 요구될 경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으로 50㎝ 간격마다 위치하는 각 철근 수용 홈(104)은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을 수용하여야 하므로 커버체 또는 덮개(103)를 개방하고, 나머지 간격 즉, 25㎝, 75㎝, 125㎝ 간격에 위치하는 철근 수용 홈(104)으로는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을 수용하지 않으므로 폐쇄한 상태로 두어 콘크리트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을 수용하지 않는 각 철근 수용 홈(104)은 커버체 또는 덮개(103)로 폐쇄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의 분리 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마감 면을 매끈하게 할 수 있어 시공품질의 향상과 불필요한 콘크리트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은, 탄력을 갖음과 동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强度)를 구비한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조를 이루는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이 50㎝ 또는, 100㎝ 등과 같이 정확한 간격으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약간 벗어나 어느 일 측으로 위치 이동하더라도 인장력을 가할 경우 탄력작용에 의해 각 철근 수용 홈(104)의 위치는 상부철근(210) 또는 하부철근(220)의 위치에 맞게 약간 늘어져 이동되므로 별도의 홈 가공이나 철근의 위치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수용토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철근이 정확한 설치 위치에서 약간 벗어날 경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에 형성된 각 철근 수용 홈(104)을 그에 맞게 다시 뚫거나, 상부 또는 하부철근의 위치를 다시 바로잡는 추가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은 토목/건설현장에서 현장 콘크리트 타설하는 시공이음부의 탑 슬래브/벽체/바닥 슬래브 등 연결부의 모든 부분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음이 요구되는 부분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타설 길이에 맞게 각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의 요부(101)와 철부(102)를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이 위치하는 하부 일측면을 막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골조를 이루는 하부철근(220)은 하부 일측면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의 상면(105)에 형성된 각 철근 수용 홈(104) 중, 철근의 설치 간격과 일치하는 부분으로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철근 수용 홈(104) 중, 하부철근(220)이 수용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것은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체 또는 덮개(103)에 의해 모두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하부 측에 설치된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의 상면(105)으로는 중앙 거푸집(110)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중앙 거푸집(110)은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높이에 따라 적합하게 미리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다음, 상기 중앙 거푸집(110)의 상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길이에 맞게 요부(101)와 철부(102)를 연결한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측면 상부를 막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시공이음부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을 설치한 후, 시멘트와 골재 및 혼화제 등이 배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가 일정 시간 동안 양생 되어 굳어지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과 중앙 거푸집(110)을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시공이음부에서 분리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은, 다른 시공이음부에 반복적으로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의 설치 간격이 상이한 여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과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고,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의 맞춤으로 인한 시간을 줄여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라도 신속, 용이하게 설치(시공)가 가능함과 동시에 각 거푸집 간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루고,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 누구라도 고품질로 일정하게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길이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덮개(103)를 갖는 철근 수용 홈(104)을 1개 또는 2개 정도를 형성하여 길이를 짧게 하고, 양단으로는 요부(101)과 철부(102)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켜 길이가 길거나 어중간한 길이로 마감되는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현장에서 종래와 같이 반드시 숙련공에 의해 거푸집을 길이에 맞게 재단하지 않고도 필요한 길이 만큼 현장에서 바로 결합하여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100)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에서 거푸집 맞춤으로 인한 시간을 줄여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101 : 요부
102 : 철부 103 : 덮개
104 : 철근 수용 홈 105 : 상면
106 : 하면 110 : 중앙 거푸집
210 : 상부철근 220 : 하부철근
300 :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5)

  1.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으로서,
    일 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요부가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단 부분으로는 결합과 분리를 위한 철부가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설치규격에 따라 설치되는 철근을 수용하거나, 철근을 수용하지 않는 복수의 철근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철근 수용 홈에는 개폐를 위한 덮개 또는 커버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수용 홈은,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 측만이 철근을 수용하거나, 상면과 하면 모두가 철근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수용 홈은 상호 25㎝∼50㎝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은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KR1020120076218A 2012-07-12 2012-07-12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KR10145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18A KR101453360B1 (ko) 2012-07-12 2012-07-12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18A KR101453360B1 (ko) 2012-07-12 2012-07-12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14A KR20140009714A (ko) 2014-01-23
KR101453360B1 true KR101453360B1 (ko) 2014-10-23

Family

ID=5014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18A KR101453360B1 (ko) 2012-07-12 2012-07-12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22B1 (ko) * 2017-01-11 2018-08-16 (주)테크앤지 측뇌용 피뢰침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0058B1 (ko) * 2017-03-27 2019-04-17 류재현 난방파이프 고정 철망용 콘크리트 타설 경계구
CN107489269A (zh) * 2017-08-24 2017-12-1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后浇带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CN110043028A (zh) * 2019-05-17 2019-07-23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施工缝或后浇带处侧模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39A (ja) * 1991-10-15 1993-04-27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打継ぎ用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
JPH0678499U (ja) * 1993-04-14 1994-11-04 啓次 牧島 床スラブへの貫通孔形成用型枠
JPH1162235A (ja) * 1997-08-08 1999-03-05 Sumikura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土間施工方法
JP2001193281A (ja) * 1999-11-04 2001-07-17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仕切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39A (ja) * 1991-10-15 1993-04-27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打継ぎ用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
JPH0678499U (ja) * 1993-04-14 1994-11-04 啓次 牧島 床スラブへの貫通孔形成用型枠
JPH1162235A (ja) * 1997-08-08 1999-03-05 Sumikura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土間施工方法
JP2001193281A (ja) * 1999-11-04 2001-07-17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仕切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14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2426A (zh) 横向预应力全宽钢筋混凝土桥面板预制模板体系及施工方法
KR101453360B1 (ko) 콘크리트 마감 거푸집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US20060272268A1 (en) Fireproof precast element with securement structure
KR101024963B1 (ko) 마감패널이 내재된 외벽 일체화 시공용 빌드폼
KR20090010281A (ko) 콘크리트의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JP6901654B2 (ja) 片持ちばり式擁壁の敷設方法
KR200442878Y1 (ko)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KR101071691B1 (ko) 밀착식 거푸집 및 그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2105771B1 (ko) 거푸집 일체형 지수재
CN211250580U (zh) 一种便于脱模的出筋楼板浇筑模板
KR200272863Y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KR101563710B1 (ko) “j”형 측구수로관의 설치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101812560B1 (ko) 건축 시공방법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8717969U (zh) 一种新型后浇带模板支设结构
KR101140627B1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CN206477251U (zh) 横向预应力全宽钢筋混凝土桥面板预制模板体系
KR100432862B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WO2023175836A1 (ja) 構造物の基礎の建設方法
CN210082027U (zh) 一种改进的专用叠合梁定型模具组件
JP2009114647A (ja) 基礎コンクリート成形用組立式捨て枠及び基礎コンクリート成形用組立式捨て枠工法
KR20230147322A (ko) 표면 마감재 동시 시공을 위한 건축 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