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526B1 -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526B1
KR101452526B1 KR1020090008566A KR20090008566A KR101452526B1 KR 101452526 B1 KR101452526 B1 KR 101452526B1 KR 1020090008566 A KR1020090008566 A KR 1020090008566A KR 20090008566 A KR20090008566 A KR 20090008566A KR 101452526 B1 KR101452526 B1 KR 10145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core
field
fixing
wall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356A (ko
Inventor
신충한
정석제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5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5Details relating to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coils or to clutches having more than one coil in the sam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의 외관 및 골격은 필드코어(1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10)는 외측벽(111)과 내측벽(112)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벽(111)과 상기 내측벽(112)의 사이에는 전자코일체(130)와 보빈(132)이 설치되는 수납공간(113)이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주면을 둘러서는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가 요입 또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10)에는 상기 보빈(132)과 전자코일체(130)를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납공간(113)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거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재(1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의 내면에는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제1 및 제2고정부(114,115)가 요입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때, 제1 및 제2고정부(114,115)는 필드코어(110)가 단조 가공을 통해 만들어질 때 동시에 만들어 질 수 있는 부분으로, 후가공공정 없이 필드코어(110)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압축기, 필드코일 어셈블리, 전자클러치, 고정부재, 에폭시수지

Description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sembly for electromagnectic clutch}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클러치에 구비되어 전원 인가시 권선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압축기는 엔진의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로 할 때 구동력을 전자클러치의 단속에 의해 전달받는다.
상기 전자클러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구비되고 압축기 하우징에 지지됨과 동시에 전원 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와,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인자속에 의하여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전원 인가시 권선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자기력으로 상기 풀 리의 디스크와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자클러치가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풀리의 구동력을 상기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되게 하는 전기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클러치는 권선된 코일에 대한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자동차 등의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필드코일 어셈블리(10)는 압축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0)는 전원 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하여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미도시)가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미도시)에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0)의 외관 및 골격은 필드코어(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2)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은 일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빈(22) 및 전자코일체(20)가 구비된다. 상기 필드코어(12)는 보빈(22) 및 전자코일체(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2')의 내부에는 노치(Notch)(14) 가 형성된다. 상기 노치(14)는 상기 수납공간(12')의 내주면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노치(14)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부재(30)가 상기 필드코어(1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노치(14)는 상기 필드코어(12) 내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될 때 상기 노치(14)에도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고정부재(30)가 상기 필드코어(1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필드코어(12)의 수납공간(12')에는 전자코일체(20)가 구비된다(도 2참조). 상기 전자코일체(20)는 코일이 링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자코일체(20)의 일측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어 리드선(미도시)이 된다.
상기 필드코어(12)의 수납공간(12')에는 온도퓨즈(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퓨즈는 압축기의 구동벨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쇼트되어 상기 전자코일체(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퓨즈의 양측에는 상기 전자코일체(20)의 리드선과 통전되는 리드선이 각각 인출된다.
상기 전자코일체(20)의 일면에는 보빈(22)이 구비된다. 상기 보빈(22)은 상기 필드코어(12)의 수납홈(12')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자코일체(20)와 함께 상기 필드코어(12)의 수납홈(12')에 삽입된다. 상기 보빈(22)은 상기 전자코일체(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드코어(12)에는 고정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필드코어(12) 내에 에폭시수지(epoxy resin)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빈(22)과 전자코일체(20)를 상기 필드코어(12)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에는 걸이리브(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31)는 상기 필드코어(12)의 노치(14)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리브(31)는 상기 노치(14)에 고정되어 상기 필드코어(12)에 지지된다. 즉, 상기 걸이리브(31)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전자클러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풀리가 회전되는데, 상기 풀리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전자코일체(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축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전자코일체(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로부터 발생되는 흡인자속에 의해 디스크가 풀리의 마찰면에 밀착됨으로써, 벨트를 통해 풀리에 전달된 엔진의 동력이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 그리고 압축기의 구동축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압축기의 구동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압축기의 구동축이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사판이 회전된다. 상기 사판이 회전하면, 사판의 가장자리에 슈를 개재한 상태로 연결부가 연결된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사판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는 슈가 구비되어 사판과 피스톤 사이의 마 찰을 줄이게 된다.
상기 피스톤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는 냉매가 압축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로는 상기 흡입실에 있는 냉매가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흡입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토출실로 토출되어 압축기의 외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구동되는 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전달장치에 인가되던 전원이 제거되면, 상기 전자코일체(20)에 의해 흡인자속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는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디스크와 풀리의 마찰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풀리만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 그리고 이에 연결된 구동축은 회전을 멈추게 되어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중단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필드코어(12)의 수납공간(12')에 형성된 노치(14)는 상기 필드코어(12)를 단조 가공하여 형상을 형성한 후 후가공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두 번의 가공 공정을 통해 상기 필드코어(12) 및 노치(14)가 형성되므로, 제품의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필드코어(12)는 풀리에 구비되어 상기 풀리와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드코어(12)의 수납공간(12')에는 노치(14)가 상기 필드코 어(12)의 회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구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30)가 유동되는 것 만을 방지하므로, 상기 고정부재(30)가 상기 필드코어(12)의 내부에서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드코어 내에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가공공정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더코어의 내에서 고정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일이 링형으로 권선되어 전원 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하여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가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도록 하는 전자코일체, 상기 전자코일체를 지지하는 보빈, 상기 풀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전자코일체가 내부에 설치되는 필드코어, 그리고 상기 보빈과 전자코일체를 상기 필드코어의 내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거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어는 상기 풀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직경을 달리하는 링형상의 외측벽과 내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사이에는 상기 보빈 및 전자코일체가 구비되는 수납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부가 요입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단조 가공을 통해 상기 필드코어와 동시에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자코일체가 구비되는 필드코어의 수납공간의 내면에는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요입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로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필드코어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는 상기 필드코어가 단조 가공을 통해 만들어질 때 동시에 만들어 질 수 있는 부분으로, 후가공공정 없이도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드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공정이 감소하므로, 제품의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자코일체가 구비되는 필드코어의 수납공간의 내면에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필드코어의 수납공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필드코어 내에서 풀리의 회전방향과 나란한 방향 및 압축기의 구동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본 발명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압축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더코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전선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코일체(130)와, 상기 전자코일체(130)와 결합되어 상기 전자코일체(130)를 지지하는 보빈(132), 상기 보빈(13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132)과 전자코일체(13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필드코어(110), 그리고, 상기 필드코어(110) 내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보빈(132)과 필드코어(110)를 상기 필드코어(110)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압축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전원 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하여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미도시)가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미도시)에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의 외관 및 골격은 상기 필드코어(1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드코어(110)는 보 빈(132) 및 전자코일체(13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드코어(110)는 상기 풀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직경을 달리하는 링형상의 외측벽(111)과 내측벽(112)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벽(112)은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12)은 상기 필드코어(110)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벽(111)과 내측벽(112)은 서로 협력하여 링형상의 공간을 만든다.
상기 내측벽(112)의 외측, 즉 상기 필드코어(110)의 외측벽(111)과 상기 내측벽(112)의 사이에는 수납공간(113)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13)은 링형상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13)은 일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13)에는 상기 보빈(132) 및 전자코일체(130)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벽(111)의 내주면에는 제1고정부(114)가 형성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14)는 상기 외측벽(111)의 내주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14)는 상기 외측벽(111)의 내주면에 소정 깊이만큼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14)는 상기 외측벽(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압축기의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斜線)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14)는 그 내부에 에폭시수지(epoxy resin)가 주입되어, 상기 고정부재(140)의 일부, 즉, 아래에서 설명될 제1결합부(142)를 형성하여 상기 필드코어(110)와 커버(140) 사이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제1고정부(114)는 상기 풀리가 회전될 때,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140)가 회전되거나 압축기의 구동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1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측벽(112)의 외주면에는 제2고정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115)는 상기 내측벽(112)의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115)는 상기 내측벽(112)의 외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115)는 상기 내측벽(112)의 외주면으로부터 압축기의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斜線)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115)는 상기 제1고정부(114)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납공간(113)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고정부재(140)의 일부, 즉, 아래에서 설명될 제2결합부(143)를 형성하여 필드코어(110)와 고정부재(140) 사이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제2고정부(114)는 상기 수납공간(113)에 고정부재(140)가 고정될 때, 고정부재(140)가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에는 상기 전자코일체(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자코일체(130)는 코일이 링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자코일체(130)의 일측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어 리드선(미도시)이 된다. 상기 리드선은 상기 보빈(132)에 형성된 터미널(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는 온도퓨즈(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퓨즈는 압축기의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쇼트되어 상기 전자코일체(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퓨즈의 양측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어 리드선(미도시) 이 된다.
상기 필드코어(110)에는 고정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빈(132)과 전자코일체(130)를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140)의 외관 및 골격은 커버몸체(1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14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몸체(141)는 상기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141)에는 제1결합부(142)와 제2결합부(14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42) 및 제2결합부(143)는 상기 필드코어(110)의 제1고정부(114)와 제2고정부(115)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결합부(142) 및 제2결합부(143)는 상기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42)와 제2결합부(143)는 상기 제1고정부(114)와 제2고정부(115)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필드코어(110)에 지지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142)와 제2결합부(143)가 상기 제1고정부(114)와 제2고정부(115)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40)가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재(140)가 상기 풀리의 회전방향과 나란한 방향 및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전자코일체(130)의 두 리드선을 각각 온도퓨즈의 리드선과 솔더링(soldering)하여 통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자코일체(130) 및 보빈(132)을 상기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에 액상상태의 에폭시수지를 주입시킨다. 계속해서 에폭시수지를 주입시키면, 상기 필드코어(110)의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고, 상기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의 내부 전체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된다. 에폭시수지가 상기 수납공간(113)에 다 주입된 후 경화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40)에는 상기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에 각각 고정되는 제1결합부(142) 및 제2결합부(14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4)은 상기 필드코어(110)가 단조 가공을 통해 만들어질 때 동시에 만들어 질 수 있는 부분으로, 후가공공정 없이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자코일체(130) 및 보빈(132)이 상기 필드코어(110) 내부에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코일체(130)와 필드코어(110) 사이는 절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폭시수지를 주입할 때, 온도퓨즈를 완전히 매몰시키지 않고 그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온도퓨즈의 온도감지기능의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엔진의 구동력이 벨트 를 통해 상기 풀리에 전달되면, 상기 풀리는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전자코일체(1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디스크가 밀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구동축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조시스템의 가동 필요성이 발생하여 압축기가 구동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차량의 제어시스템이 공조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공조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되고 냉매가 압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코일체(13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상기 전자코일체(130)이 흡인자속을 발생시킨다.
상기 전자코일체(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코일체(130)의 흡인자속에 의해 상기 디스크는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풀리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축으로 상기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를 통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풀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40)는 상기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에 각각 제1결합부(142) 및 제2결합부(143)가 고정되므로, 필드코어(110) 내에서 풀리의 회전방향과 나란한 방향 및 압축기의 구동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압축기의 구동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사판이 회전된다. 상기 사판이 회전하면, 사판의 가장자리에 슈를 개재한 상태로 연결부가 연결된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사판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는 슈가 구비되어 사판과 피스톤 사이의 마찰을 줄 이게 된다.
상기 피스톤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는 냉매가 압축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로는 상기 흡입실에 있는 냉매가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흡입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토출실로 토출되어 압축기의 외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구동되는 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전달장치에 인가되던 전원이 제거되면, 상기 전자코일체(130)에 의해 흡인자속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는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디스크와 풀리의 마찰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풀리만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 그리고 이에 연결된 구동축은 회전을 멈추게 되어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중단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40)는 에폭시수지를 필드코어(110)의 수납공간(113)에 주입하여 경화시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40)는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에도 필드코어(110)의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에 각각 고정되는 제1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드코어(110)의 내주면에는 제1고정부(114)가 형성되고, 필드코어(110)의 내측벽(112)에는 제2고정부(115)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드코어(110)의 내주면 또는 내측벽(112) 중 어느 일측에만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드코어(110)에는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15)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140)에는 제1결합부(142) 및 제2결합부(143)가 돌출되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드코어(110)에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140)에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더코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필드코일 어셈블리 110: 필드코어
111: 외측벽 112: 내측벽
113: 수납공간 114: 제1고정부
115: 제2고정부 130: 전자코일체
132: 보빈 140: 고정부재
141: 커버몸체 142: 제1결합부
143: 제2결합부

Claims (2)

  1. 코일이 링형으로 권선되어 전원 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하여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가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도록 하는 전자코일체(130), 상기 전자코일체를 지지하는 보빈(132), 상기 풀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132)과 전자코일체(130)가 내부에 설치되는 필드코어(110), 그리고 상기 보빈(132)과 전자코일체(130)를 상기 필드코어(110)의 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필드코어(110) 내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되거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어(110)는 상기 풀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직경을 달리하는 링형상의 외측벽(111)과 내측벽(112)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벽(111)과 상기 내측벽(112)의 사이에는 상기 보빈(132) 및 전자코일체(130)가 구비되는 수납공간(113)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111)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벽(11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부(114,115)가 요입 또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4,115)는 단조 가공을 통해 상기 필드코어(110)와 동시에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4,115)는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20090008566A 2009-02-03 2009-02-03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452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566A KR101452526B1 (ko) 2009-02-03 2009-02-03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566A KR101452526B1 (ko) 2009-02-03 2009-02-03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356A KR20100089356A (ko) 2010-08-12
KR101452526B1 true KR101452526B1 (ko) 2014-10-23

Family

ID=4275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566A KR101452526B1 (ko) 2009-02-03 2009-02-03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125B1 (ko) * 2014-01-03 2019-11-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용 클러치의 필드코어 조립체
CN108757766A (zh) * 2018-05-28 2018-11-06 安徽昊方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导磁性离合器线圈总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64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전자 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KR20050055877A (ko) * 2003-12-09 2005-06-14 한라공조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KR20060106441A (ko) * 2005-04-08 2006-10-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64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전자 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KR20050055877A (ko) * 2003-12-09 2005-06-14 한라공조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KR20060106441A (ko) * 2005-04-08 2006-10-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356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27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0996744B1 (ko) 모터 및 압축기
JP2018517092A (ja) 圧縮機
KR20090031304A (ko) 클로 폴형 모터 및 펌프
CN103573630A (zh) 马达驱动压缩机
US20150014117A1 (en) Electromagnetic Clutch
US6956315B2 (en) Stator for reciprocating motor
KR101452526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US20160053829A1 (en) Electromagnetic Clutch
JP2008042956A (ja) 電動コンプレッサ
US958116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uel pump
US9537381B2 (en) Motor for compress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CN109314447B (zh) 转子、电动机、空调机以及转子的制造方法
KR101952759B1 (ko) 전자클러치의 코일어셈블리
US7294941B2 (en) Winding coil assembly of reciprocating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49994Y1 (ko) 차량용압축기의필드코어
KR101886729B1 (ko) 전동 압축기
JP6311471B2 (ja) 圧縮機
JP2002039214A (ja) 電磁クラッチ
KR101112600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0659702B1 (ko)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어셈블리
WO2004085866A1 (en) Structure and method of mounting built-in type of discharge element part
KR101724786B1 (ko)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89977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KR101557993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