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90B1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390B1
KR101452390B1 KR1020130117866A KR20130117866A KR101452390B1 KR 101452390 B1 KR101452390 B1 KR 101452390B1 KR 1020130117866 A KR1020130117866 A KR 1020130117866A KR 20130117866 A KR20130117866 A KR 20130117866A KR 101452390 B1 KR101452390 B1 KR 10145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acility
statu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두
Original Assignee
(주)주인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인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주인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1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는 시설제어장치와 대화 형태로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시설 관리자가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먼 거리 이동 중에 있을지라도 각 상하수도 시설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각적으로 응급상황에 대하여 대응하여 정상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INTERACTIV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는 시설제어장치와 대화 형태로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 시설 등에서 이용되는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은 상수도 시설의 경우 원수를 통하여 공급하는 도수관로, 원수를 취수하는 취수장과, 취수장에서 들어온 물의 양 및 수위를 조절하는 착수정과, 정수약품을 투입하고 잘 섞이도록 하는 혼화지와, 약품과 이물질이 서로 엉기게 하는 응집지와, 물속의 응집물을 가라앉혀 찌꺼기는 버리고 맑은 물만 여과지로 보내는 침전지와, 침전지에서 없애지 못한 아주 작은 응집물 등을 여과하는 여과지와, 물속의 각종 세균을 없애는 염소투입실과, 여과지와 염소투입실을 통과한 깨끗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정수장과, 정수장에서 보내온 물을 저장하여 각 가정으로 보내는 배수지와, 정수장의 물을 배수지로 보낼 때(송수 과정) 펌핑에 의한 가압 송수 및 중계 송수하는 가압장 및 중계펌프장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도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 유량과 수량 압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 및 감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상하수도 관리 장치는 각 지역 시설(예컨대, 도수관로, 취수장, 정수장, 배수지, 가압장, 중계펌프장 등)별로 독자적인 설비를 구축/운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설비(펌프나 밸브 등)에 대한 원격 제어와 감시를 위해 별도의 유선 통신망 및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운영 및 유지 보수하기 위한 인원 또한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는데 있어, 별개의 유선 통신망 및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도수관로와 같이 원거리의 경우 통합적인 제어 및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각 지역 시설의 설비들에 대한 제어(예컨대, 펌프나 밸브 등의 온/오프접점 제어 등)를 행한 후에 그 제어 상태나 결과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특히,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상하수도 시설의 제어 및 감시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특허등록 제10-09912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는 시설제어장치와 대화 형태로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여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경고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설제어장치;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각 시설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태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태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에 미리 저장된 상태요청값을 확인한 후, 해당 확인된 상태요청값을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제어명령을 추가로 수행한 후, 제어명령의 변경을 확인하고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환경설정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설정인자를 확인하고 설정값 변경 후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 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태요청, 제어요청 및 환경설정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처리하기 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해당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유인증번호를 송신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고유인증번호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태요청, 제어요청 및 환경설정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격지를 포함한 각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정지 및 이동 중에서 제공받아 각 상하수도 시설을 통합적으로 실시간 관리 및 제어하는 시설운영센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설운영센터는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스템 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정지 및 이동 중에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로 되돌아오도록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환경설정 명령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설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수도 시설들은 도수관로, 취수장, 착수정,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정수지, 송수장, 배수지, 가압장, 하수처리장 또는 맨홀펌프장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는 시설제어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화형으로 원격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a) 각 시설제어장치를 통해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여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경고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상태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a) 이전에, (a-1) 각 시설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a-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상태요청 메시지일 경우,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에 미리 저장된 상태요청값을 확인한 후, 해당 확인된 상태요청값을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a-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제어요청 메시지일 경우 제어명령을 추가로 수행한 후, 제어명령의 변경을 확인하고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a-4) 상기 단계(a-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환경설정요청 메시지일 경우, 설정인자를 확인하고 설정값 변경 후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1) 이전에, 각 시설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명령 메시지들을 제공받아 이를 처리하기 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해당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유인증번호를 송신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고유인증번호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 메시지들을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또는 단계(b) 이후에, 별도의 시설운영센터를 통해 각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제공받아 각 상하수도 시설을 통합적으로 실시간 관리 및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설운영센터는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스템 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로 되돌아오도록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환경설정 명령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설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는 시설제어장치와 대화 형태로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시설 관리자가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먼 거리에 있을지라도 각 상하수도 시설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각적으로 응급상황에 대하여 대응하여 정상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하수도 시설을 구성하는 각 지역 시설(예컨대, 도수관로, 취수장, 정수장, 배수지, 가압장, 중계펌프장 등)들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그 시설 제어 기능과 유기적인 원격 감시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각 지역 시설에 대한 제어 및 감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저렴하고 편리한 시설 관리 및 운영 유지가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정수장 현장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시설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시설제어장치에서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정수장 현장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시설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크게 상하수도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 시설운영센터(200) 및 이동통신 단말기(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는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는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에 일정 주기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하수도 시설들은 예컨대, 도수관로, 취수장, 착수정,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정수지, 송수장, 배수지, 가압장, 하수처리장 또는 맨홀펌프장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장에서는 상수원수를 펌프로 취수한 후, 원수를 소독하여 세균 등을 사멸시키는 전염소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도수관로는 원거리에서 취수한 원수를 정수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착수정에서는 상기 도수관로를 통해 펌프로 취수된 상수원수를 받아 수위를 안정시키고, 수원이 복수인 경우에 원수의 혼합, 역세척수의 환원, 전처리 약품의 주입 등을 수행한다.
상기 혼화지는 정수를 위하여 투입된 약품을 원수와 혼합하는 장소이다. 정수약품의 화학적 반응이 매우 신속하게 종료되므로, 가능한 작은 용량의 혼화지 내에서 강력한 힘으로 약품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집지는 상기 혼화지에서 불안정화된 콜로이드 입자들을 서로 뭉쳐 침전이 가능한 입자들로 성장시키는 시설이다. 이러한 응집지에서는 미세 플록들이 서로 충돌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교반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성장한 플록들이 파괴되지 않도록 교반강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침전지는 응집되어 침전이 가능해진 입자들을 침전시켜 원수로부터 분리해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침전지에서는 가능한 작은 입자들까지 제거될 수 있도록 물의 흐름에 층류가 유지되어야 하며 밀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수처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입, 유출부의 구조가 매우 중요하다.
상기 여과지는 상기 침전지에서 침전되지 않은 미세 플록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모래 또는 모래와 안트라사이트의 여과층과 여과층을 지지하기 위한 자갈층, 하부집수장치와 역세척을 위한 펌프 및 관련 배관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정수지는 생산된 수돗물을 저장하는 곳이고, 펌프실에서 정수를 배수지 또는 각 가정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수돗물을 각 가정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높은 곳에 저장하는 배수지를 거쳐 각 가정에 공급된다.
상기 배수지는 상기 정수지에서 보내온 물을 저장하여 각 가정으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장은 상기 정수지의 물을 상기 배수지로 보낼 때(송수 과정) 펌핑에 의한 가압 송수 및 중계 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수처리장은 공장이나 영업소 또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 및 폐수중의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걸러내 마지막으로 처리해 하천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수처리장은 예컨대, 침사지, 1차 침전지, 폭기조, 2차 침전지, 고도처리시설, 슬러지 처리시설 등을 구비하고 있어 하수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는 가운데 정화를 취하게 된다.
상기 맨홀펌프장은 저지대의 생활오수를 펌프장에 차집하여 일정수위가 되면 자동으로 펌핑하여 상기 하수처리장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예컨대, 유량 센서, 수압 센서 또는 수질 센서 등)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즉, 기준 설정값)를 벗어나는 경우, 예컨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형태로 상태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망(10)을 통해 시설운영센터(200) 및/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 통신망(10)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등으로 이루어진 3세대 이동통신망(3G), 4세대 이동통신망(4G), 5세대 이동통신망(5G)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 통신망(10)과 더불어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와 시설운영센터(200) 사이에는 유선 통신망(20)(예컨대, 광 네트워크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이중화 회선으로 상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제모듈(110), 상태감시모듈(120), 메인모듈(130), 제어모듈(140), 컨트롤러(150) 및 프로바이더(Provider)(1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통제모듈(110)은 하드웨어 및 전체 모듈에 연결되어 전체 모듈을 통제하고 하드웨어 모뎀을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태감시모듈(120)은 일정주기로 로컬 디바이스(Local Device) 즉,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예컨대, 유량 센서, 수압 센서 또는 수질 센서 등)의 상태값을 요청 및 상태정보테이블에 저장하며, 메인모듈(130)의 요청으로 상태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태감시모듈(120)에서는 메인모듈(130)로부터 관제점정보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정보를 요청 받으면, 출력큐, 제어모듈(140) 및 컨트롤러(150)를 거쳐 제어입력을 로컬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부터 출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출력을 컨트롤러(150), 제어모듈(140), 입력큐, 메인모듈(130) 및 상태감시모듈(120)을 거쳐 상태정보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의 상태감시모듈(120)에서 주기적으로 정보를 확인하다가 기설정된 정상범위가 벗어나는 경우, 바로 미리 설정된 운영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응급사항을 알린다.
즉,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의 상태감시모듈(120)에서는 메인모듈(130)로부터 관제점정보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정보를 요청 받으면, 출력큐, 제어모듈(140) 및 컨트롤러(150)를 거쳐 제어입력을 로컬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부터 출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출력을 컨트롤러(150), 제어모듈(140), 입력큐, 메인모듈(130) 및 상태감시모듈(120)을 거쳐 상태정보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로컬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출력신호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운영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응급사항을 알리고, 상태정보테이블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운영자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는 관제점리스트 중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시설제어장치의 위치와 관제점의 상태값을 확인한다(예컨대, 정수장의 도수관로 유압값이 벗어난 경우 유압값을 확인하거나, 마을하수처리장의 유입유량 및 유출유량값을 확인하거나, 맨홀펌프장의 유입유량, 관압 및 펌프장수위값을 확인함).
그런 다음, 운영자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는 예컨대, 정수장의 도수관로 유압 관제점 제어명령이나, 마을하수처리장의 비상방류밸브제어, 저류조 송풍기 및 교반기제어값을 설정하거나, 맨홀펌프감시제어(교번운전) 명령을 해당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한다.
이후에, 해당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에서는 예컨대, 정수장의 도수관로 유압 관제점을 제어하고 상태변경이 발생하면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변경된 상태값을 송신하거나, 마을하수처리장의 유입유량에 의하여 비상방류밸브 등의 감시제어설비의 상태변경이 발생하면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변경된 상태값을 송신하거나, 맨홀펌프장의 기준수위값 설정에 의하여 맨홀펌프를 가동하며 펌프가동상태 등의 변동상황을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상태값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운영자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는 예컨대, 정수장의 변경된 도수관로 유압값을 확인하거나, 마을하수처리장의 변경된 감시제어설비의 제어상태 및 유출유량을 확인하거나, 맨홀펌프장의 변경된 가동상태값 및 수위를 확인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이용한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의 상태확인 및 관제점제어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컨대,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 중 어느 하나의 시설제어장치(100-1)로 관제점리스트를 요청하면, 해당 시설제어장치(100-1)에서는 요청된 메시지를 프로바이더(160) 및 입력큐를 거쳐 메인모듈(130)로 전달한다.
이때, 메인모듈(130)에서는 요청된 메시지를 전달받아 관제점정보테이블에서 관제점리스트 정보를 읽어서 상태감시모듈(120), 출력큐 및 프로바이더(160)를 거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SMS 송신한다.
이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는 시설제어장치(100-1)로부터 SMS 송신된 전체 관제점리스트 정보를 확인한 후, 예컨대, 정수장의 도수관로 유압 관제점을 선택하고 상태를 시설제어장치(100-1)로 요청한다.
그런 다음, 해당 시설제어장치(100-1)에서는 요청된 메시지를 프로바이더(160) 및 입력큐를 거쳐 메인모듈(130)로 전달한다. 이때, 메인모듈(130)에서는 요청된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태정보테이블에서 상태정보(예컨대, 도수관로 유압값 참조)를 읽어서 상태감시모듈(120), 출력큐 및 프로바이더(160)를 거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SMS 송신한다.
이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는 시설제어장치(100-1)로부터 SMS 송신된 도수관로 유입값을 확인한 후, 예컨대, 정수장의 도수관로 유압 관제점 제어명령을 해당 시설제어장치(100-1)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해당 시설제어장치(100-1)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에 의하여 도수관로 유압 관제점 제어를 수행하고, 상태변경이 발생하면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변경된 상태값을 송신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 메시지를 프로바이더(160) 및 입력큐를 거쳐 메인모듈(130)로 전달한다.
이때, 메인모듈(130)에서는 전달된 제어명령 메시지를 전달받아 명령어테이블에서 명령어를 참조하여 상태감시모듈(120), 출력큐, 제어모듈(140) 및 컨트롤러(150)를 거쳐 제어입력을 로컬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는 변경된 도수관로 유압값을 확인한다.
한편,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은 예컨대, 유량 센서, 수압 센서 또는 수질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상기 유량 센서는 예컨대, 상수도 관망을 배수지별로 구역에 따라 블록화하여 취수장 및 정수장을 비롯한 각 배수지와 그 블록내의 유입부 및/또는 유출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유입량 및/또는 유출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수압 센서는 각 배수지 블록내의 유입부에 구비된 유압제어밸브 내에 설치되며,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설운영센터(200)는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아 각 상하수도 시설을 통합적으로 실시간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시설운영센터(200)에서는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시스템 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예컨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웹 서비스(Web Service) 또는 왑 서비스(Wab Service) 형태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운영센터(200)는 예컨대, 취수장 또는 정수장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배수지와 그 블록들의 유량 및 수압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각 배수지 블록별로 현재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유입량 및/또는 유출량 데이터,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와 각각 대응되는 바로 이전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유입량 및/또는 유출량 데이터,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시설운영센터(200)에서는 현재 및 이전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데이터들의 비교 분석 결과를 해당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그래프(Graph) 또는 테이블(Table) 형태로 디스플레이(Display)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설운영센터(200)에서는 각 유량 센서로부터 검출된 유입량 데이터 및/또는 유출량 데이터를 통해 각 배수지별 생산 유수율 및 블록 유수율을 비롯한 무수율 또는 누수율 등을 산출하여 해당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유수율(%)=(유출계÷유입계)×100(%)이고, 무수율(%)=100%-유수율(%)이며, 누수율(%)=(누수량÷유입계)×100(%)이다. 예를 들면, 취수장 유출과 정수장 유입, 정수장 유출과 배수지 유출, 배수지 유출과 블록 유입 등을 비교하여 유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시설운영센터(200)에서는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제공받은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에 일정 주기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이동 통신망(10)을 통해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상태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로 되돌아오도록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환경설정 명령(예컨대, 기준 설정값 등)을 이동 통신망(10)을 통해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통상의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상하수도 시설들에 적용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하수도 시설들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모든 시설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시설제어장치에서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를 통해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여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경고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S100).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전송된 상태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준다(S200).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100 또는 단계S200 이후에, 별도의 시설운영센터(200)를 통해 각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제공받아 각 상하수도 시설을 통합적으로 실시간 관리 및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설운영센터(200)에서는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시스템 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예컨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웹 서비스(Web Service) 또는 왑 서비스(Wab Service) 형태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S200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통해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로 되돌아오도록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환경설정 명령(예컨대, 기준 설정값 등)을 이동 통신망(10)을 통해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에서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에서는 준비과정을 진행한다(S10).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의 전원확인 및 부팅하고, 모든 모듈들을 로딩(Loading) 및 구동한 후, 상태감시모듈(120)을 작동하여 일정주기로 상태값을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예컨대, 상태정보테이블)에 저장한다.
이후에,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들을 제공받아 인증확인 과정을 진행한다(S15 내지 S25).
즉,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들(예컨대, 제어요청, 상태요청 및 환경설정요청 메시지)에 대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해당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고유인증번호를 송신한다.
그런 다음, 각 시설제어장치(100-1 내지 100-N)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송신한 고유인증번호일 경우, 어떠한 종류의 명령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단계S30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상태요청 메시지일 경우, 상태요청인자를 확인하고 데이터저장소에서 상태요청값을 확인한 후, 해당 확인된 상태요청값을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35 및 S40).
그렇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제어요청 메시지일 경우, 제어인자(또는 제어명령)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어명령을 추가로 수행한 후, 제어명령의 변경을 확인하고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45 및 S50).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환경설정요청 메시지일 경우, 설정인자를 확인하고 설정값 변경 후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55 및 S6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시설제어장치,
200 : 시설운영센터,
300 :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13)

  1.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여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경고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설제어장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각 시설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태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원격지를 포함한 각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정지 및 이동 중에서 제공받아 각 상하수도 시설을 통합적으로 실시간 관리 및 제어하는 시설운영센터를 포함하되,
    각 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태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에 미리 저장된 상태요청값을 확인한 후, 해당 확인된 상태요청값을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제어명령을 추가로 수행한 후, 제어명령의 변경을 확인하고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환경설정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설정인자를 확인하고 설정값 변경 후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로 되돌아오도록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환경설정 명령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설제어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시설운영센터는, 각 상하수도 시설의 배수지와 그 블록들의 유량 및 수압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고, 각 배수지 블록별로 현재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유입량 및 유출량 데이터,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와 각각 대응되는 바로 이전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유입량 및 유출량 데이터,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모니터링하며, 현재 및 이전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데이터들의 비교 분석 결과를 해당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그래프 또는 테이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스템 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정지 및 이동 중에서 제공하며,
    각 시설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태요청, 제어요청 및 환경설정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처리하기 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해당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유인증번호를 송신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고유인증번호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태요청, 제어요청 및 환경설정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상하수도를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시설들에 각각 설치되는 시설제어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화형으로 원격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a) 각 시설제어장치를 통해 상하수도 시설별 상태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여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경고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상태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a) 이전에,
    (a-1) 각 시설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a-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상태요청 메시지일 경우, 별도의 데이터저장소에 미리 저장된 상태요청값을 확인한 후, 해당 확인된 상태요청값을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a-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제어요청 메시지일 경우 제어명령을 추가로 수행한 후, 제어명령의 변경을 확인하고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a-4) 상기 단계(a-1)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명령 메시지가 환경설정요청 메시지일 경우, 설정인자를 확인하고 설정값 변경 후 변경된 상태를 요청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a) 또는 단계(b) 이후에, 별도의 시설운영센터를 통해 각 상하수도 시설로부터 상태감시 및 제어 정보를 제공받아 각 상하수도 시설을 통합적으로 실시간 관리 및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각 상하수도 시설에 구비된 센서들의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로 되돌아오도록 사용자 제어 명령 또는 환경설정 명령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설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설운영센터는, 각 상하수도 시설의 배수지와 그 블록들의 유량 및 수압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고, 각 배수지 블록별로 현재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유입량 및 유출량 데이터,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와 각각 대응되는 바로 이전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유입량 및 유출량 데이터, 전/후단의 관압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모니터링하며, 현재 및 이전 시점에서 검출된 기간별 데이터들의 비교 분석 결과를 해당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그래프 또는 테이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스템 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단계(a-1) 이전에, 각 시설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명령 메시지들을 제공받아 이를 처리하기 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해당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고유인증번호를 송신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고유인증번호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17866A 2013-10-02 2013-10-02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866A KR101452390B1 (ko) 2013-10-02 2013-10-02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866A KR101452390B1 (ko) 2013-10-02 2013-10-02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390B1 true KR101452390B1 (ko) 2014-10-22

Family

ID=5199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866A KR101452390B1 (ko) 2013-10-02 2013-10-02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28B1 (ko) * 2016-06-13 2017-01-09 이명규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선별적 점검 및 감시시스템
KR101807637B1 (ko) * 2016-06-29 2017-1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KR101807634B1 (ko) * 2016-06-29 2017-1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997B1 (ko) * 2004-12-29 2007-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126230B1 (ko) * 2011-10-31 2012-03-20 (주)동국일렉콘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처리 및 물관리 시설의 원격 감시/제어에 필요한 태그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997B1 (ko) * 2004-12-29 2007-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126230B1 (ko) * 2011-10-31 2012-03-20 (주)동국일렉콘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처리 및 물관리 시설의 원격 감시/제어에 필요한 태그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28B1 (ko) * 2016-06-13 2017-01-09 이명규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선별적 점검 및 감시시스템
KR101807637B1 (ko) * 2016-06-29 2017-1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KR101807634B1 (ko) * 2016-06-29 2017-12-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79B1 (ko) 사물인터넷 기술 제어방식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시설용 유지관리시스템
CN103645706B (zh) 一种具有通讯多媒体的净水器
JP6984103B2 (ja) 水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家庭用水処理装置
US8623200B2 (en) Grey water filtering system
CN103543712B (zh) 一种全自动废水处理控制装置
KR20180104891A (ko)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KR10145239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105580A1 (en) Portable water purifier having reverse washing function
EP2258663A1 (en) Grey water regeneration system
US11713561B2 (en) Water treatment system
US10822252B1 (en) Valve control apparatus
KR20190001450U (ko)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KR20100069428A (ko)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JP5253327B2 (ja) 水処理装置監視システム
CN205450722U (zh) 基于无线广域网的自来水厂远程监控系统
CN104938304A (zh) 生活污水农业灌溉利用控制系统
KR101794658B1 (ko) 분리막 시스템의 막 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5517B1 (ko) 소규모 수도시설 통합관리시스템
RU2763132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концентрации загрязняющих веществ, в том числе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сточных водах и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очис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предприятий
RU82723U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мониторинга качества воды источников водоснабжения мегаполиса
KR102121841B1 (ko) 다중수원 상수 처리 최적화 시스템
JP2006297314A (ja) 二酸化塩素発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発生装置
KR100735905B1 (ko) 유비쿼터스 기법을 이용한 이동식 원격제어 재염소투입시스템
CN202789464U (zh) 一种污水处理系统的控制系统
KR102582355B1 (ko) 정화조 폭기장치의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