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637B1 -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637B1
KR101807637B1 KR1020160081657A KR20160081657A KR101807637B1 KR 101807637 B1 KR101807637 B1 KR 101807637B1 KR 1020160081657 A KR1020160081657 A KR 1020160081657A KR 20160081657 A KR20160081657 A KR 20160081657A KR 101807637 B1 KR101807637 B1 KR 10180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vibration
information
push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임지훈
문대중
정진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진동을 상시 계측하여 기록함과 동시에, 이를 원격지의 통합서버(40)로 전송하여 통합관리하고, 지진 등 이상 상황 발생시 이를 무선망(60)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전파함으로써, 불특정 다수 교량의 진동 계측 장치에 대한 동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교량의 상시진동 계측치를 효율적으로 수집 및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 등 이상 상황 발생시에도 불특정 다수의 교량에 설치된 계측설비를 일시에 제어하여, 진동센서(30)에서 송출되는 시계열 원시정보를 누락 없이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AMBIENT VIBRATION MONITORING AND PROCESSING METHOD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진동을 상시 계측하여 기록함과 동시에, 이를 원격지의 통합서버(40)로 전송하여 통합관리하고, 지진 등 이상 상황 발생시 이를 무선망(60)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전파함으로써, 불특정 다수 교량의 진동 계측 장치에 대한 동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하천 교량 및 연육교 등의 각종 대형 교량은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 내진, 면진 및 제진 구조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력에 따른 진동 및 그 동적 특성을 계측 및 파악할 필요가 있는 바, 이에 교량에 다수의 진동센서(30)를 설치하고 진동센서(30)에서 송출되는 계측치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다양한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529690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1529690호를 비롯한 종래의 구조물 진동 분석 기법은 진동센서(3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역학적,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당해 구조물의 진동 특성을 파악함에 주안점이 두어진 것으로, 진동 계측치에 대한 체계적 수집 및 관리에 대한 고려가 미흡할 뿐 아니라, 특히, 지진 등 비상상황에 있어서의 유의(有意)한 진동 정보 수집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 진동 정보 수집은 진동센서(30)에 의한 계측 및 진동센서(30)에 구성된 데이터 로거(logger)에 단순 기록된 정보에 대한 해석에 그 의의가 국한되는 것으로, 진동센서(30) 및 데이터 로거 등 물리적 장비의 제원상 당해 교량의 상시진동에 대한 계측 및 계측치 기록 자체는 가능하나, 기록된 계측치의 취사(取捨) 및 물리적 장비에 대한 제어는 전적으로 장비 사용자의 판단 및 조작에 의하여 진행될 수 밖에 없었다.
최근 일정 규모 이상의 교량에 대한 진동 정보 수집 장비 구축 및 운용이 법제화됨에 따라, 전술한 진동 정보 수집 및 분석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교량 진동 정보의 수집 및 처리는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인력이 소요되는 업무인 바, 장비 보급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수집된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이 지극히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다수의 교량에 구축된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인터넷을 연결하여 원격지의 서버와 연결하고, 수집된 진동 정보를 서버가 취합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로써 평상시 교량의 진동 정보에 대한 제한적인 획득 및 통합 관리는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지 서버를 통한 진동 정보의 취합 관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원격지 서버의 전산자원 상의 제약 및 인터넷을 통한 통신상의 통신부하로 인하여 전체 대상 교량의 전체 진동센서(30)에서 송출되는 계측치의 실시간 원시정보(原始情報)를 수집, 전송 및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 진동 정보의 수집이 법제화됨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교량에서 막대한 규모의 원시정보가 생성되는 바, 이에 대한 실시간 수집, 전송 및 처리가 지난(至難)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진동센서(30)로부터 수집된 진동 정보를 개별 교량에서 일단 통계처리하여 평균치, 최대치 또는 최소치 등의 대표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대한 원격지 서버의 제어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며, 특히 지진 등 이상 상황 발생시 불특정 다수 교량에 구축된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대한 일괄적인 제어 내지 정보 요청이 전혀 불가능한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다.
원격지의 서버와 개별 교량에 구축된 진동 정보 수집 장비는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넷 통신상 각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로서 거동하게 되는 바, 클라이언트인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대한 서버의 능동적이고 광범위한 접근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인 진동 정보 수집 장비는 인터넷 통신상 불변의 위치가 확보된 원격지의 서버에 수시로 접속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원격지 서버는 불특정 다수의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대한 동시 접속 및 제어 명령 전송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물론, 불특정 다수의 교량에 구축된 전체 진동 정보 수집 장비의 인터넷 통신상 위치를 모두 확보하고, 이들에 대한 일대일 통신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는 있으나, 막대한 통신부하 및 시간이 소요되는 바, 불특정 다수의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대한 동시 제어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통신망 운용상의 한계는 전술한 원시정보 수집의 제약과도 일맥상통하는 문제점으로서, 지진 등의 이상 상황을 상정하면, 지진의 전조 내지 초기 진동이 감지되면, 원격지의 서버가 해당 시점부터의 원시정보 전송을 불특정 다수의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요청할 필요가 있는데, 전체 진동 정보 수집 장비에 순차적인 제어 명령 전송시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실질적인 정보 수집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교량의 진동을 상시 측정하고 측정치를 관리하는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에 있어서, 교량에 설치된 다수의 진동센서(30)와, 진동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기억장치(21)에 일반영역과 비상영역이 설정된 계측컴퓨터(20)와, 계측컴퓨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망(6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10)과, 인터넷과 연결되고 통합데이터베이스(41)가 구축된 통합서버(40)와, 무선망(60)과 연결된 푸시서버(61)와, 푸시서버(61)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예경보서버(50)가 구성되고, 진동센서(30)가 원시정보를 계측컴퓨터(20)로 전송하며, 계측컴퓨터(20)는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일반영역에 저장하고 통계처리하여 대표정보를 생성하고, 계측컴퓨터(20)가 생성된 대표정보를 통합서버(40)에 전송하며, 통합서버(40)는 대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와, 예경보서버(50)가 상황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황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상황신호를 전파하는 단계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상황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상황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황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진동센서(30)에서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예경보서버(50)가 소집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와, 소집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소집신호를 전파하는 단계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소집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소집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소집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서 원시정보를 인출하여 통합서버(40)에 전송하고, 통합서버(40)는 원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와, 원시정보 수록이 완료되면 통합서버(40)가 계측컴퓨터(20)로 접수신호를 전송하고, 접수신호를 수신한 계측컴퓨터(20)가 비상영역내 원시정보를 소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교량의 상시진동 계측치를 효율적으로 수집 및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 등 이상 상황 발생시에도 불특정 다수의 교량에 설치된 계측설비를 일시에 제어하여, 진동센서(30)에서 송출되는 시계열 원시정보를 누락 없이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퀀스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계측컴퓨터 구성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측 대상물인 교량에 설치되는 장비와, 인터넷과 연결되어 본 발명의 수행중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된 다수의 진동센서(30)와, 진동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기억장치(21)에 일반영역과 비상영역이 설정된 계측컴퓨터(20)와, 계측컴퓨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망(6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10)과, 인터넷과 연결되고 통합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통합서버(40)와, 무선망(60)과 연결된 푸시서버(61)와, 푸시서버(61)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예경보서버(50) 등을 통하여 수행된다.
진동센서(30)는 교량의 기초, 교각 또는 거더 등의 주요 부재에 부착되고, 진동가속도의 축별 성분을 단위 시간간격으로 송출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동센서(30)에는 최초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생성된 신호를 일시 저장한 후 계측컴퓨터(20)로 송출하는 데이터 로거 등이 구성될 수 있다.
계측컴퓨터(20)는 각 교량별로 설치되어 다수의 진동센서(3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1차 수집하는 컴퓨터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통합서버(40)와 접속될 수 있으며, 무선망(60) 접속 정보기기인 모바일단말(10)이 연결된다.
모바일단말(1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무선망(60) 접속이 가능한 정보기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컴퓨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측컴퓨터(20)에 후술할 상황신호 및 소집신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모바일단말(10)과 계측컴퓨터(20)간의 연결은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한 유선 방식을 채택하여, 모바일단말(10)과 계측컴퓨터(20)간 상시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무선망(60)이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망라하는 것으로, 모바일단말(10)이 무선랜 접속을 지원하는 태블릿 컴퓨터인 경우 무선랜을 통하여 후술할 푸시서버(61)와 연결되며, 모바일단말(10)이 이동통신망의 이동국(移動局)인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통신회사의 서버를 경유하여 푸시서버(61)와 연결된다.
푸시서버(push server)(61)는 푸시 서비스(push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 등의 무선망(60)과 연결되어 모바일단말(10)에 후술할 상황신호 및 소집신호를 전송한다.
무선망(60) 기반 푸시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무선망(60) 연결 기기가 인터넷상의 특정 서버에 클라이언트로서 접속하여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종래의 풀(pull) 방식 통신과 대별되는 통신방식으로서, 무선망(60) 연결 기기 즉, 본 발명 모바일단말(10)의 요청 유무는 물론 정보 제공자인 인터넷상의 특정 서버에 대한 접속 여부에 관계 없이 무선망(60)과 연결된 푸시서버(61)가 단순한 문자열 형태 등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망(60) 기반 푸시 서비스는 통상 무선망(60) 연결 기기 운영체계 제작사 또는 통신회사 등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그 대표적 예로서 iOS의 제작사인 애플에서 제공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및 Android의 제작사인 구글에서 제공하는 GCM(Google Cloud Messaging)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선망(60) 기반 푸시 서비스는 일종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내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통신이라 할 수 있으므로, 무선망(60) 연결 기기 즉, 모바일단말(10)의 자원 잠식 및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단말(10)에 대하여, 동일한 신호를 일거에 동시 전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바일단말(10)과 연결된 불특정 다수의 계측컴퓨터(20) 역시 일거에 동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합서버(40)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불특정 다수의 계측컴퓨터(20)에서 전송되는 진동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 관리하는 서버로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합데이터베이스(41)가 연결되어 취합된 진동 정보가 수록된다.
통합서버(40)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인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는 교량별 진동 정보가 수록되는데, 도면상 통합서버(40)와 통합데이터베이스(41)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필요는 없으며 통합서버(40)의 기억소자에 통합데이터베이스(41)가 구축되거나 통합서버(40)와 연결된 별도의 스토리지 등에 탑재될 수도 있다.
예경보서버(50)는 지진 또는 기상 예보 기관에서 운용하는 서버로서, 지진의 전조 또는 초기 진동이 감지되면, 푸시서버(61)에 상황신호를 전송하고, 지진에 의한 진동이 소멸되어 해당 지진사상(地震事象)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푸시서버(61)에 소집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퀀스다이어그램으로서, 전술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축차구성을 동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센서(30)가 원시정보를 계측컴퓨터(20)로 전송하며, 계측컴퓨터(20)는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일반영역에 저장하고 통계처리하여 대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대표정보를 통합서버(40)에 전송하며, 통합서버(40)는 대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이러한, 대표정보의 생성 및 전송은 전적으로 평시 즉, 지진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되어 상황신호가 전파되는 상황이 아닌 평상시에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주기적으로 생성된 대표정보가 통합서버(40)에 전송되며, 전송되는 대표정보에는 계측치를 통계처리한 수치와 함께 해당 교량 및 진동센서(30)의 식별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진동센서(30)와 계측컴퓨터(20)간의 통신은 이들을 직접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한 유선통신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통신상 안정성을 도모하며, 계측컴퓨터(20)와 통합서버(40)간의 통신은 인터넷을 통하여 이들이 각각 클라이언트 및 서버로 거동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렇듯, 평상시에 진동센서(30)에서 송출된 원시정보는 일단 계측컴퓨터(20)의 기억장치(21)내 일반영역에 일시 저장된 후, 인출되어 대표정보로 가공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 계측컴퓨터(20) 및 연관 장치의 구성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계측컴퓨터(20)의 기억장치(21)에는 계측컴퓨터(20)를 통한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진동센서(3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원시정보를 입수하고, 원시정보를 가공하여 대표정보를 생성하며, 후술할 모바일단말(10)과의 통신 역시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계측프로그램이 탑재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컴퓨터(20)의 기억장치(21)에 있어서 원시정보가 수록되는 영역은 일반영역과 비상영역으로 분할되어 설정되는데, 일반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입수된 원시정보를 수록하는 저장공간으로 설정되어, 오버라이트(overwrite) 방식으로 운용되며, 따라서 최초 설정된 소정 시간 이전의 원시정보는 자동으로 삭제되며, 반면, 비상영역은 후술할 상황신호가 전파될 경우 활용되는 저장공간으로서 지진 등 비상 상황 발생시 입수된 원시정보가 계속 수록됨에 따라 기 설정된 용량이 소진되면 더이상의 기록이 중지되고 기 수록된 정보가 보존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 원시정보는 계측컴퓨터(20) 기억장치(21)내 일반영역에 지속적으로 오버라이트되면서, 통계 처리를 통하여 생성된 대표정보만이 주기적으로 통합서버(40)에 전송되는 과정이 반복 수행된다.
이후, 지진 등의 이상 상황 발생시, 예경보서버(50)가 상황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어서 상황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상황신호를 전파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전파되는 상황신호는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유통될 수 있는 간단한 문자열 형식이면 충분하다.
이후,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상황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상황신호를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모바일단말(10)과 계측컴퓨터(20)간 통신은 도 3에서와 같은 구조의 계층을 통하여 수행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계측컴퓨터(20)와 모바일단말(10)은 USB를 통하여 연결되어, 각각 호스트(host)와 디바이스(device)로서 작동하며, 동 도면 우단부에서와 같이, 모바일단말(10)에는 계측컴퓨터(20)의 계측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상황신호 및 후술할 소집신호를 전파하는 통지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이렇듯, 모바일단말(10)의 통지프로그램에 의하여 상황신호가 계측컴퓨터(20)의 계측프로그램으로 입력되면, 상황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진동센서(30)에서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로써, 지진 등 이상 상황의 발생 즉시, 불특정 다수의 교량에 구축된 계측컴퓨터(20)를 비롯한 진동 정보 수집 장비를 일시에 제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지진 상황에 대한 원시정보의 무손실, 비왜곡 획득 및 보존이 가능하여, 추후 해당 교량에 대한 방진구조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관 정보의 방대한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방진구조 관련 설계 및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오버라이트 방식으로 운용되는 일반영역과 수록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상영역으로 계측컴퓨터(20)의 기억장치를 분할 설정함으로써, 통신망이 두절되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단순히 오버라이트가 지속되는 무위(無爲) 기록으로 인하여, 원시정보가 소실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지진시 진동센서(30) 원시정보의 효과적인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원시정보의 확보 이후, 확보된 정보를 통합서버(40)가 취합하고 관리함에 있어서도,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모바일단말(10) 및 푸시서버(61)가 십분 활용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황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진동센서(30)에서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 저장하는 단계가 반복 수행되는 과정에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 진정되고 해당 지진사상(地震事象)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예경보서버(50)가 소집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소집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소집신호를 전파하는 단계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소집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소집신호를 입력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어서, 소집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서 원시정보를 인출하여 통합서버(40)에 전송하고, 통합서버(40)는 원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비로소 지진시의 진동센서(30) 원시정보가 안정적으로 획득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계측컴퓨터(20)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은 오버라이트 방식으로 운용되지 않는 바, 이후의 타 지진사상 발생시를 대비하여 비상영역을 비워둘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원시정보 수록이 완료되면 통합서버(40)가 계측컴퓨터(20)로 접수신호를 전송하고, 접수신호를 수신한 계측컴퓨터(20)가 비상영역내 원시정보를 소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10 : 모바일단말
20 : 계측컴퓨터
21 : 기억장치
30 : 진동센서
40 : 통합서버
41 : 통합데이터베이스
50 : 예경보서버
60 : 무선망
61 : 푸시서버

Claims (2)

  1. 교량의 진동을 상시 측정하고 측정치를 관리하는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에 있어서,
    교량에 설치된 다수의 진동센서(30)와, 진동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기억장치(21)에 일반영역과 비상영역이 설정된 계측컴퓨터(20)와, 계측컴퓨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망(6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10)과, 인터넷과 연결되고 통합데이터베이스(41)가 구축된 통합서버(40)와, 무선망(60)과 연결된 푸시서버(61)와, 푸시서버(61)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예경보서버(50)가 구성되고;
    진동센서(30)가 원시정보를 계측컴퓨터(20)로 전송하며, 계측컴퓨터(20)는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일반영역에 저장하고 통계처리하여 대표정보를 생성하고, 계측컴퓨터(20)가 생성된 대표정보를 통합서버(40)에 전송하며, 통합서버(40)는 대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와;
    예경보서버(50)가 상황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황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상황신호를 전파하는 단계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상황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상황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황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진동센서(30)에서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2. 교량의 진동을 상시 측정하고 측정치를 관리하는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에 있어서,
    교량에 설치된 다수의 진동센서(30)와, 진동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기억장치(21)에 일반영역과 비상영역이 설정된 계측컴퓨터(20)와, 계측컴퓨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망(60)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단말(10)과, 인터넷과 연결되고 통합데이터베이스(41)가 구축된 통합서버(40)와, 무선망(60)과 연결된 푸시서버(61)와, 푸시서버(61)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예경보서버(50)가 구성되고;
    진동센서(30)가 원시정보를 계측컴퓨터(20)로 전송하며, 계측컴퓨터(20)는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일반영역에 저장하고 통계처리하여 대표정보를 생성하고, 계측컴퓨터(20)가 생성된 대표정보를 통합서버(40)에 전송하며, 통합서버(40)는 대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와;
    예경보서버(50)가 상황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황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상황신호를 전파하는 단계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상황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상황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황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진동센서(30)에서 전송된 원시정보를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예경보서버(50)가 소집신호를 푸시서버(61)로 송신하는 단계와;
    소집신호를 수신한 푸시서버(61)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모바일단말(10)로 소집신호를 전파하는 단계와;
    푸시 서비스를 통하여 소집신호를 수신한 모바일단말(10)이 계측컴퓨터(20)로 소집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소집신호가 입력된 계측컴퓨터(20)가 기억장치(21)내 비상영역에서 원시정보를 인출하여 통합서버(40)에 전송하고, 통합서버(40)는 원시정보를 수신하여 통합데이터베이스(41)에 수록하는 단계와;
    원시정보 수록이 완료되면 통합서버(40)가 계측컴퓨터(20)로 접수신호를 전송하고, 접수신호를 수신한 계측컴퓨터(20)가 비상영역내 원시정보를 소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KR1020160081657A 2016-06-29 2016-06-29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KR10180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57A KR101807637B1 (ko) 2016-06-29 2016-06-29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57A KR101807637B1 (ko) 2016-06-29 2016-06-29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637B1 true KR101807637B1 (ko) 2017-12-11

Family

ID=6094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657A KR101807637B1 (ko) 2016-06-29 2016-06-29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6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5145A (ja) * 2008-11-28 2010-06-10 Hitachi Ltd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データ収集方法
KR101452390B1 (ko) * 2013-10-02 2014-10-22 (주)주인정보시스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2388B1 (ko) * 2014-05-22 2014-10-27 신화건설(주) 교량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5145A (ja) * 2008-11-28 2010-06-10 Hitachi Ltd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データ収集方法
KR101452390B1 (ko) * 2013-10-02 2014-10-22 (주)주인정보시스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2388B1 (ko) * 2014-05-22 2014-10-27 신화건설(주) 교량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socchi et al. Sensing a city's state of health: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by internet-of-things wireless sensing devices
US11153386B2 (en) Data collection device, data collection system, data server, data coll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910102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JP5292036B2 (ja) 疲労損傷監視装置
US11009842B2 (en) Data collection system for wind turbine data
US10652767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ruption in a sensor network application
KR101807634B1 (ko) 건물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JP2009169888A (ja)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測定データの通信方法
JP7073952B2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及びデータ収集方法
CN104100297A (zh) 自震式微震监测系统及方法
CN110913362B (zh) 通过客户端与测试设备来实现无线信号测试的方法和装置
JP6665503B2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方法
KR101716582B1 (ko) 데이터 중심 통신 기반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07637B1 (ko)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JP2019176582A (ja) 受配電設備の監視システム
KR102046326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CN206292947U (zh) 一种基于树莓派的民用地震云服务预警系统
KR101623112B1 (ko)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개방형 중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8173825A (ja) 端末装置
JP2010276383A (ja) 緊急地震速報受信装置
CN108668306B (zh) 一种移动操作系统内置的数据采集系统
CN203962043U (zh) 自震式微震监测系统
JP6002418B2 (ja) 多地点計測システム
JPWO2015075962A1 (ja) 情報収集システム、サーバ装置、エッジ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91085A (ja) 地震情報の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