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997B1 -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 Google Patents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997B1
KR100693997B1 KR1020040115085A KR20040115085A KR100693997B1 KR 100693997 B1 KR100693997 B1 KR 100693997B1 KR 1020040115085 A KR1020040115085 A KR 1020040115085A KR 20040115085 A KR20040115085 A KR 20040115085A KR 100693997 B1 KR100693997 B1 KR 10069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alue
past
power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607A (ko
Inventor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9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6Electric power sub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Abstract

본 발명은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 수치와 현재 전력 수치를 비교 한 후 경고하는 시스템 및 비교방법에 의하면, 주기적으로 기록저장되는 공급전력을 데이터화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즉시 현재의 전력과 과거의 전력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전력유지율을 초과 또는 미달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면 즉시 경고를 울려 만약의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원격제어시스템상, 전력유지율, 스테이션, 검출센서, 변류기

Description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System and Its Method Comparing Electric Power Value of Past and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수치와 현재 전력수치를 비교하는 각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선에 취부된 전력량 검출센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수치와 현재 전력수치를 비교하는 방법의 처리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수치와 현재 전력수치를 비교하는 방법의 각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검출센서 2b변류기
2c: 입력유니트 2d: 마이크로프로세서
2e: 송신용 트랜시버 2f: 전원장치
10: 프로세스 스테이션 20: 오퍼레이팅 스테이션
22: 스켈줄링 분석기 24: 데이터베이스 에디터
30: 출력기 40: 엔지니어링 스테이션
본 발명은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기록된 로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현재 전력 수치와 지정한 지점에서의 전력 수치를 지속적으로 비교하는 방법 및 비교한 후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경고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장비나 통신장비등 전력전자기기의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력의 품질은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전력품질의 저하는 정밀기기를 고장나게하는 원인이 되어왔고, 한전이나 전력보수 또는 시설업체에서는 이러한 전력품질을 감시하거나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기도 하였다.
공지의 예로서, 특허출원번호 1996-0037789호 "정전 및 전압변동율 감시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이것은 특정한 수용가로 인입되는 배전선의 정전 및 전압변동을 감시하는 시스템으로, 일반 전화선과 감시대상이 되는 전원과 연결시켜 실시간으로 정점 또는 전압강하율을 마스터로 송신하여 감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안출되었다.
그러나, 일반 전화선과 감시대상이 되는 전원의 어스 또는 불균일한 전압품질로 인해 정상적인 전압으로 송전되는지는 알 수가 없고, 단지 기준전압만 설정한 후 그 변동율 내지 정전만 감시할 따름이었다.
따라서, 전술한 공지의 예로는 정확한 전력 또는 전압수치를 알 수가 없어 정밀기기 등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결국, 전력원격제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변동율을 데이터화하고, 데이터화된 변동율을 사람이 일일이 찾아 비교한 후 적정한 전압유지율을 찾아 냈으나, 전력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조상 수많은 데이터 수치를 가지고 있어 해당 시간대의 정확한 전력 또는 전압유지율을 찾기는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설정한 전력유지율을 초과 또는 미달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면 즉시 경고를 울려 만약의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 수치와 현재 전력 수치를 비교 하는 경고시스템 및 비교방법은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주기적으로 기록 저장되는 공급전력을 데이터화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즉시 현재의 전력과 과거의 전력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과거의 공급전력수치와 미래의 공급전력수치를 예견하여 과부하가 발생할지 모르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본 출원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력원격제어 시스템상에서 변전설비로부터 전송된 공급전력수치를 획득하고, 관련 스테이션과 TCP/IP 통신을 하여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 스테이션과, 상기 프로세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받아 과거의 공급전력수치와 설정된 공급전력수치를 비교하여 가공값을 표현하고,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다시 비교하여 과부하를 경고하는 오퍼레이팅 스테이션과, 상기 오퍼레이팅 스테이션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엔지니어링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전설비를 감시하는 전력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전설비로부터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취득하는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 상기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로부터 취득된 시간을 세계표준시로 변환한 후 해당 공급전력수 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후 비교대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해당 공급전력수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에서는 검색하지 못한 데이터는 바로 루틴되어 재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를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를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에서는 설정된 기준 이상이 아닌 공급전력수치인 경우 다시 처음으로 신호를 보내 처음부터 현재 공급전력수치를 재획득하도록 하는 재획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수치와 현재 전력수치를 비교 하는 각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변전설비 등을 원격감시하는 전력원격제어시스템(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상에 적용되고, 특히 변전설비와 떨어진 곳에서 변전설비의 과부하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와같은 시스템은 변전설비로부터 전송된 공급전력수치를 획득하고, 관련 스테이션과 TCP/IP 통신을 하여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 스테이션(10)과, 상기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송받아 과거의 공급전력수치와 설정된 공급전력수치를 비교하여 가공값을 표현하고,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다시 비교하여 과부하를 경고하는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과, 경고시 상기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프린터하거나, 일보, 월보 데이터로 가공하여 프린터하는 출력기(30)를 포함한다.
변전소는 일반적으로 송전단으로부터 공급받는 높은 전압을 보다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일종의 변환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전소에는 각종 변전설비가 마련되어 있고, 특히 기본적으로는 변압기, 차단기, 단로기등 다양한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변압기는 공급받는 전력보다 높거나 낮은 전력으로 공급하여 주는 설비이고, 차단기는 전력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연결하여 주는 장치이며, 단로기는 선로를 분리하거나 모선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다양한 변전설비에 설치되어 전력의 흐름을 감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안정성을 감시하는 것을 그 일예로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선에 취부된 전력량 검출센서의 구성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력의 공급상태를 검출 하는 전력량 검출센서(2)가 일실시예로 모선에 취부되어 있고, 이러한 검출센서(2)는 전력의 유동을 검출하는 변류기(2b)와, 입력유니트(2c)와, 마이크로프로세서(2d), 송신용 트랜시버(2e), 전원장치(2f)로 구성되어 있다.
누구라도 알 수 있듯이, 전원장치(2f)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변류기(2b)로부터 검출된 공급전력수치를 송신하고, 송신된 공급전력수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 수신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스테이션(10)은 공급전력수치를 1차로 수신받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련 스테이션으로 재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관련 스테이션과 TCP/IP 통신을 하여 전송되어 온 공급전력수치를 데이터화하고 분석한다.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공급전력수치를 전송받은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은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링 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역할로서, 그 구성은 PC 기반의 워크스테이션이다.
이러한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은 크게 스켈줄링 분석기(22)와 데이터베이스 에디터(24) 및 디스플레이부(26)로 구성된다.
특히, 스켈줄링 분석기(22)는 전송받은 공급전력수치를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실시간 태스크가 주어진 스케줄 환경에서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것은 하드웨어상에 프로그래밍된 유티시(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협정 세계시)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시간의 공급전력수치 데이터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실시간으로 반복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에디터(24)는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미리 설정한 비교대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6)는 스케줄링 분석기(22)에서 확인되고 데이터베이스 에디터(24)에서 가동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3은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과거의 동일한 시간대의 평균값, 최소값, 최고값을 나타낸 것이다.
계속하여, 이렇게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는 현재의 공급전력수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평균 이상의 수치(과부하)가 나오게 되면 경고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은 통상적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에 적용된 알티유(RTU; REMOTE TERMINAL UNIT)과 엠티유(MTU; MASTER TERMINAL UNIT)를 통합한 시스템으로서, 필드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디바이스로부터 신호, 상태값 등을 입력받은 후 저장하는 알티유의 역할과 알티유를 호출하고, 획득된 정보를 가지고 상황을 판단하여 필요한 명령을 내리는 엠티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환경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GUI(GRAPHIC USER GUIDE)타입이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고,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서 확장성과 호환성 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바 플랫폼을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엔지니어링 스테이션(40)을 더 포함한다.
다시, 평균 이상의 수치(과부하)가 나오게 되면 발생된 경고는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 전송되어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프린터하거나, 일보, 월보 데이터로 가공하여 프린터하는 출력기(30)를 포함한다.
즉, GUI타입의 기능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한 시간대의 항목을 보고 싶으면 전술한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의 데이터베이스 에디터(24)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여 볼 수 있고, 경고와 함께 루틴되어 프로세스 스테이션(10)에서 직접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곧바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시스템의 구성으로 실시간으로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저장하여 후일 사용하게될 과거의 공급전력수치로 변화시켜 사용자의 호출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 수치와 현재 전력 수치를 비교 한 후 경고하는 비교방법의 각 단계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수치와 현재 전력수치를 비교하는 방법의 처리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 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수치와 현재 전력수치를 비교하는 방법의 각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구성의 각 스테이션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변전설비로부터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취득하는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S100); 상기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로부터 취득된 시간을 세계표준시로 변환한 후 해당 공급전력수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00); 상기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후 비교대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를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먼저, 변전설비로부터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취득하는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S100)에서는 전술한 구성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선에 설치된 전력량 검출센서(2)의 검출에 의해 실시간으로 현재의 공급전력량을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공급전력수치는 획득된 시간을 세계표준시로 변환한 후 해당 공급전력수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00)로 진행한다.
획득된 공급전력수치의 시간이 세계표준시로 변환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계속 저장되는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새로 획득된 데이터와 서로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전술한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에는 과거의 공급전력수치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이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전 단계(S200)에서 수행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후 비교대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S300)에서 이루어진다.
즉, 과거의 데이터를 검색한 후 최대 공급전력수치, 최소 공급전력수치, 이에 대한 평균수치를 연산한 후 이를 비교대상 데이터로써 표현한다.
이렇게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는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400)로 이어져 과부하를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이러한, 연산작용은 전술한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사용자의 환경에 익숙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화 되어 사용자의 명령이 내려지는 경우 즉시 응답할 수도 있도록 하고, 반복되는 루틴을 설정하여 실시간으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발명은 전술한 해당 공급전력수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00)에서 검색하지 못한 데이터는 바로 루틴되어 재검색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고, 이것은 동일한 시간대의 데이터를 찾을 때까지 무한히 반복하여 검색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를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400)에서는 설정된 기준 이상이 아닌 공급전력수치인 경우 다시 처음으로 신호를 보내 처음부터 현재 공급전력수치를 재획득하도록 하는 재획득단계(S450)을 더 포함한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실시간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가공된 과거의 동일시간대 공급전력수치를 비교하여 전력의 과부하를 검검하여 경고하고록 하며, 이로 인해 과부하에 의한 정밀기기 등의 오작동 및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상에서 과거 전력 수치와 현재 전력 수치를 비교 하는 비교방법 및 경고시스템에 의하면, 실시간 주기적으로 기록 저장되는 데이터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 의 과거 공급전력수치를 획득할 수 있고, 이 수치를 사용하여 현재 공급되는 공급전력수치를 비교하여 전력의 과부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의 과부하를 예측할 수 있어 과부하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전력원격제어 시스템상에서 변전설비로부터 전송된 공급전력수치를 획득하고, 관련 스테이션과 TCP/IP 통신을 하여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 스테이션(10)과, 상기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송받아 과거의 공급전력수치와 설정된 공급전력수치를 비교하여 가공값을 표현하고,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다시 비교하여 과부하를 경고하는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과, 상기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력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엔지니어링 스테이션(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와 현재의 전력수치 비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의 경고시 상기 프로세스 스테이션(10)으로부터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프린터하거나, 일보, 월보 데이터로 가공하여 프린터하는 출력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은 필드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디바이스로부터 이산 또는 신호, 상태값 등을 입력받은 후 저장하는 알티유의 역할과 알티유를 호 출하고, 획득된 정보를 가지고 상황을 판단하여 필요한 명령을 내리는 엠티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스테이션(20)은 전송받은 공급전력수치를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실시간 태스크가 주어진 스케줄 환경에서 확인하는 스케줄링 분석기(22)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미리 설정한 비교대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에디터(24)와, 상기 스케줄링 분석기(22)에서 확인되고 데이터베이스 에디터(24)에서 가동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5. 변전설비를 감시하는 전력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전설비로부터 현재의 공급전력수치를 취득하는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S100);
    상기 공급전력수치 취득단계로부터 취득된 시간을 세계표준시로 변환한 후 해당 공급전력수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00);
    상기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에 접속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후 비교대상 데이터로 가공하는 단계(S300);
    상기 해당 공급전력수치와 동일한 시간대의 과거 공급전력수치 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00)에서는 검색하지 못한 데이터는 바로 루틴되어 재검색하는 단계(S250);
    상기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를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400); 및
    상기 가공된 비교대상 데이터를 현재의 공급전력수치와 비교한 다음 설정된 기준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400)에서는 설정된 기준 이상이 아닌 공급전력수치인 경우 다시 처음으로 신호를 보내 처음부터 현재 공급전력수치를 재획득하도록 하는 재획득단계(S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방법.
KR1020040115085A 2004-12-29 2004-12-29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KR100693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85A KR100693997B1 (ko) 2004-12-29 2004-12-29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85A KR100693997B1 (ko) 2004-12-29 2004-12-29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607A KR20060076607A (ko) 2006-07-04
KR100693997B1 true KR100693997B1 (ko) 2007-03-12

Family

ID=3716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085A KR100693997B1 (ko) 2004-12-29 2004-12-29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90B1 (ko) * 2013-10-02 2014-10-22 (주)주인정보시스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96002A (zh) * 2017-10-10 2018-04-10 国网浙江宁波市奉化区供电公司 10kV馈线负荷监测主动告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132A (ja) * 1994-08-19 1996-03-08 Toshiba Corp 電力デマンド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132A (ja) * 1994-08-19 1996-03-08 Toshiba Corp 電力デマンド監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90B1 (ko) * 2013-10-02 2014-10-22 (주)주인정보시스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대화형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96002A (zh) * 2017-10-10 2018-04-10 国网浙江宁波市奉化区供电公司 10kV馈线负荷监测主动告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607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813B1 (ko) 디지털 그래픽 수배전 시스템
US200200354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enterprise management
CN107465264B (zh) 一种配电网监控信息远程优化治理的方法
CN111461579B (zh) 全电压等级的电网实时风险评估系统及方法
JP2005080403A (ja) 電力デマンド監視装置システム
KR101900730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CN111579931A (zh) 一种低压电网故障检测装置和方法
CN112615436A (zh) 一种变电站综自装置健康诊断及监视系统和方法
CN117078017A (zh) 一种用于电力电网设备监控智能化决策分析系统
KR100693997B1 (ko) 과거와 현재의 전력 수치 비교 시스템 및 이의 비교방법
Deckmann et al. About voltage sags and swells analysis
CN112104086B (zh) 一种变电站远程实景全息勘查系统及方法
KR101264869B1 (ko) 현장 감시 장치,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계통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6502623B (zh) 一种基于文本分析的变电设备运行监管系统及方法
KR20020007039A (ko) 수질 오염 원격 조기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8333B1 (ko)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CN111381156B (zh) 一种配电室断路器负荷用能异常监测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614472A (zh) 一种遥测响应时间计算方法及装置
KR101861576B1 (ko) Iec61850 기반 현장정보 처리반
JP4277009B2 (ja) 集中監視制御装置の試験方法
KR102416789B1 (ko) 스카다 시스템의 블랙박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45148B1 (ko)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0887746B1 (ko) 전력설비용 모니터링 시스템
EP0810555A2 (en) The monitoring of a system
KR101330356B1 (ko) 계전기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