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33B1 -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33B1
KR102128333B1 KR1020190008650A KR20190008650A KR102128333B1 KR 102128333 B1 KR102128333 B1 KR 102128333B1 KR 1020190008650 A KR1020190008650 A KR 1020190008650A KR 20190008650 A KR20190008650 A KR 20190008650A KR 102128333 B1 KR102128333 B1 KR 10212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lectrical
data
flam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김권중
정용욱
이상익
강석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19000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additionally responsive to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설비로부터 측정된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전기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전기재해에 대한 전조를 예측하고 전기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은 전기불꽃 감지장치, 전기불꽃 발생장치,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데이터 학습장치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는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설비의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측정하고, 학습된 판단모델을 토대로 상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하가 연결되고, 자동 릴레이와 스케쥴러를 통해 상기 전기부하의 부하전류를 조절하며, 상기 부하전류에 따라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기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는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전기불꽃 발생장치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학습장치는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에서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 전기불꽃 발생장치,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및 데이터 학습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Remote electrical safety system and method with electrical spark monitoring}
본 발명은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설비로부터 측정된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전기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전기재해에 대한 전조를 예측하고 전기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기재해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안전 전문가가 방문하여 전기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방문점검은 부재가구의 증가와 긴 점검주기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전기사고를 예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기설비의 복잡 다양화에 따라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전기안전 전문가가 모든 전기설비의 상태를 알 수가 없고, 사고 징후를 사전에 예상하기 어려워 인력기반의 전기안전관리기술로는 전기재해를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전기불꽃은 전기설비의 접속부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기화재로도 이어질 수 있어 오랜 점검 주기에 의한 방문점검 방법은 전기화재 위험에 취약한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전기불꽃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들은 부하별 상황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종래의 원격 전기안전 센서에는 전기불꽃을 검출하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전기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례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분석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는 전기사고의 빈도수가 많지 않고,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데이터 값이 없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4998호(2007년 05월 09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전기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전기재해를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전기설비 데이터를 취득하고 분석하여 분석결과 및 상태 알림을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전기설비를 안전하게 관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기안전 데이터와 위치정보, 실시간 기상정보 및 설비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기재해에 대한 전조를 예측하고, 전기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은 전기불꽃 감지장치, 전기불꽃 발생장치,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데이터 학습장치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는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설비의 전압, 부하전류 및 영상전류와 전압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 부하전류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을 측정하고, 학습된 판단모델을 토대로 상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하가 연결되고, 자동 릴레이와 스케쥴러를 통해 상기 전기부하의 부하전류를 조절하며, 상기 부하전류에 따라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기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는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전기불꽃 발생장치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학습장치는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에서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 전기불꽃 발생장치,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및 데이터 학습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방법은 전기불꽃 발생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하에 연결된 자동 릴레이와 스케쥴러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부하의 부하전류를 조절하는 단계(S10),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가 부하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기불꽃을 발생시키는 단계(S20) 및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상기 부하전류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전기불꽃 발생 상태 및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장치가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40), 전기불꽃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설비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S50),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가 데이터 학습장치로부터 판단모델을 입력받는 단계(S60) 및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가 입력받은 판단모델과 상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에서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솔루션은 실시간으로 전기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전기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전기설비 데이터를 취득하고 분석하여 분석결과 및 상태 알림을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전기설비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안전 데이터와 위치정보, 실시간 기상정보 및 설비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기재해에 대한 전조를 예측하고, 전기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분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불꽃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기불꽃 감지장치를 구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불꽃 데이터 센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기안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를 구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불꽃 데이터 센터(2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은 전기불꽃 감지장치(100), 전기불꽃 데이터 센터(20) 및 서비스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는 전기설비(10)에 설치되어 전압, 부하전류 및 영상전류와 전압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 부하전류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을 측정하고, 데이터 학습장치(400)로부터 학습된 판단모델을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판단모델을 토대로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는 아날로그 신호 취득부(110), 주파수 필터(120), 디지털 연산부(130), 판단모델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취득부(110)는 전기설비(10)의 전압, 부하전류 및 영상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필터(120)는 전기설비(10)에 대한 전압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 및 부하전류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디지털 연산부(130)는 아날로그 신호 취득부(110)와 주파수 필터(120)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연산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판단모델부(140)는 학습된 판단모델을 데이터 학습장치(40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판단모델을 토대로 디지털 연산부(130)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측정된 데이터와 판단결과를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불꽃 데이터 센터(20)는 전기불꽃 발생장치(200)와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 및 데이터 학습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불꽃 발생장치(200)는 자동 릴레이(210), 스케쥴러(220), 전극간격 제어부(230), 우회회로부(240) 및 비접촉식 불꽃 감지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불꽃 발생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여러 가지 전기부하가 연결되고, 자동 릴레이(210)와 스케쥴러(220)를 통해 부하전류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간격 제어부(230)는 전기불꽃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고, 전극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우회회로부(240)는 전기불꽃을 온/오프(On/off) 하여 전기불꽃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불꽃 감지센서(250)는 비접촉식으로 전기불꽃을 감지하여 전기불꽃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나타낼 수 있다.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는 전기불꽃 발생장치(200)에 연결되어 전기불꽃 발생장치(200)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들을 취득할 수 있다.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에서 취득하는 전기적 신호 데이터는 전기불꽃 감지장치(100)의 아날로그 신호 취득부(110)와 주파수 필터(120)에서 취득되는 아날로그 신호들과 동일한 종류의 신호들일 수 있다.
즉,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는 전기불꽃 발생장치(200)로부터 전압, 부하전류 및 영상전류와 전압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 및 부하전류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을 취득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장치(400)는 데이터 전처리부(410) 및 학습모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장치(400)는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학습이 완료된 판단모델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전처리부(410)는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일정크기의 윈도우를 가진 주파수변환을 통해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처리부(410)에서 변환된 출력 데이터는 학습모델부(420)에 제공될 수 있다.
학습모델부(420)는 데이터 전처리부(410)에서 변환된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기불꽃 감지장치(100)에서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학습이 완료된 판단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53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서비스 서버(500)는 제어부(510)와 데이터베이스(520) 및 서비스 제공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전기불꽃 감지장치(100)와 전기불꽃 데이터 센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20)는 전기불꽃 감지장치(100)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20)는 데이터 학습장치(400)에서 학습된 판단모델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530)는 고객의 전기설비(10)에 설치된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530)는 사용자에게 전기설비(10)의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알람하는 전기불꽃 발생 알람 모듈(531), 전기설비(10)에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전기고장 출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고장 출동 안내 모듈(532) 및 전기설비(10)에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전기공사업체에 전기설비(10)의 전기고장 고객을 연결하여 중계하는 전기고장 고객 중계 모듈(5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530)는 전기불꽃 감지장치(100)와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 및 데이터 학습장치(40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통계 및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계 및 보고서 출력 모듈(534), 전기설비(10)의 안전 등급을 확인하여 제공하는 안전등급 확인 모듈(535) 및 전기불꽃 감지장치(100)와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 및 데이터 학습장치(400)로부터 추출된 전기불꽃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기불꽃 데이터 제공 모듈(5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530)는 전기설비(10)에 설치한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로부터 새로운 부하에 대해 학습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베이스(520)에 축적하고 재학습하여 개선된 전기불꽃 판단 모델로 원격 업그레이드하는 현장데이터 피드백 모듈(5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은 전기재해의 예측 및 관리를 통해 전기재해를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전기안전 관리를 통해 전기안전관리 비용을 절감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재해에 대한 전조를 예측함으로써 전기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기안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방법은 전기불꽃 발생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하에 연결된 자동 릴레이(210)와 스케쥴러(22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부하의 부하전류를 조절하는 단계(S10), 전기불꽃 발생장치(200)가 부하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기불꽃을 발생시키는 단계(S20) 및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에서 상기 부하전류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전기불꽃 발생 상태 및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장치(400)가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300)로부터 취득된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델을 추출하는 단계(S40),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를 이용하여 전기설비(10)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S50), 전기불꽃 감지장치(100)가 데이터 학습장치(400)로부터 판단모델을 입력받는 단계(S60) 및 전기불꽃 감지장치(100)가 입력받은 판단모델과 상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500)가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 데이터와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 판단 결과를 토대로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S80)에서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에는 전기불꽃 발생 알람기능, 공사 자체 전기고장 출동 안내 서비스, 등록된 전기공사업체에 전기고장 고객 중계기능, 통계 및 보고서 출력 기능, 안전등급 확인 기능 및 전기불꽃 데이터 게시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에는 전기설비(10)에 설치한 전기불꽃 감지장치(100)로부터 새로운 부하에 대해 학습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베이스(520)에 축적하고 재학습하여 개선된 전기불꽃 판단 모델로 원격 업그레이드하는 현장데이터 피드백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 전기설비 20 : 전기불꽃 데이터 센터
100 : 전기불꽃 감지장치 110 : 아날로그 신호 취득부
120 : 주파수 필터 130 : 디지털 연산부
140 : 판단모델부 150 : 통신부
200 : 전기불꽃 발생장치 210 : 자동 릴레이
220 : 스케쥴러 230 : 전극간격 제어부
240 : 우회회로부 250 : 비접촉식 불꽃 감지센서
300 :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400 : 데이터 학습장치
410 : 데이터 전처리부 420 : 학습모델부
500 : 서비스 서버 510 : 제어부
520 : 데이터베이스 530 : 서비스 제공부

Claims (7)

  1.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설비의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측정하고, 학습된 판단모델을 토대로 상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전기불꽃 감지장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하가 연결되고, 자동 릴레이와 스케쥴러를 통해 상기 전기부하의 부하전류를 조절하며, 상기 부하전류에 따라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기불꽃을 발생시키는 전기불꽃 발생장치;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전기불꽃 발생장치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는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에서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델을 추출하는 데이터 학습장치; 및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 전기불꽃 발생장치,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및 데이터 학습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전기불꽃 감지장치, 전기불꽃 발생장치,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및 데이터 학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및 상기 데이터 학습장치에서 학습된 판단모델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고객의 전기설비에 설치된 전기불꽃 감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에서 추출한 부하에 대해 재학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판단모델을 업그레이드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와 전기불꽃 발생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전기적 신호 데이터에는 전압, 부하전류, 영상전류, 상기 전압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 상기 부하전류의 고주파 필터 출력 값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전기설비의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알람하는 전기불꽃 발생 알람 모듈,
    상기 전기설비에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전기고장 출동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고장 출동 안내 모듈,
    상기 전기설비에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전기공사업체에 전기설비의 전기고장 고객을 연결하여 중계하는 전기고장 고객 중계 모듈,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와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및 데이터 학습장치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통계 및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계 및 보고서 출력 모듈,
    상기 전기설비의 안전 등급을 확인하여 제공하는 안전등급 확인 모듈 및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와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 및 데이터 학습장치로부터 추출된 전기불꽃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기불꽃 데이터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5. 전기불꽃 발생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부하에 연결된 자동 릴레이와 스케쥴러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부하의 부하전류를 조절하는 단계(S10);
    상기 전기불꽃 발생장치가 부하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기불꽃이 발생하는 전극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기불꽃을 발생시키는 단계(S20);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상기 부하전류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전기불꽃 발생 상태 및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30);
    데이터 학습장치가 상기 전기불꽃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기계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전기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40);
    전기불꽃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설비로부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S50);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가 데이터 학습장치로부터 판단모델을 입력받는 단계(S60);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가 입력받은 판단모델과 상기 전기적 신호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전기설비에서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 및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 데이터와 전기불꽃의 발생 여부 판단 결과를 토대로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전기불꽃 감지장치에서 추출한 새로운 부하에 대해 재학습하여 상기 판단모델을 업그레이드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기안전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원격 전기안전 서비스에는
    전기불꽃 발생 알람 기능, 전기고장 출동 안내 서비스, 미리 등록된 전기공사업체에 전기고장 고객 중계 기능, 통계 및 보고서 출력 기능, 안전등급 확인 기능 및 전기불꽃 데이터 제공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기안전 방법.
KR1020190008650A 2019-01-23 2019-01-23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12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50A KR102128333B1 (ko) 2019-01-23 2019-01-23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50A KR102128333B1 (ko) 2019-01-23 2019-01-23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333B1 true KR102128333B1 (ko) 2020-06-30

Family

ID=7112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50A KR102128333B1 (ko) 2019-01-23 2019-01-23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305B1 (ko) 2023-01-09 2023-07-14 (주)교림소프트 수용가 맞춤형 전기안전 이상 탐지 및 예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98B1 (ko) 2005-07-06 2007-05-09 파워플러스콤 주식회사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120043485A (ko) * 2010-10-26 2012-05-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아크 모의발생장치
KR101824718B1 (ko) * 2017-06-28 2018-02-02 (주)대신피아이씨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KR101874286B1 (ko) * 2018-02-09 2018-08-02 이황희 전력설비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98B1 (ko) 2005-07-06 2007-05-09 파워플러스콤 주식회사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120043485A (ko) * 2010-10-26 2012-05-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아크 모의발생장치
KR101824718B1 (ko) * 2017-06-28 2018-02-02 (주)대신피아이씨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KR101874286B1 (ko) * 2018-02-09 2018-08-02 이황희 전력설비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305B1 (ko) 2023-01-09 2023-07-14 (주)교림소프트 수용가 맞춤형 전기안전 이상 탐지 및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7545C (en) Integrated transformer health monitoring architecture
CN110941918B (zh) 智能化变电站故障分析系统
KR101211118B1 (ko) 전력계통 상태 감시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81640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구비한 ai 가스 누액 누출 감지시스템 및 운영방법
US11423494B2 (en) Plant assistance assessment system and plant assistance assessment method
CN113191635B (zh) 建筑工程现场电能智慧化管理系统
KR20180070208A (ko) 전력선 및 배전 설비의 이상 검출 시스템
CN117078017A (zh) 一种用于电力电网设备监控智能化决策分析系统
KR102128333B1 (ko) 전기불꽃 감시 기능이 포함된 원격 전기안전 시스템 및 방법
CN104777398A (zh) 包括警报诊断显示器的绝缘监测的方法及设备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2400956B1 (ko)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US20200284613A1 (en) Gas meter system
CN111476506B (zh) 一种基于ocs系统的开关操作风险预警方法及系统
CN106792842A (zh) 一种短信通道监控方法及系统
CN111509839A (zh) 一种基于告警信号的跳闸事件化模型分析方法
CN117279348A (zh) 具备监测功能的强电磁脉冲防护系统
KR102058088B1 (ko) IoT 네트워크 기반 모터밸브 불량검출 및 불량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US7822417B1 (en) Method for predictive maintenan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937350B1 (ko) Ict 기반의 전기안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N110107461B (zh) 风机故障预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46863A (zh) 一种变电站的电力安全检测方法
CN108199482B (zh) 维护提示方法及装置
CN117516778B (zh) 一种基于超低频锚杆张拉力传感器的监测预警方法及系统
KR1008129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