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984B1 -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984B1
KR101450984B1 KR1020127017662A KR20127017662A KR101450984B1 KR 101450984 B1 KR101450984 B1 KR 101450984B1 KR 1020127017662 A KR1020127017662 A KR 1020127017662A KR 20127017662 A KR20127017662 A KR 20127017662A KR 101450984 B1 KR101450984 B1 KR 10145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s
sequence
group
displa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293A (ko
Inventor
앤드류 케이. 웰스
키태 킴
드미트리 엔. 타일리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10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이 사용자가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때에 복수의 경로 중 하나를 따라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신호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수신된 사용자 제스처를 비교하도록 구성되는데, 아이템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를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와 상이한 제2 경로를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Description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DISPLAY INTERFA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ITEMS ARRANGED IN A SEQUEN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형태의 스크롤 제스처(scrolling gesture) 중 하나를 공급하고 탐지된 특정 제스처에 기초하여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점차 복잡해져 왔고, 이에 따라 이전에는 복수의 전용 장치와 연관되었던 기능이 단일 장치로 병합되었다. 일부 경우에, 전통적으로 별개인 기능을 병합하는 것은, 처음에는 하나의 제품을 시장에서 다른 제품과 구별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전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상이한 장치를 갖도록 요구했던 복수의 필요 또는 욕구를 잠재적으로 충족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된다.
병합된 기능 집합을 단일 장치 내에 결합시킨 장치가 보다 대중화됨에 따라, 그 기능들이 모든 이러한 장치에서 표준이 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사진을 찍고 음악을 듣는 능력은 많은 휴대 전화에서 거의 표준 기능이 되었다. 일부 경우에는, 이전에 별개였던 복수의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은 단일 장치 상에서 동작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시너지 효과를 가능하게 할 것인데, 이는 때때로 전체적인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전에 별개였던 두 기능을 병합하는 장치에서만 편리하게 가능하다. 예컨대,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사진을 찍은 순간에 사진 포착 기능으로 최근에 획득된 사진을 장치의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친구나 가족에게 보다 편리하게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종종 이전에 별개였던 장치들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했던 인터페이스의 형태가 매우 상이했고, 따라서 일부 사례에서는 이제 단일 장치에 존재하는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이전에 별개였던 두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도전적일 수 있다. 덜 정적이고/이거나 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수용을 돕기 위해, 장치들은 보다 일반적이고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어떤 면에서 보다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옮겨 갔다. 일부 장치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수용하도록 보다 쉽게 재구성될 수 있는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 감지 표면을 제공해 왔는데, 이후에 이는 현재 활성인 사용자 모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터치 감지 표면은 더 큰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요소들과 상호작용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과 병합되었다.
보다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보다 큰 디스플레이는 다른 영역에서 사용자 경험을 더 향상시킬 기회를 만들었다. 예컨대, 이는 더 높은 수준의 디테일을 가능하게 하는 더 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전에는 메뉴에서 텍스트 서술자로서 전달되었던 선택 가능 아이템의 집합은 일부 사례에서 선택되는 아이템과 손쉽게 연관되는 그래픽 표현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였다. 앨범/CD 삽화는 음악 목록 내에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되었다. 삽화는 다양한 그림과 색으로 손쉽게 구별될 수 있는 미술 양식을 가질 것인데, 이는 더 짧게 볼 때 단순한 텍스트 설명이나 표제보다 약간 더 구별된다. 가능한 선택 사항의 시퀀스를 스크롤함에 따라 화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일련의 이미지를 따라가는 것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는 유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대한 선호가 더 존재한다. 그러나, 상이한 스크롤 속도에서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디테일에 대한 선호, 한 번에 더 많거나 더 적은 선택 사항을 볼 수 있는 것에 대한 선호 및/또는 특정 기간 동안에 특정 선택 사항이 화면 상에 머무르는 것에 대한 선호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선택을 위한 시간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의 양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선택된 사용 모드 중 일부에 더 잘 맞춰질 수 있는 복수의 형태의 스크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익함을 인식하였는데, 이는 만족스러운 수준의 디테일 및 복수의 스크롤 속도 중 하나에 상응하는 관찰 및 선택 시간을 제공하면서도 보다 자연스러운 흐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신호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수신된 사용자 제스처를 비교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아이템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1 경로와 상이한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다른 복수의 아이템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앞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개수의 아이템과,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뒤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개수의 아이템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신호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 중 상이한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 중앙에 위치한 아이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을 포함한다.
적어도 더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와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의 상이한 속도의 스크롤에 각각 대응된다.
본 발명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된다. 이어서, 상기 수신된 제스처는 상기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있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신호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비교되는데, 상기 아이템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1 경로와 상이한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 전자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태양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2차원 요소의 시퀀스의 가상 3차원 표현 및 3차원 공간 내에서 2차원 요소가 따르는 대응 경로를 제시하는 전자 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평면도.
도 4는 2차원 요소의 시퀀스의 가상 3차원 표현 및 3차원 공간 내에서 2차원 요소가 따르는 대응 경로를 제시하는 전자 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추가 평면도.
도 5는 2차원 요소의 시퀀스의 가상 3차원 표현 및 3차원 공간 내에서 2차원 요소가 따르는 대응 경로를 제시하는 전자 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다른 추가 평면도.
도 6은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요소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기 위해 제시될 요소에 연결된 고정점(anchor point)을 포함하는 가상 스트링(virtual string)의 일부의 개략도.
도 7은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요소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기 위해 제시될 요소에 연결된 고정점을 포함하는 가상 스트링의 일부의 추가 개략도.
도 8은 복수의 요소의 스택(stack)을 표현하도록 의도된 2차원 요소의 평면도.
도 9는 복수의 요소의 스택을 표현하도록 의도된 2차원 요소의 추가 평면도.
도 10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하지만, 본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로서 간주되고 본 발명을 예시된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도면이 본 발명의 다양한 청구된 태양을 예시하도록 의도되지만, 이와 같이 함에 있어서 요소들은 반드시 비율에 맞게 그려지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달리 말해, 명료함을 위해, 또는 전달되도록 의도되는 개념을 더 잘 기술 또는 예시하기 위해 일부 계층,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영역의 크기, 모양 및 치수는 다른 예시된 요소에 비해 과장 및/또는 강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를 수신하고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제시하기 위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 전자 장치(1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는 무선 주파수(즉 셀룰러) 전화, 미디어(즉 음악) 재생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비디오 게임 장치, 카메라 및/또는 원격 제어기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많은 상이한 유형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메뉴로부터의 선택을 위해 아이템을 제시하는 전자 장치에 적합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104)과 같은 포인터(pointer)가 패턴(106)을 그릴 수 있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02)를 포함하는 핸드헬드(hand-held) 전자 장치이고, 패턴(106)은 터치 또는 근접 센서 어레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108)에 의해 탐지될 수 있고 명령 또는 제스처로서 해석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 어레이는 디스플레이 표면과의 상호작용이 장치에 의해 탐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일부로서 형성되고/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덮인다.
일반적으로, 터치 또는 근접 센서 어레이는 용량성 어레이뿐만 아니라 저항성 어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터치 또는 근접 감지 기술을 이용할 수 있고, 터치 감지 어레이는 선택된 위치에서 가해지는 힘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힘 감지 저항기 어레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힘 문턱값 결정이 제스처를 취하는 것을 포함한 의도된 상호작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또는 근접 센서 어레이가 도시되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그 대신에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입력이 실행 가능 사용자 선택 또는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제스처의 사용자에 의한 수행을 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장치에 의해 실행될 사용자 입력 명령으로서 인식될 수 있는 미리 지정된 패턴의 장치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해 가속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신, 방향 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및/또는 또 다른 형태의 입력이 유효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탐지될 수 있는 제스처를 전달하기 위해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사용자 입력(108)과 같은 특정한 제어 가능 인터페이스는 관련이 있지만 상이한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유형의 제스처에 응답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을 반복하여 기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스처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에 대한 스크롤 효과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현재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 탐지된 선(106)의 길이 및/또는 선(106)이 그려지는 속도에 대응되는 양이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포인터(110)를 들어올리고 선 제스처(106)를 반복함으로써 추가적인 스크롤 효과를 더 생성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스크롤은 반대 방향으로 그려지는 선에 의해 역전될 수 있다. 그 대신, 정지 제스처가 존재할 수 있고/있거나 스크롤이 종국적으로 멈출 때까지 스크롤 효과가 시간에 따라 점차 속도를 잃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태양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202), 사용자 입력(204) 및 제어기(20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2)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204)은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처럼,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202)를 유사하게 포함하는 공통 조립체(208)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와 사용자 입력(204)은 제스처 탐지 모듈(210) 및 스크롤 제어 모듈(212)을 포함하는 제어기(206)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206)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 모듈(210 및 212)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미리 저장된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집합(214)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집합(214)은 제어기의 일부로서 통합되거나 제어기(206)에 결합되는 저장 요소(216)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요소(216)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218)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이 경우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사진, 하나 이상의 영화, 하나 이상의 책 및/또는 하나 이상의 노래와 같은 디지털로 인코딩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그룹은 사진의 그룹 또는 앨범과 같은 노래의 그룹을 더 나타낼 수 있다. 아이템의 그룹은 또한 전화번호부의 연락처를 나타낼 수 있고, 연락처 각각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그룹은 사용자가 대응되는 북마크(bookmark)를 갖는 웹사이트의 그룹에 대한 홈페이지의 디지털 섬네일(thumbnail) 표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메뉴형 시퀀스로 배열된 그래픽 표현의 추가적인 형태가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저장 요소(216)는 종래의 ROM, EPROM, RAM, 또는 EEPROM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형태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요소(216)는 하드 드라이브 또는 플로피 드라이브와 같은 고정된 또는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형태의 보조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또 다른 추가 형태의 메모리가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동일한 또는 다른 사례에서, 제어기(206)는 그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상태 머신(state machine)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모듈들 중 일부와 그 대응되는 기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기의 제스처 탐지 모듈(210)은 메뉴와 같은 시퀀스로 배열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아이템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신호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제스처를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수신된 제스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롤 제어 모듈(212)은 아이템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을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롤 제어 모듈(212)은 제스처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제스처를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데, 이는 제1 경로를 따르는 복수의 아이템의 스크롤을 초래하며, 제1 경로는 종종 제1 속도의 스크롤과 연관된다. 스크롤 제어 모듈(212)은 제스처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제스처를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데, 이는 제2 경로를 따르는 복수의 아이템의 스크롤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제2 경로는 종종 제2 속도의 스크롤과 연관된다. 추가 경로와 연관된 추가 제스처가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유사하게 가능하다. 사실, 도 3 내지 5는 이러한 3개의 예시 경로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5는 2차원 요소의 시퀀스의 가상 3차원 표현 및 3차원 공간 내에서 2차원 요소가 따르는 대응 경로를 제시하는 전자 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경로들은 내려다보는 시점에서 도시된다.
도 3에서, 디스플레이 창(300)에서 중앙에 위치한 아이템(302)은 경로(304)를 따르는데, 이 경로는 중앙 아이템(302)을 사용자를 향해 앞으로 나오는 위치에 배치한다. 도면이 사시도 형식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가까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창(300)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시퀀스 내의 아이템의 그룹에 있는 모든 아이템이 디스플레이(300)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아이템은 중앙 아이템(302) 및 시퀀스 내의 중앙 아이템(302) 앞과 뒤의 바로 인접한 유한한 개수의 아이템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아이템(302)에 바로 인접한 앞쪽{아이템(306 및 308)}과 뒤쪽{아이템(310 및 312)}의 두 개의 아이템이 포함된다. 앞과 뒤는 상대적인 용어이며 용이하게 상호 교환될 수 있지만, 상호 교환되더라도 중앙 아이템(302)의 반대쪽에 있는 아이템을 여전히 나타낼 것이다. 일부 경우에, 아이템이 스크롤되고 있으면(314) 앞과 뒤는 이동 방향에 기초할 수 있다. 본 사례에서, 앞은 중앙 아이템 왼쪽의 아이템을 나타내고, 뒤는 중앙 아이템 오른쪽의 아이템을 나타내는데, 이는 영문이 읽히는 방향과 일치한다.
아이템이 화면 상에서 스크롤되면,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 중 상이한 아이템이 중앙 아이템으로서 취급되고,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 중 일부는 더 이상 보이지 않을 것이며 한편으로 다른 아이템은 새롭게 보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아이템은 더 많은 중요성을 갖는데, 이것은 그 두드러지는 위치에서 선택 동작을 개시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아이템이고, 증가된 크기는 더 많은 양의 그래픽 디테일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화면 상의 요소의 터치(316)를 통해 선택되는 경우, 적어도 순간적인 굴절(318)이 이동 경로에 발생하고, 이는 요소(302A)의 크기를 바꾸어 시각적인 선택 확인을 제공한다. 굴절된 요소(302A)는 파선으로 도시된다.
비중앙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아이템은 예컨대 적절한 방향으로의 스크롤을 통해 새로운 중앙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적어도 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경로는 움직이지 않는(즉 스크롤되지 않는), 또는 천천히 스크롤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에 대응된다.
도 4에서, 대안 경로(400)의 결과가 도시된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로(400)는 대체로 선형이며, 이는 디스플레이(401) 평면에 모두 대체로 평행한 대향면을 갖는 몇몇 동등한 크기의 요소를 초래한다. 이러한 배향은 중앙 아이템(402) 바로 앞{즉 요소(404)}과 바로 뒤{즉 요소(406)}의 요소들의 이미지를 더욱 보기 쉽게 만든다. 이러한 경로(400)는 도 3에 도시된 경로(304)와 연관된 속도보다 빠른 스크롤 속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에서, 추가 대안 경로(500)의 결과가 도시된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로(500)는 뷰 평면의 방향으로부터 적당히 오목한데, 이는 더욱 더 작은 요소들을 초래하고, 더 많은 개수의 요소가 동시에 디스플레이(501)를 통해 보일 수 있게 하며, 여기서 두 개의 바로 인접한 아이템은 중앙 아이템(502) 앞과 뒤에서 완전히 보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이템들이 화면을 가로질러 스크롤됨에 따라, 아이템들은 약간 더 많은 개수의 상이한 중앙 아이템(502)에 대해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더 적은 요소들이 한 번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보다 더 긴 기간 동안 아이템들이 보이도록 유지될 수 있게 하며, 그럼으로써 더 긴 열람 기간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더 빠른 스크롤(504) 속도를 수용하게 된다. 각각의 경로는 상이한 제스처와 연관될 수 있는데, 이는 그에 따라 상이한 스크롤 속도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테일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스크롤될 때에 특정한 디스플레이된 아이템과 연관된 열람 시간의 양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경로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 실시예들이 세 개의 상이한 경로를 도시하지만, 두 개만큼 적은 경로뿐만 아니라 세 개를 초과하는 개수의 상이한 경로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적어도 일부 사례에 있어서, 각각의 경로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이 부착된 가상 스트링 또는 리본에 의해 표현되는데, 이는 경로를 따라 대략 말단 대 말단으로 아이템의 2차원 표현이 배열될 수 있다. 부착점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인접하는 요소들 사이의 간격이 더 커질 수 있다. 부착점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더 적은 간격이 존재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는 인접하는 요소들 사이에 일부 겹침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 스트링의 일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가상 스트링은 요소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기 위해 제시될 요소에 연결된 고정점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상 스트링 또는 리본(600)이 도시되는데, 이는 적절한 경로를 따를 것이다. 가상 스트링(600)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간격으로 부착점(602)이 존재한다. 부착점(602)은 가상 스트링이 현재 선택된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때에 아이템의 그룹 내의 아이템 중 대응되는 것이 가상 스트링(600)에 부착될 지점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604)이 부착점들의 각각의 집합 사이에 도시되는데, 이러한 배열은 부착점들(602) 사이의 간격, 그리고 따라서 이들에게 부착된 아이템들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게 하는 물리 모델의 가능성을 부각시킨다.
이러한 모델에 있어서, 아이템은 질량을 가질 수 있고, 스크롤 힘은 부착된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질 수 있다. 인접한 아이템과 연관된 관성은 처음에는 움직임에 저항할 것이고, 이는 스프링(604)을 통해 전해진 힘이 인접한 아이템을 동등한 속도까지 가속할 때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모델링은 시퀀스 내의 아이템들 사이의 더욱 복잡한 역학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는 더욱 만족스러운 열람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 까닭은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한 더 높은 수준의 효과를 가지고 경험이 더욱 상호작용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스프링(604)이 늘어날 수 있는 것처럼(606), 스프링은 유사하게 압축될 수 있는데(608), 이에 의해 더욱 복잡한 상호작용의 추가적인 집합이 초래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착점들(602)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허용되는 반면, 도 7은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 스트링(700)의 일부의 추가 개략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가상 스트링(700)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아이템에 연결될 고정점(702)을 포함하며, 그 간격은 대체로 정적일 수 있다.
또한, 부착점을 통해 부착된 아이템은 단일 아이템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소정의 방식으로 연관된 사진, 노래, 북마크 등의 그룹과 같은 아이템의 배열된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그룹화는 주제의 유사성, 시간의 근접성, 공통 저자, 또는 아이템이 그룹화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방식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인 단일 아이템이 복수의 요소를 나타내도록 의도된 아이템과 함께 시퀀스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 복수의 아이템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아이템을 그래픽으로 제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요소의 스택(800)을 표현하도록 의도된 2차원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복수의 요소의 대안적인 스택(900)을 표현하도록 의도된 2차원 요소의 추가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에 부각된 스택(800)의 균일성의 정도는 사용자 조직화의 정도가 사용자에 의한 그룹화에 부과되었음을 부각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대적으로 더욱 임의적인 또는 무작위적인 스택(900)은 조직화가 다소 즉흥적이거나 더 느슨한 그룹화 기준을 가짐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이한 양식의 더욱 무작위적인 스택을 가짐으로써 이들의 유사성에 있어서 인공적으로 균일하게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종종, 함께 혼합된 3개 또는 4개의 상이한 양식의 무작위 스택의 집합은 스택들 사이에서 유사한 그래픽으로 표현된 패턴을 해체하기에 충분한 가변성을 낳을 것이고, 따라서 특정 그룹화와 연관된 무질서도는 인위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스택은 그 요소가 요소의 그룹화를 나타냄을 시사하는 경계를 갖지만, 사용자가 보다 쉽게 스택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임의의 배열된 시퀀스의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서 사용될 스택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 하나의 그래픽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테마 또는 대표적인 요소가 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스택은 최근의 여행 또는 특정한 이벤트로부터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진들 중 대표적인 것이 추가적인 관련 사진이 동일한 스택의 일부임을 식별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도 10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하기 위한 방법(10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000)은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하는 단계(1002)를 포함한다. 이어서,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된다(1004). 이어서, 수신된 제스처는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있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신호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비교되는데(1006), 아이템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를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1008).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와 상이한 제2 경로를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10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 및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수의 수정, 변경, 변이, 치환 및 등가물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일어날 것이다.

Claims (20)

  1.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 유닛; 및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수신된 사용자 제스처를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며,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경로와는 상이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며,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의 순차적 배열은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로 중 현재 선택된 경로를 따르는 가상 스트링(virtual string)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스트링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간격들로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의 각각의 아이템이 상기 순차적 배열에 대응되는 순서로 부착되며,
    상기 가상 스트링 및 상기 부착된 아이템들은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의 스크롤의 일부로서 복수의 경로 중 현재 선택된 경로를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상 스트링은 탄성이 있으며 상기 부착된 아이템들은 가상 질량을 갖고, 상기 부착된 아이템과 연관된 관성은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 및 이에 따른 상기 스트링의 스크롤이 속도를 바꿈에 따라 상기 스트링에 부착된 인접한 아이템들 사이의 간격이 증가 및 감소하도록 야기할 수 있는 것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다른 복수의 아이템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앞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개수의 아이템과,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뒤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개수의 아이템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 입력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 중 상이한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 중앙에 위치한 아이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아이템들의 상이한 부분집합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앞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아이템들의 개수는,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뒤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아이템들의 개수와 같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앞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 중 미리 정의된 개수는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제1 측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에 더 바로 인접한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중앙에 위치한 아이템에 더 가까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뒤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 중 미리 정의된 개수는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상기 제1 측과는 상이한 제2 측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에 더 바로 인접한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중앙에 위치한 아이템에 더 가까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가상 3차원 표현을 제시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된 아이템들은 부착점에서 상기 가상 스트링에 접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3차원 공간에서 가상으로 표현되는 가상 2차원 이미지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상으로 표현된 3차원 공간 내에서 비선형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복수의 아이템에 대해 공간적 관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와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의 상이한 속도의 스크롤에 각각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핸드헬드(hand-held) 전자 장치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장치.
  14.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유닛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스처를, 상기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있는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 -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이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의 상이한 부분집합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1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며,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제2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제1 경로와는 상이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며,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의 순차적 배열은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로 중 현재 선택된 경로를 따르는 가상 스트링(virtual string)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스트링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간격들로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의 각각의 아이템이 상기 순차적 배열에 대응되는 순서로 부착되며,
    상기 가상 스트링 및 상기 부착된 아이템들은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의 스크롤의 일부로서 복수의 경로 중 현재 선택된 경로를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상 스트링은 탄성이 있으며 상기 부착된 아이템들은 가상 질량을 갖고, 상기 부착된 아이템과 연관된 관성은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 및 이에 따른 상기 스트링의 스크롤이 속도를 바꿈에 따라 상기 스트링에 부착된 인접한 아이템들 사이의 간격이 증가 및 감소하도록 야기할 수 있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다른 복수의 아이템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앞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개수의 아이템과, 상기 시퀀스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의 바로 뒤에 있는,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미리 정의된 개수의 아이템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을 스크롤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스처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 입력 유닛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시퀀스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그룹 중 상이한 아이템이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 중 중앙에 위치한 아이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아이템들의 그룹으로부터의 아이템들의 상이한 부분집합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가상으로 표현된 3차원 공간 내에서 비선형인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7017662A 2009-12-07 2010-12-07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 KR101450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743409P 2009-12-07 2009-12-07
US61/267,434 2009-12-07
US12/961,469 US8799816B2 (en) 2009-12-07 2010-12-06 Display interfa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items arranged in a sequence
US12/961,469 2010-12-06
PCT/US2010/059226 WO2011071875A1 (en) 2009-12-07 2010-12-07 Display interfa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items arranged in a sequ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293A KR20120104293A (ko) 2012-09-20
KR101450984B1 true KR101450984B1 (ko) 2014-10-14

Family

ID=4408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662A KR101450984B1 (ko) 2009-12-07 2010-12-07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99816B2 (ko)
EP (1) EP2510425B1 (ko)
KR (1) KR101450984B1 (ko)
CN (1) CN102648447B (ko)
BR (1) BR112012013690A2 (ko)
WO (1) WO2011071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5577305B2 (ja) * 2011-08-05 2014-08-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135366B2 (en) * 2011-09-07 2015-09-15 Mark Alan Adkins Galaxy search display
JP5866957B2 (ja) * 2011-10-17 2016-0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1503A (ko) * 2012-01-09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631765A1 (en) * 2012-02-24 2013-08-2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990270B2 (en) 2012-05-09 2021-04-2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EP2847661A2 (en) 2012-05-09 2015-03-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US10613743B2 (en) 2012-05-09 2020-04-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EP3185116B1 (en) 2012-05-09 2019-09-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70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gesture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0304347B2 (en) 2012-05-09 2019-05-28 Apple Inc.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EP3410287B1 (en) 2012-05-09 2022-08-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US9582165B2 (en) 2012-05-09 2017-02-28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CN102929527A (zh) * 2012-09-27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图片切换功能的装置及图片切换方法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755029B1 (ko) 2012-12-29 2017-07-06 애플 인크. 다중 접촉 제스처에 대한 촉각적 출력의 발생을 보류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958582B1 (ko) 2012-12-29 2019-07-04 애플 인크. 터치 입력에서 디스플레이 출력으로의 관계들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7831991B (zh) 2012-12-29 2020-11-27 苹果公司 用于确定是滚动还是选择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9375853A (zh) * 2012-12-29 2019-02-22 苹果公司 对用户界面分级结构导航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3984493B (zh) * 2013-02-07 2018-06-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滑动控制方法及终端
TW201433971A (zh) * 2013-02-20 2014-09-01 Phoenix Tech Ltd 電子文件邊界提醒方法
KR20140132632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오브젝트 표시 방법
CN110262711B (zh) 2013-09-03 2023-03-03 苹果公司 用户界面中的用户界面对象操作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KR20150085600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6301544A (zh) 2014-06-27 2023-06-23 苹果公司 尺寸减小的用户界面
WO2016014601A2 (en) 2014-07-21 2016-01-28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EP3189406B1 (en) 2014-09-02 2022-09-07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US10254948B2 (en)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440076B2 (en) * 2015-03-10 2019-10-08 Mobitv, Inc. Media seek mechanisms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1567721B2 (en) * 2015-06-03 2023-01-3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rmining suitable values of parameters controlling display characteristics of elements of interactive pages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4321088A3 (en) 2015-08-20 2024-04-24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20170131864A1 (en) * 2015-11-06 2017-05-11 Facebook, Inc. Interface for Presenting Feed to a User Based on Scroll Inputs
CN105872647A (zh) * 2015-12-14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切换的方法及系统
AU2017100667A4 (en) 2016-06-11 2017-07-06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CN110347315A (zh) * 2018-04-08 2019-10-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93717B1 (ko) 2019-05-06 2022-05-03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제한된 동작
DK180392B1 (en) 2019-09-09 2021-03-12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N115904596B (zh) 2020-05-11 2024-02-02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DK202070625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US20090002335A1 (en) 2006-09-11 2009-01-01 Imran Chaudhri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KR20090034660A (ko) * 2007-10-04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5B2 (en) 2003-01-08 2010-02-16 Autodesk, Inc. Biomechanical user interface elements for pen-based computers
US6990637B2 (en) * 2003-10-23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view of a data collection based on an attribute of the data
US20050180330A1 (en) * 2004-02-17 2005-08-18 Touchgraph Llc Method of animating transitions and stabilizing node motion during dynamic graph navigation
US7383503B2 (en) * 2005-02-23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Filtering a collection of items
US20060271867A1 (en) 2005-05-27 2006-11-30 Wang Kong Q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US20070132789A1 (en) * 2005-12-08 2007-06-14 Bas Ording List scrolling in response to moving contact over list of index symbols
GB0602689D0 (en) * 2006-02-10 2006-03-22 Univ Edinburgh Controlling the motion of virtual objects in a virtual spac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581186B2 (en) * 2006-09-11 2009-08-25 Apple Inc. Media manager with integrated browsers
US8832575B2 (en) * 2006-09-26 2014-09-09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Speed dependent displaying of information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AU2006252191B2 (en) * 2006-12-21 2009-03-26 Canon Kabushiki Kaisha Scrolling Interface
US7844915B2 (en) * 2007-01-07 2010-11-30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7903115B2 (en) * 2007-01-07 2011-03-08 Apple Inc. Animations
US8610673B2 (en) * 2008-12-0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US8365091B2 (en) * 2009-01-06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Non-uniform scrolling
US8601389B2 (en) * 2009-04-30 2013-12-03 Apple Inc. Scrollable menus and toolbars
US20120036473A1 (en) * 2009-05-27 2012-02-09 Todd Haseyama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the display of information
US20110055753A1 (en) * 2009-08-31 2011-03-03 Horodezky Samuel J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searching functionality
US8624925B2 (en) * 2009-10-1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boundary signaling techniques
US8677283B2 (en) * 2009-10-21 2014-03-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lists as reacting against barriers
JP5638896B2 (ja) * 2010-09-21 2014-12-10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US20090002335A1 (en) 2006-09-11 2009-01-01 Imran Chaudhri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KR20090034660A (ko) * 2007-10-04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0425A1 (en) 2012-10-17
BR112012013690A2 (pt) 2016-08-09
KR20120104293A (ko) 2012-09-20
US8799816B2 (en) 2014-08-05
CN102648447B (zh) 2015-05-27
EP2510425B1 (en) 2018-08-01
US20110138329A1 (en) 2011-06-09
WO2011071875A1 (en) 2011-06-16
CN102648447A (zh)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984B1 (ko) 시퀀스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방법
US84684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electing electronically stored content o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CN103392168B (zh) 包括多个触摸屏的装置和用于所述装置的屏幕改变方法
KR101868731B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와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239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 effects for different imple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 touch event
US9836201B2 (en) Zoom-based gesture user interface
US102229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device functionality
US9436346B2 (en) Layer-based user interface
JP5485220B2 (ja)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210922A1 (en) Dual-screen mobile device
US20110193881A1 (en) Regulation of navigation speed among displayed items and tilt angle thereof responsive to user applied pressure
KR1020374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A2661200A1 (en)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KR2016012716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30007663A1 (en) Displaying Content
KR102161061B1 (ko)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JP2019534590A (ja) 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9569085B2 (en)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362292A1 (en) Dual-screen mobile device
EP2921944B1 (en) User interface
KR10122868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