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33B1 -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33B1
KR101450733B1 KR1020130159666A KR20130159666A KR101450733B1 KR 101450733 B1 KR101450733 B1 KR 101450733B1 KR 1020130159666 A KR1020130159666 A KR 1020130159666A KR 20130159666 A KR20130159666 A KR 20130159666A KR 101450733 B1 KR101450733 B1 KR 10145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ule
ignition device
lower por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철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국제공항공사 filed Critical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3015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각지대 없이 차량의 하부를 검색하도록 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차량 하부 검색 장치는, 진입하는 차량의 폭과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고,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여 탐지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하부 검색부; 및 차량 하부 검색부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탐지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OWER POR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 건물 또는 행사 진입 차량 하부의 구성 요소들을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확인하도록 설계되어, 은닉된 위해 물품이 발견되거나 차량 하부 구조에 변경이 생길 경우 경보 신호를 울림으로서 위험 요소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국제 정세의 불안으로, 주요 건물 및 주요 인물에 대한 차량 폭탄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급속히 발전하는 기술, 장비에 대한 유출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주요 기관, 대형 쇼핑몰, 행사장 등의 출입 시 차량 하부 검색경을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 하부 검색경을 통한 검색은 사각지대 발생으로 인해 정확한 검색을 할 수 없으며, 사람이 직접 들고다니며 검색을 하므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수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 검색에 장시간 소요되어 이용객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차량 하부 검색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차량이 이동하면 하부에 스캐너가 스캔하는 방식의 차량 하부 검색기와 차량이 이동하면 카메라가 레코딩하는 방식의 차량 하부 검색기가 있다.
종래의 차량 하부 검색기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의 위치에 맞추어 차량이 진입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유도하기 위한 진입 유도 가이드를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차량 하부 검색기는 설치 면적이 충분해야만 가능하고, 승용차 외 승합차나 특수 차량의 경우 별도의 스캐너 및 진입 유도 가이드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하부 검색기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고, 이동 차량에 대해서만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사람의 눈을 통한 추가 검색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0-2011-0010726호(명칭: 고휘도 LED조명을 이용한 차량 하부 검색경) 선행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0964025호(명칭: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각지대 없이 차량의 하부를 검색하도록 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는, 진입하는 차량의 폭과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고,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여 탐지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하부 검색부; 및 차량 하부 검색부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탐지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는, 진입하는 차량의 폭을 감지하는 제1감지모듈; 차량의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촬영모듈;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여 탐지정보를 생성하는 점화장치 탐지모듈; 제1감지모듈에서 감지한 차량의 폭과 제2감지모듈에서 감지한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촬영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고,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모듈; 및 중앙처리모듈에서 생성된 차량 하부 이미지와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 및 점화장치 탐지모듈에서 생성한 탐지정보를 모니터링부에게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중앙처리모듈은 현재시간이 설정시간에 포함되거나 현재조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조명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복수의 엘이디 조명으로 구성되어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조명 구동신호를 수신하면 구동하여 차량의 하부를 조명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한다.
중앙처리모듈은 차량이 진입하면 알람 송출 신호를 출력하고,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알람 송출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촬영모듈은, 차량의 하부를 분할하여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및 중앙처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각 카메라의 렌즈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제1감지모듈을 구성하는 한 쌍의 센서가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2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카메라가 중앙부에 배치되고, 저장모듈, 출력모듈, 중앙처리모듈, 통신모듈이 내장 설치되는 제1베이스; 및 진입한 차량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제1베이스와 연결되어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구역에는 촬영모듈을 구성하는 카메라 및 점화장치 탐지모듈을 구성하는 점화장치 탐지기가 설치되고, 양측에 조명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엘이디 조명들이 설치되는 제2베이스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는, 화면의 제1영역에 차량 하부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고, 화면의 제2영역에 차량의 전면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고, 화면의 제3영역에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한다.
모니터링부는, 제3영역에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한다.
모니터링부는, 차량 하부 검색부에서 생성한 탐지정보를 근거로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들과 구분하여 출력하고,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방법은,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진입하는 차량의 폭을 감지하는 단계;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차량의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차량의 폭과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단계;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치 차량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및 탐지하는 단계의 탐지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단계는,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 하부를 촬영하여 복수의 하부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복수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단계는,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현재시간 및 현재조도 중 하나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조명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조명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명 구동으로 판단하면 복수의 엘이디 조명을 구동하여 차량의 하부를 조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화면의 제1영역에 차량 하부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모니터링부에 의해, 화면의 제2영역에 차량의 전면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에 의해, 화면의 제3영역에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력하는 단계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제3영역에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하부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출력하는 단계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점화장치를 탐지하는 단계의 탐지결과를 근거로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 이미지를 다른 하부 이미지들과 구분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에 의해,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각지대가 없이 차량의 하부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하부 검색을 위한 장치를 최소화하여 장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과 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하부를 검색함과 동시에 점화장치 탐지를 수행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차량의 하부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함으로써, 국가 전산망을 통해 도난 차량을 이용한 테러, 범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주요 건물 또는 행사 진입 차량 하부의 구성 요소들을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하도록 설계되어, 은닉된 위해 물품이 발견되거나 차량 하부 구조에 변경이 생길 경우 경보 신호를 울림으로서 위험 요소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기존에 사용되었던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의 단점인 사각지대 해소, 전 차종을 추가 시설 없이 검색할 수 있으며, 넓은 진입로 확보 등의 장소가 필요치 않아,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다 정확히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입출 차량의 데이터 공유로 보안구역 내 잔류 차량의 위치와 추적, 차량의 추적 만료 등 개별 관리가 가능하며, 도난차량, 불법차량의 신속한 대처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새로운 시장 선점의 기회가 되어, 국산 제품의 수출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차량 하부 검색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모니터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차량 하부 촬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도 9의 차량 하부의 이미지 및 점화장치 탐지정보 출력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하부 검색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차량 하부 검색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모니터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 검색 장치는 진입하는 차량(400)의 하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차량(400)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색하여 탐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 차량 하부 검색부(100)에서 생성한 이미지 및 탐색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진입하는 차량(400)의 전면 및 하면을 촬영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점화장치를 탐색하여 모니터링부(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제1감지모듈(110), 제2감지모듈(120), 촬영모듈(140), 조명모듈(150), 점화장치 탐지모듈(160), 저장모듈(130), 출력모듈(170), 중앙처리모듈(180), 통신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감지모듈(110)은 초음파센서(112, 114), 광센서(112, 114) 등으로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400)의 폭(넓이)을 감지한다. 즉, 제1감지모듈(110)은 본체의 전방(즉, 차량(400) 진입 방향)에 한 쌍의 센서(112, 114)로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400)의 폭을 감지한다. 제1감지모듈(110)은 감지한 차량(400)의 폭을 중앙처리모듈(180)에게로 전송한다.
제2감지모듈(120)은 진입하는 차량(400)을 촬영하여 차량종류 또는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즉, 제2감지모듈(120)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22)로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400)을 촬영하여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제2감지모듈(120)은 감지한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중앙처리모듈(180)에게로 전송한다.
저장모듈(130)은 차량종류, 차량번호, 폭, 및 길이를 포함하는 차량(400)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저장모듈(130)은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와 해당 차량(400)의 길이를 연계한 차량(400)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모듈(130)은 제1감지모듈(110) 및 제2감지모듈(120)에서 감지한 정보를 근거로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400) 폭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촬영모듈(140)은 영상 촬영이 가능한 복수의 카메라(142)와, 각 카메라(142)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촬영모듈(140)은 중앙처리모듈(180)의 제어에 따라 구동장치가 구동하여 카메라(142)에 포함된 렌즈의 각도(즉, 전후좌우 각도)를 조정한다.
조명모듈(150)은 온오프 구동하여 차량(400) 하부를 조명한다.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은 중앙처리모듈(180)의 제어에 따라 차량(400) 하부에 부착된 점화장치를 탐지한다. 즉,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은 차량(400)의 하부로 전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차량(400)의 하부에 점화장치가 설치된 경우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음파)에 의해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에서 발생한 전자 자기장에 변화가 발생한다.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은 이러한 전자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량(400) 하부의 점화장치 설치 여부 및 설치 위치를 탐색한다.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은 탐지한 점화장치 설치 여부 및 설치 위치를 포함하는 탐지정보를 중앙처리모듈(180)에게로 전송한다.
출력모듈(170)은 중앙처리모듈(180)의 제어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음성 또는 화면 출력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제1감지모듈(110)에서 감지한 정보를 근거로 촬영모듈(140)을 제어한다. 즉, 중앙처리모듈(180)은 제1감지모듈(110)에서 감지한 차량(400) 폭을 근거로 촬영모듈(140)을 제어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차량(400) 폭을 근거로 촬영모듈(140)의 렌즈 각도(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각도)를 제어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제2감지모듈(120)에서 감지한 정보를 근거로 촬영모듈(140)을 제어한다. 즉, 중앙처리모듈(180)은 제2감지모듈(120)에서 차량종류 또는 차량번호를 기저장된 차량(400)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400)의 길이를 검출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차량(400) 길이를 근거로 촬영모듈(140)의 렌즈 각도(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각도)를 제어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촬영모듈(140)과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을 제어한다. 즉, 중앙처리모듈(180)은 촬영모듈(140)의 제어와 함께 차량(400) 하부에 부착된 점화장치를 탐지하도록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을 제어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촬영모듈(140) 및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의 제어와 함께 알람 메시지를 음성 또는 화면 출력하도록 출력모듈(170)을 제어한다. 즉, 중앙처리모듈(180)은 차량(400) 하부의 검사가 완료될 때까지 차량(400)이 정차하도록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차량(400) 하부 촬영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설정시간 또는 조도에 따라 조명모듈(150)을 제어한다. 즉, 중앙처리모듈(180)은 차량(400) 하부 촬영시 더욱 선명한 영상의 촬영을 위해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대(즉, 일몰 이후)에 포함되거나 현재조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조명모듈(150)을 온시켜 조도를 확보한다.
중앙처리모듈(180)은 촬영모듈(140)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을 근거로 차량(400) 하부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중앙처리모듈(180)은 촬영모듈(140)에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차량(400) 하부 이미지를 생성한다.
통신모듈(190)은 중앙처리모듈(180)에서 생성한 차량(400) 하부 이미지와 촬영모듈(140)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및 제2감지모듈(120)에서 촬영한 이미지(즉, 차량번호의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모니터링부(300)에게로 전송한다. 이와 함께, 통신모듈(190)은 점화장치 탐지모듈(160)로부터 수신한 탐지정보를 모니터링부(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제1감지모듈(110), 제2감지모듈(120), 촬영모듈(140), 조명모듈(150), 점화장치 탐지모듈(160), 저장모듈(130), 출력모듈(170), 중앙처리모듈(180) 및 통신모듈(19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하부 검색부(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제1베이스(220) 및 제2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의 구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1베이스(220) 및 제2베이스(240)를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베이스(220)는 제1감지모듈(110), 제2감지모듈(120), 저장모듈(130), 출력모듈(170), 중앙처리모듈(180), 통신모듈(190)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때, 제1베이스(220)는 제2베이스(2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진입하는 차량(400)의 전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베이스(220)의 내부에는 저장모듈(130), 출력모듈(170), 중앙처리모듈(180), 통신모듈(190)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220)는 양측에 제1감지모듈(110)을 구성하는 센서들(112, 114)이 설치되고, 중앙부에 제2감지모듈(120)을 구성하는 카메라(122)가 설치된다.
제2베이스(240)는 진입한 차량(4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베이스(240)는 복수의 카메라(142)들로 구성되는 촬영모듈(140), 복수의 엘이디 조명(152)들로 구성되는 조명모듈(150), 복수의 점화장치 탐지기(162)들로 구성되는 점화장치 탐지모듈(160)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240)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된다. 분할된 각 구역에는 하나의 카메라(142) 및 하나의 점화장치 탐지기(162)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점화장치 탐지기(162)는 구역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점화장치 탐지기(162)의 내부에 카메라(142)가 설치된다. 그에 따라, 각 구역에 설치된 카메라(142)들은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400)의 하부의 일정 영역을 촬영한다. 각 구역에 설치된 점화장치 탐지기(162)들은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400)의 하부의 일정 영역에 설치되는 점화장치를 탐지한다.
한편, 제2베이스(240)의 양측에는 엘이디 조명(152)들이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240)의 양측에는 엘이디 조명(152)들이 직렬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400)의 하부를 조명한다.
모니터링부(300)는 태블릿,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랩톱, 서버 등과 같이 차량 하부 검색부(100)와 유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와이파이, 블루투스, 독립통신 TCP/IP 등)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 구성된다.
모니터링부(300)는 내장된 소프트웨어(앱)를 통해 차량 하부 검색부(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300)는 화면의 제1영역에 차량(400) 하부 이미지(즉, 촬영모듈(140)을 구성하는 각각의 카메라(142)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을 병합한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 모니터링부(300)는 화면의 제2영역에 제2감지모듈(120)에서 촬영한 이미지(즉, 차량번호의 확인이 가능한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 모니터링부(300)는 화면의 제3영역에 촬영모듈(140)을 구성하는 각각의 카메라(142)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한다. 즉, 모니터링부(300)는 관리자에 의해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제1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부(300)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로부터 수신한 탐지정보를 근거로 제1영역 및 제3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300)는 탐지정보를 근거로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이미지들 중에서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들과 구분하여 출력한다. 이때, 모니터링부(300)는 알람음, 알람음성 등을 출력하고,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한다. 일례로, 점화장치가 탐지된 영역의 이미지를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400) 하부 검색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400) 하부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400) 하부 촬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차량(400) 하부의 이미지 및 점화장치 탐지정보 출력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진입하는 차량(400)의 폭(넓이)을 감지한다(S100).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초음파 센서(112, 114), 광센서(112, 114) 등의 한 쌍의 센서(112, 114)를 이용하여 진입하는 차량(400)의 폭(넓이)을 감지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진입하는 차량(400)의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한다(S200).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카메라(142)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400)의 전면을 촬영하여 차량(400)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감지한 차량(400)의 폭,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카메라(142)의 렌즈 각도를 조정한다(S300).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감지한 차량(400) 폭을 근거로 카메라(142)들의 렌즈 각도(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각도)를 조정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감지한 차량종류 또는 차량번호를 기저장된 차량(400)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400)의 길이를 검출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검출한 차량(400) 길이를 근거로 카메라(142)들의 렌즈 각도(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각도)를 조정한다. 이때,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복수의 카메라(142)들의 렌즈 각도 조절을 통해 각 카메라(142)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이 소정영역이 중복되도록 하여 사각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진입한 차량(400)의 하부를 촬영한다(S400).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차량(400)이 진입함에 따라 차량(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카메라(142)를 통해 차량(400)의 하부를 촬영한다. 이를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조명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현재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속하거나, 조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조명의 구동으로 판단한다. 조명의 구동으로 판단하면(S410; 예),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조명을 온 구동시킨다(S420). 이를 통해,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어두운 상황에서도 조도를 확보하여 차량(400) 하부 이미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알람 메시지를 음성 또는 화면 출력한다(S430).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차량(400) 하부의 검색(즉, 촬영)이 완료될 때까지 차량(400)이 정차하도록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차량(400)의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카메라(142)를 통해 차량(400) 하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S440). 이때,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복수의 카메라(142)들을 통해 차량(400)의 하부를 분할하여 촬영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촬영한 이미지들을 근거로 차량(400) 하부 이미지를 생성한다(S450).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분할 촬영한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400) 하부 이미지를 생성한다.
동시에,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차량(400) 하부의 점화장치를 탐지한다(S500).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진입한 차량(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점화장치 탐지기(162)들을 통해 차량(400) 하부에 부착된 점화장치를 탐지한다. 이때, 점화장치 탐지기(162)들은 차량(400)의 하부로 전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차량(400)의 하부에 점화장치가 설치된 경우 점화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음파)에 의해 점화장치 탐지기(162)에서 발생한 전자 자기장에 변화가 발생한다. 점화장치 탐지기(162)는 이러한 전자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량(400) 하부의 점화장치 설치 여부 및 설치 위치를 탐색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0)는 복수의 점화장치 탐지기(162)들에서 탐지한 점화장치 설치 여부 및 설치 위치를 포함하는 탐지정보를 생성한다.
모니터링부(300)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에서 촬영한 차량(400) 하부의 이미지 및 점화장치 탐지정보를 출력한다(S600). 즉, 모니터링부(300)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에서 생성된 차량(400) 하부 이미지, 복수의 카메라(142)들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들 및 탐지정보를 화면 출력한다. 이를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모니터링부(300)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및 차량(400) 하부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S610). 즉, 모니터링부(300)는 내장된 소프트웨어(앱)를 통해 차량 하부 검색부(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한다. 이때, 모니터링부(300)는 화면의 제1영역에 차량(400) 하부 이미지(즉, 복수의 카메라(142)들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을 병합한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 모니터링부(300)는 화면의 제2영역에 차량(400)의 전면을 촬영한 이미지(즉, 차량번호의 확인이 가능한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 모니터링부(300)는 화면의 제3영역에 복수의 카메라(142)들에서 분할 촬영된 차량(400)의 하부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한다.
모니터링부(300)는 차량 하부 검색부(100)로부터 수신한 탐지정보를 근거로 점화장치의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모니터링부(300)는 탐지정보에 포함된 설치 여부를 근거로 점화장치의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 탐지정보에 점화장치가 설치되어 점화장치 탐지로 판단하면(S620; 예), 모니터링부(300)는 점화장치가 탐지된 영역의 이미지를 확대 출력한다(S630). 즉, 모니터링부(300)는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이미지들 중에서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들과 구분하여 출력한다. 이때, 모니터링부(300)는 알람음, 알람음성 등을 출력하고,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한다.
한편, 관리자에 의해 모니터링부(300)에 표시된 이미지들(즉, 분할 촬영된 차량(400) 하부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면(S640; 예), 모니터링부(300)는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한다(S650). 즉, 모니터링부(300)는 관리자에 의해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제1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각지대가 없이 차량의 하부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하부 검색을 위한 장치를 최소화하여 장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과 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하부를 검색함과 동시에 점화장치 탐지를 수행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차량의 하부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함으로써, 국가 전산망을 통해 도난 차량을 이용한 테러, 범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주요 건물 또는 행사 진입 차량 하부의 구성 요소들을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하도록 설계되어, 은닉된 위해 물품이 발견되거나 차량 하부 구조에 변경이 생길 경우 경보 신호를 울림으로서 위험 요소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기존에 사용되었던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의 단점인 사각지대 해소, 전 차종을 추가 시설 없이 검색할 수 있으며, 넓은 진입로 확보 등의 장소가 필요치 않아,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입출 차량의 데이터 공유로 보안구역 내 잔류 차량의 위치와 추적, 차량의 추적 만료 등 개별 관리가 가능하며, 도난차량, 불법차량의 신속한 대처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새로운 시장 선점의 기회가 되어, 국산 제품의 수출효과도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차량 하부 검색부 110: 제1감지모듈
112, 114: 센서 120: 제2감지모듈
122: 카메라 130: 저장모듈
140: 촬영모듈 142: 카메라
150: 조명모듈 152: 엘이디 조명
160: 점화장치 탐지모듈 162: 점화장치 탐지기
170: 출력모듈 180: 중앙처리모듈
190: 통신모듈 220: 제1베이스
240: 제2베이스 300: 모니터링부
400: 차량

Claims (15)

  1. 진입하는 차량의 폭과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한 상기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여 탐지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하부 검색부; 및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탐지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는,
    진입하는 차량의 폭을 감지하는 제1감지모듈;
    상기 차량의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촬영모듈;
    상기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여 탐지정보를 생성하는 점화장치 탐지모듈;
    상기 제1감지모듈에서 감지한 차량의 폭과 상기 제2감지모듈에서 감지한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상기 촬영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고,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모듈; 및
    상기 중앙처리모듈에서 생성된 차량 하부 이미지와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 및 상기 점화장치 탐지모듈에서 생성한 탐지정보를 모니터링부에게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현재시간이 설정시간에 포함되거나 현재조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조명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복수의 엘이디 조명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조명 구동신호를 수신하면 구동하여 차량의 하부를 조명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차량이 진입하면 알람 송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알람 송출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차량의 하부를 분할하여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중앙처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각 카메라의 렌즈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모듈을 구성하는 한 쌍의 센서가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카메라가 중앙부에 배치되고, 저장모듈, 출력모듈, 중앙처리모듈, 통신모듈이 내장 설치되는 제1베이스; 및
    진입한 차량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베이스와 연결되어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구역에는 상기 촬영모듈을 구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점화장치 탐지모듈을 구성하는 점화장치 탐지기가 설치되고, 양측에 조명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엘이디 조명들이 설치되는 제2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화면의 제1영역에 차량 하부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고,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차량의 전면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고, 상기 화면의 제3영역에 상기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3영역에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서 생성한 탐지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들과 구분하여 출력하고, 상기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장치.
  10.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진입하는 차량의 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폭과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치 차량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촬영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및 상기 탐지하는 단계의 탐지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 하부를 촬영하여 복수의 하부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현재시간 및 현재조도 중 하나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조명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에 의해, 상기 조명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조명 구동으로 판단하면 복수의 엘이디 조명을 구동하여 상기 차량의 하부를 조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화면의 제1영역에 차량 하부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차량의 전면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화면의 제3영역에 상기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제3영역에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하부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점화장치를 탐지하는 단계의 탐지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3영역에 화면 출력된 하부 이미지들 중에서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 이미지를 다른 하부 이미지들과 구분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점화장치가 탐색된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하부 검색 방법.
KR1020130159666A 2013-12-19 2013-12-19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45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66A KR101450733B1 (ko) 2013-12-19 2013-12-19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66A KR101450733B1 (ko) 2013-12-19 2013-12-19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733B1 true KR101450733B1 (ko) 2014-10-16

Family

ID=5199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666A KR101450733B1 (ko) 2013-12-19 2013-12-19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7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27A (ko) * 2015-07-02 2017-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하부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70009219A (ko) 2015-07-16 2017-01-25 김태웅 차량 하부 촬영시스템
KR101725906B1 (ko) 2016-10-25 2017-05-11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WO2017138754A1 (ko) * 2016-02-12 2017-08-17 ㈜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하부 촬영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차량하부 촬영방법
KR101798988B1 (ko) * 2017-07-12 2017-11-17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64206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하이젠 휴대용 차량 하부 검사 장치
KR101910062B1 (ko) * 2017-07-06 2018-10-19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촬영 시스템
WO2022234885A1 (ko) * 2021-05-04 2022-11-1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컴퓨터 비전 기반의 차종 인식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208A (ko) * 2005-09-23 2007-03-28 이동인 자동차 하부의 검색 시스템
KR20070106736A (ko) * 2005-02-23 2007-11-05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포인트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3048A (ko) * 2009-10-20 2011-04-27 (주)아이비코리아이엔지 차량 하부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736A (ko) * 2005-02-23 2007-11-05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포인트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4208A (ko) * 2005-09-23 2007-03-28 이동인 자동차 하부의 검색 시스템
KR20110043048A (ko) * 2009-10-20 2011-04-27 (주)아이비코리아이엔지 차량 하부 촬영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27A (ko) * 2015-07-02 2017-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하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703300B1 (ko) 2015-07-02 2017-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하부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70009219A (ko) 2015-07-16 2017-01-25 김태웅 차량 하부 촬영시스템
WO2017138754A1 (ko) * 2016-02-12 2017-08-17 ㈜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하부 촬영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차량하부 촬영방법
KR101725906B1 (ko) 2016-10-25 2017-05-11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KR20180064206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하이젠 휴대용 차량 하부 검사 장치
KR101942558B1 (ko) * 2016-12-05 2019-01-25 주식회사 하이젠 휴대용 차량 하부 검사 장치
KR101910062B1 (ko) * 2017-07-06 2018-10-19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촬영 시스템
KR101798988B1 (ko) * 2017-07-12 2017-11-17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WO2022234885A1 (ko) * 2021-05-04 2022-11-1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컴퓨터 비전 기반의 차종 인식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733B1 (ko)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US8594389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090128632A1 (en) Camera and image processor
KR101835552B1 (ko)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관제시스템
KR100964025B1 (ko)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TWI261466B (en)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monitoring a zone of an elevator installation by means of a 3-D sensor
JP2012501588A (ja) カメラ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201301897A (zh) 監視系統
KR101462855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JP2007086545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JP7428360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監視方法
KR101051005B1 (ko)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25538B1 (ko) 도시방범이 가능한 다차선 자동차 번호판 인식시스템
US20120128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recording device detection
KR20160034064A (ko)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92227A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JP2006323651A (ja) 防犯センサ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JP5049027B2 (ja) 警戒センサ
JP200804265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1625571B1 (ko) 영상감시시스템을 이용한 차량번호인식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6585B1 (ko) 차량검지를 통한 증거사진 촬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방범 시스템
JP2012048690A (ja) 監視装置
KR20100135103A (ko)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