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906B1 -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906B1
KR101725906B1 KR1020160139397A KR20160139397A KR101725906B1 KR 101725906 B1 KR101725906 B1 KR 101725906B1 KR 1020160139397 A KR1020160139397 A KR 1020160139397A KR 20160139397 A KR20160139397 A KR 20160139397A KR 101725906 B1 KR101725906 B1 KR 10172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camera
detec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평석
송호종
임용근
엄정구
지창환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대한민국(대통령경호실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대한민국(대통령경호실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Priority to KR102016013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6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및 사용이 용이하고, 차량의 하부의 영상검색 뿐만 아니라, 폭발물 탐지를 위한 무선전파신호 검출, 자기장 검출 및 방사선 검출수단을 부가하여 은닉된 위험물도 탐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Portable Apparatus for Dangerous Equipment Searching of Bottom of Car}
본 발명은 주요기관, 행사장 등 보안이 필요한 곳에 출입하는 차량의 하부를 영상으로 확인할 뿐만 아니라, 영상으로 확인되지 않은 은닉된 폭발물 등의 위험물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거나 경보음으로 사용자에게 경보하도록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가 필요하거나, 안전이 필요한 주요 기관, 주요 행사장 등의 출입 시 차량 하부 검색경을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차량하부 검색경을 통한 검색은 사각지대 발생으로 인해 정확한 검색을 할 수 없으며, 숨겨진 폭발물 등은 탐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하부 검색경을 통한 검색은 사각지대 발생으로 인해 정확한 검색을 할 수 없으며, 사람이 직접 들고다니며 검색을 하므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수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 검색에 장시간 소요되어 이용객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차량 하부 검색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차량이 이동하면 하부에 스캐너가 스캔하는 방식의 차량 하부 검색기와 차량이 이동하면 카메라가 레코딩하는 방식의 차량 하부 검색기가 있다.
종래의 차량 하부 검색기는 스캐너 또는 카메라의 위치에 맞추어 차량이 진입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유도하기 위한 진입 유도 가이드를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차량 하부 검색기는 설치 면적이 충분해야만 가능하고, 승용차 외 승합차나 특수 차량의 경우 별도의 스캐너 및 진입 유도 가이드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각지대 없이 차량의 하부를 검색하도록 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특허등록 제10-1450733호(공고일 2014년10월16일)에 게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진입하는 차량(40)의 폭과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복수의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한 차량의 하부 이미지들을 병합하여 차량 하부 이미지를 생성하고,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점화장치를 탐지하여 탐지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하부검색부(10)와, 및 차량 하부 검색부(10)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탐지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진입하는 차량(40)의 전면 및 하면을 촬영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점화장치를 탐색하여 모니터링부(30)에게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제1,제2감지모듈, 촬영모듈, 조명모듈, 점화장치 탐지모듈, 저장모듈, 출력모듈, 중앙처리모듈 및 통신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감지모듈은 초음파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40)의 폭(넓이)을 감지한다. 즉, 제1감지모듈은 본체의 전방(즉, 차량(40) 진입 방향)에 한 쌍의 센서로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40)의 폭을 감지한다. 제1감지모듈은 감지한 차량(40)의 폭을 중앙처리모듈에게로 전송한다.
제2감지모듈은 진입하는 차량(40)을 촬영하여 차량종류 또는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즉, 제2감지모듈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40)을 촬영하여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촬영모듈은 영상 촬영이 가능한 복수의 카메라와, 각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촬영모듈은 중앙처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구동장치가 구동하여 카메라에 포함된 렌즈의 각도(즉, 전후좌우 각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진입하는 차량(400)의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카메라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40)의 전면을 촬영하여 차량(40)종류 및 차량번호를 감지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감지한 차량(40)의 폭,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근거로 카메라의 렌즈 각도를
조정한다. 즉,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감지한 차량(40) 폭을 근거로 카메라들의 렌즈 각도(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각도)를 조정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감지한 차량종류 또는 차량번호를 기저장된 차량(40)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400)의 길이를 검출한다.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검출한 차량(40) 길이를 근거로 카메라들의 렌즈 각도(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각도)를 조정한다. 이때, 차량 하부 검색부(10)는 복수의 카메라들의 렌즈 각도 조절을 통해 각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이 소정영역이 중복되도록 하여 사각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는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각지대가 없이 차량의 하부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진입하는 차량종류와 차량번호 및 차량 폭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하부 검색을 위한 장치를 최소화하여 장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은 주요 건물 또는 행사 진입 차량 하부의 구성 요소들을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하도록 설계되어, 은닉된 위해 물품이 발견되거나 차량 하부 구조에 변경이 생길 경우 경보 신호를 울림으로서 위험 요소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기존에 사용되었던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의 단점인 사각지대 해소, 전 차종을 추가 시설 없이 검색할 수 있으며, 넓은 진입로 확보 등의 장소가 필요치 않아,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다 정확히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는 차량진입로의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그 크기가 매우 크고, 무거워 이동 및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검색 중 의심되는 부분에 대한 세부 검색이 불가능하며, 또한 차량 하부에 은닉된 위험물에 대해서는 검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국내 특허등록 제10-1630154호(공고일 2016년06월15일) 2. 국내 특허등록 제10-1450733호(공고일 2014년10월16일)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및 사용이 용이하고, 차량의 하부의 영상검색 뿐만 아니라, 폭발물 탐지를 위한 무선전파신호 검출, 자기장 검출 및 방사선 검출수단을 부가하여 은닉된 위험물도 탐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는 차량의 하부에 위험물을 탐지하기 위한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부; 차량 하부에서 광대역 무선 전파신호를 검출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검출부; 차량 하부에서 전자기장신호를 검출하는 EMF(Electro Magnetic Field)검출부와, 차량 하부에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부; 및 상기 각 카메라부의 영상신호 및 각 부의 검출신호를 수집 및 검출신호를 분석 및 그 결과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각 카메라부의 조사방향 또는 줌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 RSSI검출부, EMF검출부 및 방사선검출부는 차량의 하부에 진입시키는 차량하부검사장치에 탑재되는 것을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촬영각도를 갖는 적어도 4개의 카메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이스틱; 상기 카메라부에서 전송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영상으로 변환하고, 압축 저장 및 전송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상기 조이스틱으로부터의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고, 상기 DVR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영상신호, RSSI검출부, EMF검출부 및 방사선검출부로부터의 각 검출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 및 분석을 통해 위험물 탐색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콘트롤러; 및 상기 메인콘트롤러로부터의 경보신호와 상기 DVR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 및 사용이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차량의 하부의 영상검색 뿐만 아니라, 폭발물 탐지를 위한 RSSI 검출, EMF 검출 및 방사선 검출수단을 부가하여 은닉된 어떤 위험물도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를 탑재한 차량하부 검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의 구성도로서, 차량의 하부에 진입하여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고, 차량 하부에서 광대역 무선 전파신호, 전자기신호 및 방사선 신호를 검색하여 폭발물로 의심되는 위험물을 탐지하는 차량하부 검사장치(100)와, 상기 차량하부 검사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신호 및 위험물 탐지신호를 수집 및 분석하는 주제어장치(300)와, 차량하부 검사장치(100)와 상기 주제어장치(20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봉(200)과, 상기 주제어장치(300)로부터 영상신호 및 위험물 탐지 상태신호를 화면을 통해 영상출력하거나 경보음을 출력하는 상태표시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하부 검사장치(100)는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기 위한 4개의 카메라(111~114)로 구성된 카메라부(110)와, 상기 카메라부(110) 구동시 차량하부에 차량의 바닥면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120)와, 차량 하부에서 광대역 무선 전파신호를 검출하도록 2개의 모듈로 구성된 RSSI검출부(131)와, 차량 하부에서 전자기장신호를 검출하도록 다수(6)개의 모듈로 구성된 EMF검출부(132)와, 차량 하부에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부(133)와, 상기 RSSI검출부(131), EMF검출부(132) 및 방사선검출부(133)를 제어하고, 검출된 각 신호를 수집하는 센서제어부(134)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하부 검사장치(100)는 저면에 구동바퀴(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어 정지상태의 차량 바닥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그 상부는 제1 내지 제4카메라(111~114)와, 조명부(120)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RSSI검출부(131), EMF검출부(132), 방사선검출부(133) 및 센서제어부(134)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카메라(111~114)는 P.O.E 스위칭허브 유닛(P-SW)을 활용하여 접속하며, P.O.E 스위칭허브 유닛과 DVR(320)은 이더넷(Ethernet) 접속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카메라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이스틱(310)과,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전송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영상으로 변환하고, 압축 저장 및 전송하는 DVR(320)과, 상기 조이스틱(310)으로부터의 각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DVR(3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의 차량하부 영상데이터와, 상기 RSSI검출부(131), EMF검출부(132) 및 방사선검출부(133)로부터의 각 검출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 및 분석을 통해 위험물 탐지여부를 판단하고, 위험물 탐지여부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콘트롤러(330)와, 상기 메인콘트롤러(330)로부터의 경보신호와 상기 DVR(32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RF송신안테나(TX ANT)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340)와, 상기 각 부(310~340) 및 상기 차량하부 검사장치(10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송부(340)는 사용주파수 5.8Ghz, 유효 송수신거리 20m 정도의 커버리지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350)는 DC16.8V, 2A 이상의 고전력 충전회로와, 30W급 고효율 스위칭 변환회로로 구성된 DC-DC컨버터와, 3.7V, 3,000mA 이상 급의 리튬이온 충전식 배터리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어장치(300)는 상기 손잡이부(301)에 내장된다.
상기 상태표시장치(300)는 상기 주제어장치(300)로부터 차량하부 영상데이터 및/또는 위험물 탐지상태 신호를 RF안테나(RX ANT)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수신부(410)와, 상기 무선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영상출력부(420)와, 상기 무선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경보신호를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30)와, 상기 각 부(410~4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수신부(410)은 상기 주제어장치(300)의 무선전송부(340)로부터의 RF신호를 송수신해야 하므로, 동일한 사용주파수(5.8Ghz) 및 유효 송수신거리(20m)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태표시장치(300)는 상기 손잡이부(301) 또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목에 착탈가능한 워치타입(watch type)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출력부(420)는 LCD 7인치, HD/SD급의 해상도를 갖도록 하며, 상기 무선수신부(410)로부터 HDMI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부(440)는 DC16.8V, 2A 이상의 고전력 충전회로와, 25W급 고효율 스위칭 변환회로로 구성된 DC-DC컨버터와, 3.7V, 3,000mA 이상급의 리튬이온 충전식 배터리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 2,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의 하부에 폭발물 등의 위험물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손잡이부(301)를 파지하고, 연결봉(200)에 연결된 상기 차량바닥 검사장치(100)를 정지된 차량의 바닥면에 진입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301)에 노출 고정된 조이스틱(310)을 조작하여 각 카메라(111~114)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조명부(120)를 점등시킨다.
사용자는 좀더 정밀한 검색을 위하여 상기 조이스틱(310)을 조작하여 각 카메라(111~114)의 촬영 각도를 조정하거나, 줌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피사체를 확대 촬영하게 된다.
상기 각 카메라(111~114)를 통한 영상촬영과 동시에 상기 센서제어부(134)를 통해 상기 RSSI검출부(131), EMF검출부(132) 및 방사선검출부(133)를 구동시킨다.
상기 RSSI검출부(131)는 상기 센서제어부(134)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내장된 광대역 안테나와 광대역 주파수변환기를 통해 광대역 무선 전파신호를 검출하되, RSSI센서 모듈 2섹터를 이용하여 근거리 내에서 송수신되는 무선전파신호(-60dBm 이상, 0.1~6Ghz)를 탐지하게 된다.
특히, 폭발물 원격제어에 주로 사용되는 비허가 ISM(Industry-Science-Medical) 밴드 및 상용 주파수 대역을 집중 탐지하므로, 무선 원격제어되는 폭발물을 탐지하게 된다.
상기 EMF검출부(132)는 상기 센서제어부(134)의 제어에 의하여, 고감도 EMF센서 모듈 4섹터를 구동시켜, 근거리 내에서 차량하부의 불필요한 전자회로 또는 폭발물로 의심되는 저주파신호, 직류전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계 변화를 검출하여, 폭발물 여부를 탐지하게 된다.
상기 방사선검출부(133)는 상기 센서제어부(134)의 제어에 의하여, 폭발물에서 방사되는 감마선(Gamma-Ray) 또는 엑스선(X-Ray)을 검출하되, 검출범위가 0.1 ~200(ㅅSv/h)인 가이거센서를 이용하여 폭발물을 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하부를 검색하는 차량하부 검사장치(100)의 카메라부(110)의각 카메라(111~114)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주제어장치(200)의 DVR(320)로 전송되어, 상기 메인콘트롤러(330)의 제어에 의하여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영상으로 변환 및 압축저장하게 되고, 상기 무선전송부(340)를 통해 상기 상태표시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상태표시장치(400)는 무선수신부(410)에서 상기 주제어장치(300)으로부터 전송된 차량하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출력부(420)를 통해 화면출력하게 된다.
사용자는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위험물의 존재여부를 즉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영상출력부(420)의 출력 영상을 확인하면서, 필요할 경우 조이스틱(310)을 이용하여 특정 영역의 화면을 확대하여 상세히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제어부(134)는 상기 주제어장치(300)의 전원공급부(35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각 RSSI검출부(131), EMF검출부(132) 및 방사선검출부(133)를 통해 측정값(RSSI, EMF, Gamma-ray, X-ray)을 수집하고, 수집된 각 측정값(RSSI, EMF, Gamma-ray, X-ray)을 상기 주제어장치(300)의 메인콘트롤러(330)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콘트롤러(330)는 입력된 각 측정값(RSSI, EMF, Gamma-ray, X-ray)을 분석하여 폭발물 등의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위험물 판단 및 측정값을 상기 무선전송부(340)을 통해 상기 상태표시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상태표시장치(400)는 상기 무선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위험물 판단 및 측정값을 상기 영상출력부(42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출력부(430)를 통해 경보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차량하부 검사장치 110 : 카메라부
111~114 : 제1 내지 제4카메라모듈 120 : 조명부
131 : RSSI검출부 1 32 : EMF검출부
133 : 방사선검출부 134 : 센서제어부
200 : 연결부 300 : 주제어장치
310 : 조이스틱 320 : DVR
330 : 메인콘트롤러 340 : 무선전송부
350 : 전원공급부 400 : 상태표시장치
410 : 무선수신부 420 : 영상출력부
430 : 음성출력부 440 : 전원공급부

Claims (10)

  1. 차량의 하부에 위험물을 탐지하기 위한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부;
    차량 하부에서 광대역 무선 전파신호를 검출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검출부;
    차량 하부에서 전자기장신호를 검출하는 EMF(Electro Magnetic Field)검출부;
    차량 하부에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검출부; 및
    상기 각 카메라부의 영상신호 및 각 부의 검출신호를 수집 및 검출신호를 분석 및 그 결과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각 카메라부의 조사방향 또는 줌기능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 RSSI검출부, EMF검출부 및 방사선검출부는 차량의 하부에 진입시키는 차량하부검사부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촬영각도를 갖는 적어도 4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각도 또는 줌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부가하여 카메라 구동시 차량의 바닥면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SSI 검출부는 근거리 내에서 송수신되는 무선전파신호(-60dBm 이상, 0.1~6Ghz)를 탐지하며,
    RSSI센서모듈, 광대역 안테나 및 광대역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SSI 검출부는 비허가 ISM(Industry-Science-Medical) 밴드 및 상용 주파수 대역을 집중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MF검출부는 근거리 내에서 저주파신호, 직류전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계 변화를 검출하는 EMF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검출부는 근거리에서 방사되는 감마선(Gamma-Ray) 또는 엑스선(X-Ray)을 검출하되, 검출범위가 0.1 ~200(μSv/h)인 가이거(Geiger)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이스틱;
    상기 카메라부에서 전송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영상으로 변환하고, 압축 저장 및 전송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상기 조이스틱으로부터의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고, 상기 DVR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차량하부 영상데이터, RSSI 검출부, EMF검출부 및 방사선검출부로부터의 각 검출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 및 분석을 통해 위험물 탐색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콘트롤러; 및
    상기 메인콘트롤러로부터의 경보신호와 상기 DVR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송부로부터의 영상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무선전송부로부터 수신된 경보신호를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KR1020160139397A 2016-10-25 2016-10-25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KR10172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397A KR101725906B1 (ko) 2016-10-25 2016-10-25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397A KR101725906B1 (ko) 2016-10-25 2016-10-25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906B1 true KR101725906B1 (ko) 2017-05-11

Family

ID=5874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397A KR101725906B1 (ko) 2016-10-25 2016-10-25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988B1 (ko) * 2017-07-12 2017-11-17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10062B1 (ko) * 2017-07-06 2018-10-19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촬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32B1 (ko) 2013-12-18 2014-03-11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450733B1 (ko) 2013-12-19 2014-10-16 인천국제공항공사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14224779A (ja) 2013-05-17 2014-12-04 清水建設株式会社 検査装置
KR101626469B1 (ko) 2015-05-07 2016-06-02 주식회사 디제이피 차량용 정보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4779A (ja) 2013-05-17 2014-12-04 清水建設株式会社 検査装置
KR101372832B1 (ko) 2013-12-18 2014-03-11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450733B1 (ko) 2013-12-19 2014-10-16 인천국제공항공사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626469B1 (ko) 2015-05-07 2016-06-02 주식회사 디제이피 차량용 정보제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062B1 (ko) * 2017-07-06 2018-10-19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촬영 시스템
KR101798988B1 (ko) * 2017-07-12 2017-11-17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0036C2 (ru) Адаптивная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JP5258752B2 (ja) 表面汚染物質の迅速かつ高感度な遠隔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
JP2021037950A (ja) 画像送信装置
US20160119592A1 (en) Imaging system employing fixed, modular mobile, and portable infrared cameras with ability to receive, communicate, and display data and images with proximity detection
CN105842683A (zh) 一种无人机综合防御系统及方法
EP3234656B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contraband items
KR101450733B1 (ko) 차량 하부 검색 장치 및 방법
US20160341847A1 (en) Ultra-Portable People Screening System
CN103793978A (zh) 使用车辆传感器确定车库门的状态
KR101725906B1 (ko) 휴대용 차량하부 위험물 탐색장치
CN106546849A (zh) 用于测试和测量工具中相机的电气隔离
KR20150134472A (ko) 재난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US20050243173A1 (en) Portable modular inspection-surveillance system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RU2427039C1 (ru)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тех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охраны
JP2014146141A (ja) 撮影システム
KR100883055B1 (ko) 휴대용 교통자료 수집장치의 검지능력 평가장치 및 그의처리방법
JP2011165107A (ja) 監視システム
JP3229711U (ja) 検温装置及び検温システム
US202300346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eature sizes in digital x-ray imaging
CN111257960A (zh) 一种自动跟踪扫描快速通道式太赫兹安检设备
JP2008269373A (ja) 可搬型マイクロ波監視装置
CN115100802A (zh) 一种双鉴围界探测系统及入侵报警方法
US20070008411A1 (en) Sensor-camera-ganged intrusion detecting apparatus
KR102290863B1 (ko)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