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209B1 - 오토 솔더장치 - Google Patents

오토 솔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09B1
KR101450209B1 KR1020130105826A KR20130105826A KR101450209B1 KR 101450209 B1 KR101450209 B1 KR 101450209B1 KR 1020130105826 A KR1020130105826 A KR 1020130105826A KR 20130105826 A KR20130105826 A KR 20130105826A KR 101450209 B1 KR101450209 B1 KR 10145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ame
solder block
sold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3010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01R4/024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comprising preapplied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솔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터미널을 공급하는 터미널공급유닛, 이 터미널공급유닛에 의해 설정 위치로 공급된 터미널의 개방된 상측으로 솔더블록을 공급하는 솔더블록공급유닛, 이 솔더블록을 담은 터미널에 열을 가해 솔더블록을 용융하는 가열기, 및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솔더블록이 용융된 터미널의 개방측으로 전선의 도체부를 삽입하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터미널과 솔더블록을 복합적으로 공급하여 전선의 도체부에 용융 접합시킴으로써 전선의 솔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토 솔더장치{AUTO-SOLDERING DEVICE}
본 발명은 오토 솔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과 솔더블록을 복합적으로 공급하여 전선의 도체부에 용융 접합시킴으로써 전선의 솔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토 솔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접속용 터미널은 피복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하여 이용하는 동관 단자로서, 전선끼리 또는 전선과 단자대를 전기적으로 접합할 때 사용되는 부품이다.
이러한 전선 접속용 터미널을 피복 전선에 접합하는 종래 기술로서, 마찰용접을 이용하여 피복 전선 단부에 터미널을 형성하는 기술이 있다.
즉, 피복을 제거한 스트립(STRIP) 상태의 전선 도체부를 금속재 파이프 내측에 삽입하고, 이를 압착하여 금속재 파이프와 전선 도체부를 상호 고착시킨 다음, 금속재 파이프의 말단에 고속 회전시킨 터미널 부재를 접촉시켜 발생된 마찰 열로 금속재 파이프와 터미널 부재의 접합부분을 연화하고, 접합부분의 열기가 식어 고체 상태로 회복됨에 의해 접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피복 전선과 터미널 부재 간의 마찰용접은 마찰에 의한 발열(發熱)을 이용하여 금속과 금속을 접합하게 되므로, 접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열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이고, 미려한 용접면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금속재 파이프는 피복 전선과 터미널 부재를 연결하고 그에 따라 피복 전선과 터미널 부재 간 기계적 성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304호(공개일 : 2013.01.02.)인 "전선 접속용 터미널의 접합방법"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알루미늄 전선과 터미널을 무연으로 솔더링하는 설비는 무연을 간접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미널과 솔더블록을 복합적으로 공급하여 전선의 도체부에 용융 접합시킴으로써 전선의 솔더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오토 솔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터미널을 공급하는 터미널공급유닛, 상기 터미널공급유닛에 의해 설정 위치로 공급된 상기 터미널의 개방된 상측으로 솔더블록을 공급하는 솔더블록공급유닛, 상기 솔더블록을 담은 상기 터미널에 열을 가해 상기 솔더블록을 용융하는 가열기, 및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솔더블록이 용융된 상기 터미널의 개방측으로 전선의 도체부를 삽입하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공급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을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부를 갖는 매거진, 및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터미널을 집어 설정 위치로 이송하는 터미널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거진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미널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평이동대, 상기 수평이동대를 따라 수평 이동되고 상하 이동되는 상하실린더부재, 및 상기 상하실린더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매거진에 안착된 상기 터미널을 하나씩 잡아 설정 위치로 로딩하는 터미널그리퍼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그리퍼는 상기 솔더블록을 담은 상기 터미널을 안착로딩부에 안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로딩부는, 상기 터미널을 안착 고정하는 안착대, 및 상기 안착대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작동시켜 상기 터미널을 상기 가열기로 근접시키는 상하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솔더블록공급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구비되고 저장된 상기 솔더블록이 바닥 중앙 부위로 모이도록 형성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바닥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솔더블록을 안착하기 위해 장착홈부를 갖는 승하강샤프트,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저장통에 구비되어 상승된 상기 승하강샤프트의 솔더블록을 미는 푸셔, 및 상기 저장통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푸셔에 의해 밀려진 상기 솔더블록을 대기 중인 상기 터미널의 개방측으로 투입 안내하는 투입안내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승하강샤프트의 안착홈부로부터 상기 솔더블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코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열기 또는 상기 터미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송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는 터미널과 솔더블록을 복합적으로 공급하여 전선의 도체부에 용융 접합시킴으로써 전선의 솔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터미널공급유닛 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터미널공급유닛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솔더블록공급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더블록공급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가열기와 승하강유닛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가열기와 승하강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에 의해 전선과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선과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선과 터미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터미널공급유닛 요부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터미널공급유닛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솔더블록공급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더블록공급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가열기와 승하강유닛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의 가열기와 승하강유닛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에 의해 전선과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전선과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전선과 터미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솔더장치(100)는 프레임(200), 터미널공급유닛(300), 솔더블록공급유닛(400), 가열기(500) 및 승하강유닛(600)을 포함한다.
프레임(200)은 오토 솔더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특히, 오토 솔더장치(100)는 전선(2)의 양측 각 단부에 노출되는 도체부(3)에 터미널(4)을 접속하는 설비이다.
더욱 상세히, 상측으로만 개방되는 밀폐형 터미널(4)은 로딩되어 위치 설정된 후 무연 재질의 솔더블록(6)을 내부에 삽입한 채 가열됨으로써, 솔더블록(6)은 터미널(4) 내부에서 용융된다.
이 후, 알루미늄 재질의 도체부(3)는 터미널(4)에 삽입되고 나서 건조됨에 따라, 터미널(4)은 전선(2)에 접속된다.
여기서, 오토 솔더장치(100)는 터미널공급유닛(300), 솔더블록공급유닛(400), 가열기(500) 및 승하강유닛(600)을 지지한다. 이때, 프레임(200)은 터미널공급유닛(300), 솔더블록공급유닛(400), 가열기(500) 및 승하강유닛(600)을 보호하기 위해 내측에 구비하거나 또는 개폐되는 커버(21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프레임(20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터미널공급유닛(300)은 터미널(4)을 로딩(loading)하여 솔더블록(6)을 자동 삽입할 수 있도록 설정 위치로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즉, 터미널공급유닛(300)은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터미널(4)을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한 상태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터미널공급유닛(300)은 매거진(310) 및 터미널이송부(320)를 포함한다.
매거진(310)은 터미널(4)을 안착하여 공급하는 틀이다. 이때, 매거진(310)은 터미널(4)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된 채 고정 장착되도록 안착홈부(312)를 형성한다. 물론, 매거진(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터미널이송부(320)는 매거진(310)으로부터 터미널(4)을 하나씩 순서대로 집어 설정 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터미널이송부(320)는 수평이동대(322), 상하실린더부재(324) 및 터미널그리퍼(326)를 포함한다.
수평이동대(322)는 프레임(200)에 지지된 채 바닥에 수평이 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실린더부재(324)는 수평이동대(322)를 따라 수평 이동되게 구비된다. 이때, 수평이동대(322)는 수평이동대(322)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LM 가이드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하실린더부재(324)는 수평이동대(32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즉, 상하실린더부재(324)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터미널그리퍼(326)는 상하실린더부재(324)에 구비된다. 그래서, 터미널그리퍼(326)는 상하실린더부재(324)와 함께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터미널그리퍼(326)는 매거진(310)에 안착된 터미널(4)을 하나씩 잡인 후 설정 위치로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그리퍼(326)는 상하실린더부재(324)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터미널그리퍼(32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에 의해 자동 제어되며 터미널(4)을 잡거나 놓게 된다.
물론, 터미널그리퍼(32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매거진(310)은 프레임(200)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상하실린더부재(324)의 이동량을 줄이고 매거진(310)을 상하실린더부재(324)와 별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오토 솔더장치(100)의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다.
예로서, 프레임(200)에는 작동실린더부재(330)가 구비된다. 작동실린더부재(330)는 프레임(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작동한다. 물론, 작동실린더부재(330)는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작동실린더부재(330)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작동실린더부재(330)에는 베이스플레이트(332)가 구비된다. 즉, 작동실린더부재(330)는 베이스플레이트(332)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플레이트(3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베이스플레이트(332)는 상하 개방되는 개방구(333)를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332)는 개방구(333)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이송레일(334)을 하측에 연결한다. 물론, 이송레일(334)은 다양한 방식으로 베이스플레이트(332)에 연결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송레일(334)에는 이송블록(336)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이송블록(336)은 이송레일(334)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송블록(336)은 개방구(333)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332)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물론, 개방구(333)는 이송블록(336)의 설정 이동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블록(336)은 매거진(310)을 장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매거진(310)은 다수 열로 터미널(4)을 배열 장착하고, 터미널그리퍼(326)가 한 열씩 이송 완료할 때마다, 터미널그리퍼(326)가 단순 하강하며 다음 열의 터미널(4)을 잡고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블록(336)은 다수 열의 간격만큼 전진하게 된다.
한편, 솔더블록공급유닛(400)은 터미널공급유닛(300)에 의해 설정 위치로 공급된 터미널(4)의 개방된 상측으로 솔더블록(6)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솔더블록(6)은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인 도체부(3)와 터미널(4)을 솔더링(soldering)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무연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솔더블록(6)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솔더블록공급유닛(400)은 저장통(410), 승하강샤프트(420), 푸셔(pusher,430) 및 투입안내레일(440)을 포함한다.
저장통(410)은 프레임(200)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저장통(410)은 솔더블록(6)을 저장하며 대기 중인 터미널(4)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특히, 저장통(410)은 저장된 솔더블록(6)이 바닥 중앙 부위로 모이도록 하부 방향으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저장통(4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승하강샤프트(420)는 저장통(410)의 바닥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승하강샤프트(420)는 프레임(200)에 지지된 채 저장통(410) 내부에서 승하강 작동될 수도 있고, 저장통(410)의 바닥면에 지지된 채 승하강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승하강샤프트(420)는 상승되면서 저장통(410)에 저장된 솔더블록(6)을 하나씩 상승 안내할 수 있도록 솔더블록(6)을 안착하기 위해 장착홈부(422)를 상측에 함몰 형성한다. 장착홈부(42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승하강샤프트(420)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푸셔(430)는 프레임(200) 또는 저장통(410)에 구비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샤프트(420)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구비된다. 그래서, 푸셔(430)는 전진되면서 승하강샤프트(420)에 올려져 있는 솔더블록(6)을 미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승하강샤프트(420)와 푸셔(430)는 정해진 작동 사이클에 맞춰 연동되어 작동할 수도 있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물론, 푸셔(43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푸셔(430)는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투입안내레일(440)은 저장통(410)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푸셔(430)에 의해 밀려진 솔더블록(6)을 대기 중인 터미널(4)의 개방측으로 투입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투입안내레일(440)은 대기 중인 터미널(4)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저장통(410)에 연결된다. 물론, 투입안내레일(44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통(410)에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푸셔(430)는 상승된 승하강샤프트(420)에 솔더블록(6)이 있음을 확인 후 전진되게 작동할 수도 있다.
그래서, 푸셔(430)는 승하강샤프트(420)의 안착홈부(312)로부터 솔더블록(6)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재(450)를 구비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재(450)는 솔더블록(6)을 감지 후 푸셔(430)의 전진 작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터미널그리퍼(326)는 솔더블록(6)을 담은 터미널(4)을 안착로딩부(340)에 안착한다.
여기서, 안착로딩부(340)는 안착대(342) 및 상하작동부재(344)를 포함한다.
안착대(342)는 프레임(200)에 지지되고, 터미널그리퍼(326)로부터 터미널(4)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작동부재(344)는 안착대(342)를 프레임(200)에 대해 승하강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안착대(342)에 안착된 터미널(4)을 가열기(500)로 근접시키거나 가열기(500)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하작동부재(344)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기(500)는 솔더블록(6)을 담은 터미널(4)에 열을 가해 솔더블록(6)을 용융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열기(500)는 터미널(4)에 담긴 솔더블록(6)을 용융시켜 액화 또는 겔(gel)화함으로써 솔더블록(6)을 통해 터미널(4)과 도체부(3)를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열기(500)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단시간에 솔더블록(6)을 용융시킬 수 있도록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유도코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레임(200)은 가열기(500) 또는 터미널(4)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1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열기(500)의 과열 상태 검출 또는 솔더블록(6)의 적당한 용융상태에 따른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온도센서(510)는 프레임(200)에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솔더블록(6)이 용융된 터미널(4)에는 전선(2)의 도체부(3)가 자동적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프레임(200)은 승하강유닛(600)을 구비한다.
즉, 승하강유닛(600)은 프레임(2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솔더블록(6)이 용융된 터미널(4)의 개방측으로 전선(2)의 도체부(3)를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승하강유닛(600)은 이동부재(610) 및 거치대(620)를 포함한다.
이동부재(610)는 프레임(200)에 상하 이송되게 구비된다. 특히, 이동부재(610)는 솔더블록(6)을 용융한 상태로 대기 중인 터미널(4)에 근접되도록 프레임(200)에 구비된다. 특히, 이동부재(610)는 상하 작동되는 실린더나 LM가이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거치대(620)는 이동부재(610)에 구비되어 전선(2)을 거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거치대(620)는 다양하게 형성되어 터미널(4)의 개방측으로 삽입되는 전선(2)을 고정하게 된다.
특히, 이동부재(610)가 하강 작동시에, 가열기(500)는 발열되거나 발열 정지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체부(3)가 터미널(4)에 삽입 후, 용융된 솔더블록(6)이 단시간에 경화될 수 있도록, 송풍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오토 솔더장치 200: 프레임
300: 터미널공급유닛 310: 매거진
320: 터미널이송부 330: 작동실린더부재
340: 안착로딩부 400: 솔더블록공급유닛
410: 저장통 420: 승하강샤프트
430: 푸셔 440: 투입안내레일
450: 감시센서부재 500: 가열기
600: 승하강유닛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터미널을 공급하는 터미널공급유닛;
    상기 터미널공급유닛에 의해 설정 위치로 공급된 상기 터미널의 개방된 상측으로 솔더블록을 공급하는 솔더블록공급유닛;
    상기 솔더블록을 담은 상기 터미널에 열을 가해 상기 솔더블록을 용융하는 가열기; 및
    상기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솔더블록이 용융된 상기 터미널의 개방측으로 전선의 도체부를 삽입하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공급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터미널 각각을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부를 갖는 매거진; 및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터미널을 집어 설정 위치로 이송하는 터미널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평이동대;
    상기 수평이동대를 따라 수평 이동되고, 상하 이동되는 상하실린더부재; 및
    상기 상하실린더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매거진에 안착된 상기 터미널을 하나씩 잡아 설정 위치로 로딩하는 터미널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그리퍼는 상기 솔더블록을 담은 상기 터미널을 안착로딩부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로딩부는,
    상기 터미널을 안착 고정하는 안착대; 및
    상기 안착대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작동시켜, 상기 터미널을 상기 가열기로 근접시키는 상하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블록공급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구비되고, 저장된 상기 솔더블록이 바닥 중앙 부위로 모이도록 형성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바닥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솔더블록을 안착하기 위해 장착홈부를 갖는 승하강샤프트;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저장통에 구비되어 상승된 상기 승하강샤프트의 솔더블록을 미는 푸셔; 및
    상기 저장통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푸셔에 의해 밀려진 상기 솔더블록을 대기 중인 상기 터미널의 개방측으로 투입 안내하는 투입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승하강샤프트의 안착홈부로부터 상기 솔더블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코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열기 또는 상기 터미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송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솔더장치.

KR1020130105826A 2013-09-04 2013-09-04 오토 솔더장치 KR10145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826A KR101450209B1 (ko) 2013-09-04 2013-09-04 오토 솔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826A KR101450209B1 (ko) 2013-09-04 2013-09-04 오토 솔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09B1 true KR101450209B1 (ko) 2014-10-13

Family

ID=5199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826A KR101450209B1 (ko) 2013-09-04 2013-09-04 오토 솔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2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999A1 (en) * 2015-03-10 2016-09-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nterface betwe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KR20170002656U (ko) * 2016-01-15 2017-07-25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차량용 창유리의 터미널 솔더링 장치
US11110540B2 (en) 2016-05-02 2021-09-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xtruder for metal material and 3D printer using the same
KR20210157227A (ko) * 2020-06-19 2021-12-28 리노정밀(주) 커넥터 지그 및 이러한 커넥터 지그의 도선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50A (ja) * 1993-06-15 1995-01-10 Daikin Ind Ltd 電線挿入装置
KR20030073814A (ko) * 2002-03-13 2003-09-19 평화정공 주식회사 부품 공급장치
KR20090048105A (ko) * 2007-11-09 2009-05-13 연합정밀주식회사 접점 납 충전기
KR20090097778A (ko) * 2008-03-12 2009-09-16 앤드류 엘엘씨 케이블 및 커넥터 조립체 장치 및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50A (ja) * 1993-06-15 1995-01-10 Daikin Ind Ltd 電線挿入装置
KR20030073814A (ko) * 2002-03-13 2003-09-19 평화정공 주식회사 부품 공급장치
KR20090048105A (ko) * 2007-11-09 2009-05-13 연합정밀주식회사 접점 납 충전기
KR20090097778A (ko) * 2008-03-12 2009-09-16 앤드류 엘엘씨 케이블 및 커넥터 조립체 장치 및 사용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999A1 (en) * 2015-03-10 2016-09-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nterface betwe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US10090626B2 (en) 2015-03-10 2018-10-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nterface betwe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KR20170002656U (ko) * 2016-01-15 2017-07-25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차량용 창유리의 터미널 솔더링 장치
KR200492786Y1 (ko) 2016-01-15 2020-12-0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차량용 창유리의 터미널 솔더링 장치
US11110540B2 (en) 2016-05-02 2021-09-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xtruder for metal material and 3D printer using the same
KR20210157227A (ko) * 2020-06-19 2021-12-28 리노정밀(주) 커넥터 지그 및 이러한 커넥터 지그의 도선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KR102378017B1 (ko) * 2020-06-19 2022-03-25 리노정밀(주) 커넥터 지그 및 이러한 커넥터 지그의 도선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209B1 (ko) 오토 솔더장치
CN106112166B (zh) 金属件与同轴电缆焊接的自动化系统及实现方法
KR101694471B1 (ko) 다품종 단자용 브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징 공법
CN109038158B (zh) 数据线全自动双头焊接机
KR101074623B1 (ko) 와이어 종단 기계를 위한 와이어 위치조정 장치
KR102128538B1 (ko)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CN110548949A (zh) 焊线装置及电路板焊线机
KR101058335B1 (ko) 자동차 램프용 열융착장치
CN108039308A (zh) 方形贴片保险丝斜线焊接机
CN208580770U (zh) 一种焊线装置
CN105798495A (zh) 电阻与导线的焊接装置及其方法
KR100996641B1 (ko) 배선용차단기나 전자접촉기 접촉자의 접점용접용 3차원 파레트 및 이 파레트를 이용한 접점용접장치
CN106216892A (zh) 电路板用电阻与铜管的自动焊接设备
CN205996345U (zh) 金属件与同轴电缆焊接的自动化系统
KR101491773B1 (ko) 단자 휴징장치
CN211305121U (zh) 焊线装置及电路板焊线机
WO2018167216A1 (en) Automatic solder paste feeding system
CN206912523U (zh) 一种多工位蓄电池接线桩的自动化焊接机
KR102408581B1 (ko) 수지 몰딩 장치 및 수지 몰딩 방법
KR101652240B1 (ko) 벌브형 led 램프의 led 발광봉 자동 용접 장치
CN105798480A (zh) 导线与铜管的焊接装置及其方法
CN207057830U (zh) 一种焊线机及其焊线控制系统
CN206536100U (zh) 一种自动化焊接机的焊丝供料装置
CN206912515U (zh) 一种自动化焊接机的工件供料装置
US3045715A (en) Apparatus for mounting wires on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