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60B1 - 전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60B1
KR101449960B1 KR1020120155887A KR20120155887A KR101449960B1 KR 101449960 B1 KR101449960 B1 KR 101449960B1 KR 1020120155887 A KR1020120155887 A KR 1020120155887A KR 20120155887 A KR20120155887 A KR 20120155887A KR 101449960 B1 KR101449960 B1 KR 10144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verter
casing
mo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177A (ko
Inventor
한만승
장학충
김장수
홍성렬
선한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to KR102012015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9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전동식 압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모터부 및 압축부가 구비된 압축기 케이싱과, 상기 모터부로부터 인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에 대응하게 위치된 인버터 회로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인버터 케이싱을 갖되, 상기 모터전원 입력단자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고, 상기 인버터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 상기 상기 접속단자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는 단자 접촉캡; 상기 단자 접촉캡의 상향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버터 케이싱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부의 모터전원 입력단자와 인버터 회로부의 접속단자간 전기적 접속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갖는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유가와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가 급격히 상용화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정차시 엔진이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이 되어 불필요한 엔진 공회전이 제거되어 연비 향상과 환경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엔진과 주행용 구동모터 외에 가장 출력이 큰 부품이 에어컨용 압축기이다.
기존의 기계식 에어컨 시스템을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시 여름철 고온의 조건에서 아이들링 스톱 구간에는 엔진을 오프하기 때문에 에어컨의 냉방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전동식 에어컨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동기로 동작되는 전동식 압축기가 요구된다.
현재 전동식 압축기는 풀(full) 전동식과 하이브리드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풀 전동식은 기존의 에어컨 벨트 없이 완전히 모터의 전동력에 의해서만 동작되는 타입으로서 배터리 전력 부담이 크고 모터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는 전기자동차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동식은 엔진주행 중에는 엔진 동력과 전동력을 병렬로 해서 압축기가 동작되고, 아이들링 스톱 구간에서는 1/2 정도의 냉력 부하를 전동력으로 담당하는 구조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에는 차량공조용 압축기 및 이 차량공조용 압축기를 구비한 공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공조장치(10)는 자동차의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E)이 구비된 엔진 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공조장치(10)는 스크롤형 전동식 압축기(1), 응축기로서의 콘덴서(2), 리시버(3), 팽창밸브(예: 감온 팽창변, Thermal Expansion Valve, TXV) 및 증발기를 구비한 냉각유닛(4), 및 배관 부재로서 토출배관(5), 고압호스(6), 흡입배관(7), 저압호스(8)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1)에 의해 단열압축되어 고압화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토출배관(5)을 통하여 콘덴서(2), 이어서 리시버(3)로 보내진다. 또한, 콘덴서(2) 및 리시버(3)에서 액화된 액냉매는 냉각유닛(4)의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팽창되어 교축증기냉매가 되고, 그 후 증발기에서 공조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여 공조공기를 냉각한다. 교축증기냉매 자체는 공조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등압 하에서 기화된 포화증기냉매가 되고, 흡입배관(7)을 통하여 전동식 압축기(1)로 보내지고, 이 전동식 압축기(1)에서 다시 압축되게 된다.
한편, 엔진(E)은 엔진 룸 내 교류발전기(미 도시)와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교류발전기로 발전된 전력은 엔진 룸 내 배터리(미 도시)에 충전되고, 인버터(1a)에 공급된 후, 인버터(1a)에 의해 전동식 압축기(1)용 모터의 작동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 및 송전된다.
인버터(1a)는 차량용 직류전원을 전동식 압축기(1)용 모터에 사용할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모터의 속도 및 구동효율 등을 제어하는 전자회로이다.
예컨대, 인버터(1a)는 압축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된 인버터 유닛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저전압 고전류 사용을 위해서, 비교적 발열도가 높은 스위칭소자와 비교적 발열도가 낮은 콘덴서 등을 인버터 유닛하우징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버터는 인버터 회로기판이 인버터 유닛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회로기판의 이상 유무를 확인 또는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인버터 유닛하우징과 인버터 회로기판을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인버터 유닛하우징은 저전압 고전류 통전 환경에 맞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일단 조립된 후 이상 유무 확인 등의 이유로 인버터 유닛하우징을 압축기 하우징으로부터 분해할 경우, 하드웨어 신뢰성을 확보하거나 보장할 수 없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9133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인버터 회로부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또는 모니터링 할 수 있음에 따라, 하드웨어 신뢰성을 확보 및 보장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부 및 압축부가 구비된 압축기 케이싱과, 상기 모터부로부터 인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에 대응하게 위치된 인버터 회로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인버터 케이싱을 갖는 전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전원 입력단자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고, 상기 인버터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 상기 상기 접속단자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는 단자 접촉캡; 상기 단자 접촉캡의 상향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버터 케이싱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인버터 회로부의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저면에 접촉하는 판형상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기저부의 두께를 관통한 상기 삽입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저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중공형 접촉부; 및 상기 중공형 접촉부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 회로부의 PCB는, 상기 중공형 접촉부가 삽입되는 장착구멍; 및 상기 장착구멍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접촉캡은, 절연 재질을 갖고 원형으로 형성된 캡몸체; 및 상기 캡몸체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퍼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마련된 체결구멍에 일치되도록,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다수의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체결볼트에 의해 취부 가능하게 상기 인버터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는,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전원 입력단자가 삽입된 상기 접속단자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는 일체형 단자 접촉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단자 접촉캡은,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을 갖고,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몰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원형으로 형성된 캡몸체; 상기 캡몸체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퍼구멍; 및 상기 테이퍼구멍에 끼워지는 절연 재질의 내부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모터전원 입력단자, 인버터 회로부, 접촉단자, 단자 접속캡, 인버터 케이싱에서 결합된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인버터 케이싱을 압축기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모니터링 플레이트만을 인버터 케이싱으로부터 취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인버터 회로부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또는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하드웨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끼움 방식의 단자 접촉캡을 제공하여, 모터전원 입력단자와 인버터 회로부의 접촉단자간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면서, 유사시, 모니터링 플레이트 및 단자 접촉캡을 제거한 후 모터부와 인버터 회로부간 통전 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저면에 마련된 일체형 단자 접촉캡을 제공함으로써,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인버터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모터전원 입력단자와 인버터 회로부의 접촉단자가 노출될 수 있게 하여, 모터부와 인버터 회로부간 통전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압축기를 갖는 공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촉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 인버터 회로부, 접촉단자 및 단자 접속캡간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 인버터 회로부, 접촉단자, 인버터 케이싱 및 모니터링 플레이트 일체형 단자 접속캡간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전동식 압축기의 모터는 고정자 및 회전자를 갖는 모터부와, 회전자의 회전샤프트에 연결되고 선회스크롤 및 고정스크롤을 갖는 압축부와,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공간과, 냉매과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압축기 케이싱에 구비하고, 인버터 회로부를 갖는 일반적인 전동식 압축기의 모터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회로부는 차량용 저전압 고전류를 모터부의 구동에 상응하게 변환 및 송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PWM 주파수 설정, 고속 스위칭용 브릿지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MCU(Motor Control Unit)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는 전동식 압축기(100)로서, 모터부 및 압축부가 구비된 압축기 케이싱(101)과, 모터부로부터 인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에 대응하게 위치된 인버터 회로부(103)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 케이싱(101)에 결합되는 인버터 케이싱(104)을 가질 수 있다.
압축기 케이싱(101)에서 인버터 케이싱(104)의 하부쪽이 모터부(도 2의 우측 부위)이고, 모터부의 왼쪽(도 2의 좌측 부위)이 압축부이다.
인버터 케이싱(104)에는 차량용 공조장치(미 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제어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각종 외부커넥터(105, 106)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커넥터(105, 106)은 인버터 회로부(1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버터 회로부(103)는 모터 제어 등의 인버터 회로 구성에 대응한 각종 회로소자(103a)를 PCB(103b)(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접속단자(110), 단자 접촉캡(120), 개구부(130), 모니터링 플레이트(140) 및 씰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10)는 인버터 회로부(103)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 케이싱(101) 내부의 모터부는 3상 Y결선 모터로서, 3개의 모터전원 입력단자(10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110)는 3개의 모터전원 입력단자(102)를 통해서 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 접촉캡(120)은 압축기 케이싱(101)으로부터 돌출된 3개의 모터전원 입력단자(10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단자(110)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됨에 따라, 접속단자(110)의 내표면과 모터전원 입력단자(102)가 기밀하게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단자 접촉캡(12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접속단자(110)와 모터전원 입력단자(102)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전동식 압축기 자체의 유지 보수, 인버터 회로부(103)의 교체, 혹은 모터부와 인버터 회로부(103)간 통전 상태 체크가 가능할 수 있다.
개구부(130)는 단자 접촉캡(120)의 상향 위치에 대응하는 인버터 케이싱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버터 케이싱(104)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직사각 구멍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30)는 액세스 홀(access hole)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인버터 케이싱(104)의 내부에 위치한 인버터 회로부(103)의 단자 영역을 확인케 하거나, 기타 테스트 장치(미 도시)를 인버터 회로부(103)의 테스트 단자(107)에 접속시킬 수 있게 한다.
모니터링 플레이트(140)는 개구부(130)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촉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속단자(110)는 구리 등과 같이 통전 가능한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서, 접속단자(110)의 몸체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한 후, 몸체 외피를 구리로 코팅하여 만들경우,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접속단자(110)는 도 3에 도시된 인버터 회로부(103)의 PCB(103b)의 저면에 접촉하는 판형상의 기저부(111)와, 기저부(111)의 양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10)는 지지돌기(112, 113)의 사이에 위치하고, 기저부(111)의 두께를 관통한 삽입구멍(114)에 대응하여 기저부(111)의 상면에서 돌출된 중공형 접촉부(115)와, 중공형 접촉부(115)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절편(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10)는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절편(116)이 허용 범위 내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끼움 방식의 결합에 대응하게 변형 또는 복원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 인버터 회로부, 접촉단자 및 단자 접속캡간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의 하단부는 압축기 케이싱(101)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부(미 도시)로부터 인출된 전선과 접속되어 있다.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의 중간부는 압축기 케이싱(101)의 벽의 인출공에서 접착데 또는 실란트 등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의 상단부는 인버터 회로부(103)가 위치할 회로 설치 공간쪽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인버터 회로부(103)의 PCB(103b)는 접속단자(110)의 중공형 접촉부(115)가 삽입되는 장착구멍(103c), 및 장착구멍(103c)의 사이에 위치하고, 접속단자(110)의 지지돌기(112, 113)가 삽입되는 지지구멍(103d, 103e)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10)의 지지돌기(112, 113) 또는 중공형 접촉부(115)의 외표면은 남땜부(103f, 103g)를 통해 PCB(103b)의 전도선에 해당하는 동박에 연결되어 통전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형 접촉부(115)가 장착구멍(103c)과 지지구멍(103d, 103e)에 끼워지고, 기저부(111)가 PCB(103b)의 저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남땜부(103f, 103g)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접속단자(110)는 인버터 회로부(103)의 PCB(103b)에서 매우 견고하게 실장될 수 있어서, 외력에 대항하여 견고한 실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하드웨어적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단자 접촉캡(120)은 절연 재질을 갖고 원형으로 형성된 캡몸체(121)와, 캡몸체(121)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퍼구멍(12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케이싱(101)의 벽에 결합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는 인버터 회로부(103)가 회로 설치 공간에 안착될 때, 접속단자(110)의 삽입구멍(1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와 접속단자(110)의 삽입 상태에서, 테이퍼구멍(122)이 경사진 내주면을 갖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결합될 경우, 접속단자(110)의 절편(116)이 테이퍼구멍(122)의 경사진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 쪽으로 밀착됨으로써, 그 결과 접속단자(110)의 내표면과 모터전원 입력단자(102)가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테이퍼구멍(122)의 경사진 내주면은 마찰력에 의해 접속단자(110)의 외표면에 고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플레이트(140)는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의 테두리에 마련된 체결구멍(131)에 일치되도록, 모니터링 플레이트(140)의 코너 또는 테두리에 다수의 결합구멍(14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플레이트(140)는 체결볼트에 의해 취부 가능하게 상기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유사시 인버터 케이싱(103)을 압축기 케이싱(101)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 없이, 모니터링 플레이트(140)를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로부터 분리시킨 후, 육안으로 단자 접촉캡(120)과 접속단자(110)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단자 접촉캡(120)을 접속단자(1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육안 또는 일반적인 테스터 장치(미 도시)를 사용하여,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와 인버터 회로부(103)의 접속단자(110)간 통전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만일, 인버터 케이싱(103)이 압축기 케이싱(101)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인버터 케이싱(103)과 압축기 케이싱(101) 사이의 씰링(150)이 노출되어서, 재결합시 기밀 성능이 떨어지거나, 씰링(150)을 교체하여야 하는 비용 및 시간적 불이익이 발생될 수 있고, 전동식 압축기 최초 제작 당시 확보된 하드웨어적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전동식 압축기는 모니터필 플레이트의 저면에 일체형 단자 접촉캡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8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 인버터 회로부, 접촉단자, 인버터 케이싱 및 모니터링 플레이트 일체형 단자 접속캡간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100a)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압축기 케이싱(101), 모터전원 입력단자(102), 씰링(150), 인버터 회로부(103), 접속단자(110), 인버터 케이싱(104), 개구부(130)과 함께, 하나 이상의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을 갖는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는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가 삽입된 접속단자(110)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의 위치는 아래쪽의 접속단자(1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연장된 조립 방향과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가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에 볼트로 조립되는 것만으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이 접속단자(110)를 감싸듯이 끼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터전원 입력단자(102)와 접속단자(110)의 통전 상태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어서, 본 실시예의 전동식 압축기(100a)의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를 인버터 케이싱(10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이 접속단자(110)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통전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와 같은 단자 접촉캡을 별도로 분리시키지 않아도 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 인버터 회로부, 접촉단자, 인버터 케이싱 및 모니터링 플레이트 일체형 단자 접속캡간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은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와 동일 재질을 갖고,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의 몰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원형으로 형성된 캡몸체(121)와, 캡몸체(121)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퍼구멍(122)과, 테이퍼구멍(122)에 끼워지는 절연 재질의 내부 캡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전원 입력단자(102)는 압축기 케이싱(101)의 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부(103)의 PCB(103b)는 앞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110)의 중공형 접촉부(115)와 지지돌기(112, 113)가 각각 해당 장착구멍(103c)과 지지구멍(103d, 103e)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인버터 회로부(103)는 조립자에 의해 회로 설치 공간쪽으로 위치되고, 결과적으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가 접속단자(110)의 삽입구멍(114)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을 갖는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는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과 아래쪽의 접속단자(110)의 조립 방향이 일치되어 있으므로,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와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간 조립에 대응하여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과 접속단자(110)간 조립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과 접속단자(110)간 조립이란, 끼움 방식에 의해 접속단자(110)의 절편(116)이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의 내부 캡부(123)의 경사진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모터전원 입력단자(102) 쪽으로 밀착되어 전기적 통전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와 인버터 케이싱(104)의 개구부(130)간 분리에 대응하여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과 접속단자(110)간 분리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의 수직 높이는 인버터 회로부(103)의 안착 기준 위치에 대응하게 적절한 높이를 갖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 만을 인버터 케이싱(104)에 대하여 취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인버터 회로부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또는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하드웨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플레이트(140a)의 분리 또는 결합만으로, 일체형 단자 접촉캡(120a)과 접속단자(110)간 분리 또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100a : 모터 101 : 압축기 케이싱
102 : 모터전원 입력단자 103 : 인버터 회로부
104 : 인버터 케이싱 110 : 접속단자
120 : 단자 접촉캡 120a : 일체형 단자 접촉캡
130 : 개구부 140, 140a : 모니터링 플레이트
150 : 씰링

Claims (7)

  1. 모터부 및 압축부가 구비된 압축기 케이싱과, 상기 모터부로부터 인출된 모터전원 입력단자에 대응하게 위치된 인버터 회로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인버터 케이싱을 갖는 전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전원 입력단자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고, 상기 인버터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절연 재질을 갖고 원형으로 형성된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퍼구멍을 포함하는 단자 접촉캡;
    상기 단자 접촉캡의 상향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버터 케이싱에 마련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인버터 회로부의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저면에 접촉하는 판형상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기저부의 두께를 관통한 상기 삽입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저부의 상면에서 돌출된 중공형 접촉부; 및
    상기 중공형 접촉부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절편을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부의 PCB는,
    상기 중공형 접촉부가 삽입되는 장착구멍; 및
    상기 장착구멍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구멍을 갖는 전동식 압축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마련된 체결구멍에 일치되도록,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다수의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체결볼트에 의해 취부 가능하게 상기 인버터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전동식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는,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전원 입력단자가 삽입된 상기 접속단자의 외부에 끼움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는 일체형 단자 접촉캡을 더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단자 접촉캡은,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을 갖고, 상기 모니터링 플레이트의 몰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원형으로 형성된 캡몸체;
    상기 캡몸체의 저면에 마련된 테이퍼구멍; 및
    상기 테이퍼구멍에 끼워지는 절연 재질의 내부 캡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KR1020120155887A 2012-12-28 2012-12-28 전동식 압축기 KR10144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887A KR101449960B1 (ko) 2012-12-28 2012-12-28 전동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887A KR101449960B1 (ko) 2012-12-28 2012-12-28 전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77A KR20140087177A (ko) 2014-07-09
KR101449960B1 true KR101449960B1 (ko) 2014-10-16

Family

ID=5173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887A KR101449960B1 (ko) 2012-12-28 2012-12-28 전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9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265A (ja) * 2001-11-26 2003-06-06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
JP2003214340A (ja) * 2002-01-21 2003-07-30 Denso Corp 電動圧縮機とインバータの接続構造
KR101142086B1 (ko) * 2010-04-20 2012-05-03 김진수 완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265A (ja) * 2001-11-26 2003-06-06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
JP2003214340A (ja) * 2002-01-21 2003-07-30 Denso Corp 電動圧縮機とインバータの接続構造
KR101142086B1 (ko) * 2010-04-20 2012-05-03 김진수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77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8862B2 (ja) 電動圧縮機
JP5517652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10253763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7997877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standardized power strip
US7955141B2 (en) Inverter connection terminal with cables attached to parts of the terminal projecting from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plate
US951859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including a protecting cover
US20170276136A1 (en) Fluid machine
JP2006316754A5 (ko)
JP4690769B2 (ja) 車両用電動圧縮機
WO2006129448A1 (ja) 電動圧縮機
US9948165B2 (en) Inverter-integrated electric compressor
US20150349613A1 (en) Inverter-integrated electric compressor
CN109072894B (zh) 逆变器一体型电动压缩机
CN109690079A (zh) 逆变器一体型电动压缩机及其制造方法
EP1867874B1 (en) Electric motor-driven compressor
KR101449960B1 (ko) 전동식 압축기
US20100247348A1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compressor
US20230170833A1 (en) Inverter unit
JP2010121449A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KR20170113143A (ko) 전동 압축기
JP2008163767A (ja) 電動圧縮機
US1188835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KR20120090308A (ko) 전동 압축기용 커넥터
CN113027764A (zh) 电动压缩机及电动压缩机的制造方法
JP4830848B2 (ja) 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