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859B1 -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 Google Patents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859B1
KR101449859B1 KR1020130073553A KR20130073553A KR101449859B1 KR 101449859 B1 KR101449859 B1 KR 101449859B1 KR 1020130073553 A KR1020130073553 A KR 1020130073553A KR 20130073553 A KR20130073553 A KR 20130073553A KR 101449859 B1 KR101449859 B1 KR 10144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locker
electromagnet
mover
ped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3007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G05G1/327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means disconnecting the pedal from its hinge or support, e.g. by breaking or bending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에는 페달이 밀려드는 자동차 충돌 감지시 공급된 전류로 S극이 형성되는 락커 전자석(51)을 갖춘 락커(50,Locker)가 페달 하우징(10)에 구비되고, 공급된 전류로 N극이 형성되는 무버 전자석(44)을 갖춘 무버(40,Mover)가 페달 암(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락커(50,Locker)의 S극과 무버(40,Mover)의 N극에 의한 인력으로 페달 암(20)이 페달 하우징(10)으로 이동됨으로써 운전자와 페달 암(20)의 충분히 넓혀진 이격 거리로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방지하고, 특히 충돌형태와 페달 장착구조와 같은 다양한 변수로 인해 예측되기 어려운 실내구조 변형 조건과 관계없이 페달 암(20)이 독자적인 움직임으로 구현됨으로써 모든 차종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collision sensitive electromagnet type safety pedal uni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페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달이 밀려드는 자동차 정면 충돌시 전자석을 이용해 페달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페달 암의 독자적인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써 차체 구조의 변형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운전자의 하지 상해가 방지될 수 있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방 충돌시 그 충격에 의해 범퍼와 엔진 등의 부품들이 엔진룸의 후방으로 밀려들면서 엔진룸과 구분된 실내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실내 탑승한 운전자가 충돌에 의한 부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통상, 운전자는 페달조작을 위해 운전자의 하지부위와 페달간의 거리를 좁게 유지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 구조 변형이 일어나 페달이 운전자 쪽으로 밀려들어 오면, 운전자는 밀려들어 오는 페달로 인해 하지부위에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매우 높게 된다.
그러므로, 페달에서는 그 작동 성능의 편리함 및 신뢰성 확보와 더불어 충돌에 따른 페달 밀림 시 운전자의 하지부위 상해를 입히지 않는 하지 상해 방지 기능의 확보가 함께 요구될 수밖에 없다.
국내특허공개10-2004-0074784(공개일자 2004년08월26일)
상기 특허문헌은 센서부재로 운전자의 발이 일정 거리에 있는지를 감지하고, 차량의 정면충돌 상황에서 페달을 뒤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운전자의 발 특히, 발목의 상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나타낸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은 지지 브라켓에 설치된 상부 페달암과, 상부 페달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페달암으로 구분됨으로써 페달암에 대한 설계변경을 요구하고, 이에 따른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의 추가적인 변경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통상,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는 충돌대상, 충돌부위, 충돌속도과 같은 다양한 변수가 존재함으로써 엔진룸의 밀림에 의한 실내 구조의 변형이 정형화된 타입으로 한정될 수 없다.
이로 인해, 페달에 적용되는 하지 상해 방지 수단은 충돌시 밀려드는 페달과 함께 변형되는 차체 구조의 변형정도가 설계시 예측됨과 달라지더라도 운전자의 하지 상해 방지 기능이 완전하게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페달의 하지 상해 방지 기능은 충돌 후에 브레이크 페달 암이 꺽인다던지, 조립 이탈된다든지, 밀림방지구조로 지지된다든지 하는 차체 구조와 연계된 작동 구조에서는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페달이 밀려드는 자동차 충돌 감지시 전자석을 이용해 페달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페달 암의 독자적인 움직임으로 운전자와 페달이 갖는 이격 거리가 넓혀짐으로써 운전자의 하지 상해가 방지되고, 특히 전자석을 이용한 페달 암의 독자적인 움직임이 페달 하우징내에서 일어남으로서 충돌형태와 페달 장착구조와 같은 다양한 변수로 인해 예측되기 어려운 실내구조 변형 조건에 관계없이 운전자의 하지 상해가 방지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은 충돌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
페달 하우징을 관통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페달 암을 감싸며, 상기 제어기에서 전류가 공급될 때 N극과 S극중 하나의 극성이 형성되는 무버(Mover);
상기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 하우징을 향하는 상기 페달 암의 이동이 상기 무버(Mover)를 잡아당기는 인력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제어기에서 전류가 공급될 때 상기 무버(Mover)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띠는 락커(Locker);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버(Mover)와 상기 락커(Locker)가 상기 인력에 의한 전자력으로 밀착되면, 상기 무버에 형성된 고정홀로 상기 락커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기구적 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버는 상기 페달 암의 한쪽 측면위치에서 상기 페달 암의 페달암 축에 결합된 제1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페달 암의 반대쪽 측면위치에서 상기 페달 암의 페달암 축에 결합된 제2가이드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브래킷이나 상기 제2가이드 브래킷에는 공급된 전류로 N극과 S극중 하나의 극성이 형성되는 무버 전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무버 전자석에는 상기 락커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 브래킷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연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이 상기 제2가이드 브래킷과 연결된다.
상기 락커(Locker)는 공급된 전류로 N극과 S극중 하나의 극성이 형성되는 락커 전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락커 전자석에는 상기 무버의 고정홀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락커 전자석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무버(Mover)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원선과, 상기 락커(Locker)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원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에서는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전원선을 통한 전류가 동시에 공급된다.
상기 제어기에 의한 전류공급이 없으면, 자력에 반응하는 이물질이나 전자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무버(Mover)와 상기 락커(Locker)는 자성을 띠지 않고, 상기 페달 암은 상기 무버(Mover)의 페달 암 위치 A와 상기 락커(Locker)의 페달 하우징 위치 B에서 자력의 영향 없이 풀 스트로크(Full Stroke)로 움직인다.
이러한 본 발명은 페달이 밀려드는 자동차 충돌 감지시 전자석을 이용한 페달 암의 독자적인 움직임으로 운전자에 대한 이격 거리가 넓어짐으로써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충분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 대한 이격거리 확장을 위한 페달 암의 독자적인 움직임이 충돌형태와 페달 장착구조와 같은 다양한 변수로 인해 예측되기 어려운 실내구조 변형 조건에 의존되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방지해주는 페달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석에 의한 페달 암과 페달 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이용해 운전자의 하지 상해를 방지함으로써 페달 암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함과 같은 설계변경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 대한 이격거리 확장을 위한 페달 암의 독자적인 움직임이 실내구조와 연계되지 않음으로써 페달 모듈화가 용이하고, 특히 운전자의 하지 상해 방지 기능이 없거나 약한 페달의 교체시에도 차량의 구조변경을 요구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페달 암을 움직여주는 전자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의 조립상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의 작동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의 작동 후 페달의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의 분해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페달유닛은 페달 하우징(10)과 힌지축(60)을 매개로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60)이 회전 중심이 되어 눌려지는 페달 암(20)과, 자동차 전방 충돌 감지시 페달 암(20)을 페달 하우징(10)에 접근시켜 고정함으로써 운전자의 하지부위와 페달 암(20)이 형성한 이격 거리를 증대시켜주는 충돌 감응 동작부가 포함된다.
상기 안전페달유닛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이며, 가속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달 하우징(10)은 차체 구조를 이루는 대시패널에 체결되고, 홀을 형성해 힌지축(60)이 관통된다. 상기 페달 암(20)에는 관통된 힌지축(60)을 감싸는 중공 파이프 타입 페달암 축(23)이 형성되고, 운전자가 발로 밟고 눌러주는 발판(25)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60)은 너트나 고정 클립이나 와셔등과 함께 구성되며, 너트나 고정 클립이나 와셔는 페달 하우징(10)의 홀을 관통해 페달 하우징(10)에서 빠져나온 힌지축(60)과 결합됨으로써 힌지축(60)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상기 충돌 감응 동작부는 페달 암(20)을 페달 하우징(10)에 접근시켜 고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인력과 분리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척력을 형성하는 전자석(30)과, 자동차 전방 충돌 감지시 자력이 형성되도록 전자석(30)을 활성화시켜주는 제어기(70)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30)은 페달 암(20)의 회전중심인 페달암 축(23)과 결합되고 공급된 전원으로 N극이나 S극이 형성되는 무버(40,Mover)와, 페달 하우징(10)과 결합되고 공급된 전원으로 무버(40,Mover)의 극성과 반대극성을 형성해 전자석간의 인력으로 무버(40)를 끌어당겨 고정해주는 락커(50,Locker)로 구성된다.
상기 무버(40)는 페달 암(20)의 페달암 축(23)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제1가이드 브래킷(41)과 제2가이드 브래킷(45)으로 구성되고, 제1가이드 브래킷(41)이 페달 암(20)의 좌측 측면으로 위치되면 제2가이드 브래킷(45)은 우측 측면으로 위치됨으로써 페달 암(20)을 중앙으로 위치시킨 형태로 결합된다.
특히, 제1가이드 브래킷(41)의 끝부위와 제2가이드 브래킷(45)의 끝부위에는 전원공급시 극성을 띠는 전자석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전자석은 제1가이드 브래킷(41)의 끝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커(50,Locker)는 페달 하우징(10)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기(70)에는 무버(4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제1전원선(71)과, 락커(50,Locker)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제2전원선(73)이 구비되며, 상기 제1전원선(71)과 상기 제2전원선(73)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통상, 상기 제어기(7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ECU(Engine Control Unit)나 ACU(Ariback Control Unit)으로부터 발생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2는 전자석(30)을 구성하는 무버(40)와 락커(50)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나타낸다.
도 2(가)와 같이, 무버(40)는 제1가이드 브래킷(41)과 제2가이드 브래킷(45)으로 구성되고, 제1가이드 브래킷(41)과 제2가이드 브래킷(45)이 페달 암(20)을 감싼 상태가 되도록 페달 암(20)을 중간에 두고 조립된다.
상기 제1가이드 브래킷(41)의 한쪽 끝부위에는 제1힌지홀(43)이 구비됨으로써 페달 암(20)의 페달암 축(23)이 관통되고, 반대쪽 끝부위에는 고정홀(44a)을 뚫은 무버 전자석(44)이 구비된다.
상기 무버 전자석(44)에는 제어기(70)에서 나온 제1전원선(71)이 연결됨으로써 제어기(70)를 통한 전류공급이 이루어지며, 공급된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N극이나 S극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 전자석(44)의 극성은 락커 전자석(51)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락커 전자석(51)의 극성이 S극일 때 무버 전자석(44)의 극성은 N극으로 형성됨으로써 무버 전자석(44)과 락커 전자석(51)은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을 형성한다. 하지만, 무버 전자석(44)의 N극과 락커 전자석(51)의 S극은 필요에 따라 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브래킷(45)의 한쪽 끝부위에는 제2힌지홀(46)이 구비됨으로써 페달 암(20)의 페달암 축(23)이 관통되고, 반대쪽 끝부위에는 중첩판(47)이 구비됨으로써 제1가이드 브래킷(41)의 무버 전자석(44)에 중첩된다. 여기서, 중첩판(47)에는 제어기(70)를 통한 전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브래킷(41)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연결판(42)이 구비됨으로써 페달 암(20)을 중간에 두고 상기 제2가이드 브래킷(45)과 연결된다. 통상, 상기 연결판(42)은 제2가이드 브래킷(45)에 용접되거나 또는 홈을 이용한 끼움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커(50)는 페달 하우징(10)에 결합된 락커 전자석(51)과, 락커 전자석(51)에서 돌출된 고정돌기(53)로 구성된다.
상기 락커 전자석(51)에는 제어기(70)에서 나온 제2전원선(73)이 연결됨으로써 제어기(70)를 통한 전류공급이 이루어지며, 공급된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N극이나 S극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락커 전자석(51)의 극성은 무버 전자석(44)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무버 전자석(44)의 극성이 N극일 때 락커 전자석(51)의 극성은 S극으로 형성됨으로써 무버 전자석(44)과 락커 전자석(51)은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을 형성한다. 하지만, 무버 전자석(44)의 N극과 락커 전자석(51)의 S극은 필요에 따라 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락커 전자석(51)과 상기 무버 전자석(44)은 상기 제어기(70)를 통해 전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버(40)의 무버 전자석(44)에 형성된 고정홀(44a)과 락커(50)의 락커 전자석(51)에 형성된 고정돌기(53)는 서로 일치되는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자석의 활성화로 형성된 인력으로 무버 전자석(44)이 락커 전자석(51)으로 이동되면, 무버(40)의 고정홀(44a)이 락커(50)의 고정돌기(53)에 끼워짐으로써 무버(40)와 락커(50)는 인력에 의한 전자력과 함께 기구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실시예 따른 안전 페달 유닛의 조립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암(20)은 페달 하우징(10)의 안쪽 공간으로 수용되고, 페달 하우징(10)을 관통한 힌지축(60)이 페달 암(20)의 페달암 축(23)을 관통함으로써 페달 암(20)은 힌지축(60)이 회전 중심이 된 움직임을 발생할 수 있다.
전자석(30)을 구성하는 무버(40)는 제1가이드 브래킷(41)과 제2가이드 브래킷(45)이 페달 암(20)을 감싼 상태에서 페달 암(20)의 페달암 축(23)과 결합됨으로써 페달암 축(23)을 회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이 구현된다. 또한, 전자석(30)을 구성하는 락커(50)는 페달 하우징(10)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무버(40)는 페달 암(10)에 결합된 페달 암 위치 A를 형성하는 반면 락커(50)는 페달 하우징(10)에 결합된 페달 하우징 위치 B를 형성함으로써, 페달 암(10)은 무버(40)와 락커(50)의 영향이 없이 고유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버(40)의 무버 전자석(44)은 제1전원선(71)을 매개로 제어기(70)와 연결되고, 상기 락커(50)의 락커 전자석(51)은 제2전원선(73)을 매개로 제어기(70)와 연결됨으로써 무버(40)와 락커(50) 및 제어기(70)에는 전기회로가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전기회로를 흐르는 전류는 제어기(70)의 작동 조건이 충족될 때로 제한된다.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4(가)와 같이, 무버(40)는 페달 암(10)에 결합된 페달 암 위치 A를 유지하고, 락커(50)는 페달 하우징(10)에 결합된 페달 하우징 위치 B를 유지함으로써, 페달 암(10)은 무버(40)와 락커(50)의 영향 없이 고유의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 전방 충돌 감지되고, 감지된 충돌 정보로부터 페달의 밀림에 의한 운전자의 하지 부상이 예견될 경우 제어기(70)에는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제어기(7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ECU(Engine Control Unit)나 ACU(Ariback Control Unit)으로부터 발생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어기(70)가 온(On)상태로 전환되면, 무버(40)는 제1전원선(71)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고 동시에 락커(50)는 제2전원선(73)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 상태로 전환되고, 무버(40)의 무버 전자석(44)과 락커(50)의 락커 전자석(51)은 전류 공급에 의해 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무버 전자석(44)은 N극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락커 전자석(51)은 S극을 형성됨으로써 전자석에 의한 인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인력은 페달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이동될 수 없는 락커(50)와 달리 회전 가능한 무버(40)에 작용함으로써 락커(50)는 무버(40)를 잡아당겨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버(40)가 이동하게 되면, 무버(40)를 이루는 제1가이드 브래킷(41)과 제2가이드 브래킷(45)이 페달 암(20)의 페달암 축(2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됨으로써 페달 암(20)이 눌려지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페달 암(20)은 무버(40)와 함께 페달 하우징(10)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나)와 같이 전자력에 의해 무버(40)와 락커(50)가 밀착되면, 무버(40)와 락커(50)의 고정력은 무버(40)의 무버 전자석(44)과 락커(50)의 락커 전자석(51)이 형성한 인력에 의한 전자력과, 락커(50)의 고정돌기(53)가 무버(40)의 고정홀(44a)에 끼워짐으로써 기구 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페달 암(20)은 페달 하우징(10)과 보다 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충돌 감응 전자석의 작동 후 페달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30)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버(40)와 락커(50)가 고정됨으로써 무버(40)와 함께 이동된 페달 암(20)도 락커(50)가 위치된 페달 하우징(10)에 근접된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로서, 페달 암(20)과 운전자의 이격 거리는 작동전 이격거리(La)에서 작동후 이격거리(Lb)로 변환됨으로써 페달 암(20)의 밀림이 운전자의 하지에 상해를 입힐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페달 암(20)의 움직임은 전자석(30)을 구성하는 무버(40)와 락커(50)에 의해 독자적으로 발생됨으로써 충돌형태와 페달 장착구조와 같은 다양한 변수로 인해 예측되기 어려운 실내구조 변형 상태와 관계없이 운전자의 하지 상해가 방지될 수 있다.
10 : 페달 하우징 20 : 페달 암
23 : 페달암 축 25 : 발판
30 : 전자석 40 : 무버(Mover)
41 : 제1가이드 브래킷 42 : 연결판
43 : 제1힌지홀 44 : 무버 전자석
44a : 고정홀 45 : 제2가이드 브래킷
46 : 제2힌지홀 47 : 중첩판
50 : 락커(Locker) 51 : 락커 전자석
53 : 고정돌기 60 : 힌지축
70 : 제어기 71 : 제1전원선
73 : 제2전원선

Claims (9)

  1. 충돌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
    페달 하우징을 관통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페달 암을 감싸며, 상기 제어기에서 전류가 공급될 때 N극과 S극중 하나의 극성이 형성되는 무버(Mover);
    상기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페달 하우징을 향하는 상기 페달 암의 이동이 상기 무버(Mover)를 잡아당기는 인력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제어기에서 전류가 공급될 때 상기 무버(Mover)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띠는 락커(Locker);가 포함되고,
    상기 락커(Locker)는 공급된 전류로 N극과 S극중 하나의 극성이 형성되는 락커 전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락커 전자석에는 상기 무버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버(Mover)와 상기 락커(Locker)가 상기 인력에 의한 전자력으로 밀착되면, 상기 무버에 형성된 고정홀로 상기 락커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기구적 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무버는 상기 페달 암의 한쪽 측면위치에서 상기 페달 암의 페달암 축에 결합된 제1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페달 암의 반대쪽 측면위치에서 상기 페달 암의 페달암 축에 결합된 제2가이드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브래킷이나 상기 제2가이드 브래킷에는 공급된 전류로 N극과 S극중 하나의 극성이 형성되는 무버 전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무버 전자석에는 상기 락커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브래킷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연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이 상기 제2가이드 브래킷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락커 전자석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무버(Mover)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원선과, 상기 락커(Locker)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원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서는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전원선을 통한 전류가 동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한 전류공급이 없으면, 자력에 반응하는 이물질이나 전자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무버(Mover)와 상기 락커(Locker)는 자성을 띠지 않고, 상기 페달 암은 상기 무버(Mover)의 페달 암 위치 A와 상기 락커(Locker)의 페달 하우징 위치 B에서 자력의 영향 없이 풀 스트로크(Full Stroke)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KR1020130073553A 2013-06-26 2013-06-26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KR10144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553A KR101449859B1 (ko) 2013-06-26 2013-06-26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553A KR101449859B1 (ko) 2013-06-26 2013-06-26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859B1 true KR101449859B1 (ko) 2014-10-08

Family

ID=5199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553A KR101449859B1 (ko) 2013-06-26 2013-06-26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41A (ja) * 1994-06-07 1995-12-19 Honda Motor Co Ltd 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ブレーキ力保持装置
JP2003312458A (ja) 2002-04-24 2003-11-06 Nissan Motor Co Ltd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20030097175A (ko) * 2002-06-1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페달 어셈블리
KR20060002414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41A (ja) * 1994-06-07 1995-12-19 Honda Motor Co Ltd 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ブレーキ力保持装置
JP2003312458A (ja) 2002-04-24 2003-11-06 Nissan Motor Co Ltd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20030097175A (ko) * 2002-06-1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페달 어셈블리
KR20060002414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3447B (zh) 具有弹性支承的操纵元件和操作触觉功能的机动车操作设备
EP1623886A2 (en) Horn switch gear, airbag system, steering wheel and steering device
KR100289199B1 (ko) 차량 안전유지 시스템의 충돌센서
JP2013519585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10316554B2 (en) Opening system for a vehicle
US9327635B2 (en) Turn indicator switch with electromagnetic latching device
KR20210116742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140104443A (ko)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응차 센서, 및 응차 측정 방법
KR20220069023A (ko)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잠금 디바이스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
KR101449859B1 (ko) 충돌 감응 전자석을 갖춘 안전페달유닛
US7148682B2 (en) Apparatus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a vehicle to an object
KR20140101760A (ko) 액추에이터에 할당된 복귀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햅틱 가속 페달
CN108463786A (zh) 包括用于输出触觉反馈的驱动单元的用于机动车辆的操作者单元和机动车辆
US6422658B1 (en) Brake pedal sensor and electronic switch
US6870366B1 (en) Apparatus for sensing vehicle seat position
US927268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belt lock
KR101126455B1 (ko) 브레이크 스톱 램프 스위치
KR101449860B1 (ko) 충돌 감응 액추에이터를 갖춘 안전페달유닛
JP2010250963A (ja) 車両用スイッチ
SE9602747D0 (sv) Arrangemang vid fordonsratt
JP4875430B2 (ja) キーインター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KR101449858B1 (ko) 충돌 감응 연동 레버를 갖춘 안전페달유닛
JP2022130116A (ja) ペダル装置
US20190308508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feedback, braking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0610098B1 (ko) 조향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