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80B1 -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80B1
KR101449780B1 KR1020097026083A KR20097026083A KR101449780B1 KR 101449780 B1 KR101449780 B1 KR 101449780B1 KR 1020097026083 A KR1020097026083 A KR 1020097026083A KR 20097026083 A KR20097026083 A KR 20097026083A KR 101449780 B1 KR101449780 B1 KR 10144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ic
electric devices
hom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602A (ko
Inventor
다카시 마츠야마
다츠야 야마자키
야스오 단
유타카 기다와라
루이 텡
김영재
Original Assignee
도쿠리츠 교세이 호진 죠호 츠신 켄큐 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쿠리츠 교세이 호진 죠호 츠신 켄큐 키코 filed Critical 도쿠리츠 교세이 호진 죠호 츠신 켄큐 키코
Publication of KR2010002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Alarm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슬레이브(11∼20)는, 각각, 전기 기기(21∼30)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전기 기기(21∼3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마스터(1)에 송신한다. 마스터(1)는, 슬레이브(11∼20)로부터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가동하여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전기 기기(21∼30)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가동하고 있는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그리고, 마스터(1)는, 그 검출한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HOME NETWORK, AREAL NETWORK USING THE SAME,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OPERATION IN THE HOME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 내에 배치된 전기 기기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전기 기기의 기종, 및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원격 검출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 2003-259569호 공보).
이 원격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각 전기 기기의 특징량을 학습하여 미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해 두고, 홈 서버는, 각 전기 기기가 접속되는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각 전기 기기의 특징량을 받으면, 그 받은 특징량을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특징량과 비교하여, 각 전기 기기의 기종, 및 동작 상태를 검출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홈 서버에 액세스하고, 홈 서버가 검출한 각 전기 기기의 기종, 및 동작 상태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격 조작에 의해 가정 내의 전기 기기의 기종, 및 동작 상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콘센트의 위치를 미리 알고 있으면, 전기 기기의 접속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3-259569호 공보에 기재된 원격 검출 방법은, 각 전기 기기와 특징량의 대응 관계를 미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해 두고, 실제로 사용된 전기 기기의 특징량을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특징량과 비교하여 전기 기기의 기종 및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하기 때문에, 가정 내의 사람수를 추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 가능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 가능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 내의 거주자에게 안전하고, 또한, 안심된 생활을 제공 가능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 내의 거주자에게 안전하고, 또한, 안심된 에코라이프를 제공 가능한 지역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는,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와, n개의 모듈과, 검출 수단과, 추정 수단을 구비한다. n개의 전기 기기는, 가정 내에 배치된다. n개의 모듈은, n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수단은, n개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m(m은 2≤m≤n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n개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n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추정 수단은,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는, 검지 수단과, 알림 수단을 더 구비한다. 검지 수단은, 추정된 인원수와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추정된 인원수에 따른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으로의 침입자를 검지한다. 알림 수단은, 검지 수단에 의해 침입자가 검지되면, 침입자의 검지를 거주자에게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는, 검지 수단과,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다. 검지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 중 적어도 1개의 가동 시간이 기준의 가동 시간과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 거주자에게 이상(異常)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다. 제어 수단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되면, n개의 전기 기기 중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모듈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의 적어도 일부를 점멸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송신 수단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되면,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 메시지를 거주자 가족의 단말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추정 수단은, n개의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른 n개의 전기 기기의 분류표와 m개의 전기 기기의 m개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종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m개의 기종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능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m개의 기능에 의거하여, 거주자와 m개의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고, 그 추정한 위치 관계를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가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함과 더불어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어 수단은, n개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총전력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총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이 되면, m개의 전기 기기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j(j는 j≤m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총 전력량이 임계치보다도 낮아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j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j개의 모듈로 출력한다. 그리고, j개의 모듈의 각각은,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는, 발전 장치와, 축전 장치와, 파워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다. 발전 장치는, 가정에 설치된다. 축전 장치는, 전력을 축전한다. 파워 제어 장치는, 가정 내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는, 발전 장치에 의해 발전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의 합계가 n개의 전기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에 축적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제어 장치는, 정전 시, 축전 장치에 축전된 전력을 거주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k(k는 k≤n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에 공급하도록 k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k개의 모듈을 제어한다. k개의 모듈의 각각은, 파워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콘센트로부터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제어 장치는, 축전 장치에 축전된 전력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에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는, 축전 장치와, 파워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다. 축전 장치는, 전력을 축전한다. 파워 제어 장치는, 정전 정보를 미리 보유함과 더불어, 가정 내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는, 정전 정보에 의거하여 정전의 개시 시각을 검지하면, m개의 전기 기기 중,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전기 기기의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을 축전 장치로부터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전기 기기로 공급하고, 축전 장치에 축적된 전력량과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로의 축전 장치로부터의 전력 공급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로의 축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한 또는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제어 장치는, 정전 중에, m개의 전기 기기가 증감했을 때, 축전 장치에 축적된 전력량 및 축전 장치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을 재계산하고, 그 재계산 후의 전력량 및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전기 기기 및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로의 축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네트워크는, 복수의 홈 네트워크와, 전력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복수의 홈 네트워크는, 복수의 가정에 배치된다. 전력 제어 장치는, 복수의 홈 네트워크간에 있어서의 전력의 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복수의 홈 네트워크의 각각은,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와, n개의 모듈과, 검출 수단과, 추정 수단과, 발전 장치와, 축전 장치와, 파워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n개의 전기 기기는, 가정 내에 배치된다. n개의 모듈은, n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수단은, n개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m(m은 2≤m≤n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n개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n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추정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발전 장치는, 가정 내에 설치된다. 축전 장치는, 전력을 축전한다. 파워 제어 장치는, 가정 내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는, 발전 장치에 의해 발전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의 합계가 n개인 전기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에 축적한다. 또한, 전력 제어 장치는, 전력이 남아 있는 가정의 축전 장치에 축전된 전력을 전력이 부족한 가정의 축전 장치에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수신 수단이, 가정 내에 배치된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n개의 전력 사용 상황 및 n개의 배치 위치를 수신하는 제1의 단계와, 검출 수단이, 수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m(m은 2≤m≤n을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수신된 n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제2의 단계와, 추정 수단이,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제3의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바람직하게는, 검지 수단이, 추정된 인원수와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추정된 인원수에 따른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으로의 침입자를 검지하는 제4의 단계와, 알림 수단이, 검지 수단에 의해 침입자가 검지되면, 침입자의 검지를 거주자에게 알리는 제5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3의 단계는, 추정 수단이, n개의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른 n개의 전기 기기의 분류표와 m개의 전기 기기의 m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종을 추정하는 제1의 서브 단계와, 추정 수단이, 추정한 m개의 기종에 의거하여,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능을 추정하는 제2의 서브 단계와, 추정 수단이, 추정한 m개의 기능에 의거하여, 거주자와 m개의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는 제3의 서브 단계와, 추정 수단이, 추정한 위치 관계를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와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가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함과 더불어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하는 제4의 서브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산 수단이, n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n개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연산하는 제6의 단계와, 제어 수단이, 연산된 총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이 되면, m개의 전기 기기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j(j는 j≤m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총 전력량이 임계치보다도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7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제어 장치가, 가정 내에 배치된 발전 장치에 의해 발전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의 합계가 n개의 전기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에 축적하는 제6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제어 장치가, 정전 시, 축전 장치에 축전된 전력을 거주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k(k는 k≤n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7의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제어 장치가, 축전 장치에 축전된 전력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에 공급하는 제7의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9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정 내에 설치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측정하고, 그 측정한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정 내에 설치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측정하고, 그 측정한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기종, 기능 및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 그리고,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전기 기기의 기종, 및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가정 내로의 침입자를 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가정에서 발전한 전력이 남으면, 축전하고, 그 축전한 전력을 긴급 시에 사용하여 각 전기 기기를 가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는, 에코라이프를 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내의 가정간에서 전력의 교환을 행하여, 전력이 남은 가정으로부터 전력이 부족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내의 거주자는, 에코라이프를 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슬레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콘센트, 슬레이브 및 전기 기기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각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력 사용 상황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마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전기 기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표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집안에 있어서의 각 전기 기기의 배치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마스터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전력 사용 상황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전력 사용 상황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력 사용 상황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슬레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마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7은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른 전기 기기의 기종 분류표의 개념도이다.
도 18은 전기 기기의 특징량과 전기 기기의 기종 대응표의 개념도이다.
도 19는 전기 기기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전기 기기의 기종을 추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전기 기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대응표의 개념도이다.
도 22는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전기 기기의 다른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4에 도시하는 마스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마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하는 슬레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8은 도 25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를 집에 적용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33은 도 29에 도시하는 지역 네트워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하는 축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정전되지 않을 때에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정전 시에 사용자 단말이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9는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은 슬레이브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슬레이브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홈 내트워크(100)는, 마스터(1)와, 슬레이브(11∼20)와, 전기 기기(21∼30)를 구비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100)는, 가정 내에 배치된다.
마스터(1) 및 슬레이브(11∼20)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다. 전기 기기(21∼30)는, 각각, 슬레이브(11∼20)와 전기 배선에 의해 접속된다.
슬레이브(11∼20)는, 가정 내의 콘센트에 접속된다. 그리고, 슬레이브(11∼20)는, 각각 전기 기기(21∼30)가 온되면, 자기가 접속된 콘센트로부터 각각 전기 기기(21∼3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슬레이브(11∼20)는, 서로 동기하여, 각각 전기 기기(21∼3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마스터(1)에 송신한다.
전기 기기(21∼30)는, 가정 내의 부엌, 거실, 침실 및 일본식 방 등의 각 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기 기기(21∼30)는, 천정라이트, 탁상라이트, 커피 메이커, 냉장고, 전자 렌지, 다리미, 텔레비젼, 세탁기, 전기 스토브, 드라이어 및 전자 피아노 등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터(1)는, 슬레이브(11∼20)로부터 송신된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가정 내에 있어서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또한, 마스터(1)는, 슬레이브(11∼20)로부터 송신된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가정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총 전력량(PW_total)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총 전력량(PW_total)이 임계치(PW_th) 이상이 되면, 총 전력량(PW_total)이 임계치(PW_th)보다도 낮아지도록 슬레이브(11∼20)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슬레이브(11)는, 통신 모듈(111)과, 위치 판정 모듈(112)과, IC 태그 리더(113)와, 입력 콘센트(114)와, 출력 콘센트(115)와, 배선(116)과, 전력 측정 모듈(117)과, 시간 계측 모듈(118)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11)은, 마스터(1)와 통신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모듈(111)은, 위치 판정 모듈(112)로부터 받은 배치 위치와 전력 측정 모듈(117)로부터 받은 전력 사용 상황을 마스터(1)에 송신한다.
위치 판정 모듈(112)은, IC 태그 리더(113)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고, 시간 계측 모듈(118)로부터 시간 정보를 받는다. 그리고, 위치 판정 모듈(112)은, 그 받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슬레이브(11)에 접속된 전기 기기(21)의 배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한 배치 위치를 통신 모듈(111)에 출력한다.
IC 태그 리더(113)는, 각 방의 콘센트에 장착된 IC 태그로부터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위치 정보를 위치 판정 모듈(112)에 출력한다.
입력 콘센트(114)는, 각 방의 콘센트에 탈착된다. 출력 콘센트(115)는, 전기 기기(21)의 콘센트가 탈착된다. 배선(116)은, 입력 콘센트(114)와 출력 콘센트(115)의 사이에 배치된다.
전력 측정 모듈(117)은, 배선(116) 중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력 측정 모듈(117)은, 시간 계측 모듈(118)로부터 받은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 콘센트(114)를 통해 배선(116)에 공급된 전력의 사용 상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한 전력 사용 상황을 통신 모듈(111)에 출력한다.
시간 계측 모듈(118)은, SNTP(Simple Network Time Protocol) 또는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이용하여, 다른 슬레이브 중의 시간 계측 모듈(118) 과 동기하여 시간을 계측하고, 그 계측한 시간의 시간 정보를 위치 판정 모듈(112) 및 전력 측정 모듈(117)에 출력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2∼20)의 각각은, 도 2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콘센트, 슬레이브 및 전기 기기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기 기기(21)는, 냉장고(211)와, 콘센트(212)와, 배선(213)으로 이루어진다. 배선(213)은, 한쪽 끝이 냉장고(211)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콘센트(212)에 접속된다. 콘센트(212)는, 슬레이브(11)의 출력 콘센트(115)에 탈착된다.
콘센트(41)는, 벽(40)에 배치된다. 그리고, 콘센트(41)는, 삽입구(411)와, IC 태그(412)로 이루어진다. 삽입구(411)는, 가정 내의 전력 계통을 통해 상용의 전력이 공급된다. IC 태그(412)는, 콘센트(41)의 위치 정보를 격납한다. 이 위치 정보는, xyz 좌표로 이루어진다.
슬레이브(11)의 입력 콘센트(114)는, 콘센트(41)의 삽입구(411)에 탈착된다.
슬레이브(11)의 입력 콘센트(114)가 콘센트(41)의 삽입구(411)에 삽입되고, 콘센트(212)가 슬레이브(11)의 출력 콘센트(115)에 삽입되면, 슬레이브(11)는, 입력 콘센트(114)를 통해 전력을 받고, 그 받은 전력을 배선(116)을 통해 출력 콘센트(115)로부터 출력한다.
그리고, 냉장고(211)는, 콘센트(212) 및 배선(213)을 통해 전력을 받고, 그 받은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그러면, 슬레이브(11)의 전력 측정 모듈(117)은, 배선(116)을 입력 콘센트(114)측으로부터 출력 콘센트(115)측으로 흐르는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냉장고(211)의 전력 사용 상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또한, 슬레이브(11)의 IC 태그 리더(113)는, 콘센트(41)의 IC 태그(412)에 격납된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위치 정보를 위치 판정 모듈(112)에 출력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1)의 위치 판정 모듈(112)은, IC 태그 리더(113)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가정 내에 있어서의 냉장고(211)의 배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1)의 통신 모듈(111)은, 냉장고(211)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마스터(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슬레이브(11)는, 콘센트(41)로부터 냉장고(211)에 전력을 공급함과 더불어, 냉장고(211)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측정하여 마스터(1)에 송신한다.
도 4는, 각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집(200)은, 그 1개의 모퉁이가 xyz 좌표의 원점(O)에 일치하도록 xyz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집(200)은, 예를 들어, 거실(210)과, 일본식 방(220)과, 서양식 방(230, 240)을 포함한다. 거실(210) 및 일본식 방(220)은, 1층에 배치되어 있고, 서양식 방(230, 240)은, 2층에 배치되어 있다.
콘센트(211∼215)는, 거실(210)의 벽에 설치되고, 콘센트(221, 222)는, 일본식 방의 벽에 설치된다. 또한, 콘센트(231, 232)는, 서양식 방(230)의 벽에 설치 되고, 콘센트(241, 242)는, 서양식 방(240)의 벽에 배치된다.
그리고, 콘센트(211∼215, 221, 222, 231, 232, 241, 242)의 각각은, 도 3에 도시하는 콘센트(41)로 이루어진다.
거실(210) 내의 임의의 점은,[0, 0, 0]∼[x1, y1, z1]의 범위에 포함되는 xyz 좌표로 이루어지고, 일본식 방(220) 내의 임의의 점은,[x2, y2, z2]∼[x3, y3, z3]의 범위에 포함되는 xyz 좌표로 이루어진다. 또한, 서양식 방(230) 내의 임의의 점은,[x4, y4, z4]∼[x5, y5, z5]의 범위에 포함되는 xyz 좌표로 이루어지고, 서양식 방(240) 내의 임의의 점은,[x6, y6, z6]∼[x7, y7, z7]의 범위에 포함되는 xyz 좌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x2>x1, y2>y1, z4>z1, z4>z3, x6>x1, x6>x5, y6>y1, y6>y5가 성립한다.
거실(210) 내에 설치된 콘센트(211∼215)의 IC 태그(412)는, 각각,[x211, y211, z211],[x212, y212, z212], [x213, y213, z213],[x214, y214, z214],[x215, y215, z215]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일본식 방(220) 내에 설치된 콘센트(221, 222)의 IC 태그(412)는, 각각,[x221, y221, z221],[x222, y222, z222]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서양식 방(230) 내에 설치된 콘센트(231, 232)의 IC 태그(412)는, 각각,[x231, y231, z231],[x232, y232, z232]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서양식 방(240) 내에 설치된 콘센트(241, 242)의 IC 태그(412)는, 각 각,[x241, y241, z241],[x242, y242, z242]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격납한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11)의 입력 콘센트(114)가 콘센트(211)에 삽입되고, 전기 기기(21)의 콘센트(212)가 슬레이브(11)의 출력 콘센트(115)에 삽입되면, 슬레이브(11)의 IC 태그 리더(113)는, 콘센트(211)의 IC 태그(412)에 격납된 xyz 좌표[x211, y211, z211]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xyz 좌표[x211, y211, z211]를 위치 판정 모듈(112)에 출력한다.
슬레이브(11)의 위치 판정 모듈(112)은, 거실(210), 일본식 방(220) 및 서양식 방(230, 240) 내의 임의의 점이 취할 수 있는 xyz 좌표의 범위[0, 0, 0]∼[x1, y1, z1],[x2, y2, z2]∼[x3, y3, z3],[x4, y4, z4]∼[x5, y5, z5],[x6, y6,z6]∼[x7, y7, z7]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11)의 위치 판정 모듈(112)은, 시각[YYYY/MMMM/DDDD/HHHH/MMMM/SSSS]에 있어서, IC 태그 리더(113)로부터 받은 xyz 좌표[x211, y211, z211]를 xyz 좌표의 범위[0, 0, 0]∼[x1, y1, z1],[x2, y2, z2]∼[x3, y3, z3],[x4, y4, z4]∼[x5, y5, z5],[x6, y6, z6]∼[x7, y7, z7]와 비교하여, xyz 좌표[x211, y211, z211]가 xyz 좌표의 범위[0, 0, 0]∼[x1, y1, z1]에 포함되는 것을 검지한다.
그러면, 슬레이브(11)의 위치 판정 모듈(112)은, 콘센트(211)에 접속된 전기 기기(21)의 배치 위치를 거실(210) 내의 xyz 좌표[x211, y211, z211]로 판정하고, [ 거실;x211, y211, z211, YYYY/MMMM/DDDD/HHHH/MMMM/SSSS]로 이루어지는 배치 위치를 통신 모듈(111)에 출력한다.
슬레이브(11)가 다른 콘센트(212∼215, 221, 222, 231, 232, 241, 242)에 삽입된 경우도, 위치 판정 모듈(112)은, 동일하게 하여, 슬레이브(11)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를 판정하여 통신 모듈(111)로 출력한다.
또한, 슬레이브(12∼20)의 위치 판정 모듈(112)도, 슬레이브(11)의 위치 판정 모듈(112)과 동일하게 하여, 슬레이브(12∼20)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를 판정하여 통신 모듈(111)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각 슬레이브(11∼20)는, 자기가 접속된 콘센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를 자기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로 판정한다.
또한, 슬레이브(11∼20)는,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를 판정하여 마스터(1)에 송신한다.
도 5는, 전력 사용 상황의 개념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세로축은, 전력을 표시하고, 가로축은, 시간을 표시한다. 곡선 k1은,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나타낸다. 곡선 k1은, 어느 전기 기기가 시각 0:00:00으로부터 시각 0:00:01까지의 동안,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시각 0:00:01에서 전력의 사용을 개시하고, 시각 0:00:01로부터 시각 0:00:09까지의 동안, 어느 패턴으로 전력을 사용하고, 시각 0:00:09에서 전력의 사용을 정지한 것을 나타낸다.
슬레이브(11∼20)의 전력 측정 모듈(117)은, 슬레이브(11∼20)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곡선 k1 참조)을, 예를 들어, 10초 간격으로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한 전력 사용 상황을 통신 모듈(111)에 출력한다.
각 슬레이브(11∼20)에 있어서, 통신 모듈(111)은, 위치 판정 모듈(112)로부터 배치 위치[방명:x, y, z:YYYY/MMMM/DDDD/HHHH/MMMM/SSSS]를 받으면, 그 받은 배치 위치에 각 슬레이브(11∼20)의 번호를 추가한 배치 위치[슬레이브의 번호:방
명;x, y, z;YYYY/MMMM/DDDD/HHHH/MMMM/SSSS]를 작성하여 마스터(1)에 송신한다.
또한, 각 슬레이브(11∼20)에 있어서, 통신 모듈(111)은, 전력 측정 모듈(117)로부터 전력 사용 상황을 받으면, 그 받은 전력 사용 상황에 각 슬레이브(11∼20)의 번호를 추가하여 마스터(1)에 송신한다(도 5 참조).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마스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마스터(1)는, 송수신 수단(2)과, 제어 수단(3)과, 데이터 베이스(4)와, 검출 수단(5)과, 추정 수단(6)과, 검지 수단(7)과, 알림 수단(8)을 포함한다.
송수신 수단(2)은, 각 슬레이브(11∼20)로부터 각 전기 기기(21∼3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제어 수단(3)에 출력한다.
제어 수단(3)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송수신 수단(2)으로부터 받고, 그 받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전기 기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표를 작성하여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한다.
데이터 베이스(4)는, 제어 수단(3)으로부터 받은 대응표를 격납함과 더불어, 검출 수단(5)으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따라, 대응표를 검출 수단(5)에 출력한다.
검출 수단(5)은,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각 전기 기기(21∼3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대응표를 판독한다. 그리고, 검출 수단(5)은, 그 판독한 대응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사용 상황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간에 의한 전력의 변화로 이루어지므로, 검출 수단(5)은, 시각 O:00:01∼시각 0:00:09의 동안, 전기 기기가 가동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고, [0:00:01∼0:00:09/ON]로 이루어지는 가동 상황을 작성한다.
또한, 검출 수단(5)은,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판독한 대응표의 각 전기 기기(21∼30)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21∼30)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출 수단(5)은, 전기 기기(21∼30) 중의 1개의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기준으로 한 전기 기기와 나머지 전기 기기의 거리를 연산하고, 그 연산한 거리를 반영한 전기 기기(21∼30)의 상호 위치 관계를 작성한다.
그리고, 검출 수단(5)은, 가동 상황 및 상호의 위치 관계를 추정 수단(6) 및 검지 수단(7)에 출력한다.
추정 수단(6)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집(200)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그 리고, 추정 수단(6)은, 그 추정한 인원수를 검지 수단(7) 및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검지 수단(7)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를 받고, 추정 수단(6)으로부터 집(200)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받는다. 그리고, 검지 수단(7)은,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와, 거주자의 인원수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침입자가 집(200) 내에 침입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집(200) 내로의 침입자를 검지했을 때, 「침입자 유」를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알림 수단(8)은, 표시 수단 및 경보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 수단(6)으로부터 받아, 「침입자 유」를 검지 수단(7)으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알림 수단(8)은, 거주자의 인원수 또는 「침입자 유」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고, 또는 「침입자 유」에 따라,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울린다.
도 7은, 전기 기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표의 개념도이다. 마스터(1)의 송수신 수단(2)은, 슬레이브(11∼20)로부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받고, 그 받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제어 수단(3)에 출력한다.
슬레이브(11)로부터 받는 전력 사용 상황에는, 슬레이브(11)의 번호 “11”가 붙여져 있고, 슬레이브(11)로부터 받는 배치 위치는,[11;210;x, y, z;YYYY/MMMM/DDDD/HHHH/MMMM/SSSS]로 이루어지므로, 제어 수단(3)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로부터 슬레이브(11)의 번호 “11”을 검출하고, 슬레이브(11)에 접속된 전기 기기(전기 기기(21∼30) 중 어느 하나)를 전기 기기 A로 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3)은, 슬레이브(11)의 번호 “11”을 통해 전기 기기(A), 전력 사용 상황(PWcht1_A)(실제로는, 도 5에 나타내는 전력 사용 상황으로 이루어진다), 및 배치 위치[210;x211, y211, z211;T1_A],[210;x211, y211, z211;T2A],…를 대응시킨다. 상술한 것처럼, 각 전기 기기(21∼30)의 배치 위치는, 1초 간격으로 판정되고, 전력 사용 상황은, 10초 간격으로 측정되므로, 복수의 배치 위치[210;x211, y211, z211;T1_A],[210;x211, y211, z211;T2_A],…가 1개의 전력 사용 상황(PWcht1_A)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 수단(3)은, 슬레이브(12∼20)로부터 받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동일하게 하여, 슬레이브(12∼20)에 각각 접속된 전기 기기(B, C, D, E, F, G, H, 1, J), 전력 사용 상황(PWcht1_B, PWcht1_C, PWcht1_D, PWcht1_E, PWcht1_F, PWcht1_G, PWcht1_H, PWcht1_I, PWcht1_J), 및 배치 위치[210:x212, y212, z212;T1_B],[210;x212, y212, z212:T2_B],…;……;[240;x241, y241, z241;T1_J],[240:x212, y212, z212;T2_B]…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 수단(3)은, 전기 기기(A∼J), 전력 사용 상황(PWcht1_A∼PWcht1_J, 및 배치 위치[210;x212, y212, z212;T1_A],[210;x212, y212, z212;T2_A],…;……;[240;x241, y241, z241;T1_J],[240:x212, y212, z212;T2_J]…를 대응시킨 대응표(TBL)를 작성하고, 그 작성한 대응표(TBL)를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한다. 또한, 배치 위치의 T1, T2,…의 각각은, YYYY/MMMM/DDDD/HHHH/MMMM/SSSS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기 기기(21∼30)는, 마스터(1)에 있어서는, 각각, 전기 기기(A∼J)로서 관리된다. 이는, 슬레이브(11∼20)은, 전기 기기(21∼30) 자체를 검출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8은, 집(200) 내에 있어서의 각 전기 기기의 배치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슬레이브(11∼15)는, 각각, 거실(210)에 설치된 콘센트(211∼215)에 접속되고, 슬레이브(16, 17)는, 일본식 방(220)에 설치된 콘센트(221, 222)에 접속된다. 또한, 슬레이브(18, 19)는, 서양식 방(230)에 설치된 콘센트(231, 232)에 접속되고, 슬레이브(20)는, 서양식 방(240)에 설치된 콘센트(241)에 접속된다.
그리고, 냉장고(251)는, 슬레이브(11)에 접속되고, 전자 렌지(252)는, 슬레이브(12)에 접속되고, 커피 메이커(253)는, 슬레이브(13)에 접속된다. 또한, 천정라이트(254)는, 슬레이브(14)에 접속되고, 텔레비젼(255)는, 슬레이브(15)에 접속된다.
또한, 다리미(256)는, 슬레이브(16)에 접속되고, 천정라이트(257)는, 슬레이브(17)에 접속된다. 또한, 천정라이트(258)는, 슬레이브(18)에 접속되고, 탁상라이트(259)는, 슬레이브(19)에 접속되고, 천정라이트(260)는, 슬레이브(20)에 접속된다. 또한, 마스터(1)는, 예를 들어, 서양식 방(24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콘센트(211∼215, 221, 222, 231, 232, 241, 242)에는, 집(200) 내에 설치된 전력 계통(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상용 전력이 공급되어 있다.
슬레이브(11)는, 콘센트(211)로부터의 전력을 냉장고(251)에 공급함과 더불어, 냉장고(251)의 전력 사용 상황을 측정하고, 상술한 방법에 의해 냉장고(251)의 배치 위치를 판정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1)는,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마스터(1)에 송신한다.
또한, 슬레이브(12∼20)는, 각각, 콘센트(212∼215, 221, 222, 231, 232, 241)로부터의 전력을 각각 전자 렌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트(260)에 공급함과 더불어, 각각, 전자 렌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트(260)의 전력 사용 상황을 측정하고,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전자 렌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트(260)의 배치 위치를 판정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2∼20)는, 각각, 전자 렌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트(26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마스터(1)에 송신한다.
마스터(1)의 송수신 수단(2)은, 슬레이브(11∼20)로부터 각각 냉장고(251), 전자 렌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 트(26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제어 수단(3)에 출력한다.
그리고, 마스터(1)의 제어 수단(3)은, 송수신 수단(2)으로부터 받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술한 대응표(TBL)를 작성하여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한다. 또한, 냉장고(251), 전자 렌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트(260)는, 마스터(1)에 있어서는, 각각, 전기 기기(A∼J)로서 관리된다.
마스터(1)의 검출 수단(5)은,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대응표(TBL)을 판독하고, 그 판독한 대응표(TBL)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A∼J)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대응표(TBL)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A∼J)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이 경우, 마스터(1)의 검출 수단(5)은, 예를 들어, 전기 기기(A)(=냉장고(251)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A/T1∼T5/ON], 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I/T1∼T6/ON], 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B/T7∼T10/ON], 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C/T6∼T9/ON], 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E/T11∼T15/ON], 전기 기기 F(=다리미(256))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F/T11∼T15/ON]및 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의 가동 상황[전기 기기 H/T11∼T15/ON]을 검출한다.
또한, 마스터(1)의 검출 수단(5)은, 가동 시간대가 중복하는 전기 기기 A(=냉장고(251)) 및 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A(=냉장고(251))가 거실(210)에 설치되어 있을 것, 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가 서양식 방(230)에 배치되어 있을 것, 및 전기 기기 A(=냉장고(251))에 대한 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의 거리(L1)를 검출하고,[전기 기기 A(=냉장고(251):거실(210)/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서양식 방(230)/L1]로 이루어지는 상호 위치 관계를 작성한다.
또한, 마스터(1)의 검출 수단(5)은, 마찬가지로, 가동 시간대가 중복하는 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 및 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거실(210)/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거실(210)/L2]를 작성하고, 가동 시간대가 중복하는 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 전기 기기 F(=다리미(256)), 및 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 : 거실(210)/전기 기기 F(=다리미(256)) : 일본식 방(220)/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 : 서양식 방(230)/L3, L4]를 작성한다. 이 경우, 거리(L1, L3, L4)는, 인간이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의 최대한인 임계치(Lth)를 초과하는 거리이며, 거리(L2)는, 임계치(Lth) 이하의 거리이다.
검출 수단(5)은, 가동 상황[전기 기기 A/T1∼T5/ON],[전기 기기 I/T1∼T6/ON],[전기 기기 B/T7∼T10/ON],[전기 기기 C/T6∼T9/ON],[전기 기기 E/T11∼T15/ON],[전기 기기 F/T11∼T15/ON],[전기 기기 H/T11∼T15/ON]및 상 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A(=냉장고(251)):거실(210)/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서양식 방(230)/L1],[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거실(210)/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거실(210)/L2],[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거실(210)/전기 기기 F(=다리미(256)) : 일본식 방(220)/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 :서양식 방(230)/L3, L4]를 추정 수단(6) 및 검지 수단(7)에 출력한다.
도 9는,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추정 수단(6)은, 가동 상황[전기 기기 A/T1∼T5/ON],[전기 기기 I/T1∼T6/ON],[전기 기기 B/T7∼T10/ON],[전기 기기 C/T6∼T9/ON], [전기 기기 E/T11∼T15/ON],[전기 기기 F/T11∼T15/ON],[전기 기기 H/T11∼T15/ON]및 상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A(=냉장고(251)) : 거실(210)/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 서양식 방(230)/L1],[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 : 거실(210)/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거실(210)/L2],[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거실(210)/전기 기기 F(=다리미(256)):일본식 방(220)/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 : 서양식 방(230)/L3, L4]를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으면, 도 9에 도시하는 상호 위치 관계와 시간의 관계를 작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정 수단(6)은, 가동 상황[전기 기기 A/T1∼T5/ON],[전기 기기 1/T1∼T6/ON]및 상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A(=냉장고(251)):거실(210)/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 : 서양식 방(230)/L1]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A(=냉장고(251))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1과, 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2를 작성한다. 이 경우, 화살표 52 는, 화살표 51로부터 거리(L1)만큼 떨어져 있다.
또한, 추정 수단(6)은, 가동 상황[전기 기기 B/T7∼T10/ON],[전기 기기 C/T6∼T9/ON]및 상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B(=전자 레인지(252)) : 거실(210)/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 : 거실(210)/L2]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3과, 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4를 작성한다. 이 경우, 화살표 54는, 화살표 53으로부터 거리(L2)만큼 떨어져 있다.
또한, 추정 수단(6)은, 가동 상황[전기 기기 E/T11∼T15/ON], [전기 기기 F/T11∼T15/ON],[전기 기기 H/T11∼T15/ON]및 상호 위치 관계[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거실(210)/전기 기기 F(=다리미(256)):일본식 방(220)/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서양식 방(230)/L3, L4]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5와, 전기 기기 F(=다리미(256))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6과, 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화살표 57을 작성한다. 이 경우, 화살표 56은, 화살표 55로부터 거리(L3)만큼 떨어져 있고, 화살표 57은, 화살표 56으로부터 거리(L4)만큼 떨어져 있다.
그러면, 추정 수단(6)은, 전기 기기(A), I의 가동 상황(=화살표 51, 52)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A(=냉장고(251))와 전기 기기 I(=탁상라이트(259))는, 거주자가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의 최대한인 임계치(Lth)를 초과하는 거리(L1)만큼 떨어져 있고, 전기 기기 A(=냉장고(251)) 및 전기 기기 I(=탁상라이 트(259))가 동시(=T1)에 온되어 있으므로, 다른 2명이 전기 기기(A, I)를 온 한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추정 수단(6)은, 전기 기기(B, C)의 가동 상황(=화살표 53, 54)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B(=전자 렌지(252))와 전기 기기 C(=커피 메이커(253))는, 거주자가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 내의 거리(L2)만큼밖에 떨어져 있지 않고, 다른 타이밍(T6, T7)에 온되어 있으므로, 1명의 사람이 전기 기기(B, C)를 온한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추정 수단(6)은, 전기 기기(E, F, H)의 가동 상황(=화살표 55∼57)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 E(=텔레비젼(255))와 전기 기기 F(=다리미(256))는, 거주자가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보다도 긴 거리(L3)만큼 떨어져 있고, 전기 기기 F(=다리미(256))와 전기 기기 H(=천정라이트(258))는, 거주자가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보다도 긴 거리(L4)만큼 떨어져 있고, 전기 기기(E, F, H)가 동시(=T11)에 온되어 있으므로, 다른 3명의 사람이 전기 기기(E, F, H)를 온한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 수단(6)은, 상술한 추정을, 예를 들어, 일주일간, 반복 실행하고, 그 일주일 내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이 경우, 거주자가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보다도 긴 거리만큼 서로 떨어지고, 동시에 온된 전기 기기의 개수의 최대치가 “3”이면, 추정 수단(6)은, 집(200)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3명”으로 추정한다.
이와 같이, 추정 수단(6)은,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와,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복수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집(200)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추정 수단(6)은, 집(200)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면, 그 추정한 인원수를 검지 수단(7) 및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검지 수단(7)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를 받고, 추정 수단(6)으로부터 거주자의 인원수를 받는다. 그리고, 검지 수단(7)은, 추정 수단(6)과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을 작성하고, 그 작성한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이, 추정된 인원수에 따라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집(200)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수단(7)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거주자가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보다도 긴 거리만큼 서로 떨어지고, 동시에 온된 전기 기기의 개수의 최대치가 “4”이상이고, 추정 수단(6)에 의해 추정된 인원수가 “3”이면, 침입자가 집(200) 안으로 침입한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검지 수단(7)은, 침입자를 검지하면, 「침입자 유」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알림 수단(8)은, 추정 수단(6)으로부터 추정된 인원수를 받으면, 그 인원수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한다. 또한, 알림 수단(8)은, 검지 수단(7)으로부터 「침입자 유」의 메시지를 받으면, 「침입자 유」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거나, 또는 경보 수단에 의해 경보를 울린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마스터(1)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마스터(1)의 송수신 수단(2)은, 가정 내에 배치된 10개의 전기 기기(=냉장고(251), 전자 레인지(252), 커피 메이커(253), 천정라이트(254), 텔레비젼(255), 다리미(256), 천정라이트(257), 천정라이트(258), 탁상라이트(259) 및 천정라이트(260))의 10개의 전력 사용 상황 및 10개의 배치 위치를 수신하고(단계 S1), 그 수신한 10개의 전력 사용 상황 및 10개의 배치 위치를 제어 수단(3)에 출력한다.
제어 수단(3)은, 10개의 전력 사용 상황 및 10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대응표(TBL)를 작성하고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한다. 검출 수단(5)은,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대응표(TBL)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대응표(TBL)의 10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대응표(TBL)의 10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단계 S2). 그리고, 검출 수단(5)은,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가동 상황 및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상호 위치 관계를 추정 수단(6) 및 검지 수단(7)에 출력한다.
추정 수단(6)은,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가동 상황 및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상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고,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단계 S3). 그리고, 추정 수단(6)은, 그 추정한 인원수를 검지 수단(7) 및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그 후, 검지 수단(7)은,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가동 상황,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상호 위치 관계, 및 추정된 인원수에 의거하여, 가정 내로의 침입자를 검지하고(단계 4), 「침입자 유」를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그리고, 알림 수단(8)은, 추정된 인원수를 표시하거나, 또는 「침입자 유」를 표시하거나, 또는 「침입자 유」를 나타내는 경보를 울린다(단계 S5). 그리고, 일련의 동작은, 종료한다.
상술한 것처럼,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마스터(1)는, 가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복수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복수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정 내의 거주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마스터(1)는, 복수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상호 위치 관계 및 추정한 인원수에 의거하여 침입자를 검지함과 더불어, 그 침입자의 검지를 가정 내의 거주자에게 알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 내의 거주자는, 안전하게, 또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도 11∼도 13은, 전력 사용 상황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도 13에 있어서, 세로축은, 전력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곡선 k2∼k4는, 각각, 거주자(a∼c)에 의한 동일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드라이어의 사용 상황은, 거주자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마스터(1)의 추정 수단(6)은, 동일한 슬레이브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어느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이 곡선(k2∼k4)에 의해 표시되도록 3개의 패턴으로 분류되는 경우,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3”으로 추정해도 된다.
또한, 검지 수단(7)은, 추정된 인원수를 초과하는 개수의 전력 사용 패턴을 검지함으로써 가정 내로의 침입자를 검지한다.
[실시의 형태 2]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홈 네트워크(100A)는, 도 1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100)의 마스터(1)를 마스터(1A)로 대신하고, 슬레이브(11∼20)를 슬레이브(11A∼20A)로 대신한 것이며, 그 외는, 홈 네트워크(100)와 동일하다.
마스터(1A)는, 슬레이브(11A∼20A)로부터 수신한 전기 기기(21∼3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하고, 집(200) 안으로의 침입자를 검지함과 더불어, 전기 기기(21∼30)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량이 집(200) 안의 허용 전력량을 초과하려 할 때,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전기 기기(21∼30)의 사용 전력을 제한하도록 슬레이브(11A∼20A)를 제어한다. 이 경우, 마스터(1A)는, 전기 기기(21∼30)에 공급하는 전력을 연속적으로 제한하도록 슬레이브(11A∼20A)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력을 연속적으로 제한한다는 것은,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슬레이브(11A∼20A)는, 각각, 전기 기기(21∼3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슬레이브(11A∼20A)는, 전기 기기(21∼3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마스터(1A)로부터 받으면, 전기 기기(21∼30)에의 전력의 공급을 단계 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한다. 슬레이브(11A∼20A)는, 그 외, 슬레이브(11∼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A)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슬레이브(11A)는, 도 2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에 연속 제어 모듈(119)을 추가한 것이며, 그 외는, 슬레이브(11)와 동일하다. 또한, 슬레이브(11A)에 있어서는, 시간 계측 모듈(118)은, 계측한 시간의 시간 정보를 연속 제어 모듈(119)로도 출력한다.
연속 제어 모듈(119)은, 배선(116) 중에 삽입된다. 그리고, 연속 제어 모듈(119)은, 통신 모듈(111)로부터 제어 신호(LMT)를 받으면, 배선(116) 내를 입력 콘센트(114)측으로부터 출력 콘센트(115)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2A∼20A)의 각각은, 도 15에 도시하는 슬 레이브(11A)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마스터(1A)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마스터(1A)는, 도 6에 도시하는 마스터(1)의 제어 수단(3) 및 추정 수단(6)을 각각 제어 수단(3A) 및 추정 수단(6A)으로 대신한 것이고, 그 외는, 마스터(1)와 동일하다.
제어 수단(3A)은,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대응표(TBL)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대응표(TBL)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21∼30)의 총 전력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총 전력량이 집(200) 안의 허용 전력량을 초과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수단(3A)은, 집(200) 내의 허용 전력량보다도 낮고 임계치(PWth)를 설정하고, 총 전력량이 임계치(PWth) 이상이 되면, 총 전력량이 집(200) 안의 허용 전력량을 초과할 것같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 수단(3A)은, 전기 기기(21∼30)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A∼20A)의 일부)를 추정 수단(6A)으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제어 수단(3A)은, 총 전력량이 집(200) 안의 허용 전력량을 초과할 것같다고 판정하면,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어 신호(LMT)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제어 신호(LMT)를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A∼20A)의 일부)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추정 수단(6A)은, 전기 기기의 특징량과 전기 기기의 기종의 대응표(TYCH)와,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른 전기 기기의 분류표(CLAS)를 미리 보유하고 있고, 그 대응표(TYCH) 및 분류표(CLAS)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가동하고 있는 전기 기기(전기 기기(21∼30)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종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추정하고, 그 추정한 전기 기기의 기종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전기 기기의 기능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전기 기기의 기능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거주자와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그 추정한 위치 관계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추정한 전기 기기의 기종에 의거하여, 가동하고 있는 전기 기기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를 검출한다. 그 후, 추정 수단(6A)은, 대응표(TBL)를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한 대응표(TBL)를 참조하여,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A∼20A)의 일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슬레이브(슬레이브(11A∼20A)의 일부)를 제어 수단(3A)에 출력한다.
또한, 추정 수단(6A)은, 추정한 거주자의 인원수를 검지 수단(7)에 출력하고, 추정한 거주자의 인원수 및 행동을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추정 수단(6A)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의 기종의 추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른 전기 기기의 기종 분류표(CLAS)의 개념 도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분류표(CLAS)는, 서브 분류표(CLAS-1∼CLAS-3)로 이루어진다.
서브 분류표(CLAS-1)는, 동작 상태가 On/Off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를 「위치 고정형」, 「위치 이동형」, 「자동 조정 유」 및 「자동 조정 무」에 의해 분류한 것이다. 「자동 조정 유」는, 온도 등의 각 전기 기기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기 기기를 나타낸다.
서브 분류표(CLAS-1)는, 「위치 이동형」이며, 또한, 「자동 조정 유」인 전기 기기로서 커피 메이커(253)를 포함하고, 「위치 고정형」이며, 또한, 「자동 조정 무」인 전기 기기로서 천정라이트(254)를 포함하고, 「위치 이동형」이며, 또한, 「자동 조정 무」인 전기 기기로서 탁상라이트(259)를 포함한다.
서브 분류표(CLAS-2)는, 동작 상태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를 「위치 고정형」, 「위치 이동형」, 「자동 조정 유」 및 「자동 조정 무」에 의해 분류한 것이다.
서브 분류표(CLAS-2)는, 「위치 이동형」이고, 또한, 「자동 조정 유」인 전기 기기로서 전기 스토브를 포함하고, 「위치 고정형」이며, 또한, 「자동 조정 무」인 전기 기기로서 전자 렌지(252) 및 천정라이트(257)를 포함하고, 「위치 이동형」이고, 또한, 「자동 조정 무」인 전기 기기로서 드라이어, 청소기 및 탁상라이트를 포함한다.
서브 분류표(CLAS-3)는, 동작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를 「위치 고정형」, 「위치 이동형」, 「자동 조정 유」 및 「자동 조정 무」에 의해 분류한 것이다.
서브 분류표(CLAS-3)는, 「위치 이동형」이고, 또한, 「자동 조정 유」인 전기 기기로서 다리미(256)를 포함하고, 「위치 고정형」이며, 또한, 「자동 조정 유」인 전기 기기로서 냉장고(251)를 포함하고, 「위치 고정형」이며, 또한, 「자동 조정 무」인 전기 기기로서 전자 피아노, 텔레비젼(255) 및 세탁기를 포함한다.
도 18은, 전기 기기의 특징량과 전기 기기의 기종의 대응표(TYCH)의 개념도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대응표(TYCH)는, 전기 기기의 기종과 특징량으로 이루어진다. 특징량은, 전기 기기의 기종에 대응된다.
전기 기기의 기종은, 예를 들어, 냉장고, 전자 렌지, 커피 메이커, 텔레비젼, 천정라이트, 다리미, 탁상라이트, 전자 피아노, 세탁기, 드라이어 및 청소기로 이루어진다. 특징량(CH1∼CH11)의 각각은, 각 전기 기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평균치(전류 면적의 평균치), 실효치(전류 제곱합 평균의 직류 상당치), 파고율(전류의 최대치/실효가), 파형율(평균치/실효치), 위상차(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역률(위상차의 여현), 피상 전력(전류×전압), 실효 전력(전류×전압×역률), 및 시정수(전류가 변화했을 때의 변화의 수속 시간)중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특징량(CH1∼CH11)은, 각각, 냉장고, 전자 렌지, 커피 메이커, 텔레비젼, 천정라이트, 다리미, 탁상라이트, 전자 피아노, 세탁기, 드라이어 및 청소기에 대응된다.
냉장고 및 전자 렌지 등의 각 전기 기기의 특징량(CH1∼CH11)은, 미리 실측되고, 그 실측된 특징량(CH1∼CH11)은, 각각, 냉장고, 전자 렌지, 커피 메이커, 텔레비젼, 천정라이트, 다리미, 탁상라이트, 전자 피아노, 세탁기, 드라이어 및 청소 기에 대응되고, 대응표(TYCH)가 미리 작성된다.
도 19는, 전기 기기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관련표(RLT)는, 중요도 w(0≤w≤1)에 따라 각 전기 기기의 관련성을 나타낸 것이다. 냉장고와 전자 렌지는, 일반적으로, 부엌에 설치되므로, 0.95의 중요도에 의해 관련된다. 또한, 전자 렌지와 커피 메이커는, 일반적으로는, 부엌에 설치되는데, 커피 메이커는, 부엌 이외의 식탁으로 이동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전자 렌지와 커피 메이커는, 냉장고와 전자 렌지를 관련짓는 0.95의 중요도(w)보다도 작은 0.75의 중요도(w)에 의해 관련된다.
또한, 냉장고와 청소기는, 청소기가 각 방에서 사용되므로, 0.70의 중요도(w)에 의해 관련된다. 또한, 세탁기와 드라이어는, 일반적으로는, 화장실에 설치되는데, 드라이어는 화장실 이외에도 사용되므로, 0.70의 중요도(w)에 의해 관련된다.
관련표(RLT)는, 집(200) 안에 설치되는 전기 기기의 사용 장소 등을 고려하여 미리 작성된다. 이 경우, 위치 이동형의 전기 기기에 대해서는, 위치가 변화하는 점을 고려하여 중요도(w)가 결정된다.
추정 수단(6A)은, 상술한 분류표(CLAS), 대응표(TYCH) 및 관련표(RLT)를 미리 보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사용 개시를 검지하면, 분류표(CLAS), 대응표(TYCH) 및 관련표(RLT)를 참조하여,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기종을 추정한다.
또한, 관련표(RLT)에 있어서는, 시간축도 넣어, 중요도(w)의 시간 변화를 표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중요도(w)를 자동적으로 학습하도록 해도 된다.
도 20은, 전기 기기의 기종을 추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추정 수단(6A)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사용 개시를 검지한다(단계 S11).
그 후, 추정 수단(6A)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특징량(CH)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특징량(CH)에 일치하는 특징량(특징량(CH1∼CH11)중 어느 하나)을 가지는 전기 기기의 기종 또는 특징량(CH)에 가까운 특징량(특징량(CH1∼CH11)의 일부)을 가지는 전기 기기의 기종을 대응표(TYCH)를 참조하여 검출한다. 즉, 추정 수단(6A)은, 기종 후보를 검출한다(단계 S12).
또한, 추정 수단(6A)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분류표(CLAS)를 참조하여, 기종 후보를 검출한다(단계 S13). 예를 들어,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이 시간적으로 온과 오프가 반복되어 있고, 접속되는 슬레이브가 시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 추정 수단(6A)은, 분류표(CLAS)를 참조하여,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기종 후보로서 「커피 메이커」 및 「탁상라이트」를 검출한다. 추정 수단(6A)은, 가동 상황이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도, 동일하게 하여 전기 기기의 기종의 후보를 검출한다.
또한, 추정 수단(6A)은,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주위에 기종을 알고 있는 전기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4). 여기서, 주위에 존재하는 전기 기기란, 임계치(wth) 이상의 중요도(w)에 의해,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와 관련된 전기 기기를 말한다.
그리고, 단계 S14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주위에 기종을 알고 있는 전기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 일련의 동작은, 단계 S16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4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주위에 기종을 알고 있는 전기 기기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추정 수단(6A)은, 관련표(RLT)를 참조하여,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기종의 후보를 검출한다(단계 S15). 예를 들어,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주위에 기종을 알고 있는 전기 기기로서 “냉장고”가 존재하는 경우, 추정 수단(6A)은,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기종의 후보로서 “전자 렌지”를 검출한다.
단계 S12, 단계 S13 및 단계 S14, S15는, 병행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추정 수단(6A)은, 단계 S12, 단계 S13 및 단계 S14, S15의 후, 검출된 기종의 후보를 종합하고,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기종의 동정(同定)을 행한다(단계 S16). 예를 들어, 단계 S12에 있어서, 기종의 후보로서 “냉장고”, “전자 레인지” 및 “커피 메이커”가 검출되고, 단계 S13에 있어서, 기종의 후보로서 분류표(CLAS)의 서브 분류표(CLAS-2)에 포함되는 “전자 렌지” 및 “천정라이트”가 검출되고, 단계 S15에 있어서, 기종의 후보로서 “전자 렌지”가 검출된 경우, 추정 수단(16A)은, 단계 S16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기종을 “전자 렌지”로 동정한다.
그 후, 추정 수단(6A)은, 1기종으로 동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7), 1기종으로 동정할 수 없는 경우, 다시, 새로운 전력 소비 데이터가 얻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주위의 전기 기기의 기종이 판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8). 단계 S18은, 새로운 전력 소비 데이터가 얻어졌다고 판정되기까지, 반복 실행되고, 단계 S18에 있어서, 새로운 전력 소비 데이터가 얻어졌다고 판정되면, 일련의 동작은, 단계 S12∼단계 S14로 되돌아가, 상술한 단계 S12∼단계 S18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단계 S18은, 단계 S17에 있어서 1기종으로 동정할 수 없는 경우에 실행되므로, 단계 S12∼단계 S14로 되돌아가, 기종을 더욱 좁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단계 S17에 있어서, 1기종으로 동정할 수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추정 수단(6A)은, 측정된 전력 소비 데이터(=가동 상황)가 동정된 기종과 함께,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하고, 동정된 기종을 제어 수단(3A) 및 송수신 수단(2)을 통해 슬레이브에 통지한다(단계 S19). 그리고,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다.
도 21은, 전기 기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대응표의 개념도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대응표(TBL-1)는, 도 7에 도시하는 대응표(TBL)의 전기 기기란의 A∼J를 냉장고 및 전자 렌지 등의 전기 기기의 기종으로 대신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각 전기 기기의 기종이 동정되면, 대응표(TBL-1)가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된다.
도 22는,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일 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추정 수단(6A)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사용 개시를 검지한다(단계 S21).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도 2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각 전기 기기의 기종이 동정되어 있으므로, 그 동정된 전기 기기의 기종에 의거하여,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타이머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인지 여부, 또는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2).
그리고, 단계 S22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타이머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라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라고 판정되었을 때, 추정 수단(6A)은,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는, 판정 불가능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23).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타이머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일 때, 또는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일 때, 그 전기 기기는, 타이머 기능 또는 네트워크 제어 기능에 의해 기동될 수 있으므로, 거주자가 그 전기 기기를 기동시켰는지 여부가 불명확하다. 여기서, 단계 S22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타이머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라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라고 판정되었을 때,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는, 판정 불가능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단계 S22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타이머 기능 및 네트워크 제어 기능의 양쪽을 가지지 않는 전기 기기라고 판정되었을 때, 추정 수 단(6A)은, 다시, 동정된 전기 기기의 기종에 의거하여,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적외선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4).
단계 S24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적외선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 그 전기 기기는, 거주자에 의해 온되게 되므로, 추정 수단(6A)은,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의 바로 가까이에 거주자가 있는 것을 검지한다(단계 S25).
한편, 단계 S24에 있어서,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가 적외선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기 기기라고 판정되었을 때, 추정 수단(6A)은, 사용이 개시된 전기 기기로부터 적외선 원격 제어가 가능한 범위에 거주자가 있는 것을 검지한다(단계 S26).
그리고, 단계 S23, 단계 S25 및 단계 S26중 어느 하나의 후,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다.
또한, 추정 수단(6A)은, 단계 S22 및 단계 S24를 실행함으로써, 각 전기 기기의 기능을 판정하게 된다.
추정 수단(6A)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의 사용 개시를 검지하면, 상술한 도 2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각 전기 기기의 기종을 동정하고, 그 후, 도 22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각 전기 기기의 기능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기능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
추정 수단(6A)은, 각 전기 기기의 기종, 각 전기 기기의 기능 및 각 전기 기 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면, 그 추정한 전기 기기의 기종, 전기 기기의 기능 및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각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및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에 가미하여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판정한다.
도 23은, 전기 기기의 다른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추정 수단(6A)은, 도 23에 나타내는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도 9에 나타내는 가동 상황과 동일하게 하여 작성한다. 화살표 61∼64는, 각각, 전기 기기(A∼D)의 가동 상황을 나타낸다. 또한, 별표(65∼67)는, 전기 기기(E)의 사용 개시 시를 나타낸다.
추정 수단(6A)은, 화살표 61, 62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A)와 전기 기기(B)의 거리가, 사람이 양손을 벌려 손이 미치는 범위의 최대한인 임계치(Lth)를 초과하는 거리일 때, 1명의 사람이 전기 기기(A) 및 전기 기기(B)의 사용 개시에 관련되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에, 집(200) 안에는, 2명 이상의 거주자가 살고 있다고 추정한다.
또한, 추정 수단(6A)은, 화살표 63, 64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C)와 전기 기기(D)의 거리가 임계치(Lth)보다도 짧기 때문에, 전기 기기(C)와 전기 기기(D)의 위치 관계는 가깝다고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상술한 기종의 추정으로부터 전기 기기(C)와 전기 기기(D)는, 특성도 유사하고, 전기 기기(C)와 전기 기기(D)의 관련성(=중요도(w)에 의한 중요도매김)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1명의 사람이 전기 기기(C) 및 전기 기기(D)를 조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또한, 추정 수단(6A)은, 별표(65∼67)에 의거하여, 전기 기기(E)가 위치 이동형의 전기 기기라고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도 22에 도시하는 플 로우차트에 따라, 전기 기기(E)의 바로 가까이에 사람이 있다고 추정하므로, 거주자의 한사람이 파선을 따라 이동하고 있다고 추정한다. 즉, 추정 수단(6A)은, 사람의 행동을 추정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마스터(1A)는, 슬레이브(11A∼20A)로부터 수신한 각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각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의 기종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기종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의 기능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기능에 의거하여 각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 그리고, 마스터(1A)는, 각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각 전기 기기의 배치 위치, 각 전기 기기의 기종 및 각 전기 기기와 거주자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 상태에서 주거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거주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제어 수단(3A)은,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된 대응표(TBL-1)를 판독하여 집(200) 안에서 가동하고 있는 전기 기기의 총 전력량을 연산한다. 또한, 제어 수단(3A)은,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A∼20A)의 일부)를 추정 수단(6A)으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제어 수단(3A)은, 연산한 총 전력량이 집(200) 안의 허용 전력량을 초과할 것같다고 판정하면,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 기의 사용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어 신호(LMT)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제어 신호(LMT)를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A∼20A)의 일부)에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슬레이브(11A)가 제어 신호(LMT)를 수신했다고 하면, 슬레이브(11A)의 연속 제어 모듈(119)은, 통신 모듈(111)로부터 제어 신호(LMT)를 받고, 그 받은 제어 신호(LMT)에 의거하여, 배선(116) 내를 입력 콘센트(114)측으로부터 출력 콘센트(115)측으로 흐르는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11A)에 접속된 전기 기기(21)에 공급되는 전력량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총 전력량이 허용 전력량보다도 적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집(200) 안의 거주자가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도 24는, 도 14에 도시하는 마스터(1A)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마스터(1A)의 송수신 수단(2)은, 가정 내에 배치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수신하고(단계 S31), 그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제어 수단(3A)에 출력한다.
제어 수단(3A)은,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대응표(TBL)를 작성하여 데이터 베이스(4)에 격납한다. 검출 수단(5)은, 데이터 베이스(4)로부터 대응표(TBL)을 판독하고, 그 판독한 대응표(TBL)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대 응표(TBL)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가동해 있는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단계 S32). 그리고, 검출 수단(5)은, 검출한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및 상호 위치 관계를 추정 수단(6A) 및 검지 수단(7)으로 출력한다.
그 후, 추정 수단(6A)은, 검출 수단(5)으로부터 받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전기 기기의 기종을 추정한다(단계 S33).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그 추정한 전기 기기의 기종에 의거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전기 기기의 기능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전기 기기의 기능에 의거하여, 거주자와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를 추정한다(단계 S34).
그러면, 추정 수단(6A)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 전기 기기의 기종, 및 거주자와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한다(단계 S35).
그리고, 추정 수단(6A)은, 그 추정한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검지 수단(7) 및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그 후, 검지 수단(7)은,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 및 추정된 인원수에 의거하여, 가정 내로의 침입자를 검지하고(단계 36), 「침입자 유」를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그리고, 알림 수단(8)은, 추정된 인원수 및 행동을 표시하거나, 또는 「침입자 유」를 표시하거나, 또는 「침입자 유」를 나타내는 경보를 울린다(단계 S37).
그 후, 제어 수단(3A)은, 총 전력량이 허용 전력량을 초과할 것같을 때, 제 어 신호(LMT)를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로 송신하고,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의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하도록 슬레이브를 제어한다(단계 S38). 그리고, 일련의 동작은, 종료한다.
상술한 것처럼,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마스터(1A)는, 가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 전기 기기의 기종, 및 거주자와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정 내의 거주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마스터(1A)는, 총 전력량이 허용 전력량을 초과할 것같을 때, 총 전력량이 허용 전력량보다도 적어지도록, 전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 내의 거주자는,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25는,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홈 네트워크(100B)는 도 1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100)의 마스터(1)를 마스터(1B)로 대신하고, 슬레이브(11∼20)를 슬레이 브(11B∼20B)로 대신한 것이며, 그 외는, 홈 네트워크(100)와 동일하다.
마스터(1B)는, 슬레이브(11B∼20B)로부터 수신한 전기 기기(21∼30)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한다.
그리고, 마스터(1B)는,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B∼20B)의 일부)로 송신한다. 이 경우, 라이트는, 도 8에 도시하는 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에 한정되지 않고, 탁상라이트(259)도 포함한다.
마스터(1B)는, 그 외, 마스터(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슬레이브(11B∼20B)는, 각각, 전기 기기(21∼3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슬레이브(11B∼20B) 중,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는, 마스터(1B)로부터 제어 신호(FLH)를 수신하면,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를 점멸시킨다.
슬레이브(11B∼20B)는, 그 외, 슬레이브(11∼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마스터(1B)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마스터(1B)는, 도 6에 도시하는 마스터(1)의 제어 수단(3), 검출 수단(5) 및 검지 수단(7)을 각각 제어 수단(3B), 검출 수단(5B) 및 검지 수단(7B)으로 대신한 것이고, 그 외는, 마스터(1)와 동일하다.
또한, 마스터(1B)에 있어서는, 데이터 베이스(4)는, 현재부터 과거의 시점(예를 들어, 1개월전)까지의 전기 기기,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의 대응표를 격납하고 있다. 또한, 추정 수단(6)은, 추정한 거주자의 인원수를 알림 수단(8)에만 출력한다.
검출 수단(5B)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한 대응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현재부터 과거의 시점(예를 들면, 1주일전)까지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 수단(5B)은, 현재부터 과거의 시점까지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거의 일정한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가동 상황을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으로 한다. 그 후, 검출 수단(5B)은, 통상 사용시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을 검지 수단(7B)에 출력한다.
검출 수단(5B)은, 그 외, 검출 수단(5)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검지 수단(7B)은, 통상 사용시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을 검출 수단(5B)으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검지 수단(7B)은,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 및 현재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수단(7B)은,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 및 현재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현재의 가동 시간이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시간(=기준의 가동 시간)보다 장시간, 사용되고 있는 전기 기기를 검지함으로써, 가정 내의 거주자 의 이상을 검출한다.
검지 수단(7B)은,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 검지 신호(EMG)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이상 검지 신호(EMG)를 제어 수단(3B) 및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제어 수단(3B)은, 검지 수단(7B)으로부터 이상 검지 신호(EMG)를 받으면, 가정 내에 설치된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전기 기기(21∼30) 중의 일부의 전기 기기)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FLH)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슬레이브(11B∼20B)의 일부)에 송신하도록 송수신 수단(2)을 제어한다.
제어 수단(3B)은, 그 외, 제어 수단(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 수단(2)은, 제어 수단(3B)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도 8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4, 17, 18, 19, 20) 대신에 배치되는 슬레이브)로 송신한다.
또한, 알림 수단(8)은, 검지 수단(7B)으로부터의 이상 검지 신호(EMG)에 의거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을 표시한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B)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7을 참조하여, 슬레이브(11B)는, 도 2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에 점멸 모듈(120)을 추가한 것이며, 그 외는, 슬레이브(11)와 동일하다.
점멸 모듈(120)은, 배선(116) 중에 배치된다. 그리고, 점멸 모듈(120)은, 통신 모듈(111)로부터 제어 신호(FLH)를 받으면, 배선(116) 내를 입력 콘센트(114)측으로부터 출력 콘센트(115)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2B∼20B)의 각각은, 도 27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1B)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8은, 도 25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100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을 참조하여,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마스터(1B)는,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1∼단계 S3과 동일한 동작에 따라,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단계 S41∼단계 S43).
그 후, 마스터(1B)의 검출 수단(5B)은,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가동 상황을 검출한다(단계 S44). 그리고, 마스터(1B)의 검출 수단(5B)은, 그 검출한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가동 상황을 검지 수단(7B)에 출력한다.
마스터(1B)의 검지 수단(7B)은,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가동 상황을 검출 수단(5B)으로부터 받고, 그 받은 통상 사용 시의 가동 상황과, 현재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한다(단계 S45).
그리고, 마스터(1B)의 검지 수단(7B)은, 이상 검지 신호(EMG)를 생성하여 제어 수단(3B) 및 알림 수단(8)에 출력한다.
마스터(1B)의 제어 수단(3B)은, 이상 검지 신호(EMG)를 검지 수단(7B)으로부터 받으면, 제어 신호(FLH)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도 8에 도시하는 슬레이브(14, 17, 18, 19, 20) 대신에 배치되는 슬레이브)로 송신하도록 송수신 수단(2)을 제어한다.
그러면, 마스터(1B)의 송수신 수단(2)은, 제어 수단(3B)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에 송신한다.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의 통신 모듈(111)은, 마스터(1B)로부터 제어 신호(FLH)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제어 신호(FLH)를 점멸 모듈(120)에 출력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의 점멸 모듈(120)은, 통신 모듈(111)로부터의 제어 신호(FLH)에 따라, 배선(116) 내를 입력 콘센트(114)측으로부터 출력 콘센트(115)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한다. 그리고, 거실(210), 일본식 방(220) 및 서양식 방(230, 240)에 각각 배치된 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도 8 참조)는, 점멸된다(단계 S46).
그 후, 알림 수단(8)은, 추정된 거주자의 인원수를 표시하거나, 또는 「거주자에게 이상 유」를 표시한다(단계 S47). 이에 따라, 일련의 동작은, 종료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는, 각 전기 기기(21∼30)의 가동 상황으로부터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고, 집(200) 안의 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를 점멸시킨다.
따라서, 집(200) 내의 다른 거주자는, 누군가가 이상인 것을 신속히 알 수 있어, 그 이상이 있는 거주자를 도울 수 있다. 그 결과, 집(200) 안의 거주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는, 마스터(1B)는,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로 송신하는 것에 추가하여, 외출중 또는 먼 곳에 거주하고 있는 집(200) 안의 거주자 가족의 휴대전화기에 「거주자의 이상을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마스터(1B)의 제어 수단(3B)은, 외출중 또는 먼 곳에 거주하고 있는 집(200) 안의 거주자 가족의 휴대전화기의 어드레스가 미리 등록되어 있어, 검지 수단(7B)으로부터 이상 검지 신호(EMG)를 받으면, 제어 신호(FLH)를 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로 송신하도록 송수신 수단(2)을 제어함과 더불어, 외출중 또는 먼 곳에 거주하고 있는 집(200) 안의 거주자 가족의 휴대전화기의 어드레스와, 거주자의 이상을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자 메일을 작성하고, 그 작성한 전자 메일을 송신하도록 송수신 수단(2)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외출중 또는 먼 곳에 살고 있는 집(200) 안의 거주자의 가족도, 거주자의 이상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검지 수단(7B)은, 현재의 가동 시간이 통상 사용시 의 가동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한다고 설명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검지 수단(7B)은, 현재의 가동 시간이 통상 사용시의 가동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도록 해도 되고, 일반적으로는, 현재의 가동 시간이 통상 사용시의 가동 시간과 다른 경우에,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한다.
현재의 가동 시간이 통상 사용시의 가동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 거주자가, 전기 기기를 사용 중에 기분이 안좋아져, 그 전기 기기를 정지시킨 경우도 상정되므로, 현재의 가동 시간이 통상 사용시의 가동 시간보다도 짧은 것을 검지함으로써,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마스터(1B)는,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집(200) 안의 모든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FLH)를 생성하여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로 출력한다고 설명했는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터(1B)는, 주거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집(200) 안의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의 일부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FLH)를 생성하여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의 일부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의 일부로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 중, 천정라이트(254, 257) 및 탁상라이트(259)를 점멸시키는 경우, 마스터(1B)는, 제어 신 호(FLH)를 슬레이브(14B, 17B, 19B)에 출력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4B, 17B, 19B)는, 제어 신호(FLH)에 따라, 각각, 천정라이트(254, 257) 및 탁상라이트(259)를 점멸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마스터(1B)는, 일반적으로는, 집(200) 안의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의 적어도 일부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FLH)를 생성하여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 탁상라이트(259))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의 적어도 일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슬레이브(14B, 17B, 18B, 19B, 20B)의 적어도 일부는, 제어 신호(FLH)에 따라, 대응하여 라이트(천정라이트(254, 257, 258, 260) 및/또는 탁상라이트(259))를 점멸시킨다.
또한, 마스터(1B)는, 외출 중 또는 먼 곳에 살고 있는 집(200) 안의 거주자 가족의 휴대전화기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 메일을 수신 가능한 단말이면, 외출 중 또는 먼 곳에 살고 있는 집(200) 안의 거주자 가족의 어떠한 단말로 「거주자의 이상을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는, 마스터(1B)의 송수신 수단(2) 및 제어 수단(3B)은, 「송신 수단」을 구성한다.
그 외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의 형태 4]
도 29는,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홈 네트워크(300)는, 도 14에 나타내는 홈 네트워크(100A)에 발전 장치(320), 파워 제어 장치(330), 축전 장치(340) 및 전기 자동차(350)를 추가한 것이고, 그 외는, 홈 네트워크(100A)와 동일하다.
슬레이브(11A∼20A)는, 집(200) 안의 전력 계통(310)에 접속되어 있다. 파워 제어 장치(330)는, 발전 장치(320), 축전 장치(340), 전기 자동차(350) 및 전력 계통(3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330)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마스터(1A)와 통신 가능하다.
발전 장치(320)는, 태양 전지 또는 연료 전지로 이루어지고, 전기를 발전하고, 그 발전한 전기를 파워 제어 장치(330)에 공급한다.
파워 제어 장치(330)는, 슬레이브(11A∼20A)에 각각 접속된 전기 기기(21∼30)의 기종을 마스터(1A)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330)는, 발전 장치(320)로부터 발전 전력을 받으면, 그 받은 발전 전력을 전력 계통(310)에 공급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전력회사로부터 전력 계통(310)에 공급되는 전력과 발전 장치(320)로부터 받는 전력의 합계가 전기 기기(21∼30)의 소비 전력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340)에 축전한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정전 시, 전기 기기(21∼30)의 기종에 의거하여, 집(200)의 거주자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전기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기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슬레이브에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전력 계통(310)을 통해 공급한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330)는,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전기 자동 차(35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홈 네트워크(300)는, 집(200)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함과 더불어, 환경에 좋은 깨끗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집(200) 안의 전력 계통(310)에 공급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300)는, 집(200) 안의 소비 전력의 밸런스를 제어하고,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340)에 축전함과 더불어,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전기 자동차(350)에 공급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300)는, 정전 시, 거주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전기 기기의 동작을 확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는,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고 에코라이프를 지낼 수 있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300)를 집(200)에 적용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30을 참조하여, 발전 장치(320)는, 태양전지로 이루어지고, 집(200)의 지붕에 설치된다. 파워 제어 장치(330)는, 마스터(1A)와 동일한 서양식 방(240)에 설치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300)를 이용함으로써, 집(200)의 거주자는, 쾌적한 에코라이프가 가능하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300)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홈 네트워크(300)의 마스터(1A)는, 도 24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하여, 침입자를 검지하고, 총 전력량이 허용 전력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단계 S51).
그리고, 발전 장치(320)는, 발전하고, 파워 제어 장치(330)는, 발전 장치(32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가정 내의 전력 계통(310)에 공급한다(단계 S52).
그 후,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과 발전 전력의 합이 집(200) 안의 전기 기기(21∼30)의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잉여 전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3). 그리고, 잉여 전력 유로 판정되면, 파워 제어 장치(330)는,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340)에 축전한다(단계 S54).
계속해서,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정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55), 정전이 발생했을 때, 거주자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전기 기기에 축전 장치(340)로부터 전력을 공급한다(단계 S56).
한편, 정전이 발생하지 않을 때, 파워 제어 장치(330)는, 축전 장치(340)로부터 전기 자동차(350)에 전력을 공급한다(단계 S57). 그리고,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300)는, 전기 자동차(350)에 대신하여 하이브리드차를 구비해도 되고, 일반적으로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주행 가능한 자동차를 구비하면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발전 장치(320), 축전 장치(340) 및 전기 자동차(350)는, 별개로 기재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전 장치(320) 및/또는 축전 장치(340)는, 전기 자동차(350)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32를 참조하여, 지역 네트워크(400)는, 홈 네트워크(401∼40i)(i는 2이상의 정수)와, 전력 제어 장치(410)를 구비한다.
홈 네트워크(401∼40i)의 각각은, 도 29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300)로 이루어진다. 전력 제어 장치(410)는, 배선(420)에 의해 홈 네트워크(401∼40i)의 파워 제어 장치(330)에 접속된다.
전력 제어 장치(410)는, 홈 네트워크(401∼40i)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전력의 교환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410)는, 홈 네트워크(401)가 설치된 가정에 있어서 잉여 전력이 발생하고, 홈 네트워크(40i)가 설치된 가정에 있어서 전력 부족이 발생할 때,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배선(420)을 통해 자기에게 보내도록 홈 네트워크(401)의 파워 제어 장치(330)에 요구한다.
홈 네트워크(401)의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전력 제어 장치(4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배선(420)을 통하여 전력 제어 장치(410)로 보낸다. 전력 제어 장치(410)는, 홈 네트워크(401)로부터 보내진 전력을 홈 네트워크(40i)의 파워 제어 장치(330)에 공급한다.
홈 네트워크(40i)의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전력 제어 장치(410)로부터의 전력을 가정 내의 전력 계통(3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401)에서 발생한 잉여 전력을 전력이 부족한 홈 네트워크(40i)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지역 내에 있어서 전력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지역 내의 거주자는, 안전하고, 또한, 안심인 에코라이프를 지낼 수 있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하는 지역 네트워크(400)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여, 홈 네트워크(401∼40i)는, 각각, 집(201∼20i)에 설치된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410)는, 배선(420)에 의해 홈 네트워크(401∼40i)의 파워 제어 장치(330)에 접속된다.
전력 제어 장치(410)는, 홈 네트워크(401∼40i)의 상호간에 있어서의 전력의 교환을 제어하고, 집(201∼20i)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지역 내의 거주자는, 안전하고, 또한 안심인 에코라이프를 지낼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34는,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를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홈 네트워크(500)는, 도 1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100)에 사용자 단말(510), 축전 장치(520), 데이터 베이스(530) 및 전력 계통(540)을 추가한 것이며, 그 외는, 홈 네트워크(100)와 동일하다.
사용자 단말(510)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53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5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정전 정보를 사전에 수신한다. 이 정전 정보는, 정전 개시 시각 및 정전 계속 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510)은, 정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정전 정보를 축전 장치(520)에 송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510)은, 축전 장치(520)에 접속된 전기 기기(전기 기기(21∼30의 일부)의 정보를 축전 장치(520)로부터 받고, 그 받은 전기 기기의 정 보에 의거하여, 축전 장치(520)에 접속된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 상황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510)은, 축전 장치(520)의 운전 상태가 바뀐것을 축전 장치(520)로부터 받으면, 축전 장치(520)의 운전 상태가 바뀐 것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510)은, 축전 장치(520)의 잔류 전력에 의거하는 전력 공급의 우선 제어를 축전 장치(520)가 행하는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한다.
축전 장치(5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530)에 접속되어 있고, 발전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발전한 전력을 축적한다. 또한, 축전 장치(520)는, 자기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로 출력한다.
또한, 축전 장치(520)는, 정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수신하고, 각종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과 전기 기기의 종별의 대응표를 데이터 베이스(530)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축전 장치(520)는, 각 전기 기기(21∼30)의 사용에 대한 우선도를 유지하고 있고, 정전이 개시되는 시각이 가까워지면, 나머지 전력량을 연산한다. 그 후, 축전 장치(520)는, 각 전기 기기(21∼30)의 사용에 대한 우선도, 나머지 전력량 및 자기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축전 장치(520)는,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한다고 판정한 경우, 정전이 개시되면, 자기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전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축전 장치(520)는,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정전이 개시되면, 우선도가 높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하고(100%의 전력량을 공급),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한(예를 들어, 90%의 전력량으로 제한)한다.
축전 장치(520)는, 우선도에 따라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경우, 우선도에 의거하는 제어 중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510)에 출력한다.
또한, 축전 장치(520)는, 정전 시간대 중에, 자기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가 변화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530)로부터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자기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 및 축적하고 있는 전력량을 재계산하고, 그 재계산한 소비 전력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정전시의 전력 제어를 행한다.
데이터 베이스(530)는, 각종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 및 각 전기 기기의 종별 라이트를 서로 대응시켜 격납한다.
전력 계통(540)은, 축전 장치(520)와, 전기 기기(21∼30) 중, 정전 시간대 중에 동작시킬 필요가 있는 전기 기기에 접속된다. 이 경우, 전력 계통(540)은, 정전 시간대 중에 동작시킬 필요가 있는 전기 기기와, 축전 장치(520)를 별도의 배선에 의해 접속한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하는 축전 장치(5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를 참조하여, 축전 장치(520)는, 파워 제어 장치(521)와, 콘센트(531∼534)와, 축전부(535)를 포함한다.
파워 제어 장치(521)는, 정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수신하고, 각종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과 전기 기기의 종별 대응표(PST)를 데이터 베이스(530)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521)는, 축전부(535)로부터 각 콘센트(531∼534)로의 전력의 공급량을 감시하고 있고, 각 콘센트(531∼53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량의 시간 변화를 계측함으로써 각 콘센트(531∼534)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취득한다.
그러면, 파워 제어 장치(521)는, 계측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과, 데이터 베이스(53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비교하여, 계측한 전력 사용 상황에 일치하는 전력 사용 상황을 각종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으로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521)는, 대응표(PST)를 참조하여, 그 검출한 전력 사용 상황에 대응하는 종별을 검출한다.
파워 제어 장치(521)는, 이 처리를 각 콘센트(531∼535)에 대해서 행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521)는, 각 전기 기기(21∼30)의 사용에 대한 우선도를 유지하고 있고, 콘센트와, 전기 기기의 종별과, 전기 기기의 사용의 우선도와,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서로 대응시켜 전기 기기의 정보=[콘센트/전기 기기의 종별/우선도/제어 방법]를 작성하고, 그 작성한 전기 기기의 정보=[콘센트/전기 기기의 종별/우선도/제어 방법]를 사용자 단말(510)에 송신한다. 또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은, 그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제한하고 있는지 제한하고 있지 않은지로 이루어지고, 전력량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 100%로 이루어지고, 제한하고 있는 경우, 제한 후의 전력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521)는, 정전이 개시되는 시각이 근접하면, 축전부(535)에 축적된 나머지 전력량을 연산한다. 그 후, 파워 제어 장치(521)는, 각 전기 기기(21∼30)의 사용에 대한 우선도, 나머지 전력량 및 각 콘센트(531∼535)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 장치(521)는,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한다고 판정한 경우, 정전이 개시되면, 콘센트(531∼535)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전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521)는,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정전이 개시되면, 우선도가 높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하고(100%의 전력량을 공급),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한(예를 들어, 90%의 전력량으로 제한)한다.
파워 제어 장치(521)는, 우선도에 따라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우선도에 의거하는 전력의 제어 중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510)에 출력한다.
또한, 파워 제어 장치(521)는, 정전 시간대 중에, 축전 장치(520)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가 변화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530)로부터 수신한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콘센트(531∼534)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 및 축전부(535)의 나머지 전력량을 재계산하고, 그 재계산한 소비 전력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정전 시의 전력 제어를 행한다.
또한, 사용의 우선도가 높은 전기 기기인지 사용의 우선도가 낮은 전기 기기인지는, 예를 들어, 제3위의 우선도를 기준치로 하여, 기준치보다도 높은 우선도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도 36은, 정전되지 않을 때에 사용자 단말(510)이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7은, 정전 시에 사용자 단말(510)이 표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510)은, 전기 기기의 정보=[콘센트/전기 기기의 종별/우선도/제어 방법]을 축전 장치(520)의 파워 제어 장치(521)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전기 기기의 정보=[콘센트/전기 기기의 종별/우선도/제어 방법]에 의거하여, 정전되지 않을 때의 전기 기기의 정보로서 도 36에 도시하는 전기 기기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 정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기 기기의 우선도에 관계없이, 각 전기 기기(드라이어, 램프, 히터 및 텔레비젼)에는, 100%의 전력량이 공급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510)은, 전기 기기의 정보=[콘센트/전기 기기의 종별/우선도/제어 방법]를 축전 장치(520)의 파워 제어 장치(521)로부터 받고, 그 받은 전기 기기의 정보=[콘센트/전기 기기의 종별/우선도/제어 방법]에 의거하여, 정전 시의 전기 기기의 정보로서 도 37에 도시하는 전기 기기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램프 및 히터에는, 100%의 전력량이 공급되고,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낮은 텔레비젼 및 드라이어에는, 각각, 90% 및 80%의 전력량이 공급된다.
정전이 된 경우, 램프는, 집(200) 안의 빛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하므로, 우선도가 가장 높고, 히터는, 추위를 막기 위해서 필요하므로, 우선도가 2번째로 높다. 또한, 텔레비젼은, 정전의 복구에 관한 정보 등을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하지만, 정전 시의 전기 기기로서 필수는 아니므로, 우선도가 기준치 이하의 3번째이다. 또한, 드라이어는, 정전시에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낮은 4번째이다.
그리고, 축전부(535)에 축적된 전력량이 드라이어, 램프, 히터 및 텔레비젼의 모든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량보다도 적기 때문에, 드라이어, 램프, 히터 및 텔레비젼의 우선도에 따라, 드라이어 및 텔레비젼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전 시에 필수적인 전기 기기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집(200) 안의 거주자는, 정전 시에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하는 홈 네트워크(500)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8을 참조하여,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면, 마스터(1)는, 도 10에 도시하는 단계 S1∼단계 S3와 동일한 동작에 따라, 집(200) 안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한다(단계 S61∼단계 S63). 그리고, 마스터(1)는, 추정한 인원수를 표시한다(단계 S64).
그 후, 축전 장치(520)의 파워 제어 장치(521)는, 정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정전 정보의 정전 개시 시각이 가까워지면, 축전부(535)에 남아 있는 전력량 및 콘센트(531∼534)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을 연산한다.
그리고, 축전 장치(520)의 파워 제어 장치(521)는, 축전부(535)에 남아 있는 전력량이 콘센트(531∼534)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5).
단계 S65에 있어서, 축전부(535)에 남아 있는 전력량이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 이상이라고 판정되고, 정전이 개시되면(단계 S66), 축전 장치(520)의 파워 제어 장치(521)는, 7개의 전기 기기(A∼C, E, F, H, I)의 전체에 100%의 전력을 축전부(535)로부터 공급한다(단계 S67).
한편, 단계 S65에 있어서, 축전부(535)에 남아 있는 전력량이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보다도 적다고 판정되고, 정전이 개시되면(단계 S68), 축전 장치(520)의 파워 제어 장치(521)는,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큰 전기 기기에 100%의 전력을 축전부(535)로부터 공급하고, 우선도가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에 전력을 제한하여 공급한다(단계 S69).
그리고, 단계 S67 또는 단계 S69의 후, 사용자 단말(510)은, 축전 장치(520)로부터 수신한 전기 기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전력의 제어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70). 이에 따라,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정전 정보를 미리 취득하고, 축전 장치(520)에 축적된 전력량이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보다도 적은 경우에도, 정전 시에 사용할 필요가 있는 전기 기기(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큰 전기 기기)에는, 제한하지 않고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는, 정전 시에 필요한 전기 기기의 사용을 확보할 수 있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
그 외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의 추정, 거주자의 이상 검지, 가정 내 및 지역 내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도 39는,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를 참조하여, 컴퓨터(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01)와, ROM(Read Only Memory)(602)과, RAM(Randum Access Memory)(603)과, CRT(604)와, 스피커(605)와, 데이터 베이스(606)와, 버스(BS)를 구비한다.
CPU(601), ROM(602), RAM(603), CRT(604), 스피커(605) 및 데이터 베이스(606)는, 버스(BS)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ROM(602)은, 도 10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도 20, 도 22 및 도 24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도 28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도 31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및 도 38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분류표(CLAS), 대응표(TYCH) 및 관련표(RLT)를 격납한다. RAM(603)은,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CPU(601)는, ROM(602)에 격납된 각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거주 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하여,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하고, 침입자를 검지함과 더불어, 가정 내의 전력 밸런스를 조정한다. 그리고, CPU(601)는, 추정한 거주자의 인원수 및 거주자의 행동을 데이터 베이스(606)에 축적함과 더불어 CRT(604)에 표시하고, 침입자를 검지했을 때, 「침입자 유」를 CRT(604)에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605)에 의해 경보를 울린다. 또한, CPU(601)는, 거주자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 집(200) 내의 라이트를 점멸시킴과 더불어, 「거주자의 이상 유」를 CRT(604)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ROM(602)은, CPU(601)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므로, 컴퓨터(CPU)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성한다.
도 40 및 도 41은, 슬레이브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에 있어서는, 슬레이브(11∼20, 11A∼20A, 11B∼20B)는, 도 3에 나타내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레이브(11∼20, 11A∼20A, 11B∼20B)는,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슬레이브(70, 80)로 이루어져도 된다. 도 40을 참조하여, 슬레이브(70)는, IC 태그 리더부(113)와, 1개의 입력 콘센트(114)와, 3개의 출력 콘센트(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IC 태그 리더부(113)는, 슬레이브(70)의 본체부(71) 및 입력 콘센트(114)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
도 41을 참조하여, 슬레이브(80)는, 본체부(81)와, 출력 콘센트(82)를 구비한다. 출력 콘센트(82)는, 리드선에 의해 본체부(81)에 접속된다. 그리고, 본체부(81)는, 벽(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출력 콘센트(82)는, 벽(40)에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81)는, 위치 메모리부(83)를 가지고, 위치 메모리부(83) 는, 슬레이브(80)가 배치된 위치 정보를 기억함과 더불어, 위치 판정 모듈(112)에 접속된다. 그리고, 본체부(81)는, 집(200) 내의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받는다. 또한, 슬레이브(80)에 있어서는, 위치 메모리부(83)와 위치 판정 모듈(112)을 일체화해도 된다.
이와 같이, 슬레이브(11∼20, 11A∼20A, 11B∼20B)는, 각종 형태로 이루어져도 되고, 일반적으로는, 슬레이브(11∼20, 11A∼20A, 11B∼20B)가 배치된 위치를 알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IC 태그 리더(113)에 의해 콘센트의 위치(=전기 기기(21∼30)의 위치)를 검출한다고 설명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네트워크(100, 100A, 100B, 300, 401∼40i, 500)의 마스터(1, 1A, 1B)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 가정 내에 배치된 콘센트의 위치(=전기 기기(21∼30)의 위치)를 알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레이브(11∼20) 또는 슬레이브(11A∼20A) 또는 슬레이브(11B∼20B)는,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모듈」을 구성하고, 전기 기기(20∼30)는, 「n개의 전기 기기」를 구성한다.
또한, 전기 기기(20∼30) 중,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전기 기기는, 「m(m은 2≤m≤n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를 구성한다.
또한, 전기 기기(20∼30)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기기는, 「j(j는 1≤m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를 구성한다.
또한, 전기 기기(20∼30) 중, 거주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전기 기기는, 「k(k는 k≤n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를 구성한다.
또한, 송수신 수단(2) 및 제어 수단(3B)은, 「송신 수단」을 구성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가능한 홈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가정 내의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 가능한 홈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내의 거주자에게 안전하고, 또한, 안심된 생활을 제공 가능한 홈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 내의 거주자에게 안전하고, 또한, 안심된 에코라이프를 제공 가능한 지역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적용된다.

Claims (20)

  1. 가정 내에 배치된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21∼30)와,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검출하는 n개의 모듈(11∼20, 11A∼20A)과,
    상기 n개의 모듈(11∼20, 11A∼20A)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m(m은 2≤m≤n을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모듈(11∼20, 11A∼20A)로부터 송신된 n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5)과,
    상기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상기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6, 6A)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인원수와 상기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추정된 인원수에 따른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상기 가정으로의 침입자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7)과,
    상기 검지 수단(7)에 의해 침입자가 검지되면, 상기 침입자의 검지를 상기 거주자에게 알리는 알림 수단(8)을 더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 중 적어도 1개의 가동 시간이 기준의 가동 시간과 다른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거주자에게 이상(異常)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7B)과,
    상기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되면,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 중 라이트(light)(254, 257, 258, 259, 260)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FLH)를 상기 라이트(254, 257, 258, 259, 260)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모듈(14B, 17B, 18B, 19B, 20B)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하는 제어 수단(3B)을 더 구비하고,
    상기 라이트(254, 257, 258, 259, 260)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모듈(14B, 17B, 18B, 19B, 20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어 신호(FLH)에 따라, 상기 라이트(254, 257, 258, 259, 260)로 이루어지는 전기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점멸시키는, 홈 네트워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되면, 상기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 메시지를 상기 거주자 가족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2, 3B)을 더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6, 6A)은,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의 특성에 따른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의 분류표(CLAS)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m개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종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m개의 기종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능을 추정하고, 그 추정한 m개의 기능에 의거하여, 상기 거주자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고, 그 추정한 위치 관계를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가미하여 상기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함과 더불어 상기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하는, 홈 네트워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모듈(11∼20, 11A∼20A)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총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m개의 전기 기기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j(j는 j≤m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상기 총 전력량이 상기 임계치보다도 낮아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LMT)를 생성하여 상기 j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j개의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3A)을 더 구비하고,
    상기 j개의 모듈의 각각은, 상기 제어 신호(LMT)의 수신에 따라,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제한하는, 홈 네트워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정에 설치된 발전 장치(320)와,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장치(340)와,
    상기 가정 내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제어하는 파워 제어 장치(3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워 제어 장치(330)는, 상기 발전 장치(320)에 의해 발전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의 합계가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적하는, 홈 네트워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장치(330)는, 정전 시,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상기 거주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k(k는 k≤n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k개의 전기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k개의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k개의 모듈의 각각은, 상기 파워 제어 장치(33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콘센트로부터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홈 네트워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장치(330)는,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350)에 공급하는, 홈 네트워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장치(535)와,
    정전 정보를 미리 보유함과 더불어, 상기 가정 내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제어하는 파워 제어 장치(5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워 제어 장치(521)는, 상기 정전 정보에 의거하여 정전의 개시 시각을 검지하면, 상기 m개의 전기 기기 중,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전기 기기의 가동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을 상기 축전 장치(535)로부터 상기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전기 기기로 공급하고, 상기 축전 장치(535)에 축적된 전력량과 상기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의 우선도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로의 상기 축전 장치(535)로부터의 전력 공급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의 우선도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로의 상기 축전 장치(535)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한 또는 유지하는, 홈 네트워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장치(521)는, 상기 정전 중에, 상기 m개의 전기 기기가 증감했을 때, 상기 축전 장치(535)에 축적된 전력량 및 상기 축전 장치(535)에 접속된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을 재계산하고, 그 재계산 후의 전력량 및 소비 전력을 이용 하여, 상기 사용의 우선도가 기준치보다도 높은 전기 기기 및 상기 사용의 우선도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 전기 기기로의 상기 축전 장치(535)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12. 복수의 가정에 배치된 복수의 홈 네트워크(401∼40i)와,
    상기 복수의 홈 네트워크(401∼40i)간에 있어서의 전력의 교환을 행하는 전력 제어 장치(41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홈 네트워크(401∼40i)의 각각은,
    가정 내에 배치된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21∼30)와,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전기 기기에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대응하는 전기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 및 배치 위치를 검출하는 n개의 모듈(11∼20, 11A∼20A)과,
    상기 n개의 모듈(11∼20, 11A∼20A)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m(m은 2≤m≤n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n개의 모듈(11∼20, 11A∼20A)로부터 송신된 n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5)과,
    상기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상기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6, 6A)과,
    상기 가정 내에 설치된 발전 장치(320)와,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장치(340)와,
    상기 가정 내에 있어서의 전력 밸런스를 제어하는 파워 제어 장치(330)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제어 장치(330)는, 상기 발전 장치(320)에 의해 발전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의 합계가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에 의해 사용되는 총전력량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적하고,
    상기 전력 제어 장치(410)는, 전력이 남아 있는 가정의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전력이 부족한 가정의 상기 축전 장치(340)에 공급하는, 지역 네트워크.
  13. 수신 수단(501)이, 가정 내에 배치된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21∼30)의 n개의 전력 사용 상황 및 n개의 배치 위치를 수신하는 제1의 단계와,
    검출 수단(501)이, 상기 수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m(m은 2≤m≤n를 만족하는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을 검출하고, 상기 수신된 n개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제2의 단계와,
    추정 수단(501)이, 상기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상기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제3의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검지 수단(501)이, 상기 추정된 인원수와 상기 검출된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추정된 인원수에 따른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의 실현성을 판정하여 상기 가정으로의 침입자를 검지하는 제4의 단계와,
    알림 수단(504, 505)이, 상기 검지 수단(501)에 의해 침입자가 검지되면, 상기 침입자의 검지를 상기 거주자에게 알리는 제5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단계는,
    상기 추정 수단(501)이,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의 특성에 따른 상기 n개의 전기 기기의 분류표(CLAS)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m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종을 추정하는 제1의 서브 단계와,
    상기 추정 수단(501)이, 상기 추정한 m개의 기종에 의거하여,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각각의 기능을 추정하는 제2의 서브 단계와,
    상기 추정 수단(501)이, 상기 추정한 m개의 기능에 의거하여, 상기 거주자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는 제3의 서브 단계와,
    상기 추정 수단(501)이, 상기 추정한 위치 관계를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상호 위치 관계와 상기 m개의 전기 기기의 가동 상황에 가미하여 상기 가정 내의 거주자의 인원수를 추정함과 더불어 상기 거주자의 행동을 추정하는 제4의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연산 수단(501)이,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에 대응하여 설치된 n개의 모듈(11∼20, 11A∼20A)로부터 송신된 n개의 전력 사용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연산하는 제6의 단계와,
    제어 수단(501)이, 상기 연산된 총 전력량이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m개의 전기 기기 중, 동작 상태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j(j는 j≤m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상기 총 전력량이 상기 임계치보다도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제7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파워 제어 장치(501)가, 상기 가정 내에 배치된 발전 장치(320)에 의해 발전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의 전력의 합계가 상기 n개의 전기 기기(21∼30)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량을 초과할 때, 잉여 전력을 축전 장치(340)에 축적하는 제6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장치(501)가, 정전 시,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상기 거주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k(k는 k≤n를 만족하는 양의 정수)개의 전기 기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7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장치(501)가, 상기 축전 장치(340)에 축전된 전력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350)에 공급하는 제7의 단계를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삭제
KR1020097026083A 2007-06-13 2008-06-10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49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55986 2007-06-13
JP2007155986 2007-06-13
PCT/JP2008/001473 WO2008152798A1 (ja) 2007-06-13 2008-06-10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それを用いた地域ネットワーク、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作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602A KR20100021602A (ko) 2010-02-25
KR101449780B1 true KR101449780B1 (ko) 2014-10-14

Family

ID=4012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083A KR101449780B1 (ko) 2007-06-13 2008-06-10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34771B2 (ko)
EP (1) EP2161694B9 (ko)
JP (1) JP5130293B2 (ko)
KR (1) KR101449780B1 (ko)
WO (1) WO2008152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5332B2 (en) * 2005-06-09 2013-12-24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urrent attenuator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pliances
US8880907B2 (en) * 2007-06-21 2014-11-04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hysical location of equipment
US8433452B2 (en) * 2008-09-15 2013-04-30 Aclara Power-Line Systems, Inc. Method for load control using temporal measurements of energy for individual pieces of equipment
JP2011055121A (ja) * 2009-08-31 2011-03-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10082599A1 (en) * 2009-10-06 2011-04-07 Makarand Shinde Optimizing Utility Usage by Smart Monitoring
JP5058245B2 (ja) * 2009-12-28 2012-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US9213050B2 (en) * 2010-08-30 2015-12-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layed meter reporting
US8510255B2 (en) * 2010-09-14 2013-08-13 Nest Labs, Inc. Occupancy pattern detection, estimation and prediction
US8543251B2 (en) * 2010-12-20 2013-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entralized fine grade control of device energy consumption
US8355805B2 (en) * 2011-03-08 2013-01-15 D. Light Desig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ppliances
JP5664401B2 (ja) * 2011-03-28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電源装置、電源管理装置、電源装置の接続位置検出方法及び電源システム
JP5087153B2 (ja) * 2011-03-29 2012-11-28 株式会社東芝 行動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3477527B (zh) * 2011-04-18 2015-12-09 京瓷株式会社 控制设备、电力控制系统和电力控制方法
JP5837322B2 (ja) * 2011-04-18 2015-12-24 京セラ株式会社 制御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方法
US20140143189A1 (en) 2011-07-13 2014-05-22 Nitto Denko Corporation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program
KR101420583B1 (ko) 2011-07-13 2014-07-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온디맨드형 전력 제어 시스템, 온디맨드형 전력 제어 시스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720519B2 (ja) * 2011-09-29 2015-05-20 富士通株式会社 席替え推測装置,席替え推測プログラムおよび席替え推測方法
JP5578161B2 (ja) * 2011-11-29 2014-08-27 株式会社安川電機 電源システム
JP2013251957A (ja) * 2012-05-30 2013-12-12 Hitachi Ltd 電力供給システム
JP5641584B2 (ja) * 2012-06-15 2014-12-17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電気機器判別装置、電気機器判別システム、電気機器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662763A (zh) 2012-07-13 2015-05-27 日东电工株式会社 按需型多个电源管理系统、按需型多个电源管理系统程序以及记录有该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5851359B2 (ja) * 2012-07-18 2016-02-03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蓄電池制御システム
US20140371942A1 (en) 2013-01-11 2014-12-18 Nitto Denko Corporation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program
JP6396436B2 (ja) * 2013-05-31 2018-09-26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ケーブルから負荷への電力の制御
FR3008207B1 (fr) * 2013-07-04 2016-12-02 M Et R Energies Unite et procede de regulation energetique d'un systeme de production et de consommation electrique
JP6160383B2 (ja) * 2013-09-11 2017-07-12 株式会社リコー 二次電池を用いた電力制御システム
US20150346249A1 (en) * 2014-05-28 2015-12-03 Emanate Wireless, Inc. Usage state detection with ac-powered tags
JP5877530B1 (ja) * 2014-09-03 201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JP2016116110A (ja) * 2014-12-16 2016-06-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US9520049B2 (en) * 2014-12-30 2016-12-13 Google Inc. Learned overrides for home security
US10419877B2 (en) 2015-10-07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128659B2 (en) * 2016-05-12 2018-11-13 Solarcity Corporation Energy generation interactions bypassing the grid
JP6793376B2 (ja) * 2016-11-25 2020-12-02 トーマ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生活反応検知システム、生活反応検知装置および生活反応検知方法
US11138485B2 (en) 2018-11-01 2021-10-05 Emanate Wireless, Inc. Usage, condition and location tag and system
KR20210090714A (ko) * 2019-02-01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장치
KR20210089783A (ko) * 2019-02-01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장치
US20210302198A1 (en) * 2020-03-25 2021-09-30 Melink Solar & Geo, Inc. Load monitoring and control by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FR3125186A1 (fr) * 2021-07-07 2023-01-13 Orange Procédé de gestion de consommation en énergie des équipements d’un réseau de communication local, dispositif de gestion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KR102514544B1 (ko) * 2022-06-22 2023-03-29 주식회사 비담 하수처리장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569A (ja) 2001-12-28 2003-09-12 Atsushi Matsushita 電気機器の遠隔検出方法及び遠隔制御方法並びに遠隔制御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コンセント
JP2005122528A (ja) 2003-10-17 2005-05-12 Sony Corp 監視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33468A (ja) 2005-11-08 2007-05-31 Ntt Facilities Inc 建物環境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224A (en) * 1994-09-22 1996-01-09 Kitty Rankin, In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curity in the vicinity of a location perimeter
US6906617B1 (en) * 2000-11-17 200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lligent appliance home network
US20070220907A1 (en) * 2006-03-21 2007-09-27 Ehlers Gregory A Refrigeration monitor unit
US8208634B2 (en) 2004-04-16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 based enhanced security of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569A (ja) 2001-12-28 2003-09-12 Atsushi Matsushita 電気機器の遠隔検出方法及び遠隔制御方法並びに遠隔制御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コンセント
JP2005122528A (ja) 2003-10-17 2005-05-12 Sony Corp 監視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133468A (ja) 2005-11-08 2007-05-31 Ntt Facilities Inc 建物環境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30293B2 (ja) 2013-01-30
JPWO2008152798A1 (ja) 2010-08-26
US8334771B2 (en) 2012-12-18
EP2161694A1 (en) 2010-03-10
KR20100021602A (ko) 2010-02-25
EP2161694B9 (en) 2016-11-23
WO2008152798A1 (ja) 2008-12-18
EP2161694A4 (en) 2010-12-01
US20100141442A1 (en) 2010-06-10
EP2161694B1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780B1 (ko) 홈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지역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62415B1 (ko) 온디맨드형 전력 제어 시스템, 온디맨드형 전력 제어 시스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A2926423C (en) Automated crowdsourced power outage identification and staggering of hvac system restarts
JP5688548B2 (ja) 電気機器の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JP4713252B2 (ja) 機器監視制御システム
JP5324386B2 (ja) 在宅確認システムおよび在宅確認方法
US20120061480A1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ockable to a base thermostat
US20140248802A1 (en) Smart tap
JP3943960B2 (ja) 電気機器の状態情報にもとづいた生活見守り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004394A (ja) 電源コンセント監視システム、その監視方法及び電源コンセント装置
EP2348608B1 (en) Method, system and sensor for identifying an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o a mains grid
US914295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2003259569A (ja) 電気機器の遠隔検出方法及び遠隔制御方法並びに遠隔制御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コンセント
US2014031695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nergy account management
CN104199398A (zh) 一种智能家居系统和其控制方法
JP2017017777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10127032A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263818B2 (ja) 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状態判定システム
US20230419672A1 (en) Configurable modular devices and other systems and methods
KR102383510B1 (ko) 전력선 통신 및 IoT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화재 감지 방법
KR20080007825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CN208044390U (zh) 基于物联网的家用安防控制装置
JP538624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5962445B2 (ja) 分電盤
KR101665019B1 (ko) 전력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