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22B1 -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22B1
KR101449722B1 KR1020120083955A KR20120083955A KR101449722B1 KR 101449722 B1 KR101449722 B1 KR 101449722B1 KR 1020120083955 A KR1020120083955 A KR 1020120083955A KR 20120083955 A KR20120083955 A KR 20120083955A KR 101449722 B1 KR101449722 B1 KR 10144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bolt member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450A (ko
Inventor
전현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filed Critical 전현철
Publication of KR2012009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쉽고 간편하게 시트 및 시트커버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며, 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조작레버와: 양변기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고정공에 삽입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제1 시트고정공에 삽입된 제1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1 너트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고정체와: 양변기 상면에 놓여져 회전 개방 가능하고, 제1 볼트부재에 연결되며, 말단에 제1 돌출턱이 형성된 시트: 및 한쪽이 제1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제1 관통홀을 통해 제1 돌출턱에 연결되며, 제1 조작레버의 동작에 따라 시트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제1 연결줄: 을 포함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SEAT BODY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쉽고 간편하게 시트 및 시트커버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며, 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또는 소규모 업소 등에서는 별도의 소변기가 설치되지 않아 좌변기를 사용하여 대소변을 처리하게 되는데, 쉽게 시트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업소에서도 남성전용 소변기의 설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설치비용면이나 공간활용면에서 비현실적이므로 주택건설의 설계에서 외면당하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양변기는 시트를 손으로 직접 잡고 회동시켜 개방해야하므로 개폐가 번거롭고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뿐 아니라 실제로도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 함이 따랐다.
따라서, 남성이 양변기의 사용시 시트를 상승시키지 않은 상태로 소변을 보게 되어 소변 일부가 시트 상면에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양변기는 시트가 쉽게 오염되어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쉽고 간편하게 시트 및 시트커버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뛰어난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며, 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조작레버와: 양변기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고정공에 삽입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제1 시트고정공에 삽입된 제1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1 너트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고정체와: 양변기 상면에 놓여져 회전 개방 가능하고, 제1 볼트부재에 연결되며, 말단에 제1 돌출턱이 형성된 시트: 및 한쪽이 제1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제1 관통홀을 통해 제1 돌출턱에 연결되며, 제1 조작레버의 동작에 따라 시트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제1 연결줄: 을 포함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시트 상면에 놓여져 회전 개방 가능하고, 양변기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시트고정공을 통해 고정되는 시트커버를 더 포함하고, 시트커버는, 시트와 동일축선의 회전축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트커버는 말단에 제2 돌출턱이 형성되며, 제1 조작레버와 떨어져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조작레버와; 제2 시트고정공에 삽입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볼트부재; 및 제2 시트고정공에 삽입된 제2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2 너트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고정체; 및 한쪽이 제2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제2 관통홀을 통해 제2 돌출턱에 연결되며, 제2 조작레버의 동작에 따라 시트커버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제2 연결줄;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조작레버, 제2 조작레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양변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발판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쉽고 간편하게 시트 및 시트커버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며, 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는 크게 제1 조작레버(10)와 제1 고정체(20), 시트(30), 제1 연결줄(40) 및 시트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조작레버(10)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1 연결줄(40)을 통해 시트(30)를 회전시켜 개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 예를 들어 벽면에 설치되거나, 공중에 매달려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는 발판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제1 조작레버(10)를 밟게 되면 제1 연결줄(40)이 당겨져 시트(30)가 개방되게 된다.
제1 조작레버(1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변기(200)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제1 조작레버(10)가 양변기(200)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 조작레버(10)에 힘을 작용시킬 수 있으며, 시트(30)와 제1 조작레버(10)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제1 조작레버(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 연결줄(40)이 당겨지는 구성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구성에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연결관(90)의 내부에 배치된 피동구름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게 된다.
제1 고정체(20)는 양변기(200)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고정공(202)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써, 제1 볼트부재(22)와 제1 너트부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시트고정공(202) 및 하기에 서술하는 제2 시트고정공(204)은 종래의 양변기에 시트를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던 시트고정공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새로운 양변기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양변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트(3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30)는 양변기(200) 상면에 놓여져 회전 개방 가능하고, 말단에 제1 돌출턱(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시트(30)는 회전축(34)에 의해 제1 볼트부재(22)에 연결된다.
제1 연결줄(40)은 한쪽이 제1 조작레버(1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제1 고정체(20)의 내부, 즉 제1 볼트부재(22)의 제1 관통홀(22a)을 통해 제1 돌출턱(32)에 연결되며, 제1 조작레버(10)의 동작에 따라 시트(30)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써,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제1 조작레버(10)와 양변기(200) 사이에는 제1 연결줄(40)의 보호 및 원활한 동작을 위해 연결관(90)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90)의 직경이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의 설치상황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시트커버(50)는 시트(30)의 상면에 놓여져 시트(30)를 덮는 구성요소이며, 시트(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커버(50)는 회전 개방 가능하고, 양변기(200)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시트고정공(204)을 통해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트커버(50)는 전술한 시트(30)와 동일축선의 회전축(34)을 갖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양변기(200)에서 시트(3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고정공(202) 및 제1 고정체(20)를 이용하여 제1 연결줄(40)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양변기(200)에 별도의 구멍을 뚫거나,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렴하고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다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와 유사하나 양변기(200)의 제2 시트고정공(204)을 이용하여 시트커버(50)를 개방하는 구성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제2 조작레버(60)과 제2 고정체(70) 및 제2 연결줄(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조작레버(60)는 제1 조작레버(10)와 떨어져 양변기(200)의 타측에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제2 조작레버(60) 또한 벽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2 조작레버(60) 또한 사용자가 발로 동작시킬 수 있는 발판으로 구성하였다.
제2 고정체(70)는 제2 볼트부재(72)와 제2 너트부재(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제2 고정체(7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고정체(20)의 구성, 즉 제1 볼트부재(22) 및 제1 너트부재(24)와 거의 동일하며, 다만 양변기(200)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시트고정공(204)에 고정되고, 시트커버(50)의 회전축, 즉 시트(30)와 시트커버(50)를 관통하는 회전축(34)이 제2 볼트부재(72)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제2 연결줄(80) 또한 제1 연결줄(40)과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연결줄(40)과 유사하게 한쪽이 제2 조작레버(60)에 연결되고, 제2 고정체(70), 특히 제2 볼트부재(72)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72a)를 지나 다른 쪽이 제2 돌출턱(52)에 연결되며, 제2 조작레버(60)의 동작에 따라 시트커버(50)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고정체 및 제2 고정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러한 제1 고정체(20) 및 제2 고정체(70)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다. 그런데, 제1 고정체(20)를 이루는 제1 볼트부재(22)와 제1 너트부재(24)는 제2 고정체(70)를 이루는 제2 볼트부재(72) 및 제2 너트부재(62)와 동일하게 사용되므로 여기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제1 고정체(2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볼트부재(22)는 양변기(200)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고정공(202)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고, 제2 볼트부재(72)는 양변기(200)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시트고정공(204)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써, 일종의 체결부재, 즉 볼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시트고정공(202, 204)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볼트부재(22)에는 시트(30)가 회전축(34)에 의해 연결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1 관통홀(22a)이 형성된다. 제2 볼트부재(72)에는 시트커버(50)가 회전축(34)에 의해 연결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2 관통홀(72a)이 형성된다.
제1 너트부재(24)는 제1 시트고정공(202)에 삽입된 제1 볼트부재(22)에 체결되어 고정하게 되는 부분으로,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볼트부재(22)에 체결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제1 너트부재(2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너트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너트부재(74)는 제2 볼트부재(72)에 체결되어 고정하게 된다.
특히, 제1 관통홀(22a)과 제2 관통홀(72a)은 제1 연결줄(40) 및 제2 연결줄(80)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22) 및 제2 볼트부재(72)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제1 관통홀(22a) 및 제2 관통홀(72a)이 꺾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경우 제1 연결줄(40) 및 제2 연결줄(80)을 통해 시트(30) 및 시트커버(50)를 개방할 때 힘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가능한 한 직선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볼트부재(22)는 일부, 즉 시트(30)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일부가 제1 너트부재(24)에 제1 볼트부재(22)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볼트부재(72) 또한 마찬가지이다.
특히, 제1 관통홀(22a)이나 제2 관통홀(72a)은 이와 같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 너트부재(24)에 제1 볼트부재(22)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 또는 제2 너트부재(74)에 제2 볼트부재(72)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을 "각도확보부"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각도확보부는 시트(30) 또는 시트커버(50)의 개방 동작시 필요한 힘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조작레버(10)와 시트(30)의 제1 돌출턱(32)을 연결하게 되는 제1 연결줄(40)은 제1 볼트부재(22)가 제1 너트부재(24)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도확보부의 끝단을 통해 돌출되어 제1 돌출턱(32)에 연결된다. 즉, 각도확보부의 끝단이 시트(30)의 가상 중심축선, 다시 말해서 시트(30)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연결줄(40)이 제1 볼트부재(22)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제1 돌출턱(32)에 연결되는 것에 비해 시트(30)의 개방 동작에 필요한 힘을 줄여줄 수 있다. 제2 연결줄(80) 또한 각도확보부가 형성될 경우 시트커버(50)의 개방 동작에 필요한 힘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는 제2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므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5의 (a)는 사용자(P)가 소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100)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양변기(200) 일측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1 조작레버(10)를 밟아 가압하게 되면, 제1 조작레버(10)가 회동하게 된다. 제1 조작레버(1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줄(40)은 연결관(90)의 내부에 배치된 피동구름부재를 지나 양변기(200)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고정공(202)에 고정된 제1 고정체(20)를 관통하여 시트(30)의 제1 돌출턱(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조작레버(10)의 회동에 따라 당겨지게 되어 시트(30)가 열리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30)가 개방됨에 따라 소변이 시트커버(50)에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시트(30)의 상면에 놓여있는 시트커버(50)는 시트(3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있으며, 시트(30)의 개방동작에 따라 시트커버(50) 또한 같이 개방되는데, 시트(30)와 시트커버(50)는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P)가 소변을 다 본 후 제1 조작레버(10)에서 발을 떼게 되면, 시트(30)와 시트커버(50)의 무게에 의해 시트(30)와 시트커버(50)가 양변기(200)를 향해 동작하여 닫히게 된다. 즉, 사용자(P)에 의한 제1 조작레버(10)의 가압 여부에 따라 시트(30) 및 시트커버(5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P)가 대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변기(200) 타측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2 조작레버(60)를 밟게 되면, 한쪽이 제2 조작레버(6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시트커버(50)의 제2 돌출턱(52)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줄(80)이 당겨지게 되어 시트커버(50)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므로 쉽고 편리하게 양변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조작레버 20: 제1 고정체
22: 제1 볼트부재 24: 제1 너트부재
22a: 제1 관통홀 30: 시트
32: 제1 돌출턱 34: 회전축
40: 제1 연결줄 50: 시트커버
52: 제2 돌출턱 60: 제2 조작레버
70: 제2 고정체 72: 제2 볼트부재
74: 제2 너트부재 72a: 제2 관통홀
80: 제2 연결줄 90: 연결관
100: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200: 양변기
202: 제1 시트고정공 204: 제2 시트고정공
P: 사용자

Claims (4)

  1.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조작레버와:
    양변기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고정공에 삽입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상기 제1 시트고정공에 삽입된 제1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1 너트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고정체와:
    상기 양변기 상면에 놓여져 회전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1 볼트부재에 연결되며, 말단에 제1 돌출턱이 형성된 시트: 및
    한쪽이 상기 제1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돌출턱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조작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시트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제1 연결줄:
    을 포함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상면에 놓여져 회전 개방 가능하고, 상기 양변기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시트고정공을 통해 고정되는 시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커버는,
    상기 시트와 동일축선의 회전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는 말단에 제2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조작레버와 떨어져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조작레버와;
    상기 제2 시트고정공에 삽입되고,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연통되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볼트부재; 및 상기 제2 시트고정공에 삽입된 제2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제2 너트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고정체; 및
    한쪽이 상기 제2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돌출턱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조작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시트커버를 회전시켜 개방 동작되도록 하는 제2 연결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레버, 제2 조작레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양변기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KR1020120083955A 2011-09-16 2012-07-31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KR101449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3488 2011-09-16
KR1020110093488 201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450A KR20120096450A (ko) 2012-08-30
KR101449722B1 true KR101449722B1 (ko) 2014-10-15

Family

ID=4688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955A KR101449722B1 (ko) 2011-09-16 2012-07-31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41Y1 (ko) 2002-04-16 2002-08-10 정회목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KR200291859Y1 (ko) 2002-07-05 2002-10-11 유인희 좌변기의 좌판개폐 및 자동배수장치
KR200453466Y1 (ko) 2007-08-13 2011-05-06 백성수 변기시트 개폐장치
KR20110093013A (ko) * 2010-02-11 2011-08-18 이고운 좌변기 뚜껑, 시트, 물내림, 자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41Y1 (ko) 2002-04-16 2002-08-10 정회목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KR200291859Y1 (ko) 2002-07-05 2002-10-11 유인희 좌변기의 좌판개폐 및 자동배수장치
KR200453466Y1 (ko) 2007-08-13 2011-05-06 백성수 변기시트 개폐장치
KR20110093013A (ko) * 2010-02-11 2011-08-18 이고운 좌변기 뚜껑, 시트, 물내림, 자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450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4853B2 (ja) 回転可能な小便器が装着された一体型洋式便器
KR101410360B1 (ko) 양변기 커버형 소변기
RU2687786C2 (ru) Монт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KR101449722B1 (ko)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EP1857030B1 (en) Connecting member for warm water washing toilet seat device
US10646080B2 (en) Combination toilet seat
KR101503340B1 (ko)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US20150345122A1 (en) Toilet flush lever sanitizing device
WO2016104495A1 (ja) 便器装置
EP3714753B1 (en) Cover device, toilet cover assembly and toilet
CN204336800U (zh) 蹲便器与坐便器二合一装置
JP2008169680A (ja) 立式座式兼用便器及びその便座
CN201254753Y (zh) 一种一体化座厕
CN203222872U (zh) 一种脚踩式厕所冲水装置
KR101054921B1 (ko)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KR200409000Y1 (ko)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TWI530269B (zh) The toilet seat structure that can clean the cushions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200297405Y1 (ko)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KR200458184Y1 (ko) 절수용 양변기 레버
KR100451303B1 (ko) 좌변기의 좌대 자동 개폐장치
KR102117755B1 (ko) 변기 조립체
EP2861116A2 (en) Toilet seat and method for collecting washing liquid
WO2007145445A1 (en) Angle valve cap having bidet connection distribution 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