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41Y1 -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41Y1
KR200284741Y1 KR2020020011410U KR20020011410U KR200284741Y1 KR 200284741 Y1 KR200284741 Y1 KR 200284741Y1 KR 2020020011410 U KR2020020011410 U KR 2020020011410U KR 20020011410 U KR20020011410 U KR 20020011410U KR 200284741 Y1 KR200284741 Y1 KR 200284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id
gear
ped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목
Original Assignee
정회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목 filed Critical 정회목
Priority to KR2020020011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41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를 올려놓거나 내려놓을 때 손으로 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를 승강시키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좌변기의 양측에 설치된 뚜껑작동페달(11)과 시트작동페달(13)에 개폐장치부(B)를 각각 구비하여 뚜껑(10)과 시트(12)를 개폐시키되 페달작동레버(20)선단에 승강작동대(21)가 연결되고 승강작동대(21)상부의 래크기어(22)는 원동기어(23)와 치합되며 원동기어(23)는 종동기어(25)와 치합되어 회전작동대(26)를 회전시키며 원동기어(23)의 축부(23a)에 스프링(24)을 탄성지지되게 끼우고 원동기어(23)에 스톱퍼(30)를 부착하여 스톱퍼핀(31)이 가이드판(32)의 걸림턱(34)을 가진 가이드홈(33)에 안내되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이다.

Description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STOOL LID AND SHEET SWITCH}
본 고안은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를 올려놓거나 내려놓을 때 손으로 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뚜껑및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을 연다음 시트에않거나 남성들이 소변을 볼때는 뚜껑과 시트를 함께 열어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덮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좌변기를 사용할때 뚜껑및 시트를 손으로 올려놓거나 내려놓는 것을 손으로 하였는바 이는 허리를 굽혀야 되는 불편이 따르고 손으로 뚜껑및 시트를 만질때의 불결함으로 인한 거부감이 있고 남성들이 뚜껑만을 연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시트의 청결함에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장애인이나 환자를 부축하여 좌변기를 이용할때에도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좌변기 뚜껑및 시트개폐수단이 실용신안등록번호 실1997-5506호로 선출원된바 있으나 상기의 뚜껑및 시트개폐장치에서는 발로 발판을 밟으면 시트가 들어 올려지는 상승동작과, 발판을 놓으면 시트가 원래위치로 내려가는 하강동작을 수행할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는 남성들이 소변을 볼때 뚜껑과 시트를 함께 들어올리는 기능만 행하고 뚜껑만을 올려놓는 기능은 없을 뿐만 아니라 남성이 소변을 볼때에는 발판을 누르는 동작을 취해야 되므로 실제로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는 뚜껑작동페달과 시트작동페달을 각각 구비하여 페달작동으로 뚜껑및 시트를 각각 개폐시키되 페달은 2단작동수단으로 뚜껑및 페달을 올려놓거나 내려놓는 동작을 간편하게 행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올려 놓여진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가 올려 놓여진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의 승강작동대 승강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시트 개폐장치부의 확대 측면도
도 8은 도7에서의 승강작동대 1단 상승시의 측면도
도 9는 도 7에서의 승강작동대 2단 상승시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시트가 올려 놓여진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서 시트가 후진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가이드판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좌변기 B : 개폐장치부
10 : 뚜껑 11 : 뚜껑작동페달
12 : 시트 13 : 시트작동페달
20 : 페달작동레버 21 : 승강작동대
22 : 래크기어 23 : 원동기어
23a : 축부 24 : 스프링
25 : 종동기어 26 : 회전작동대
27 : 저속회전유도기어 30 : 스톱퍼
31 : 스톱퍼핀 32 : 가이드판
32a : 축부 33 : 가이드홈
34 : 걸림턱 35 : 스프링
36 : 받침턱 37 : 고정돌부
본 고안의 뚜껑및 시트개폐장치는 좌변기(A)의 양측에 뚜껑작동페달(11)과 시트작동페달(13)을 각각 구비하여 뚜껑(10)및 시트(12)와 각각의 개폐장치부(B)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부(B)는 뚜껑(10)및 시트(12)와 각기 독립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그 구성수단은 동일한 형태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시트(12)에 연결된 개폐장치부(B)를 설명하고 있다.
즉, 개폐장치부(B)는; 페달작동레버(20)선단에 승강작동대(21)의 하단이 연결되고 승강작동대(21)상부에 래크기어(22)가 형성되어 원동기어(23)와 치합되고 원동기어(23)는 종동기어(25)와 치합되어 종동기어(25)에 설치된 회전작동대(26)를 회전시키며 회전작동대(26)는 뚜껑(10)과 시트(1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원동기어(23) 일측은 저속회전유도기어(27)와 치합되고 원동기어(23)의 축부(23a)에 스프링(24)을 끼워 원동기어(23)를 래크기어(22)의 하강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탄성지지한다.
또, 원동기어(23)에 스톱퍼(30)를 부착하여 선단의 스톱퍼핀(31)이 가이드판(32)의 가이드홈(33)에 형성된 걸림턱(34)에 1단으로 걸림 작용하고 2단으로 걸림 작용이 해제되도록 안내한다.
가이드판(32)의 축부(32a)는 스프링(35)이 끼워져서 받침턱(36)을 고정돌부(37)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뚜껑및 시트개폐장치는 좌변기(A)양측의 뚜껑작동페달(11) 또는 시트작동페달(13)을 발로 밟는 동작으로 뚜껑(10)및 시트(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시트작동페달(13)에 의한 작동수단만이 도시되었으나 뚜껑작동페달(11)의 작동수단도 동일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도2에서와 같이 좌측의 뚜껑작동페달(11)을 발로 밟게 되면 뚜껑(10)을 올려놓게 되고 그 뚜껑(10)이 올려진 상태에서 페달(11)을 밟게 되면 뚜껑(10)에 닫혀지게 되며, 도3에서와 같이 우측의 시트작동페달(13)을 발로 밝게 되면 시트(12)를 올려놓게 됨과 아울러 시트(12)위에 닫혀진 상태의 뚜껑(10)이 있으면 뚜껑(10)과 함께 올려놓게 되고 시트(12)가 올려진 상태에서 페달(13)을 밟게 되면 시트(12)와 함께 뚜껑(10)도 닫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수단에서 시트작동페달(13)에 의한 작동수단은 상세하게 도시되고 뚜껑작동페달(11)의 작동수단은 도시되지 않았는바 이는 뚜껑작동페달(11)과 시트작동페달(13)의 개폐장치부(B)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되었으며 시트작동페달(13)에 의한 작동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시트작동페달(13)을 밟게되면 페달작동레버(20)에 의해 승강작동대(21)가 상승하면서 승강작동대(21)의 래크기어(22)에 치합된 원동기어(23)가 회전함과 아울러 원동기어(23)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25)에 설치된 회전작동대(26)를 상향 회전시켜 시트(12)를 올려놓게 됨과 아울러 원동기어(23)의 스톱퍼(30)는 하향 회전하여 가이드판(32)의 가이드홈(33)에 형성된 걸림턱(34)에 걸리는 작용으로 원동기어(23)를 고정상태로 유지시켜 도 8에서와 같이시트(12)를 올려진 상태로 정지시키게 된다.
이렇게 시트(12)가 올려진 상태에서 시트(12)를 내려놓기 위해 시트작동페달(13)을 밟게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승강작동대(21)가 2단상승하면서 원동기어(23)와 치합된 종동기어(25)에 의해 올려진 상태의 회전작동대(26)를 후진시켜 시트(12)와 맞닿게 되는 뚜껑(10)을 함께 후진시키게 됨과 아울러 원동기어(23)의 스톱퍼(30)는 가이드판(32)의 가이드홈(33)의 걸림턱(34)에서 해제되어 시트작동페달(13)에서 발을 떼게되면 원동기어(23)가 회전작동대(26)를 하향 회전시키려는 스프링(24)의 탄성작용으로 시트(12)를 내려놓으면서 뚜껑(10)도 함께 내려놓게 된다.
한편, 원동기어(23)일측에 치합된 저속회전유도기어(27)는 뚜껑(10)또는 시트(12)가 내려올때 서서히 내려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10)과 시트(12)는 손으로는 올려놓거나 내려놓을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를 올려놓거나 내려놓을때 손으로 하지 않고 발로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개폐시킬수 있고 페달의 2단작동으로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를 승강시키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좌변기의 양측에 설치된 뚜껑작동페달(11)과 시트작동페달(13)에 개폐장치부(B)를 각각 구비하여 뚜껑(10)과 시트(12)를 개폐시키되 페달작동레버(20)선단에 승강작동대(21)가 연결되고 승강작동대(21)상부의 래크기어(22)는 원동기어(23)와 치합되며 원동기어(23)는 종동기어(25)와 치합되어 회전작동대(26)를 회전시키며 원동기어(23)의 축부(23a)에 스프링(24)을 탄성지지되게 끼우고 원동기어(23)에 스톱퍼(30)를 부착하여 스톱퍼핀(31)이 가이드판(32)의 걸림턱(34)을 가진 가이드홈(33)에 안내되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동기어(23)일측에 저속회전유도기어(27)를 치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뚜껑(10)과 시트(12)에 회전작동대(26)를 각각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KR2020020011410U 2002-04-16 2002-04-16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KR200284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410U KR200284741Y1 (ko) 2002-04-16 2002-04-16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410U KR200284741Y1 (ko) 2002-04-16 2002-04-16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41Y1 true KR200284741Y1 (ko) 2002-08-10

Family

ID=7307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410U KR200284741Y1 (ko) 2002-04-16 2002-04-16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74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WO2006126793A1 (en) * 2005-05-25 2006-11-30 Haion Won Rotating device for toilet seat
KR100979828B1 (ko) * 2007-11-02 2010-09-02 강윤형 좌변기의자 개폐장치
KR101072062B1 (ko) 2008-07-31 2011-10-10 강윤형 좌변기의자 개폐기
KR101449722B1 (ko) 2011-09-16 2014-10-15 전현철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WO2006126793A1 (en) * 2005-05-25 2006-11-30 Haion Won Rotating device for toilet seat
KR100979828B1 (ko) * 2007-11-02 2010-09-02 강윤형 좌변기의자 개폐장치
KR101072062B1 (ko) 2008-07-31 2011-10-10 강윤형 좌변기의자 개폐기
KR101449722B1 (ko) 2011-09-16 2014-10-15 전현철 양변기의 시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6541A1 (en) Sensor-activated toilet seat
KR200284741Y1 (ko)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CN213047800U (zh) 护理床开启式便孔盖板和直升式便盆托架
CN104095721A (zh) 自动护理床
CN203834610U (zh) 一种排水阀启动开关以及座便器冲水装置
KR20170119153A (ko) 변좌 리프팅 장치
KR100330661B1 (ko)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KR20190056452A (ko) 위생기능을 하는 밟으면 열리는 변기커버
WO2007071135A1 (fr) Mécanisme de cuvette de w.-c.
KR20110005712U (ko)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CN104095719A (zh) 护理床
US6539557B1 (en) Toilet seat positioning assembly
KR101248585B1 (ko)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KR200362236Y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KR200263501Y1 (ko) 좌변기용 자동열림 시트
KR200180429Y1 (ko) 좌변기 중간덮개 개폐장치
CN110241900A (zh) 一种可移动式马桶
CN103924647A (zh) 一种排水阀启动开关以及座便器冲水装置和冲水方法
KR20090000767U (ko) 도어 스토퍼
KR960001862Y1 (ko) 좌변기용 받침대 개폐장치
KR900003856Y1 (ko) 양변기용 좌판의 상하 회동장치
CN210541276U (zh) 一种脚踏控制式马桶盖
JP2006280604A (ja) 便座昇降装置
CN2389933Y (zh) 脚踏开关坐便器盖装置
CN215383638U (zh) 一种马桶掀盖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