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585B1 -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585B1
KR101248585B1 KR1020110131732A KR20110131732A KR101248585B1 KR 101248585 B1 KR101248585 B1 KR 101248585B1 KR 1020110131732 A KR1020110131732 A KR 1020110131732A KR 20110131732 A KR20110131732 A KR 20110131732A KR 101248585 B1 KR101248585 B1 KR 10124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ver
toilet
motor
toil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봉
Original Assignee
전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봉 filed Critical 전태봉
Priority to KR102011013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가 개시된다. 변기 몸체와, 변기 몸체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기둥부와, 변기 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변기 커버와, 변기 커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레일과, 변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레일에 맞물려 제1 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레일과,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제1 레일의 제2 레일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레일홈과,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제1 레일이 제2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터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모터가 작동되면, 제1 레일은 제2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변기 커버는 변기 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기둥부를 도과하도록 이동하며, 변기 커버의 후방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변기 커버에 탄지되는 삽입식 커버가 결합되어, 변기 커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삽입식 커버가 기둥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식 커버가 변기 커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어린이 등이 변기 커버를 허리 굽혀 직접 손으로 올리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Toilet with slide-type cover}
본 발명은 위생 상태 및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변기 커버의 작동 방식을 새롭게 고안한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기는 용변을 보기 위해 변기 커버를 허리 굽혀 직접 손으로 올려야 했으며, 여러 사람이 쓰는 공중화장실 같은 경우에는 변기 커버를 손으로 들어올리기에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무를 본 후 다시 변기 커버를 손으로 내려야 하므로 불편하였고, 변기 커버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튈 우려가 있었다.
등록특허 10-0815370에는, 양변기 본체의 용변공간 상측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하판으로 된 커버 케이스와, 상기 상,하판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슬라이드 셔터와, 상기 커버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를 권회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대응되는 커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셔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력을 작용하는 위치 복귀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10-0815370호
본 발명은, 발로 버튼만 눌러주면 신속하고 정확한 자동 슬라이드식 작동으로 변기 커버에 소변이 튀지 않도록 그대로 뒤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앞으로 원위치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용무를 볼 때마다 변기 커버를 손으로 일일이 들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여러 사람들이 쓰는 공중 화장실 등에서는 비위생적임에도 불구하고 변기 커버를 손으로 들어 올려야 하며, 간혹 다른 방식으로 변기 커버를 올리다가 변기가 파손되는 사태 등을 방지하고자 고안되었다. 디자인 또한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켰으며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어 변기 커버를 올리거나 내릴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소음 및 옷에 잔여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변기 몸체와, 변기 몸체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기둥부와, 변기 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변기 커버와, 변기 커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레일과, 변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레일에 맞물려 제1 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레일과,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제1 레일의 제2 레일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레일홈과,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제1 레일이 제2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모터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모터가 작동되면, 제1 레일은 제2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변기 커버는 변기 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기둥부를 도과하도록 이동하며, 변기 커버의 후방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변기 커버에 탄지되는 삽입식 커버가 결합되어, 변기 커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삽입식 커버가 기둥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식 커버가 변기 커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가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어린이 등이 변기 커버를 허리 굽혀 직접 손으로 올리지 않아도 된다. 여러 사람이 쓰는 공중화장실 같은 경우에는 변기 커버를 손으로 들어올리기에는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의식해서 발로 차서 올리는 등의 행위로 인하여 변기가 파손되는 사태도 방지할 수 있다. 커버가 위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레일과 바퀴를 통해 앞뒤로 이동함으로써, 운동량이 줄어들고 간편한 버튼식 작동원리로 가정집 같은 경우 용무를 본 후 다시 변기 커버를 손으로 내리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변기 커버를 올릴 때 혹은 내일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내릴 때의 충격으로 이물질이 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플한 디자인과 독특한 작동 원리로 호텔 등에 비치하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커버의 윗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가 변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밑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커버의 윗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가 변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버튼(1), 모터(2), 제1 레일(4), 제2 레일(3), 삽입식 커버(5), 기둥부(6), 스프링(7), 레일홈(8)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는 변기 몸체와, 변기 몸체의 후방부에 기둥부(6)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변기 몸체는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보는 공간을 제공하며, 기둥부(6)는 변기 몸체를 세정하기 위한 물을 저장, 공급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변기 몸체의 상면에는 변기 커버가 커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하면에는 제1 레일(4)이 결합되고, 제1 레일(4)에 대응하여 변기 몸체의 상면에는 제2 레일(3)이 결합된다. 제1 레일(4)과 제2 레일(3)은 서로 맞물려 제1 레일(4)이 제2 레일(3)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제2 레일(3)은 제1 레일(4)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1 레일(4) 및/또는 제2 레일(3)에는 소정 지점에 레일홈(8)이 형성되어 있어, 레일홈(8)에 정합된 상태에서 제1 레일(4)은 제2 레일(3)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된다. 즉, 레일홈(8)은 제1 레일(4)의 이동에 대하여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스토퍼 역할을 하는 레일홈(8)으로 인하여 제1 레일(4)은 제2 레일(3)에 대해 아무렇게나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처럼 모터(2)를 작동시키면 제2 레일(3)이 슬라이드 이동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2)는 제1 레일(4)이 제2 레일(3)에 구속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정도의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모터(2)의 구동력이 레일홈(8)에 의한 마찰력보다 크도록 모터(2)를 설치할 수 있다.
모터(2)는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그 작동에 의해 제1 레일(4)이 제2 레일(3)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성요소이다. 모터(2)의 작동은 사용자가 버튼(1)을 작동시킴에 따라 개시되는데,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1)은 모터(2)의 작동을 개시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을 조작하면 모터(2)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제1 레일(4)은 제2 레일(3)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제1 레일(4)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인하여 변기 커버는 변기 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즉 기둥부(6)를 지나도록 이동하게 된다. 변기 커버가 변기 몸체로부터 이동하면 변기 몸체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변기 몸체에 대하여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커버의 후방에는, 스프링(7)을 개재하여 변기 커버에 탄지되는 삽입식 커버(5)가 결합되는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변기 커버의 형태에서는 변기 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변기 커버의 뒷부분(즉, 삽입식 커버(5) 부분)이 변기 몸체의 뒷부분(즉, 기둥부(6) 부분)에 간섭되어, 변기 커버의 이동이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변기 커버의 뒷부분에 삽입식 커버(5)를 결합시켜 변기 커버의 이동 과정에서 변기 커버가 기둥부(6)에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식 커버(5)가 변기 커버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변기 커버는 기둥부(6)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모터(2)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에 해당하는 버튼(1)과, 버튼(1)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반응하여 변기 커버를 움직이는 모터(2)와, 변기 커버가 이동 과정에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1 레일(4) 및 제2 레일(3)로 구성된다. 제1 레일(4) 및 제2 레일(3)은 레일홈(8)에 의해 서로 정합되어 변기 커버가 불필요하게(아무렇게나)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변기 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기둥부(6)를 지나 변기 커버 전체가 이동하기 위해, 기둥부(6)와의 간섭시 스프링(7)에 의해 마찰부분 끄트머리만 변기 커버 내부로 삽입되도록 삽입식 커버(5) 구조를 채택하였다.
변기 커버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삽입식 커버(5)는 변기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변기 커버의 원활한 이동을 도와주며, 변기 커버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프링(7)의 탄성에 의해 삽입식 커버(5)가 변기 커버 외부로 다시 돌출되게 된다.
사용자가 용무를 보기 위해 버튼(1)을 누르면, 모터(2)가 반응하여 바퀴를 굴려 변기 커버 전체를 뒤로 이동시킨다. 뒤로 이동시 삽입식 커버(5)의 끝은 기둥부(6)와의 마찰로 인하여 스프링(7)을 가압하면서 변기 커버 내부로 삽입된다. 변기 커버의 이동 범위는 초기 위치에서 변기 커버 앞부분이 기둥부(6)에 접촉되는 곳까지이다.
변기 커버는 제1 레일(4) 및 제2 레일(3)에 의해 그 이동 경로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하지 않을 때에도 레일홈(8)에 의해 불필요한 이동 및 소음은 없다. 용무를 본 후 다시 원위치시키고 싶으면, 버튼(1)을 다시 누르고 이에 모터(2)가 반응하여 변기 커버 전체를 앞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킨다. 이 때, 기둥부(6)와의 마찰이 끝나면 스프링(7)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삽입식 커버(5)의 끝이 변기 커버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원상복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버튼 2 : 모터
3 : 제2 레일 4 : 제1 레일
5 : 삽입식 커버 6 : 기둥부
7 : 스프링 8 : 레일홈

Claims (1)

  1.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기둥부와;
    상기 변기 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변기 커버와;
    상기 변기 커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레일과;
    상기 변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에 맞물려 상기 제1 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의 상기 제2 레일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레일홈과;
    상기 변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이 상기 제2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가 작동되면,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2 레일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변기 커버는 변기 몸체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기둥부를 도과하도록 이동하며,
    상기 변기 커버의 후방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변기 커버에 탄지되는 삽입식 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변기 커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식 커버가 상기 기둥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식 커버가 상기 변기 커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KR1020110131732A 2011-12-09 2011-12-09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KR10124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32A KR101248585B1 (ko) 2011-12-09 2011-12-09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32A KR101248585B1 (ko) 2011-12-09 2011-12-09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585B1 true KR101248585B1 (ko) 2013-04-05

Family

ID=4844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732A KR101248585B1 (ko) 2011-12-09 2011-12-09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38B1 (ko) 2015-06-29 2016-02-12 홍승조 변기 시트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934A (ja) 2005-03-29 2006-10-12 Takashi Yabe 便座
JP2007136107A (ja) 2005-11-14 2007-06-07 Keisuke Watanabe 動く便座
JP2009297445A (ja) 2008-06-17 2009-12-24 Toto Ltd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0970658B1 (ko) 2009-07-02 2010-07-15 김현종 양변기용 커버 시트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1934A (ja) 2005-03-29 2006-10-12 Takashi Yabe 便座
JP2007136107A (ja) 2005-11-14 2007-06-07 Keisuke Watanabe 動く便座
JP2009297445A (ja) 2008-06-17 2009-12-24 Toto Ltd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0970658B1 (ko) 2009-07-02 2010-07-15 김현종 양변기용 커버 시트 살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38B1 (ko) 2015-06-29 2016-02-12 홍승조 변기 시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0427C (en) Nursed person's bed with flush toilet
KR101248585B1 (ko)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KR101875736B1 (ko) 노약자용 이동형 변기
KR101341651B1 (ko)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KR102303284B1 (ko)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KR101630805B1 (ko) 수도 개폐용 풋 페달 밸브장치
CN211534192U (zh) 一种马桶
CN115298397A (zh) 脚踏冲水的马桶冲洗装置
KR101503340B1 (ko)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JP2001231715A (ja) 便座支持昇降装置
KR20110005712U (ko)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KR200284741Y1 (ko) 좌변기의 뚜껑및 시트 개폐장치
US20090288248A1 (en) Bathtub system
JP4038738B1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216167143U (zh) 一种用于蹲便器的按压式厕所盖板
JP4461488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263501Y1 (ko) 좌변기용 자동열림 시트
CN110241900A (zh) 一种可移动式马桶
CN212896678U (zh) 一种组合结构的坐便器
CN210810762U (zh) 一种自锁式马桶
CN216358524U (zh) 一种带马桶刷杯的马桶刷
KR100403013B1 (ko) 양변기 좌대의 오염방지장치
KR101264568B1 (ko) 소변기 겸용 좌변시스템
KR20130011492A (ko) 위생 양변기
KR20150062786A (ko)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