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786A -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786A
KR20150062786A KR1020130147787A KR20130147787A KR20150062786A KR 20150062786 A KR20150062786 A KR 20150062786A KR 1020130147787 A KR1020130147787 A KR 1020130147787A KR 20130147787 A KR20130147787 A KR 20130147787A KR 20150062786 A KR20150062786 A KR 2015006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hole
toilet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식
Original Assignee
문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식 filed Critical 문성식
Priority to KR102013014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786A/ko
Publication of KR2015006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6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single sheets of paper or plastic foil or film
    • A47K13/165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5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open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는, 물탱크가 후방에 배치되는 양변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이 형성되는 변좌; 변좌의 후단부에서 변좌와 물탱크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홀커버를 포함하며, 홀커버는,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변좌와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가 후방에 배치되는 양변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이 형성되는 변좌, 변좌의 후단부에서 변좌와 물탱크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홀커버를 포함하며, 홀커버는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변좌와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서 양변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 크랙발생률이 최소화되는 등 전체적으로 고장발생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 양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가정이나 기업에서 설치를 선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SLIDE COVER DEVICE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개방된 상부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toilet)는 신체의 노폐물을 처리하기 위한 위생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양변기와 물탱크로 구성된다.
양변기(toilet bowl)는 속이 움푹하게 팬 위생 기구의 일부분으로, 안쪽에서 물이 흘러나와 트랩을 통해 대소변 등 찌꺼기를 씻어 내린다. 양변기의 안쪽에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며, 물탱크의 바깥에 구비된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면 물탱크 바닥면에서 양변기의 홀과 연결되는 배수구를 차단하던 탱크볼이 들어올려져서 양변기에 물을 공급한다.
양변기의 상측에는 구멍이 뚫린 변좌(seat)가 구비된다. 변좌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양변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탄력적인 쿠션을 제공하여 양변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변좌에 앉아서 편하게 볼일을 보게 된다. 변좌는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양변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변좌에는 보통 덮개(seat cover)가 결합된다. 덮개는 양변기의 개방된 상부를 막음으로써 양변기의 미사용시 양변기의 내부가 관찰되는 것과 양변기의 냄새가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5370호에는 변기용 슬라이드 커버장치가 개시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5370호는 양변기 본체의 용변공간 상측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하판으로 된 커버 케이스와, 상·하판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슬라이드 셔터와, 커버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슬라이드 셔터를 권회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와 대응되는 커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셔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력을 작용하는 위치 복귀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5370호는 양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력이나 또는 인체감지 센서 등을 이용한 입력신호를 기초로 슬라이드 셔터를 자동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한 개폐 구조이므로 제품의 컴팩트화가 가능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5370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커버장치는 커버케이스의 관통구멍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 및 센서가 요구되고, 모터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 및 회전축에 전달되어 슬라이드 셔터를 견인하는 복잡한 기구학적 연동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이 방수구조로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커버장치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고장이 발생하기 쉬워 가정이나 기업에서 설치를 꺼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될 경우 관통구멍을 차폐시키기 위해 셔터를 당기는 코일 스프링이나 태엽 스프링에 변형이 발생하여 관통구멍의 차폐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슬라이드 셔터가 탄성회복이 가능한 플랙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전체면적에 걸쳐 회전축에 수회 감겼다가 풀리는 형태변형이 반복되면, 슬라이드 셔터의 내부에서 국부적인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크랙이 쉽게 진전되어 슬라이드 셔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통구멍이 슬라이드 셔터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면, 양변기 내부가 관찰되지 않음에 따라 용변 후 물을 내리지 않기 쉬우며, 그 다음에 볼일을 보는 사람에 의해 관통구멍이 개방되었을 때 양변기 내에 남아있는 용변에 의해 불쾌감을 경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5370호 (등록일:2008.03.13)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양변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 크랙발생률이 최소화되는 등 전체적으로 고장발생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 양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가정이나 기업에서 설치를 선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양변기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어 양변기 내부의 용변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양변기의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탱크가 후방에 배치되는 양변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이 형성되는 변좌; 상기 변좌의 후단부에서 상기 변좌와 물탱크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커버는, 상기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상기 변좌와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홀커버는 평판형태의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상기 변좌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된 후 탄성복원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파지부가 노출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홀의 상단부에는 제1 마그넷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제1 마그넷부와의 사이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제2 마그넷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부와 제2 마그넷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변좌의 홀이 폐쇄될 때 상기 양변기의 물이 연동하여 배수되도록, 상기 홀커버의 이동과 상기 물탱크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이동과 상기 물탱크의 레버 또는 버튼의 작동을 줄을 통해 연동시키는 장력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줄의 일단이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가 슬라이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레일에는, 상기 변좌의 홀이 폐쇄될 때 상기 손잡이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가 후방에 배치되는 양변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이 형성되는 변좌, 변좌의 후단부에서 변좌와 물탱크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홀커버를 포함하며, 홀커버는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변좌와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서 양변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 크랙발생률이 최소화되는 등 전체적으로 고장발생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 양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가정이나 기업에서 설치를 선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좌의 홀이 폐쇄될 때 양변기의 물이 연동하여 배수되도록, 홀커버의 이동과 물탱크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함에 따라, 양변기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어 양변기 내부의 용변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양변기의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서 양변기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 크랙발생률이 최소화되는 등 전체적으로 고장발생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 양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가정이나 기업에서 설치를 선호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양변기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어 양변기 내부의 용변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양변기의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는 양변기(2)의 개방된 상부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변좌(10), 케이스(30), 홀커버(50) 및 연동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변기(2)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3)는 일반적인 화장실에 설치되는 바와 같이 양변기(2)의 뒤쪽에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10)는 양변기(2)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H)이 형성된다. 변좌(1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양변기(2)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탄력적인 쿠션감을 제공하여 양변기(2)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변좌(10)에 앉아서 편하게 볼일을 보게 된다. 변좌(10)는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양변기(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변좌(1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접촉하는 상판과 양변기(2)의 상측에 접촉하는 하판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판과 하판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홀커버(5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공간(이하 '제1 슬라이드공간'으로 지칭)이 형성된다. 홀커버(50)는 변좌(10)의 후단을 통해 제1 슬라이드공간에 진입하거나 빠져나가게 된다.
케이스(30)는 변좌(10)의 후단부에서 변좌(10)와 물탱크(3) 사이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케이스(30)는, 양변기(2)의 사용자가 볼일을 보는 과정에서 허리를 꼿꼿하게 세울 수 있도록, 변좌(10)와 접촉하는 양변기(2)의 상면과 9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를 구성하는 변좌(10) 및 케이스(30)는 일반적인 변기의 변좌 및 덮개와 마찬가지로 양변기(2)의 후방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변좌(10)의 홀(H)은 홀커버(50) 및 케이스(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변좌(10) 및 케이스(30)는 양변기(2)의 후방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B)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청소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양변기(2)로부터 변좌(10) 및 케이스(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케이스(30)는 변좌(10)의 홀(H)이 개방된 상태 즉, 커버플레이트(51)의 일부분이 변좌(10)와 케이스(30)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커버플레이트(51)의 전체가 케이스(3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변기의 변좌 및 덮개가 양변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30)는 물탱크(3) 측의 후면부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전면부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면부와 전면부 사이에는 홀커버(5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이격되는 슬라이드공간(이하 '제2 슬라이드공간'으로 지칭)이 형성된다.
홀커버(50)는 양변기(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함에 따라 양변기(2) 내부의 물 및 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세척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의 케이스(30)는, 그 상단에 홀커버(5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홀커버(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개구부에는 홀커버(5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커버(3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커버(50)는 제1 슬라이드공간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2 슬라이드공간 내로 진입하거나 빠져나옴으로써 변좌(10)의 홀(H)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평판형태의 커버플레이트(51) 및 파지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플레이트(51)는 변좌(10)의 홀(H)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복원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의 케이스(30)는 양변기(2)의 사용상태 즉, 변좌(10)가 양변기(2)의 상면과 접촉할 때 양변기(2)의 상면과 9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따라서 홀커버(50)는 변좌(10)의 홀(H)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변좌(10)와 케이스(30) 사이에서 사이각 만큼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종래의 커버장치에서는 슬라이드 이동하여 양변기를 개폐하는 구성이 전면적에 걸쳐 원통형으로 말림으로써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전체 면적에 걸쳐 과한 탄성변형과 회복이 반복됨으로써 크랙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즉, 커버플레이트(51)는 양변기(2)의 사용시 제1 슬라이드공간에서 휘어지지 않는 상태로 있으며, 양변기(2)의 미사용시에는 제2 슬라이드공간으로 진입하며 휘어지되 돌돌 말리지 않고 90도 이상으로 슬라이드 방향만 전환됨에 따라 탄성변형율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휘어지므로 크랙발생이 최소화된다.
커버플레이트(51)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하려면, 제1 슬라이드공간과 제2 슬라이드공간이 일직선상에 놓여야 하기 때문에, 양변기(2)의 후방에 물탱크(3)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화장실 변기에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는 커버플레이트(51)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실 변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구성품의 파손이 방지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한 다양한 이점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53)는 커버플레이트(51)의 상측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파지부(53)를 파지하여 커버플레이트(5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케이스(30)에는 파지부(53)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홀(31)이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51)가 변좌(10)의 홀(H)을 폐쇄하였을 때 파지부(53)는 슬라이드홀(31)을 따라 케이스(30)의 하단부로 이동하게 된다.(도 3 참조)
슬라이드홀(31)의 상단부에는 제1 마그넷부(M1)가 형성되고, 파지부(53)에는 제1 마그넷부(M1)와의 사이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제2 마그넷부(M2)가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51)가 변좌(10)의 홀(H)을 개방하였을 때 제1 마그넷부(M1)와 제2 마그넷부(M2)는 서로 인력에 의해 밀착됨에 따라 중력에 의한 홀커버(50)의 하강이 방지된다. 제1 마그넷부(M1)와 제2 마그넷부(M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변좌(10)의 홀(H)이 폐쇄될 때 양변기(2)의 물이 연동하여 배수되도록, 홀커버(50)의 이동과 물탱크(3)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연동수단(70)은 파지부(53)의 이동과 물탱크(3)의 레버(3a) 또는 버튼(미도시)의 작동을 줄을 통해 연동시키는 장력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3a, trip lever)는 변기손잡이로 작동하는 기구로서, 레버(3a)를 작동하면 리프트체인이 위로 당겨지면서 변기수조에서 물이 나와서 양변기(2)로 흘러 내려간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탱크(3)에 레버(3a)가 구비된 경우, 장력부재는 줄 형태로 마련되어 그 일단이 케이스(30)의 뒤쪽에서 파지부(53)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레버(3a)의 단부에 연결된다. 커버플레이트(51)에 의해 변좌(10)의 홀(H)이 폐쇄될 때 파지부(53)와 연결된 장력부재는 레버(3a)를 당기게 되고, 레버(3a)는 회전하여 물탱크(3)의 물이 양변기(2)로 유입된다.
장력부재는, 변좌(10)의 홀(H)이 폐쇄될 때 파지부(53)의 이동에 의해 장력부재에 장력이 발생하여 물탱크(3)의 물이 양변기(2)로 유입되도록 레버(3a)가 회전되는 길이로 구비된다. 즉, 장력부재는 변좌(10)의 홀(H)이 폐쇄되기 직전까지 파지부(53)의 이동에 의한 장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있으며, 변좌(10)의 홀(H)이 폐쇄되기 직전부터 폐쇄가 완료될 때까지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변좌(10)의 홀(H)이 폐쇄된 후에도 장력부재에 장력이 계속 존재하면 레버(3a)가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변좌(10)의 홀(H)이 폐쇄된 후 장력부재의 장력이 상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파지부(53)는 손잡이(53a) 및 손잡이레일(5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53a)는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부분으로 케이스(30)의 전면에 노출되며, 케이스(30)의 후면에서는 줄의 일단과 결합된다. 손잡이레일(53b)은 커버플레이트(51)에 고정결합되며, 손잡이(53a)는 손잡이레일(53b)에 슬라이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부(53)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넷부(미도시)는 손잡이레일(53b)의 상단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10)의 홀(H)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53a)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손잡이(53a)는 손잡이레일(53b)의 상측을 가압하여 커버플레이트(51)를 커버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커버플레이트(51)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1 마그넷부(미도시)와 제2 마그넷부(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변좌(10)의 홀(H)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10)의 홀(H)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53a)를 파지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손잡이(53a)는 손잡이레일(53b)의 하측을 가압하여 커버플레이트(51)를 변좌(1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변좌(10)의 홀(H)이 폐쇄되기 직전 장력부재에 장력이 형성되어 변좌(10)의 홀(H)이 폐쇄됨과 동시에 레버(3a)의 회전이 완료된다.
변좌(10)의 홀(H)이 폐쇄되면, 사용자는 손잡이(53a)에서 손을 떼게 되며, 원위치로 복귀하는 레버(3a)의 회전력에 의해 손잡이(53a)는 손잡이레일(53b)을 따라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손잡이레일(53b)의 길이는 레버(3a)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레일(53b)에는 변좌(10)의 홀(H)이 폐쇄될 때 손잡이(53a)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53c)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53c)는 손잡이레일(53b)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좌(10)의 홀(H)이 폐쇄되면, (레버(3a)의 복귀회전력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손잡이(53a)는 탄성부재(53c)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손잡이레일(53b)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3)가 후방에 배치되는 양변기(2)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H)이 형성되는 변좌(10), 변좌(10)의 후단부에서 변좌(10)와 물탱크(3)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30) 및 케이스(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변좌(10)의 홀(H)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홀커버(50)를 포함하며, 홀커버(50)는 변좌(10)의 홀(H)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변좌(10)와 케이스(30)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서 양변기(2)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에 크랙발생률이 최소화되는 등 전체적으로 고장발생이 방지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 양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가정이나 기업에서 설치를 선호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좌(10)의 홀(H)이 폐쇄될 때 양변기(2)의 물이 연동하여 배수되도록, 홀커버(50)의 이동과 물탱크(3)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70)을 더 포함함에 따라, 양변기(2)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어 양변기(2) 내부의 용변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양변기(2)의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양변기 커버장치 2 : 양변기
3 : 물탱크 3a : 레버
10 : 번좌 30 : 케이스
50 : 홀커버 70 : 연동수단
H : 홀 51 : 커버플레이트
S1 : 제1 슬라이드공간 53 : 파지부
S2 : 제2 슬라이드공간 53a : 손잡이
31 : 슬라이드홀 53b : 손잡이레일
32 : 상부커버 53c : 탄성부재
M1 : 제1 마그넷부
M2 : 제2 마그넷부

Claims (10)

  1. 물탱크가 후방에 배치되는 양변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중간에 홀이 형성되는 변좌;
    상기 변좌의 후단부에서 상기 변좌와 물탱크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커버는, 상기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상기 변좌와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커버는 평판형태의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변좌의 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상기 변좌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이 전환된 후 탄성복원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파지부가 노출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의 상단부에는 제1 마그넷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제1 마그넷부와의 사이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제2 마그넷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부와 제2 마그넷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의 홀이 폐쇄될 때 상기 양변기의 물이 연동하여 배수되도록, 상기 홀커버의 이동과 상기 물탱크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이동과 상기 물탱크의 레버 또는 버튼의 작동을 줄을 통해 연동시키는 장력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줄의 일단이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가 슬라이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레일에는, 상기 변좌의 홀이 폐쇄될 때 상기 손잡이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KR1020130147787A 2013-11-29 2013-11-29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KR20150062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87A KR20150062786A (ko) 2013-11-29 2013-11-29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87A KR20150062786A (ko) 2013-11-29 2013-11-29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86A true KR20150062786A (ko) 2015-06-08

Family

ID=5350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787A KR20150062786A (ko) 2013-11-29 2013-11-29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383A (zh) * 2016-01-24 2016-05-04 朱学成 便后免擦洗马桶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383A (zh) * 2016-01-24 2016-05-04 朱学成 便后免擦洗马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119B1 (ko)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JP2005170545A (ja) ゴミ箱
CN206486957U (zh) 一种免水冲蹲坐两用便器
KR20150062786A (ko) 슬라이드 개폐형 양변기 커버장치
KR101411162B1 (ko) 변기커버 개폐 기능을 갖는 좌변식 변기
KR20160122416A (ko) 양변기의 변기 커버
KR102303284B1 (ko)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JP2013116199A (ja) トイレ装置
KR20120036039A (ko) 개폐문이 구비된 매립형 남자소변기
KR101503340B1 (ko)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JP2019534400A (ja) 衛生可視性の付与のための洗浄及びビデノズル分離構造を有するビデ装置
US20090007322A1 (en) Waste trap movement system
US20090288248A1 (en) Bathtub system
KR101248585B1 (ko) 슬라이드식 커버를 구비한 변기
KR101168069B1 (ko) 교체 구조를 갖는 양변기용 슬라이드형 커버장치
GB2472188A (en) Hygienic Cover for Handle
KR101947575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JP6067086B2 (ja) 多目的トイレユニット
KR102156939B1 (ko) 변기 커버에 연동하는 물내림 장치
KR101281948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ATE448368T1 (de) Sanitärmodul zur automatischen reinigung mit drehbarer klosettschüssel und rückenlehne
US9609985B2 (en) Toilet bowl cover apparatus
KR102671860B1 (ko) 변기커버 자동 닫음 장치
KR101169368B1 (ko) 수동식 양변기 커버의 개폐장치
JP2005065851A (ja) 便蓋・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