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405Y1 -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405Y1
KR200297405Y1 KR2020020028657U KR20020028657U KR200297405Y1 KR 200297405 Y1 KR200297405 Y1 KR 200297405Y1 KR 2020020028657 U KR2020020028657 U KR 2020020028657U KR 20020028657 U KR20020028657 U KR 20020028657U KR 200297405 Y1 KR200297405 Y1 KR 200297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coupling
toilet
fixing
retur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태선
Original Assignee
백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태선 filed Critical 백태선
Priority to KR2020020028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405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시트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결합수단, 그 하면 일측에는 오물이 투입 배출되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변기시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결합수단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TOILET SEAT OPERATING DEVICE HAVING RETURN FUNCTION}
본 고안은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오물이 배출되었을 때, 이를 세정시키는 장치로서, 변기에는 재래식 대변기, 소변기, 양식 변기(대소변 겸용)가 있다. 양식 변기는 모두 수세식이며, 재래식 변기에는 수세식과 급취식이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대소변 겸용 양식 좌변기에 대해 기술한다.
도 6 은 종래기술의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기는 본체(100), 커버(300), 변기시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변기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변기시트(200)는 상기 본체(100) 위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300)는 상기 본체(100)를 개방하기 위하여 직립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샤워를 하거나 남자들이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상기 변기시트(200)에 물이나 기타 오물이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변기시트(200)를 손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에 묻은 오물로 손이 더러워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변기시트(200)를개방시킬 수 있는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가 개발되었다.
도 7 은 또 다른 종래기술의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종래기술의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본체(10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변기고정구(400), 상기 변기고정구(400)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을 구비한 시트지지구(420), 상기 축에 고정되어 시트지지구(420)를 들어올리기 위한 지렛대(440), 상기 지렛대(440)를 당기기 위한 견인대(440), 상기 견인대(440)가 결합되는 발판(480)으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200)를 들어올리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발판(480)을 밟게되면 상기 견인대(440)는 아랫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당겨진 거리만큼 상기 지렛대(440)의 일단을 당기게 되어 상기 지렛대(440)의 타단에 고정된 축이 회전한다.
상기 축이 회전하게 되면 동시에 시트받침도 회전하게 되어 상기 변기시트(200)가 들려 올리게 된다.
상기의 변기 작동장치는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위생상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상기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상기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여 복잡한 구조로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바싼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견인대(440) 및 발판(480)이 변기(A)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는 장착 사용이 어려우며 외관상 조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기고정구(400), 지렛대(440)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습기가 많은 욕실에서는 녹이 슬어 고장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상기 발판(480)을 밟아야 상기 변기시트(200)가 개방되므로, 부주의로 상기 변기시트(200)를 개방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변기에서와 같이 상기 변기시트(200)에 물이나 오물 등이 묻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변기시트를 개방하도록 사용자가 직접 작업할 필요가 없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 공정이 간편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한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변기시트가 통상적인 경우에 올라가 있는 상태이므로 부주의로 변기시트를 올리지 않아 변기시트에 오물 등이 묻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변기에도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한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
도 2a 는 도 1의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사시도.
도 2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 5a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 제2결합수단과 연결부재 및 작동캡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 제2결합수단과 연결부재 및 작동캡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은 종래기술의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
도 7 은 또 다른 종래기술의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본체 12: 고정공
20,200: 변기시트 22: 제1결합수단
24: 제1결합공 26: 고정홈
28: 결합홈 30,300: 커버
32: 제3결합수단 34: 제3결합공
40: 고정부재 42: 고정돌기
44: 제2결합수단 46: 제2결합공
48: 제1톱니부 50: 연결부재
52: 제1연결부 54: 몸체부
56: 제2연결부 58: 결합돌기
60: 탄성수단 70: 작동캡
72: 제2톱니부 74: 돌기부
400: 변기고정구 420: 시트지지구
440: 지렛대 460: 견인대
480: 발판 A: 변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시트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결합수단, 그 하면 일측에는 오물이 투입 배출되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변기시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결합수단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은 그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변기시트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시트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결합수단, 그 하면 일측에는 오물이 투입 배출되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변기시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단과 결합 작동하는 작동캡 및 그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장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작동캡에 장착되어 상기 변기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공으로 관통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결합공으로 관통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에는 상기 변기시트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공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변기시트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각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1결합공은 상기 제1연결부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결합수단의 일단에는 다수의 톱니로 구성된 제1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캡의 일단에는 상기 제1톱니부에 상응하는 형상이며 상기 제1톱니부에 결합되는 제2톱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캡에는 상기 탄성수단의 일단이 장착되도록 그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등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2a 는 도 1의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A)는 본체(10), 변기시트(20), 커버(300), 고정부재(40), 연결부재(50), 탄성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오물이 투입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고정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시트(20)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 앉게 되는 좌석부분으로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그 일측에는 제1결합수단(2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수단(22)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본체(10) 및 상기 변기시트(20)를 덮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그 일측에는 제3결합수단(3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32)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제3결합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기 커버(300) 및 변기시트(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고정돌기(42)와 제2결합수단(4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42)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1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공(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수단(44)은 상기 커버(300)의 제3결합수단(32)과 상기 변기시트(20)의 제1결합수단(22)과 나란히 정렬되는 부분으로서, 그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커버(300)와 변기시트(20)를 상기 본체(10)에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제2 및 제3결합공(34)을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그 일단은 그 몸체부분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공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그 타단은 상기 몸체부분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상기 변기시트(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결합수단(22)과 상기 연결부재(50)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그 양단은 상기 변기시트(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변기(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변기시트(20)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26)에 삽입고정되며, 그 타단(미도시)은 변기(A)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삽입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2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변기의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50)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이 상기 고정부재(40)의 제2결합공(46)으로부터 상기 변기시트(20)의 제1결합공(24)과 상기 탄성수단(60)을 통해 상기 커버(300)의 제3결합공(34)으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0)에 상기 변기시트(20)와 커버(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를 포함한 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의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A)는 본체(10), 변기시트(20), 커버(300), 고정부재(40), 연결부재(50), 탄성수단(60), 작동캡(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 변기시트(20), 커버(300)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본체(10), 변기시트(20), 커버(300)와 그 구성이 동등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기 커버(300) 및 변기시트(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고정돌기(42)와 제2결합수단(44) 및 제1톱니부(48)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2)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12)에 결합되며, 상기 제2결합수단(44)은 그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공(4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에는 다수의 톱니로 구성된 제1톱니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커버(300)와 변기시트(20)를 상기 본체(10)에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몸체부(54), 제1연결부(52), 제2연결부(56)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54)는 상기 연결부재(50)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제2결합수단(44) 내에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52)는 상기 몸체부(54)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제1결합공(24)으로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연결부(56)는 상기 몸체부(54)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결합공(46)으로 관통되는 부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 제2결합수단과 연결부재 및 작동캡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연결부(52)에는 결합돌기(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수단(22)의 제1결합공(24)에는 상기 결합돌기(58)에 대응하는 결합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변기시트(20)가 회전하도록 상기 결합돌기(58)와 결합홈(28)이 맞물려 있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 제2결합수단과 연결부재 및 작동캡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 상기 제1연결부(52)는 다각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1결합공(24)은 상기 제1연결부(52)에 상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연결부재(5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변기시트(20)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부(52)와 제1결합공(24)은 맞물려 회동한다.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상기 제1연결부(52)와 제1결합공(24)의 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는 제1연결부(52)와 제1결합공(24)이 맞물려서 돌아 갈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56)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캡(70)은 상기 고정부재(40) 일단과 결합 작동하는 부분으로서, 제2톱니부(72)와 돌기부(74)로 구성된다.
상기 제2톱니부(72)는 상기 제2결합수단(44)의 상기 제1톱니부(48)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톱니부(48)에 상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돌기부(74)는 상기 작동캡(70)의 일측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탄성수단(60)의 일단이 장착된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상기 연결부재(50)와 상기 작동캡(7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변기시트(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2연결부(56)의 개방된 일단에 장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작동캡(70)의 돌기부(74)에 장착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 작동장치에서는, 상기 연결부재(50), 상기 작동캡(70), 상기 고정부재(40) 및 상기 탄성수단(60)을 포함한 작동부분들이 좌우측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작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고안의 구성과 대체적으로 동등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지만, 다만 상기 제1연결부(52)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52)가 반대측 제1, 제2, 제3결합공까지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a에 도시된 두 개의 작동부분들을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작동부분으로 상기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구동하게 된다.
도 4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포함한 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변기의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50)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이 상기 고정부재(40)의 제2결합공(46)으로부터 상기 변기시트(20)의 제1결합공(24)을 통해 상기 커버(300)의 제3결합공(34)으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0)에 상기 변기시트(20)와 커버(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작동부분만을 포함하는 것과 내측에서 외측으로 장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그 구성들은 상술한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구성들과 동등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의 작동원리를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시트(20)와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커버(300)의 제1, 제2, 제3결합수단(32)은 각각의 제1, 제2, 제3결합공(24,46,34)이 동심축이 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수단(22)과 제2결합수단(44) 사이에는 탄성수단(6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고, 그 일측은 변기시트(20)의 결합홈(28)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변기(A)의 일측에 삽입고정되거나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상기 변기시트(20)가 직립된 상태에서 아래로 내릴 때 탄성력이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수단(44)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A)를 사용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300)와 변기시트(20)는 본체(10)에 대해 직립한 개방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좌식하려고 상기 변기시트(20)를 내리는 경우에 상기 탄성수단(60)에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사용자가 변기의 사용을 마친 후, 일어서게 되면 탄성수단(60)에 가해진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20)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60)의 일단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변기시트(20)의 고정홈(26)에 삽입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기시트(20)를 올리려는 탄성력이 상기 변기시트(20)에 더욱 용이하게 전달된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도 동등한 작동 원리로 작동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의 설치방법 및 작동원리를 도 3,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시트(20)와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커버(300)의 제1, 제2, 제3결합수단(32)은 각각의 제1, 제2, 제3결합공(24,46,34)이 동심축이 되도록 장착시키고, 상기 연결부재(50)와 작동캡(70) 사이에는 탄성수단(60)을 장착시킨다.
상기 탄성수단(60)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고, 그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50)의 제2연결부(56)의 개방된 일단에 장착시키고 그 타단은 상기 작동캡(70)의 돌기부(74)에 장착시킨다.
상기 작동캡(70)의 제2톱니부(72)는 상기 고정부재(40)의 제1톱니부(48)와 맞물리도록 장착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수단(60)은 아직 텐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므로, 상기 탄성수단(60)에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캡(70)을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일정 톱니만큼 회전시켜 장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작동장치에서 상기 탄성수단(60)은 상기 변기커버(3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그 일단이 고정부재(40)에 고정된 작동캡(70)에 장착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5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연결부(52)와 상기 변기시트(20)의 제1결합공(24)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기시트(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0)도 회동한다.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수단(44)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A)를 사용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300)와 변기시트(20)는 본체(10)에 대해 직립한 개방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좌식하려고 상기 변기시트(20)를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 변기시트(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0)가 회동한다.
상기 연결부재(5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0)에 장착된 탄성수단(60)이 회동하게 되나 상기 탄성수단(60)의 일단은 고정된 작동캡(7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수단(60)에는 비틀림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변기의 사용을 마친 후, 일어서게 되면 탄성수단(60)에 가해진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20)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도 동등한 작동 원리로 작동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적에 따라 상기 작동캡(70)을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일정 톱니만큼 회전시켜 상기 탄성수단(60)에 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의하면, 초기에 변기시트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변기시트를 개방하도록 사용자가 직접 작업할 필요가 없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초기에 항상 변기시트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부주의로 변기시트를 올리지 않아 변기시트에 오물 등이 묻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발을 사용하는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상기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여 복잡한 구조로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바싼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편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한 변기시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발을 사용하는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견인대 및 발판 등이 변기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는 장착 사용이 어려우며 외관상 조잡하나, 본 고안에 의한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심플하고 세련되며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변기시트는 상기 변기고정구, 지렛대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습기가 많은 욕실에서는 녹이 슬어 고장날 확률이 높으나, 본 고안에 따른 변기시트 작동장치는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단점이 극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변기에도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탄성수단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 영구적인 변기시트 작동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의하면, 탄성수단의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변기시트에 삽입 고정되므로 변기시트가 탄성력에 의해 올라가는 힘을 용이하게 전달하여 효율이 향상되는 작동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에 의하면, 작동캡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탄성수단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 중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약화되면 고정부재에 대해 작동캡을 회전시켜 탄성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시트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결합수단;
    그 하면 일측에는 오물이 투입 배출되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변기시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결합수단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은 그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변기시트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4.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시트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1결합수단;
    그 하면 일측에는 오물이 투입 배출되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는 제2결합수단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변기시트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단과 결합 작동하는 작동캡; 및
    그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장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작동캡에 장착되어 상기 변기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공으로 관통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결합공으로 관통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에는 상기 변기시트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공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변기시트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각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1결합공은 상기 제1연결부에 상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의 일단에는 다수의 톱니로 구성된 제1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캡의 일단에는 상기 제1톱니부에 상응하는 형상이며 상기 제1톱니부에 결합되는 제2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에는 상기 탄성수단의 일단이 장착되도록 그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원통형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KR2020020028657U 2002-09-25 2002-09-25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KR200297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57U KR200297405Y1 (ko) 2002-09-25 2002-09-25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57U KR200297405Y1 (ko) 2002-09-25 2002-09-25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405Y1 true KR200297405Y1 (ko) 2002-12-20

Family

ID=7312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57U KR200297405Y1 (ko) 2002-09-25 2002-09-25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4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1432A (ja) 足元操作型水洗装置と足元操作型水洗方法
US6968579B1 (en) Flushing activator and toilet seat and lid lifting and closing mechanism
KR200297405Y1 (ko) 리턴기능을 구비한 변기시트 작동장치
US9259124B2 (en) Hands-free toilet adapter
KR20030041865A (ko) 서양식 수세식 변기
KR200420344Y1 (ko) 좌변기의 변기시트 개폐장치
WO2018144865A1 (en) Urinal toilet device
KR100657193B1 (ko) 양변기 시트 개방장치
KR102687893B1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KR100580328B1 (ko) 비데기의 변좌 스톱퍼 구조
KR102687892B1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KR100280648B1 (ko)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US20060031981A1 (en) Hands free toilet device
KR102675305B1 (ko) 양변기용 풋 스위치
KR100434123B1 (ko) 변기시트 개폐장치
KR200386459Y1 (ko) 변기
KR200295137Y1 (ko) 좌변기의 좌판 열림장치
KR19990068527A (ko) 양변기시트카바자동열림발판레버장치.
KR200291859Y1 (ko) 좌변기의 좌판개폐 및 자동배수장치
JP3631484B2 (ja) 便器、便器用蓋ユニット、便器用蓋ユニット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便器用蓋ユニットの開閉方法
KR200232673Y1 (ko) 변기시트 개폐장치
KR200344673Y1 (ko) 비데기의 변좌 스톱퍼 구조
WO2009054622A1 (en) Installing and removing device for toilet seat
JP4211216B2 (ja) 便座支持部材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